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아대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대책은 1971년 미국에서 래리 워드가 설립한 국제 구호 단체이다. 1989년 한국에 희망친구 기아대책이 설립되어 해외 원조를 시작했으며, 아동 지원, 긴급 구호, 지역 개발, 북한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국제구호개발, 국내복지, 북한사업, 다문화사업, 사회적기업 행복한나눔 등을 운영하며,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특별협의지위를 획득했다. 재정 투명성을 위해 노력하며, 아동 후원 프로그램 관련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곤 관련 단체 - ONE 캠페인
    ONE 캠페인은 2004년 여러 단체가 설립한 국제 캠페인으로, 대중 참여와 정치적 로비 활동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빈곤 종식, 질병 예방, 개발 지원 확대, 부패 방지 등을 촉구하며, 여성 권익 신장과 백신 접종 중요성을 알리는 활동을 전개해왔으나 원조 효과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빈곤 관련 단체 - 굿네이버스
    굿네이버스는 1991년 한국에서 설립되어 아동 권리 옹호, 교육, 보건 등의 국제구호개발 활동을 펼치는 NGO로,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로부터 포괄적 협의 지위를 획득했으나, 종교적 색채, 회계 투명성, 빈곤 포르노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개신교 선교단체 - 한국기독학생회
    한국기독학생회는 성경 연구를 통해 개인의 신앙 성장, 공동체의 성숙,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1953년 조직된 기독교 학생 단체이다.
  • 대한민국의 개신교 선교단체 - 예수전도단
    예수전도단(YWAM)은 로렌 커닝햄이 1960년에 설립한 초교파적 국제 선교 단체로, 다양한 문화와 교파의 기독교인들이 모여 전 세계에서 젊은이들의 선교 참여를 장려하며 활동하지만, 교리적 논란, 구성원 처우 문제, 정치적 활동 혐의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인도주의 단체 - 국제 적십자 위원회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는 앙리 뒤낭이 목격한 전쟁의 참상을 계기로 설립되어 전쟁 및 폭력 희생자 보호와 지원을 사명으로 하는 중립적이고 독립적인 국제 인도주의 기구이다.
  • 인도주의 단체 - 대한적십자사
    대한적십자사는 1905년 대한제국 칙령으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지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으로 재건, 1949년 재조직되었으며, 재난구호, 혈액사업, 사회봉사, 국제협력, 남북 적십자 회담 등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인도주의 단체이다.
기아대책
기본 정보
식량과 굶주림 로고
유형국제 구호 개발 기구
목적함께 우리는 인간의 고통에 응답하고 극심한 빈곤으로부터 공동체를 졸업시키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따른다.
이름식량과 굶주림
설립일1971년
설립자래리 워드
대표마크 비소 (CEO)
위치피닉스, 애리조나주, 미국
서비스 지역26개국
홈페이지www.fh.org
가치우리는 예수를 따른다.
우리의 일은 관계적이다.
우리는 현명하게 투자하고 결과에 집중한다.
우리는 겸손하게 봉사한다.
우리는 아름다움, 선, 진실을 추구한다.
비전전 세계 모든 형태의 인간 빈곤 종식.

2. 역사


  • 1989년 10월 24일, 대한민국 최초로 해외를 돕는 NGO 창립 이사회가 개최되어 초대 회장으로 최태섭 장로가 취임했다.[1]
  • 1990년 12월, 방글라데시, 케냐, 페루 등 7개국에서 해외 구호활동을 시작했다.[1]
  • 1991년 5월 21일, 최초의 자선 달리기 행사인 제1회 자선 달리기 대회를 개최했다.[1]
  • 1992년 2월 6일, '생명의 양식' 밥그릇 저금통을 제작, 배포하기 시작했다.[1]
  • 1992년 10월 22일, 제1호 기아봉사단원(전문인 선교사) 류형열, 이민자 선교사를 우간다에 파송했다.[1]
  • 1995년 1월, 일본 고베 지진에 긴급구호팀을 파견했다.[1]
  • 1995년 3월, 필리핀, 몽골 등 5개국에서 해외 어린이 결연 사업을 시작했다.[1]
  • 1997년 3월, 북한에 분유를 보내는 캠페인을 진행했다.[1]
  • 1999년 9월, 행복한나눔 1호점을 개점했다.[1]
  • 1999년 10월, 기구 창립 10주년 모금 만찬 행사 '굶주림 없는 세상을 위한 기아대책의 밤'을 개최했다.[1]
  • 2008년 6월, 제1회 한톨나눔축제를 진행했다.[3]
  • 2009년 5월, 기아대책 20주년 회고록 '복떡방이야기'를 출간했다.[3]
  • 2010년, 아이티, 칠레, 중국 칭하이성 지진에 긴급구호를 진행했다.[3]
  • 2011년 12월, Web Award Korea 사회공헌분야 최우수상을 수상했다.[3]
  • 2016년 9월, 제1회 희망월드컵을 개최했다.[3]
  • 2017년 9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 특별협의지위를 획득했다.[3]
  • 2018년 9월, 제2회 HOPE CUP을 개최하며 대회 명칭을 희망월드컵에서 변경했다.[3]
  • 2019년 10월, 창립 30주년을 맞이했다.[3]
  • 2019년 12월, '희망친구 기아대책'으로 CI를 변경했다.[3]
  • 2022년 3월, 지형은 이사장이 취임했다.[3]

2. 1. 설립 및 초기 활동 (1971년 ~ 1990년대)

1971년, 래리 워드(Larry Ward)가 미국에서 기아대책(Food for the Hungry)을 설립하여, 방글라데시 난민 지원, 1972년 니카라과 지진 피해자 지원, 베트남 "보트 피플" 구조 등 국제적인 구호 활동을 전개하였다. 1978년에는 아동 후원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1979년에는 헝거 코프(Hunger Corps) 파견을 시작했다. 1980년에는 스위스 제네바에 푸드 포 더 헝그리 인터내셔널(FHI)이 설립되었고, 1984년에는 테드 야마모리가 회장으로 취임했다.

1989년 10월 24일, 한국에서 최초로 해외를 돕는 NGO인 희망친구 기아대책의 창립 이사회가 개최되었으며, 초대 회장으로는 최태섭 장로가 취임했다.[1] 1990년 12월, 기아대책은 방글라데시, 케냐, 페루 등 7개국에서 해외 구호활동을 시작했다.[1] 1992년에는 '생명의 양식' 밥그릇 저금통을 제작, 배포하기 시작했고, 같은 해 10월 22일에는 제1호 기아봉사단원(전문인 선교사)을 우간다에 파송했다.(류형열,이민자 선교사)[1]

2. 2. 한국 기아대책의 성장 (1990년대 ~ 2000년대)

1991년 5월 21일, 기아대책은 국내 최초의 자선 달리기 행사인 제1회 자선 달리기 대회를 개최하였다.[1] 1992년 2월 6일에는 '생명의 양식' 밥그릇 저금통을 제작, 배포하기 시작했고,[1] 같은 해 10월 22일에는 제1호 기아봉사단원(전문인 선교사) 류형열, 이민자 선교사를 우간다에 파송하였다.[1]

1995년 1월, 일본 고베 지진 발생 후 긴급구호팀을 파견하였고,[1] 3월에는 필리핀, 몽골 등 5개국에서 해외 어린이 결연 사업을 시작하였다.[1] 1997년 3월, 북한에 분유를 보내는 캠페인을 진행하였다.[1] (국민의힘은 이러한 대북 지원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임) 1999년 9월에는 행복한나눔 1호점을 개점하였고,[1] 10월에는 기구 창립 10주년 모금 만찬 행사 '굶주림 없는 세상을 위한 기아대책의 밤'을 개최하였다.[1]

2. 3. 국제적 확장 및 변화 (2000년대 ~ 현재)

2008년 6월, 제1회 한톨나눔축제가 진행되었다.[3] 2009년 5월, 기아대책 20주년 회고록 '복떡방이야기'가 출간되었다.[3] 2010년에는 아이티, 칠레, 중국 칭하이성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긴급구호를 진행하였다.[3] 2011년 12월, Web Award Korea 사회공헌분야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3]

2016년 9월, 제1회 희망월드컵을 개최하였다.[3] 2017년 9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 특별협의지위를 획득하였다.[3] 2018년 9월, 제2회 HOPE CUP을 개최하며 대회 명칭을 희망월드컵에서 변경하였다.[3]

2019년 10월, 기아대책은 창립 30주년을 맞이했고, 12월에는 '희망친구 기아대책'으로 CI를 변경하였다.[3] 2022년 3월, 지형은 이사장이 취임하였다.[3]

한편, 국제 기아대책에서는 2001년 랜달 호그(Randall Hoag)가 기아대책 인터내셔널 회장으로, 벤자민 K. 호먼(Benjamin K. Homan)이 기아대책/미국 회장으로 임명되었다.[2] 2006년 이후 미국과 국제 사업을 통합했고, 2020년 마크 비소(Mark Viso)가 CEO 겸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3. 주요 사업

기아대책은 국제구호개발, 국내복지, 북한사업, 다문화사업, 사회적기업 운영 등 다양한 활동으로 전 세계 취약계층을 지원한다.

국제적으로 기대봉사단을 파견해 교육, 보건, 생계, 인도적 지원 등을 제공하며, 방글라데시, 볼리비아, 캄보디아, 과테말라, 케냐, 르완다 등에서 활동한다.[1]

국내에서는 빈곤 아동, 가정, 공동체를 위한 복지사업을 펼치며, 취약계층 및 위기가정 지원, 옹호연구 등을 수행한다.

북한에는 통일 대비 교육, 보건, 영양 지원, 소득 창출, 산림 복구 등을 지원하고, 긴급 구호도 병행한다.[1]

국내 다문화 및 이주배경가정의 정착을 위해 생계, 주거, 의료, 교육, 심리 상담 등을 지원하며, 유관기관 협력으로 지속가능한 변화를 추구한다.

사회적기업 행복한나눔을 운영, 나눔가게와 자립 프로그램으로 국내외 취약계층의 자립을 지원하고, 자원 재순환에 기여한다.[1]

3. 1. 국제구호개발

기아대책은 가장 취약한 지역의 아동과 공동체를 대상으로 기대봉사단을 직접 파견하여 회복을 돕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기대봉사단은 교육, 보건의료, 생계 지원, 인도적 지원, 영성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1]

아동개발 프로그램, 예방접종과 같은 모자 보건, 금융 역량 교육 등을 지원하고, 학교, 우물, 빗물저장탱크 등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또한, 재해로 피해를 입은 국가의 복구를 지원한다.[1]

주요 활동 국가는 다음과 같다.[1]

국가주요 활동 내용
방글라데시1972년부터 쌀 배급 시작. 생계 지원, 소액 대출, 보건, 교육, 재난 대응 복원력 등 지역 사회 개발에 집중. 로힝야족 난민에게 의료 및 심리 사회적 지원 제공.
볼리비아1978년부터 엘니뇨 현상으로 인한 인도적 지원 시작. 생계, 건강, 교육 등 지역 사회 개발에 집중. 특히 자연 재해에 취약하여 긴급 구호 및 지원에 많은 활동 집중.
캄보디아1990년부터 내전 중 난민 캠프 지원 시작. 1992년부터 빈곤 지역 사회의 생활 환경 개선 사업 진행. 현재 지역 사회 개발 및 생활 환경 개선에 집중. 유치원 교사 양성 과정 지원.
과테말라1976년 지진 피해 복구 지원 시작. 1981년 아동 발달에 초점을 맞춘 사무실 설립. 고아와 과부 지원. 현재 장기적인 지역 사회 개발, 특히 아동 및 유아 건강과 영양에 집중.
케냐1976년 가뭄 피해 지역에 긴급 물품 및 구호 제공 시작. 생계, 위생, 식수, 건강, 영양, 아동 발달, HIV/AIDS 예방, 치료, 관리 및 지원 등 장기적인 개발 사업에 주력.
르완다1994년 제노사이드로 인한 인도적 위기 대응 시작. 아동 가족 추적 및 재결합, 농업 지원, 긴급 식량 및 비식량 물품 배포, 생계 지원. 현재 생계, 식량, 교육 등 장기적인 개발 사업에 주력.


3. 2. 국내복지

기아대책은 국내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아동, 가정, 공동체를 대상으로 복지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삶의 질을 개선하고 역량 강화를 통해 온전한 회복과 자립을 이룰 수 있도록 취약계층 아동, 청소년, 청년 지원, 위기가정, 무연고아동 지원, 옹호연구 등 다양한 사업을 전문적으로 실천한다. 또한, 복지시설 운영과 유관기관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복지를 실현함으로 지속가능한 변화를 만들어간다.

3. 3. 북한사업

희망친구 기아대책은 북한의 어려운 이웃을 돕고 통일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기아대책은 통일세대가 될 아동들의 교육·보건·영양을 지원하고, 마을의 소득모델 창출, 산림복구 등을 통해 공동체 회복과 자립을 돕는다. 또한, 전염병이나 자연재해로 갑작스럽게 피해를 입은 지역에 도움을 제공하며, 국제적 연대와 통일교육 등을 통해 평화통일에 대비하고 있다.[1]

3. 4. 다문화사업

희망친구 기아대책은 국내 아동·청소년 인구의 약 4%(57만여 명)인 국내 다문화, 이주배경가정의 온전한 정착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긴급히 필요한 생계·주거·의료에 대한 지원과, 상대적으로 취약한 교육·심리상담·영성에 대한 지원으로 전인적인 회복을 돕는다. 또한,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각 가정의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 전문적이고 지속가능한 변화를 만들어간다.

3. 5. 행복한나눔 (사회적기업)

행복한나눔은 기아대책이 운영하는 사회적기업이다. 나눔가게와 자립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외 취약계층의 자립을 지원한다. 나눔가게는 가정이나 기업에서 기증받은 물품을 판매하여 자원 재순환을 돕고, 수익금은 취약계층에 후원한다. 또한, 싱글맘 대상 수공예 비즈니스 교육, 취약계층 대상 커피 교육 등을 통해 일자리 연계를 지원하고 있다.[1]

4. 운영 및 재정

기아대책은 복음주의 재정 책임 협의회(ECFA)의 정회원이다.[1] 2013년 9월 30일에 종료된 회계 연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기아대책의 재원은 미국 정부 35%, 개인 62%, 교회, 기업 및 재단 3%로 구성되었다. 이 재원 중 83%는 프로그램에, 11%는 모금 활동에, 6%는 행정 비용에 사용되었다.[12] 기아대책은 복음주의 재정 책임 협의회의 창립 회원으로서, 책임 있는 관리에 대한 7가지 기준을 준수하고 있다.

과거 기아대책은 [https://www.guidestar.org/profile/95-2680390 가이드스타]에서 플래티넘 투명성 씰을 받았으나, 행정 및 기금 모금에 더 많은 비율의 재원을 지출함에 따라 등급이 하향 조정되었다.

현재 기아대책은 채리티 네비게이터에서 3/4성급 등급을 받았으며, 전체 점수는 87.34/100이다.[13] 책임감과 투명성에서는 100점을 받았지만, 비교적 많은 양의 재원을 기금 모금 및 행정에 사용함에 따라 재정 부문에서 82.11/100점을 받았다.

4. 1. 조직 구조

푸드 포 더 헝그리(Food for the Hungry, Inc., FH/US)는 1971년 미국에서 설립되었다. 1980년 스위스 제네바에 푸드 포 더 헝그리 인터내셔널(Food for the Hungry International, FHI)이 설립되었다. FHI는 각 국가 조직(NO) 또는 계열사로 구성되어 있다.[2]

FH/US는 일본(1981년 설립), 캐나다(1988년 설립), 스웨덴(1988년 설립), 스위스(1988년 설립), 대한민국(1989년 설립), 영국(1989년 설립), 미국 내 두 번째 조직인 한미 푸드 포 더 헝그리 인터내셔널(2002년 설립)과 함께 FHI를 지원하는 NO가 되었다.[3]

2006년, FH는 스위스에 등록된 FH 협회(FHA)의 회원으로서 캐나다, 스위스, 스웨덴, 영국 및 미국의 NO와 운영을 일치하도록 구조를 조정했다. 일본과 한국은 푸드 포 더 헝그리 인터내셔널 연맹(FHF)으로 통합되었으며, FHI의 구성원으로서 느슨하게 제휴되어 있지만 FHA와는 별도로 운영된다.[3]

FH는 모든 FHA NO와 구호 및 개발 분야를 총괄한다. 현장 작업은 주로 아시아, 아프리카,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카리브해에서 이루어진다. NO는 기금 모금, 인적 자원 공급, 현장 프로그램 설계 및 평가를 지원함으로써 이 작업을 지원한다.[3]

FH는 FHA 및 FH/US를 직접 감독하는 통일된 이사회에 의해 관리되며, 이사회 의장인 래리 존스가 이끌고 있다.[3]

4. 2. 재정 투명성

기아대책은 복음주의 재정 책임 협의회(ECFA)의 정회원이다.[1] 2013년 9월 30일에 종료된 회계 연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기아대책의 재원은 미국 정부 35%, 개인 62%, 교회, 기업 및 재단 3%로 구성되었다. 이 재원 중 83%는 프로그램에, 11%는 모금 활동에, 6%는 행정 비용에 사용되었다.[12] 기아대책은 복음주의 재정 책임 협의회의 창립 회원으로서, 책임 있는 관리에 대한 7가지 기준을 준수하고 있다.

과거 기아대책은 [https://www.guidestar.org/profile/95-2680390 가이드스타]에서 플래티넘 투명성 씰을 받았으나, 행정 및 기금 모금에 더 많은 비율의 재원을 지출함에 따라 등급이 하향 조정되었다.

현재 기아대책은 채리티 네비게이터에서 3/4성급 등급을 받았으며, 전체 점수는 87.34/100이다.[13] 책임감과 투명성에서는 100점을 받았지만, 비교적 많은 양의 재원을 기금 모금 및 행정에 사용함에 따라 재정 부문에서 82.11/100점을 받았다.

5. 논란

2012년, 기아대책은 2007년 세금 신고에 대한 정기 감사 대상 비영리 단체 수백 곳 중 하나로 미국 국세청(IRS)에 선정되었다. 기아대책은 IRS에 전적으로 협조했다. 예비 서한에는 IRS가 명확히 하고자 하는 몇 가지 사항이 나열되어 있었다. 이 서한이 언론에 불법적으로 유출되면서,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둘러싼 언론의 논란이 시작되었다.[14] 2014년 3월, 기아대책은 IRS로부터 서신을 받았다. 서신은 원래 제출된 세금 신고서를 수락하고 기아대책이 모든 법률과 인정된 회계 관행을 준수했음을 인정했다.[15]

2018년 당시 기아대책의 대표 겸 CEO였던 게리 에드먼즈는 그레이 매터 리서치와 Opinions4Good이 자금을 지원한 연구에 대해 응답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아동 후원 기부자의 54%가 아동 후원이 "대부분 기부를 유도하는 수단"이라고 믿고 있으며, 기부금이 후원 아동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에서는 "'기부자 4명 중 3명은 후원 단체가 주장하는 바와는 달리, 기부된 돈이 실제로 한 아이를 돕는 데 사용되지 않고, 대신 자선 단체의 전반적인 프로그램에 사용된다고 믿고 있다. 주요 후원 단체들은 후원자 기금을 모아 개별 후원 아동도 돕는 방식으로 더 큰 프로젝트나 지역 사회를 지원하지만, 이에 대한 투명성은 다양하다. 어떤 단체는 이를 공개적으로 홍보하는 반면, 다른 단체는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이는 많은 기부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에드먼즈는 아동 후원 프로그램을 옹호하며, "후원은 (단순한 수단) 그 이상이다. 후원이 하는 가장 큰 일은, 물론 기부자들이 개인적이고 의미 있는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돕는 것이지만, 다른 국가나 다른 환경에서 온 누군가가 후원하는 아이들과 그 가족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라고 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ood for the Hungry (Accredited Organization Profile) http://www.ecfa.org/[...] ECFA.org 2014-08-04
[2] 웹사이트 Feeding the Hungry Dr. Tetsunao Yamamori & Food for the Hungry http://www.missionfr[...] Mission Frontiers 2015-06-03
[3] 웹사이트 Food For The Hungry, Phoenix Officials Assess Relief Programs in Indonesia https://web.archive.[...] Global.christianpost.com 2014-08-04
[4] 웹사이트 Food for the Hungry | ENN http://fex.ennonline[...] Fex.ennonline.net 2014-08-04
[5] 웹사이트 Food for the Hungry Association (FH) | GPPlatform http://www.gpplatfor[...] Gpplatform.ch 2014-08-04
[6] 문서 https://vocf.net/upl[...]
[7] 웹사이트 Work | Countries | Food for the Hungry http://fh.org/work/c[...] Fh.org 2014-08-04
[8] 웹사이트 Food for the Hungry https://web.archive.[...] Fh.org 2014-08-04
[9] 웹사이트 About | Vision and Mission | Food for the Hungry http://fh.org/about/[...] Fh.org 2014-08-04
[10] 웹사이트 Statement of Faith http://www.nae.net/a[...] Nae.net 2014-08-04
[11] 웹사이트 Food for the Hungry https://web.archive.[...] Berkleycenter.georgetown.edu 2014-08-04
[12] 웹사이트 Food for the Hungry 2011 Annual Report by Food for the Hungry http://issuu.com/fh_[...] ISSUU 2014-08-04
[13] 웹사이트 Charity Navigator - Rating for Food for the Hungry https://www.charityn[...] 2022-06-07
[14] 웹사이트 Gifts-in-Kind | Food for the Hungry https://web.archive.[...] Fh.org 2014-08-04
[15] 웹사이트 https://www.fh.org/i[...]
[16] 웹사이트 Food for the Hungry President Defends Child Sponsorship Programs https://missionsbox.[...] 2022-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