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쓰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쓰네는 유부를 얹은 우동 또는 소바를 가리키는 일본 요리이다. 오사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며, 1893년 오사카의 한 우동집에서 처음 만들어졌다는 기록이 있다. 명칭은 유부가 여우가 좋아하는 음식이라는 데서 유래했으며, 유부의 색깔과 모양이 여우와 닮았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지역에 따라 면 종류, 토핑 등에 차이가 있으며, 관서 지방에서는 우동에 유부를 얹은 것을, 관동 지방에서는 소바에 유부를 얹은 것을 기쓰네라고 부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국수 요리 - 야키소바
야키소바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중국식 볶음면에서 유래된 일본의 볶음면 요리로, 중화면을 돼지고기, 양배추 등과 함께 볶아 소스 등으로 간을 하고 고명을 얹어 먹으며, 지역 특색을 살린 야키소바와 인스턴트 야키소바로도 판매된다. - 일본의 국수 요리 - 도루코라이스
도루코라이스는 1950년대 나가사키에서 시작된 일본의 퓨전 음식으로 돈가스, 필라프, 스파게티를 한 접시에 담아 제공하며, 정확한 기원과 이름 유래는 불분명하지만 나가사키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고 지역별 변형이 나타난다. - 소바 - 오키나와 소바
오키나와 소바는 밀가루 면을 사용하여 돼지, 가다랑어 육수 국물과 삼겹살, 소키 등의 고명을 얹어 먹는 오키나와의 대표적인 면 요리로, 해외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즐겨 먹는다. - 소바 - 이즈모 소바
이즈모 소바는 시마네현 이즈모 지역의 전통 메밀국수 요리로, 17세기 초 전파된 기술을 바탕으로 발전하여 독특한 조리법과 짙은 색깔, 강한 향이 특징이며 지역의 신재례, 오쿠노인 순례와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 - 우동 - 기시멘
기시멘은 일본의 넓고 납작한 우동 면 요리로, 나고야 키시멘은 별도 기준이 있으며, 우동과 유사한 조리법으로 삶는 시간이 짧고 다양한 고명과 카레, 미소니코미 등으로 다채롭게 즐길 수 있으며 에도 시대부터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 우동 - 사누키 우동
사누키 우동은 가가와현에서 유래한 쫄깃한 면발과 멸치 육수의 독특한 맛으로 유명한 우동의 한 종류로, 다양한 메뉴와 업태로 발전해왔으며 관광 산업에도 활용되고 있다.
기쓰네 | |
---|---|
요리 정보 | |
종류 | 면 요리 |
주재료 | 밀가루, 간장, 설탕, 미림, 다시마 |
기원 | 일본 |
상세 정보 | |
주재료 상세 | 우동 또는 소바 면, 유부 튀김 |
특징 | 달콤하게 조린 유부 튀김을 토핑으로 사용 |
어원 | 유부를 좋아하는 여우에서 유래 |
2. 역사
기쓰네 우동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에도 시대에 오사카에서 만들어졌다는 설[2], 메이지 10년대에 오사카에서 탄생했다는 설[3][9] 등, 오사카에서 고안되었다는 설이 많다. 1893년(메이지 26년) 오사카시 센바의 우동집 "마츠바야"가 유부(油揚げ)를 올린 우동을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12], 이 점포에는 "오사카 키츠네 우동"의 석비가 세워져 있다. 후루카와 롯파는 에세이 "우동의 괴물"에서 키츠네 우동을 "유부가 들어간 녀석. 물론 간사이에서 온 것"이라고 언급했다[5]。
한편, 에도(江戸)에서 유부를 고명으로 한 소바가 있었고, 문헌에 따르면 오사카보다 에도 쪽이 더 오래되었다는 설도 있다[6][7]。
『의식주어원사전(衣食住語源辞典)』(도쿄도 출판, 1996년)에서는 키츠네 우동이 먼저 생겨나고, 그 후에 키츠네 소바가 탄생한 것으로 해설하고 있다[8]。
2. 1. 기원
키츠네 우동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에도 시대에 오사카에서 만들어졌다는 설[2], 메이지 10년대에 오사카에서 탄생했다는 설[3][9] 등, 오사카에서 고안되었다는 설이 많다. 1893년(메이지 26년) 오사카시 센바의 우동집 "마츠바야"가 유부(油揚げ)를 올린 우동을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12], 이 점포에는 "오사카 키츠네 우동"의 석비가 세워져 있다. 후루카와 롯파는 에세이 "우동의 괴물"에서 키츠네 우동을 "유부가 들어간 녀석. 물론 간사이에서 온 것"이라고 언급했다[5]。한편, 에도(江戸)에서 유부를 고명으로 한 소바가 있었고, 문헌에 따르면 오사카보다 에도 쪽이 더 오래되었다는 설도 있다[6][7]。
『의식주어원사전(衣食住語源辞典)』(도쿄도 출판, 1996년)에서는 키츠네 우동이 먼저 생겨나고, 그 후에 키츠네 소바가 탄생한 것으로 해설하고 있다[8]。
2. 2. 에도 시대의 유부 요리
에도 시대 오사카에서 기쓰네 우동이 만들어졌다는 설[2]과 메이지 10년대에 오사카에서 탄생했다는 설[3][9] 등, 오사카에서 고안되었다는 설이 많다. 1893년(메이지 26년) 오사카시 센바의 우동집 "마츠바야"가 유부(油揚げ)를 올린 우동을 처음 만들었으며[4][12], 이 가게에는 "오사카 키츠네 우동" 석비가 세워져 있다. 후루카와 롯파는 에세이 "우동의 괴물"에서 기쓰네 우동을 "유부가 들어간 녀석. 물론 간사이에서 온 것"이라고 언급했다.[5]한편, 에도에서는 유부를 고명으로 한 소바가 있었고, 문헌에 따르면 오사카보다 에도 쪽이 더 오래되었다는 설도 있다.[6][7]
『의식주어원사전(衣食住語源辞典)』(도쿄도 출판, 1996년)에서는 기쓰네 우동이 먼저 생겨나고, 그 후에 기쓰네 소바가 탄생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8]
3. 명칭의 유래
명칭은 유부가 여우가 좋아하는 음식이라고 여겨지는 데에서 유래했으며, 유부초밥 명칭의 유래와 같다[8]。일설에는 유부의 색깔(황갈색)・모양이 여우가 웅크린 모습과 닮았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3. 1. 여우와 유부
명칭은 유부초밥과 마찬가지로 유부가 여우가 좋아하는 음식이라고 여겨지는 데에서 유래했다[8]。일설에는 유부의 색깔(황갈색)・모양이 여우가 웅크린 모습과 닮았기 때문이라고도 한다.3. 2. 별칭
「키츠네 우동」 또는 「키츠네」라고도 불린다.[12]「시노다」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信太[9]」, 「信田[12]」, 「志乃田[12]」라고도 표기된다. 이는 구즈노하를 참조, 신타의 숲 전설에서 유래한다.[9][12]
이 외에도 「하이카라」라고 불리기도 한다.[12] 다만, 「타누키 우동」을 「하이카라」로 판매하는 가게도 있다.[10]
4. 지역별 특징
기쓰네 우동은 지역에 따라 명칭과 특징이 다르다.[14] 『의식주어원사전(衣食住語源辞典)』에서는 기쓰네 우동이 먼저 생겨나고, 그 후에 기쓰네 소바가 탄생한 것으로 해설하고 있다.[8] 우동 면을 메밀 면으로 바꾼 것을 「기쓰네 소바」라고 하는데, 지방에 따라서는 「기쓰네 소바」를 「다누키」라고 부르기도 한다.[11][12][13]
4. 1. 간사이 지방 (오사카, 교토)
1893년(메이지 26년) 오사카시 센바의 우동집 "마츠바야"에서 기쓰네 우동을 처음 고안했다는 설[4][12]과 에도 시대에 오사카에서 만들어졌다는 설[2] 등 오사카에서 기원했다는 설이 많다. 후루카와 롯파는 에세이에서 기쓰네 우동을 "유부가 들어간 녀석. 물론 간사이에서 온 것"이라고 언급했다.[5]교토 방언으로는 '''케츠네'''라고도 발음하며[15][16], 신다 숲의 쿠즈노하 키츠네에서 유래하여 "시노다"라고 불리기도 한다.[17] 교토의 기쓰네 우동에는 "맛을 낸 삼각형 유부"와 "맛을 내지 않은 잘게 썬 유부"가 있으며, 전자는 "아마기츠네", 후자는 "키자미키츠네" 또는 단순히 "기쓰네"라고도 불린다.[18][19]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킨키 지방에서는 간장과 설탕으로 달콤 짭짤하게 조린 얇게 썬 유부를 올린 우동을 "기쓰네", 소바를 "타누키"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쓰네소바"나 "타누키우동"이라는 메뉴는 통상 존재하지 않는다. 킨키 지방에서는 일부 교토와 같이, 같은 명칭이라도 나오는 것이 다른 경우가 있다. '''케츠네'''등으로 억양하여 발음하는 사람도 있지만[22], 이것은 친애를 담은 호칭이며[23], 가벼운 농담과 같은 느낌으로 일부러 그렇게 불러서 주문하는 경우라고 한다.[24] 오사카에서도 "시노다"라고 호칭되는 경우가 있다.[8]
관서 이외 | 관서 | |
---|---|---|
키쓰네 | 유부를 올린 소바 또는 우동 (키쓰네우동, 키쓰네소바) | 유부를 올린 우동 (케쓰네, 시노다) |
타누키 | 튀김 부스러기를 올린 소바 또는 우동 (타누키우동, 타누키소바) | |
하이카라 | - | 튀김 부스러기를 올린 우동 (하이카라우동) |
4. 2. 간토 지방 (도쿄)
1806년의 책 "선두심화"에는 파와 유부로 장식한 소바가 기술되어 있다.[7] 야나키 소바의 재료로도 나오며, "남만"에도 유부를 넣는 가게가 많다. 에도 풍속 연구가 스기우라 히나코는 에도·도쿄에서는 단품으로 먹는 경우가 많다고 해설하고 있다. 컵라면 "돈베이"의 동일본용은 서일본용보다 촉촉한 유부이며 맛도 진하다(도쿄의 유부는 참기름을 사용해, 색깔 좋게 튀기는 것이 주류).5. 즉석 면
컵라면으로는 닛신 식품의 "'''돈베이 키츠네 우동'''"이 전국적으로 발매된 후에, 토요스이산이 "'''아카이 키츠네 우동'''", "곤노 키츠네 소바"를 전국에 발매하고 있다. 에이스콕의 "'''덴푸라 키츠네 소바'''"는 소바 위에 튀김과 조린 유부가 얹어져 있다.
또한, 토쿠시마 제분의 "'''킨짱 키츠네 우동'''"도 유명하다.
참조
[1]
서적
日本国語大辞典第2版、きつねうどん・きつねそば、の項
[2]
서적
『そば・うどん技術教本 うどんの技術』
[3]
서적
『図説 大阪府の歴史』
[4]
서적
『きつねうどん口伝』
[5]
웹사이트
うどんのお化け
https://www.aozora.g[...]
2022-02-19
[6]
웹사이트
東京都麺類協同組合・東京都麺類生活衛生同業組合
http://www2.menkyo.o[...]
[7]
서적
'菱屋の蕎麦は、葱に油揚げ等をあしらいたるものを…'
1806
[8]
서적
『衣食住語源辞典』
東京堂出版
1996
[9]
서적
『大阪学』
新潮文庫
1994
[10]
서적
『大阪学』
新潮文庫
1994
[11]
서적
『丸善食品総合辞典』
丸善
1998
[12]
서적
『たべもの起源事典』
東京堂出版
2003
[13]
웹사이트
'"きつねうどん」と「たぬきそば」の謎'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たぬきときつね
https://web.archive.[...]
[15]
사전
大辞林
三省堂
[16]
웹사이트
我流京都探訪
[17]
서적
大阪方言事典
杉本書店
1955
[18]
웹사이트
京都のうどんの謎 たぬきは化ける!?
https://souda-kyoto.[...]
[19]
뉴스
京都の「きつねうどん」の油揚げが細く刻まれている深い理由
https://www.mag2.com[...]
2017-09-08
[20]
서적
『丸善食品総合辞典』
丸善
1998
[21]
서적
『たべもの起源事典』
東京堂出版
2003
[22]
사전
けつね
三省堂
[23]
서적
『大阪学』
新潮文庫
1994
[24]
문서
四日市市四郷地区ふるさと方言録
[25]
뉴스
‘소 내장’이 ‘짤라’가 아니었다면…
http://www.munhwa.co[...]
2020-07-16
[26]
뉴스
"[최유경의 알쏭달쏭 일본어 ⑮] 미야자키 하야오 영화와 신화의 세계"
https://www.newswatc[...]
2021-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