기독교 세계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세계관은 기독교 신앙에 기반하여 세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철학적 틀이다. 이 세계관은 우주론, 종말론, 가치관, 실천론, 인식론, 원인론 등 여섯 가지 요소를 포함하며, 성경을 중심으로 창조, 타락, 구속, 완성을 핵심 개념으로 다룬다. 기독교 세계관은 다양한 교파와 학자들의 견해를 포괄하며, 특히 칼빈주의는 이 세계관을 강조한다. 한국에서는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 세계관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여러 학자들이 관련 저술과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문화 - 친구 (인사)
- 기독교 문화 - 일반 은총
일반 은총은 하나님이 모든 인류에게 보편적으로 베푸시는 은총으로, 창조 세계에 대한 섭리적 보살핌, 죄에 대한 억제, 인간의 양심, 인류의 발전을 포함하며 사회 질서 유지와 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개혁신학에서는 특별 은총과 구별되며 칼뱅주의와 알미니우스주의 간에 신학적 쟁점이 있다. - 관점 - 아리스토텔레스의 여성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성의 행복과 사회적 역할을 중요하게 여기면서도, 생물학적, 정치적 관점에서 남녀의 차이를 언급하며 여성의 시민권을 제한적으로 인정하였다. - 관점 - 지식 재산권
지식재산권은 지적 활동 및 창작 활동에서 비롯되는 특허권, 저작권, 상표권, 디자인권, 영업비밀 등을 포괄하는 무형의 재산적 권리로서, 국제 기구와 조약을 통해 보호되지만 혁신 저해 및 불평등 심화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는 제도이다. - 세계관 - 세계 정복
세계 정복은 특정 국가나 세력이 지구상의 모든 영토와 인류를 지배하려는 목표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이 넓은 지역을 통치했지만 지구 전체를 정복한 사례는 없고, 현대에는 다자주의와 국제기구의 발전으로 영토 정복을 통한 세계 지배는 사실상 어려워 경제적, 문화적 영향력을 통한 지배 시도가 논의된다. - 세계관 - 세카이계
세카이계는 주인공과 히로인의 관계를 중심으로 개인적 문제를 세계의 위기로 연결하는 서브컬처 작품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기독교 세계관 | |
---|---|
개요 | |
정의 | 기독교 세계관은 기독교 신앙의 관점에서 세상을 이해하는 체계적인 방법이다. 세상의 기원, 목적, 의미, 도덕성, 그리고 미래에 대한 기독교적인 관점을 포괄한다. |
특징 | 기독교 세계관은 성경을 근본적인 기준으로 삼아 세상과 인간을 이해하고 해석한다. 모든 것은 하느님의 창조, 타락, 구속이라는 큰 이야기 안에서 이해되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느님과의 관계 회복을 강조한다. |
핵심 요소 | |
창조 | 세상은 하느님에 의해 창조되었으며, 그분의 목적과 질서 안에서 존재한다. |
타락 | 인간의 죄로 인해 세상은 타락하고 고통과 부조리가 발생했다. |
구속 |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해 인간은 죄에서 구원받고 하느님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 |
윤리 | 성경적인 가치관에 따라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실천해야 한다. |
종말 | 세상은 하느님의 심판과 새로운 창조를 향해 나아간다. |
주요 관점 | |
하느님 중심 | 세상의 모든 것은 하느님을 중심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
인간관 | 인간은 하느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지만, 죄로 인해 타락한 존재이다. 그러나 그리스도를 통해 회복될 수 있다. |
세상관 | 세상은 하느님의 창조물이며, 그분의 통치 아래 있다. 그러나 죄로 인해 고통받고 있으며, 하느님의 구원을 기다린다. |
역사관 | 역사는 하느님의 섭리 안에서 진행되며, 그분의 목적을 향해 나아간다. |
영향 | |
개인의 삶 | 기독교 세계관은 개인의 가치관, 윤리관, 삶의 목적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사회와 문화 | 기독교 세계관은 사회 제도, 문화 예술,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
학문 | 기독교 세계관은 철학, 과학, 역사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대한 기독교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
도전과 비판 | |
과학과의 관계 | 기독교 세계관은 과학적 발견과 때로는 충돌하기도 하며, 창조론과 진화론 논쟁이 대표적이다. |
다원주의 | 다양한 세계관이 공존하는 사회에서 기독교 세계관은 상대주의와 다원주의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윤리적 문제 | 일부 기독교 세계관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이나 환경 문제 등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2. 정의
레오 아포스텔에 따르면, 세계관은 세계에 대한 존재론이며, 세계를 서술하는 방식이다.[2] 레오 아포스텔은 세계관이 6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고 보았다.[6]
2. 1. 세계관의 6가지 요소
철학자 레오 아포스텔에 따르면 세계관은 존재론이며, 세계를 서술하는 방식이고, 6가지 요소들로 구성되었다고 한다.[6]번호 | 요소 | 설명 |
---|---|---|
1 | 우주론 | 세계에 대한 설명이다. |
2 | 종말론 | "우리는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
3 | 가치관 | 기독교 윤리와 관련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변이다. 이 맥락에서, "예수라면 어떻게 하셨을까?"와 관련된다. |
4 | 실천론 | 방법론, 또는 행위에 대한 이론으로, "우리는 어떻게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가?"와 관련된다. |
5 | 인식론 | 지식에 대한 이론으로, "무엇이 진실이고 거짓인가?"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요한복음 18:38 참조) |
6 | 원인론 | 구성된 세계관은 자신의 "구성 요소", 즉 기원과 구성에 대한 설명을 포함해야 한다. |
여러 학자들이 세계관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다.[7]
3. 학자들의 견해들
학자 견해 로버트 D. 누드슨 (Robert D. Knudsen) "기독교적 세계관이란 하나님의 계시에 중심한 진리에 대한 반성으로 심오해진 체계화된 지혜이다." 양승훈 "역사적으로 기독교적인 세계관은 대체로 창조, 타락, 구속이라는 뼈대 속에서 발전되어 왔다." 앨버트 M. 월터스 (Albert M. Wolters)와 마이클 W. 고힌 (Michael W. Goheen) 성경적 세계관의 골격을 "창조, 타락, 구속"으로 제안 최용준 창조, 타락, 구속에 완성을 추가하여 설명
미국에서는 복음주의 개혁교회 철학자인 H. 에반 러너가 칼빈 대학교에서 '세계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러너는 북미 지역의 복음주의 개혁 공동체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며, 세계관 개념을 철학적 개념에서 '교리'의 동의어로 승격시켰다.
참고 문헌:3. 1. 기독교 세계관의 핵심 개념
학자들은 세계관에 대한 이해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7]
Robert D. Knudsen은 “기독교적 세계관이란 하나님의 계시에 중심한 진리에 대한 반성으로 심오해진 체계화된 지혜이다”라고 정의했다. 기독교적 세계관은 성경에 근거하고 있으며, 성경은 하나님의 창조와 인간의 타락, 허물과 죄로 죽은 인간을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구원의 사역, 즉 구속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그래서 양승훈 교수는 “역사적으로 기독교적인 세계관은 대체로 창조, 타락, 구속이라는 뼈대 속에서 발전되어 왔다”라고 주장한다. 성경적인 세계관을 갖는 것은 우리의 문화적, 사회적 이슈를 바르게 보는데 매우 중요하다. 하나님의 관점에서 서로를 바라보게 되면 ‘하나님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하신 그 가치를 새롭게 인정하고 깨닫게 될 것이다. 성경적 기독교적 세계관을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성경을 토대로 할 때 변하지 않는 기본적인 골격을 발견할 수 있다. Albert M. Wolters와 Michael W. Goheen은 성경적 세계관의 고전으로 꼽히는 Biblical Basic for a Reformational Worldview에서 그 골격을 “창조, 타락, 구속”으로 제안한다. 창조는 원래의 세계를 이해하는 안경이 되어주고, 타락은 현실세계를 진단하는 도구가 된다. 구속은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미래상을 보게 해준다. 최용준은 여기에 ‘완성’을 첨가하여 ‘창조, 타락, 구속, 완성’으로 설명한다.
기독교의 다양한 교파들은 서로 다른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기독교 세계관 내에는 다양한 세부 사항이 존재하며, 기독교 세계관의 개념에 대한 의미에 대한 논쟁도 있다. 특정 주제 요소는 기독교 세계관 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노스롭 프라이는 성경의 은유 체계에서 중심적인 클러스터로 산, 정원, 동굴을 지적했다. 개혁주의 전통에서 기독교 세계관을 나타내는 유사한 주제 표현은 창조, 타락, 구원 및 완성으로 공식화되었다.
4. 성경적 세계관
성경적 세계관은 성경의 관점에서 세상을 이해하려는 인식적인 틀이다.[8]
4. 1. 성경적 세계관의 주요 주제
성경적 세계관은 성경의 관점에서 세상을 이해하려는 인식적인 틀이다. 성경적 세계관은 중요한 주제들을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8]- 우주: 우주는 하나님(말씀)이 무(無)로부터(ex nihilo) 단번에 완전히 창조하신 것이다. 그 이후로 시간, 공간의 물질로 이루어진 이 우주는 하나님에 의해 유지, 보존된다(전3:14).
- 인간: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받은 존재로서 하나님과 인격적 교제를 가질 수 있는 의존적 존재이며, 아울러 피조 세계를 다스리는 하나님의 청지기이다.
- 신: 하나님은 삼위일체, 즉 성부, 성자, 성령의 세 분의 인격으로 계신다. 하나님은 스스로 있는 자이실 뿐만 아니라 성육신함으로 아들이라 일컫는 예수그리스도 인격 안에 자신을 계시하신 분이다.
- 존재: 우주 만물은 하나님의 창조 원리와 질서에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으며,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모든 실재물은 스스로 있는 자이신 하나님의 전능에 의해 유지, 보존되고 있다. 이것이 존재이다.
- 종교: 하나님의 주도적인 부르심에 대한 인간의 구체적 응답이며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복종이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과 인간과의 만남이요 관계이며, 이것은 진리이신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예배와 제도를 포함한다.
- 과학: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우주 만물(창1장) 가운데에는 하나님의 창조 질서와 법칙이 작용하고 있다. 이를 발견해 내어 인류 평화와 복지를 위하는 것이 과학이요, 나아가 하나님의 실존을 깨닫는 것이 과학의 참된 목적이다.
- 국가: 국가는 하나님의 주권 아래 존재하며(단4:17, 25), 국가의 통치권은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진다(롬13:1-4). 동시에 국가는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 명령을 준행할 때 진정으로 존재하게 되며, 하나님의 구속사라는 총체적인 역사 안에 있다.
- 문화: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받은 인간은 피조된 자연을 가꾸고 다스리라는 문화명령을 부여받았다(창1:28). 인간은 이 명령을 따라 하나님이 주신 자연과 문화를 보존하고 가꾸어 나갈 의무와 책임이 있다. 문화는 하나님과 관계성을 가진 인간이 이룩해야 할 사명이다.
5. 신학적 세계관
기독교의 다양한 교파들은 서로 다른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기독교 세계관 내에는 다양한 세부 사항이 존재하며, 그 개념과 의미에 대한 논쟁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주제 요소는 기독교 세계관 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노스롭 프라이는 성경의 은유 체계에서 중심적인 클러스터로 산, 정원, 동굴을 지적했다. 개혁주의 전통에서 기독교 세계관을 나타내는 유사한 주제 표현은 창조, 타락, 구원, 완성으로 공식화되었다.
"기독교 세계관"이라는 용어는 "미국 복음주의 문화의 정의적 표지"라고 불려왔다.[3]
5. 1. 주요 신학자들의 세계관
- 바울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희망하는 종말론적 세계관을 강조하였다.
- 어거스틴은 하늘의 도성인 하나님 나라에 대한 종말론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다.
- 루터는 율법과 복음의 구분에 따른 신학적 구조 속에서 율법으로 통치되는 세속나라와 복음으로 다스려지는 교회의 변증법적 구조의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다.
- 칼뱅은 하나님의 절대주권에 의해 세상이 다스려지는 하나님 중심의 세계관을 가지고 국가, 교육, 교회 그리고 사회 등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통치의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다.
- H. 에반 러너는 미국 미시간 주 그랜드 래피즈에 있는 칼빈 대학교의 복음주의 개혁교회 철학자였다. 미국의 기독교 수사에서 '세계관'이라는 용어는 여기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러너는 북미 지역의 복음주의 개혁 공동체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며, 세계관 개념을 철학적 개념에서 ''교리''의 동의어로 승격시켰다.
6. 칼빈주의와 세계관
제임스 패커는 칼빈주의를 세계관이라고 주장한다.[9] 칼빈주의는 하나님을 온 세상의 창조주이며 왕으로 믿는 명확한 시각에서 비롯된 총체적 세계관이다. 칼빈주의는 창조주를 주님으로 인정하고 모든 일을 그의 뜻대로 행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이며, 하나님 자신의 말씀의 지시와 통제 아래 있는 모든 생명에 대한 신 중심적 사고방식이다.
미국에서 기독교 수사에서 '세계관'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복음주의 개혁교회 철학자인 H. 에반 러너가 미시간 주 그랜드 래피즈에 있는 칼빈 대학교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러너는 북미 지역의 복음주의 개혁 공동체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며, 세계관 개념을 철학적 개념에서 '교리'의 동의어로 승격시켰다.
6. 1. 칼빈주의 세계관의 특징
제임스 패커는 칼빈주의가 세계관이라고 주장한다.[9] 칼빈주의는 하나님을 온 세상의 창조주이며 왕으로 믿는 명확한 시각에서 비롯된 세계관이다. 그는 칼빈주의는 전 세계의 창조주이자 왕이신 하나님에 대한 명확한 비전에서 비롯된 총체적 세계관이라고 한다. 칼빈주의는 창조주를 주님으로 인정하고 모든 일을 그의 뜻대로 행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이다. 칼빈주의는 하나님 자신의 말씀의 지시와 통제 아래 있는 모든 생명에 대한 신 중심적 사고방식이다. 칼빈주의는 다시 말해서 성경의 관점에서 본 성경의 신학이다. 즉 창조주를 자연과 은혜에 있는 모든 것의 근원이요 수단과 목적으로 보는 하나님 중심적 관점이다. 따라서 칼빈주의는 유신론(만물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믿는 것), 종교(만물을 주시는 자로서 하나님을 의지함), 복음주의(만물을 위하여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을 신뢰함)이며, 이 모두 가장 순수하고 가장 고도로 발달된 형태이다. 칼빈주의는 하나님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과정과 사건의 다양성을 피조물과 교회를 위해 미리 정하신 위대한 계획의 성취로 보는 통일된 역사 철학이다. 다섯 가지 요점은 하나님이 개인을 구원하는 데 있어서 주권적이라고 주장하는 것 이상으로 주장하지 않지만, 칼빈주의는 그 자체로 그가 모든 곳에서 주권자라는 훨씬 더 광범위한 주장과 관련이 있다.7. 기독교 세계관 운동과 한국
아브라함 카이퍼가 주창한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네덜란드에서 시작되어 북미 지역에서 학문적으로 발전했으며, 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10] 이 운동은 신앙과 학문의 연관성을 강조하며, 모든 학문 분야에서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주장한다.
한국에서는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양승훈 교수, 총신대 신국원 교수, 한동대 최용준 교수, 서강대 강영안 교수, 합신대 송인규 박사, 이승구 박사 등이 기독교 세계관 운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7. 1. 한국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
아브라함 카이퍼가 주창한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북미에서 학문적 기반을 갖게 되었고, 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10] 이 운동은 신학뿐만 아니라 모든 학문 영역에서 그리스도의 주되심(Lordship)을 강조한다.7. 1. 1. 주요 학자 및 단체
아브라함 카이퍼는 "인간 존재의 어느 부분이라도 하나님의 다스림에서 제외될 한 치의 땅도 없다!"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신앙과 학문의 필연적 연관성을 의미하며, 소위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시작점이 되었다.[10] 그는 네덜란드의 수상이자 정치가였으며, 프랑스 대혁명이 인간 이성의 자율성을 극대화한 운동이라고 판단하여 이에 반대하는 의미로 "반-혁명당"을 창당하고 당수를 역임했다.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를 설립하고 조직신학을 가르친 신학자이기도 한 카이퍼의 개혁 신학적 입장은 북미로 건너가 칼빈대학교(Calvin College)와 캐나다 토론토의 기독교학문연구소(Institute of Christian Studies)를 중심으로 학문적 기반을 갖게 된다.이 운동은 신학뿐만 아니라 모든 학문에서 그리스도의 주되심(Lordship)을 강조한다. 주요 학자 및 단체는 다음과 같다.
분야 | 인물 |
---|---|
철학 | 앨빈 플랜팅가, 니콜라스 월터스토프, 리처드 마우, 제임스 스미스 |
역사 | 조지 마스덴 |
지질학 | 데이비스 영 |
천문학 | 하워드 반틸 |
신학/인문학 | 엘 월터스, 코넬리우스 플랜팅가 |
윤리학 | 헨리 스톱, 루이스 스메디스 |
철학적 미학 | 칼빈 씨어벨트, 올트하우스 |
구약학 | 바돌로뮤 |
기타 | 폴 마샬, 브라이언 월쉬, 리처드 미들턴 |
이들 모두는 미국 기독개혁교단(CRCNA, Christian Reformed Church in North America) 출신의 학자들이다. 한국 학자들로는 전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의 양승훈 교수, 전 총신대 신국원 교수, 한동대 최용준 교수, 전 서강대 강영안 교수, 전 합신대의 송인규 박사, 이승구 박사 등이 있다.
8. 중요 인물들과 작품들
-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와 J. P. 모어랜드, ''기독교 세계관의 철학적 기초'' (2003)
- 고든 H. 클락, ''인간과 사물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철학 입문'' (1951, 1981 재판)
- 헤르만 도위에베르트, ''이론적 사고에 대한 새로운 비판'' (1984)
- 칼 F. H. 헨리, ''하나님, 계시, 권위'' (1976)
- 아브라함 카이퍼, ''칼뱅주의 강의'' (1931)
- 제임스 오어, ''하나님과 세상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1893)
- 프랜시스 쉐퍼, ''프랜시스 A. 쉐퍼의 완전 작품집: 기독교 세계관'' (1982)[11]
- C. 프레드 스미스, "성경적 세계관 개발: 하나님의 방식으로 보기" (2015)
- 위르겐 하버마스, ''의사소통 행위 이론, 제2권'' (1981)
- 아서 F. 홈스, ''모든 진리는 하나님의 진리이다.'' (1977)
- 데이비드 노글, ''세계관: 개념의 역사'' (2002)
- 낸시 피어시, ''토탈 트루스: 문화적 포로 상태에서 기독교 해방'' (2004)
- 낸시 피어시, ''레오나르도 구하기: 마음, 도덕, 의미에 대한 세속적 공격에 저항하라는 외침'' (2010)
- 콰인, 데이비드 ''어려운 날들을 위한 답변: 세속주의의 폭풍에서 살아남기'' (1998, 2014)
- 제임스 사이어, ''옆집의 우주: 기본적인 세계관 목록'' (1997)
- 니니안 스마트, ''세계관: 인간 믿음에 대한 문화 간 탐구'' (2000)
- 앨버트 M. 월터스, ''되찾은 창조: 개혁주의 세계관을 위한 성경적 기초'' (1985)
- 레슬리 스티븐슨, 데이비드 L. 하버만, "인간 본성에 대한 10가지 이론" (2004)
- 그레이엄 콜, "크리스찬은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가?"
9. 비판과 과제
기독교 세계관에 대한 비판과 과제는 현재까지 명확하게 제시된 내용이 없으므로, 추가적인 정보와 자료를 통해 보완이 필요하다.
참조
[1]
뉴스
The Evangelical Roots of Our Post-Truth Society.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7-04-13
[2]
서적
World views. From Fragmentation to Integration
http://www.vub.ac.be[...]
[[Vrije Universiteit Brussel|VUB Press]]
1994
[3]
간행물
'"Christian Worldview": A Defining Symbolic Term of the American Evangelical Speech Code'
http://dx.doi.org/10[...]
2023
[4]
서적
Worldview: A History of the Concept.
Grand Rapids, MI:Eerdmans
2002
[5]
뉴스
신국원, 코로나 시대에 기독교 세계관이 주는 위로와 소망
https://www.christia[...]
기독일보
2020-07-21
[6]
서적
World views. From Fragmentation to Integration
http://www.vub.ac.be[...]
[[Vrije Universiteit Brussel|VUB Press]]
1994
[7]
뉴스
김혜천, 혼돈시대의 성경적 세계관
http://www.chpress.n[...]
미주크리스천신문
2021-07-17
[8]
문서
디럭스 바이블
[9]
웹사이트
J. I. Packer, 칼빈주의는 튤립이 아니라 세계관이다
https://tgckorea.org[...]
TGC
2021-07-17
[10]
웹사이트
류호준, 기독교세계관과 개혁신학과 아브라함 카이퍼
http://rbc2000.pe.kr[...]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
[11]
서적
Worldview: A History of the Concept.
Grand Rapids, MI:Eerdmans
2002
[12]
서적
Worldview: A History of the Concept.
Grand Rapids, MI:Eerdman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