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원전 제2천년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원전 제2천년기는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문명 등 주요 문명이 흥망성쇠를 겪으며 청동기 시대를 거친 시기이다. 이집트 중왕국과 바빌로니아는 번영을 누렸지만, 기원전 2천년기 후반에는 새로운 야만족의 침입과 해양 민족의 이동으로 격변을 겪었다. 유럽에서는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었고, 미노아 문명과 미케네 문명이 발전했다. 동아시아에서는 하, 상, 주나라가 차례로 등장하며 중국 문명이 발전했고, 한반도에서는 민무늬 토기 문화가 나타났다. 이 시기에는 갑골문, 페니키아 문자 등 발명과 발견이 이루어졌고, 함무라비, 아케나톤, 람세스 2세 등 주요 인물이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제2천년기 - 기원전 13세기
    기원전 13세기는 동아시아의 상나라 천도, 이집트의 왕조 교체, 중동의 제국 번영과 전투, 유럽의 에게 문명 발전, 그리고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의 시작과 같은 정치적, 문화적 격변이 일어난 시기이다.
  • 기원전 제2천년기 - 한국의 청동기 시대
    한국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0세기경부터 기원전 3세기경까지 한반도에서 지속된 시대로,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존재했으며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민무늬 토기 등의 유물과 고인돌 등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농경 발달과 사회적 잉여 발생으로 초기 신분제 사회가 형성되어 고대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 천년기 - 제2천년기
    제2천년기는 1001년부터 2000년까지 중세, 근세, 근현대를 아우르는 시대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술 등 전 분야에서 격변과 발전이 일어난 시기이다.
  • 천년기 - 기원전 제3천년기
    기원전 3천년기는 청동기 시대 전성기로,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제국 건설, 동아시아, 유럽, 인도 문명 발전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변화가 두드러진 시대이다.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기원전 제2천년기
지도 정보
연대
기간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001년
이전 천년기기원전 3천년기
다음 천년기기원전 1천년기
주요 사건
메소포타미아바빌로니아 제국 성립
함무라비 법전 편찬
이집트중왕국 시대
제2중간기 시대
아나톨리아히타이트 제국 성립
인도인더스 문명 쇠퇴
중국상나라 건국
유럽미케네 문명 번성
기타청동기 시대
길들여짐
문화
종교고대 이집트 종교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
고대 그리스 종교
문학길가메시 서사시
리그베다
과학 기술
발명알파벳
철기 사용 시작
수학바빌로니아 수학 발전
천문학천체 관측 및 달력 제작
참고 자료
웹사이트HistoryWorld.net

2. 주요 문명 및 국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는 기원전 2천년기 초의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회복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쏟으며, 더욱 겸손한 목표에 주의를 돌렸다. 파라오들이 다스린 이집트 중왕국과 그 당시 바빌로니아 왕들(아모리트(Amorite)계)은 국민들 사이에서 널리 인정받는 통치를 펼쳤으며, 우아한 예술과 건축을 장려하였다. 동쪽으로 더 멀리 떨어진 인더스 문명은 심각한 파괴적인 홍수로 인해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군사 전술은 여전히 당나귀를 이용해 장비를 운반하는 보병에 기반을 두었다. 취약한 경제와 질서 유지의 어려움과 결합되어, 이는 외부 세력의 압력에 견딜 수 없는 불안정한 상황이었다. 기원전 제2천년기 후반 대부분의 기간 동안 여러 지역 강대국들이 패권을 두고 끊임없이 경쟁했지만,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웅장한 건축물에 대한 새로운 강조, 새로운 의복 유행, 점토판에 담긴 활발한 외교 서신, 활발해진 경제 교류 등이 나타났으며, 이집트 신왕국이 주요 강대국으로서 역할을 했다. 당시 강대국들 중 바빌론만이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는데, 이는 주로 세계 종교 및 지적 중심지로서의 새로운 위치 때문이었다. 사람들은 새로운 전술에 빠르게 적응했고, 이러한 변화로 새로운 국제 정세가 형성되었다.

청동기 시대 문명은 마지막 시기에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사회적 특성을 보였다. 도시화 수준이 낮고, 사원이나 왕궁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 도시들이 존재했으며, 문맹적인 농민과 장인 계층과 강력한 군사 엘리트 계층 간의 계급 차이가 엄격하게 구분되었다. 서기술과 교육은 소수의 서기관들에게만 허용되었고, 귀족적인 삶이 두드러졌다.

기원전 2천년기 말엽, 이번에는 말을 탄 새로운 야만인들의 물결이 청동기 시대 세계를 완전히 파괴했고, 이는 이후 다른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사회적 변화의 물결을 가져왔다. 지중해의 해상 약탈자였던 해양 민족들도 이러한 변화에 기여했다.

기원전 2천년기 후반의 고대 근동 제국들

;유럽

유럽에서의 벨비커 문화의 대략적인 분포


유럽은 여전히 선사 시대에 완전히 속해 있으며, 유럽의 많은 지역이 제2천년기 초에 청동기 시대에 진입합니다.
대개 청동기 시대에 속하는 메니르의 여성상

  • 비커 문화
  • 테라마레 문화
  • 툼물루스 문화
  • 우네티체 문화
  • 우른필드 문화


;중앙아시아

  • 안드로노보 문화
  • 옥서스 문명


;동아시아

중국에서의 얼리터 문화의 대략적인 분포

  • 얼리터 문화
  • 우청 문화


;남아시아

  • 아하르-바나스 문화
  • 묘지 H 문화
  • 인더스 문명
  • 조르웨 문화
  • 말와 문화
  • 적색 토기 문화


;아메리카

  • 올멕 문명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의 건조화가 완료됩니다. 사하라 사막의 건조화를 통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신석기 시대가 시작되어 서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에 이릅니다. 제2천년기 후반에는 철기술과 유목이 반투족의 이동을 통해 중앙아프리카로 확산됩니다.

  • 케르마 문화
  • 사바나 유목 신석기 시대
  • 녹 문화
  • 중앙아메리카 지역, 전고전기(기원전 2000년경 ~ 기원후 300년)
  • 고대 이집트, 중왕국 시대(기원전 21세기경 ~ 기원전 18세기경)
  • 바빌로니아, 제1왕조의 융성, 함무라비 법전.
  • 유대인, 이집트에서 노예로 생활.
  • 중국
  • * 하 왕조(기원전 21세기 ~ 17세기)
  • * 상(은) 왕조(기원전 17세기 ~ 기원전 1046년)
  • 일본, 죠몬 시대 후기~말기. 대규모 패총, 해산물·소금의 대규모 교역. 스톤 서클, 우드 서클이 만들어짐. 기온 저하가 계속되고 인구는 감소 추세.

2. 1. 근동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는 기원전 2천년기 초의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회복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쏟으며, 더욱 겸손한 목표에 주의를 돌렸다. 파라오들이 다스린 이집트 중왕국과 그 당시 바빌로니아 왕들(아모리트(Amorite)계)은 국민들 사이에서 널리 인정받는 통치를 펼쳤으며, 우아한 예술과 건축을 장려하였다.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군사 전술은 여전히 당나귀를 이용해 장비를 운반하는 보병에 기반을 두었다. 취약한 경제와 질서 유지의 어려움과 결합되어, 이는 외부 세력의 압력에 견딜 수 없는 불안정한 상황이었다.

기원전 2천년기 중반 약 1세기 전, 중앙아시아(Central Asia) 평원에서 온 프로토-인도유럽인영어 무리가 서아시아(Western Asia)와 북동아프리카(Northeast Africa)를 휩쓸었다. 그들은 말(horse)이 끄는 빠른 속도의 두 바퀴 전차(chariot)를 타고 있었는데, 이 무기 체계는 이전 평원 전쟁에서 개발된 것이었다. 이 전쟁 도구는 고대 문명에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보병들은 침입자들을 방어할 수 없었다. 기원전 1630년(1630 BC), 힉소스가 나일 삼각주로 쳐들어왔고, 기원전 1595년(1595 BC)에는 히타이트메소포타미아로 쳐들어왔다.[2]

기원전 20세기 - 히타이트인이 아나톨리아에 침입하다.

기원전 18세기 - 바빌로니아 제2왕조,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장악하다.

이집트, 시리아를 세력권으로 삼다(기원전 1600년 ~ 1360년)

2. 1. 1. 이집트

이집트 중왕국과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걸쳐 번영을 누렸다. 기원전 1630년경, 힉소스가 나일 삼각주로 쳐들어와 지배하기도 했다.[2] 람세스 2세 시대에는 히타이트카데시 전투를 벌였다. 이집트는 시리아를 세력권으로 삼기도 했다(기원전 1600년 ~ 1360년).

2. 1. 2. 메소포타미아

기원전 18세기 - 바빌로니아 제2왕조,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장악하다.

기원전 2천년기 중반 약 1세기 전, 중앙아시아 평원에서 온 프로토-인도유럽인영어 무리가 서아시아와 북동아프리카를 휩쓸었다. 그들은 말이 끄는 빠른 속도의 두 바퀴 전차를 타고 있었는데, 이 무기 체계는 이전 평원 전쟁에서 개발된 것이었다. 이 전쟁 도구는 고대 문명에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보병들은 침입자들을 방어할 수 없었다. 기원전 1595년에는 히타이트가 메소포타미아로 쳐들어왔다.[2]

2. 1. 3. 히타이트

히타이트아나톨리아(현재의 튀르키예) 지역에서 성장한 인도유럽어족 계통의 국가이다. 히타이트는 철제 무기를 사용하여 군사적 우위를 확보했다.[2] 기원전 20세기에 히타이트인이 아나톨리아에 침입하였다. 히타이트는 이집트 신왕국과 기원전 1285년에 카데시 전투를 벌였고, 이후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2. 2. 유럽

에게 문명

  • 비커 문화
  • 테라마레 문화
  • 툼물루스 문화
  • 우네티체 문화
  • 우른필드 문화


227x227px


미노아 문명은 크레타 섬을 중심으로 발전한 해양 문명으로, 크노소스 궁전을 비롯한 독자적인 문화를 이룩했다. 기원전 1700년경 지진으로 크노소스와 파이스토스의 궁전이 피해를 입었으나, 이후 재건되었다. 기원전 1627년에는 미노아 폭발이 발생했다. 기원전 1500년경에는 테라섬(티라섬)에서 화산이 폭발하였고[3], 카알리 크레이터를 형성한 운석 충돌이 에스토니아에서 발생했다. 이러한 자연재해와 외부 침입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기원전 15세기경 미노아 문명은 쇠퇴하였다.

기원전 16세기 - 미케네 문명이 발전하였다. 이들은 그리스 본토를 중심으로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주변 지역을 정복하며 성장했다. 그러나 기원전 12세기경, '해양 민족'의 침입과 내부 혼란이 겹치면서 멸망하였다.

2. 2. 1. 미노아 문명



미노아 문명은 크레타 섬을 중심으로 발전한 해양 문명으로, 크노소스 궁전을 비롯한 독자적인 문화를 이룩했다. 기원전 1700년경 지진으로 크노소스와 파이스토스의 궁전이 피해를 입었으나, 이후 재건되었다. 기원전 1627년에는 미노아 폭발이 발생했다. 기원전 1500년경에는 테라섬(티라섬)에서 화산이 폭발하였고[3], 카알리 크레이터를 형성한 운석 충돌이 에스토니아에서 발생했다. 이러한 자연재해와 외부 침입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기원전 15세기경 미노아 문명은 쇠퇴하였다.

2. 2. 2. 미케네 문명

기원전 16세기 - 미케네 문명이 발전하였다. 이들은 그리스 본토를 중심으로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주변 지역을 정복하며 성장했다. 그러나 기원전 12세기경, '해양 민족'의 침입과 내부 혼란이 겹치면서 멸망하였다.

2. 3. 남아시아

인더스 문명은 심각한 파괴적인 홍수로 인해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당나귀를 이용해 장비를 운반하는 보병에 기반을 둔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군사 전술은 취약한 경제, 질서 유지의 어려움과 결합되어 외부 세력의 압력에 견딜 수 없는 불안정한 상황이었다.

기원전 15세기아리아인이 인도 북서부에 이주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13세기경 아리아인이 북부 인도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이들은 베다 시대를 열었고, 인도에서 카스트 제도의 원형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2. 3. 1. 인더스 문명

동쪽으로 더 멀리 떨어진 인더스 문명은 심각한 파괴적인 홍수로 인해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당나귀를 이용해 장비를 운반하는 보병에 기반을 둔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군사 전술은 취약한 경제, 질서 유지의 어려움과 결합되어 외부 세력의 압력에 견딜 수 없는 불안정한 상황이었다.

2. 3. 2. 아리아인의 이동

기원전 15세기아리아인이 인도 북서부에 이주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13세기경 아리아인이 북부 인도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이들은 베다 시대를 열었고, 인도에서 카스트 제도의 원형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2. 4. 동아시아


  • 얼리터 문화
  • 우청 문화


황하 유역에서 중국 문명이 발전하였다.

  • 하 왕조(기원전 21세기 ~ 17세기)
  • 상(은) 왕조(기원전 17세기 ~ 기원전 1046년)

일본에서는 죠몬 시대 후기~말기에 해당하며, 대규모 패총, 해산물·소금의 대규모 교역이 이루어졌다. 스톤 서클, 우드 서클이 만들어졌으며, 기온 저하로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 4. 1. 하(夏)나라

중국 최초의 왕조로 여겨지는 하 왕조(기원전 21세기 ~ 17세기)가 이 시기에 존재했다고 하나, 그 실존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2. 4. 2. 상(商)나라

상나라는 청동기 시대 중국의 왕조이다. 갑골 문자를 사용하고 청동기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제사와 관련된 유물이 많이 발견되었다.

2. 4. 3. 주(周)나라

기원전 11세기경, 주나라상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했다.[2] 주나라는 봉건제도를 실시하고, 천명사상을 통치 이념으로 삼았다.

2. 5. 한반도

요하 문명은 랴오닝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한 신석기-청동기 시대 문화이다. 빗살무늬토기와 홍산 문화 등이 대표적인 유물이다. 한반도 전역에 걸쳐 나타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 문화인 민무늬 토기 문화가 이 시기에 해당한다. 농경과 정착 생활이 확산되면서, 사회 분화가 시작되었다.

2. 5. 1. 요하 문명

요하 문명은 랴오닝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한 신석기-청동기 시대 문화이다. 빗살무늬토기와 홍산 문화 등이 대표적인 유물이다.

2. 5. 2. 민무늬 토기 문화

한반도 전역에 걸쳐 나타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 문화인 민무늬 토기 문화가 이 시기에 해당한다. 농경과 정착 생활이 확산되면서, 사회 분화가 시작되었다.

3. 주요 사건


  • 기원전 2000년경 – 세이마-투르비노 현상.[4]
  • 기원전 1700년경–기원전 1300년경 – 크레타 섬의 크노소스에 궁전 단지 건설.
  • 기원전 1700년경 – 지진으로 크노소스와 파이스토스의 궁전이 피해를 입음.
  • 기원전 1627년 – 미노아 폭발.
  • 기원전 1600년경–기원전 1360년경 – 고대 이집트의 가나안과 시리아 지배.
  • 기원전 1575년경 – 누비아의 케르마 왕국이 고대 이집트를 약탈함.
  • 기원전 1500년경 – 테라섬(티라섬) 화산 폭발.[3]
  • 기원전 1500년경 – 카알리 크레이터를 형성한 운석 충돌 (에스토니아).
  • 기원전 1500년경 – 중앙, 동부 및 남부 아프리카 전역으로의 반투족 확장.[5]
  • 기원전 1520년 – 고대 이집트가 누비아 정복.
  • 기원전 1478년 – 고대 이집트인과 가나안 사람들 사이의 메기도 전투.
  • 기원전 1269년 – 람세스 2세와 하투실리 3세가 평화 조약 체결.
  • 기원전 1274년 – 고대 이집트와 히타이트 사이의 카데시 전투.
  • 기원전 1250년경 – 트로이 7층 파괴.
  • 기원전 1045년 – 중국에서 주나라 건국.
  • 기원전 20세기 - 히타이트인이 아나톨리아에 침입하다.
  • 기원전 18세기 - 바빌로니아 제2왕조,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장악하다.
  • 이집트, 시리아를 세력권으로 삼다(기원전 1600년 ~ 1360년)
  • 기원전 16세기 - 미케네 문명
  • 기원전 15세기
  • * 미노아 문명의 쇠퇴
  • * 기원전 15세기경 - 아리아인이 인도 북서부에 이주하기 시작하다.
  • 기원전 13세기
  • * 아테네 건설(기원전 1235년)
  • * 기원전 1285년 - 카데시 전투
  • * 기원전 13세기경 - 아리아인이 북부 인도에서 세력을 확장하다.
  • 기원전 12세기 - 기원전 1200년의 대재앙, 히브리인가나안으로 들어오다.
  • 기원전 11세기 - 무왕, 묵야의 싸움에서 은을 멸망시키고 왕조를 건설하다.

3. 1. 기원전 20세기 ~ 17세기

기원전 20세기에는 히타이트인이 아나톨리아에 침입했다. 기원전 18세기에는 바빌로니아 제2왕조가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장악했다.

기원전 16세기에는 미케네 문명이 번성했다. 기원전 1600년에서 1360년 사이에는 이집트가 시리아를 세력권으로 삼았다.

3. 2. 기원전 16세기 ~ 13세기

기원전 16세기에는 미케네 문명이 시작되었다. 이집트는 시리아를 세력권으로 삼았다(기원전 1600년 ~ 1360년). 기원전 15세기에는 미노아 문명이 쇠퇴하였다. 기원전 15세기경에는 아리아인이 인도 북서부에 이주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13세기에는 아테네가 건설되었고(기원전 1235년), 기원전 1285년에는 카데시 전투가 있었다. 기원전 13세기경 아리아인이 북부 인도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3. 3. 기원전 12세기 ~ 11세기

기원전 12세기에는 기원전 1200년의 대재앙으로 히브리인가나안으로 들어왔다. 기원전 11세기에는 주나라의 무왕이 묵야의 싸움에서 은을 멸망시키고 왕조를 건설하였다.

4. 주요 인물

5. 발명 및 발견

기원전 제2천년기의 발명 및 발견은 다음과 같다.[6][7][8]

트룬드홀름 태양 마차(Trundholm sun chariot)의 금박 장식면

  • 중국 갑골문
  • 텀블 연마: 인도인들은 기원전 10세기에 연마 방법을 발명했다.
  • 다이아몬드 드릴: 기원전 12세기 또는 기원전 7세기에 인도인들은 다이아몬드 팁 드릴을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구슬 제조를 위한 이중 다이아몬드 팁 드릴을 발명했다.
  • 페니키아 알파벳
  • 네브라 하늘 원반: 가장 오래된 우주 시각 표현물.
  • 새로운 철 제련 및 단조 기술
  • 바퀴살이 있는 전차
  • 중국 서부 투루판의 무덤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바지.
  • 인도에서 카스트 제도의 원형이 형성되기 시작.
  • 중국에서 혜성 기록
  • 낙타의 가축화, 이후 카라반 편성
  • 기원전 19세기경 - 히에로글리프에 의한 최고(最古)의 암호 → 암호학의 역사
  • 기원전 14세기 - 최고(最古)의 문자에 의한 그리스어 기록

6. 언어

기원전 2천년기 초, 고이집트어에서 중이집트어로의 변화가 있었다. 고대 이집트어는 주로 상형 문자로 기록되었다.

가장 오래된 인도유럽어히타이트어는 기원전 16세기에 설형 문자로 처음 등장하며(아니타 문서), 기원전 13세기에 기록에서 사라진다. 히타이트어는 멸종된 아나톨리아어파 인도유럽어 중 가장 잘 알려지고 가장 많이 연구된 언어이다.

최초의 북서 세미어인 우가릿어는 기원전 14세기에 기록으로 나타난다. 최초의 완전한 음소 문자 원시 가나안 문자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발전하여 기원전 1200년까지 페니키아 알파벳이 되었다. 페니키아 알파벳은 페니키아의 해상 무역상들에 의해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나가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문자 체계 중 하나가 되었고, 거의 모든 알파벳 문자 체계의 모체가 되었다. 페니키아어는 또한 최초의 가나안어로, 가나안 지역의 고대 사람들, 즉 이스라엘인, 페니키아인, 아모리인, 암몬인, 모압인, 에돔인이 사용한 북서 세미어이다.

미케네 그리스어그리스어의 가장 오래된 기록된 형태로, 미케네 시대의 그리스 본토, 크레타키프로스에서 사용되었다. 기원전 14세기에는 최고(最古)의 문자에 의한 그리스어 기록이 나타났다.

카데시 평화 조약(Treaty of Kadesh) —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Istanbul Archaeology Museum)에 전시되어 있음 —은 가장 초기의 국제 협정으로 여겨짐

참조

[1] 논문 The HYDE 3.1 spatially explicit database of human induced land use change over the past 12,000 years http://themasites.pb[...] 2011
[2] 서적 The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10
[3] 웹사이트 eruption of Thera volcanic eruption, Thera, Greece [about 1500 BCE] https://www.britanni[...] 2022-08-26
[4] 간행물 Scholars crack the code of an ancient enigma 2009-01-01
[5] 웹사이트 Bantu Migration https://www.worldhis[...] 2022-08-26
[6] 서적 Technology of the Gods: The Incredible Sciences of the Ancients https://archive.org/[...] Adventures Unlimited Press 2000
[7] 서적 From bronze to iron: the transition from the Bronze age to the Iron age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Paul Astroms Forlag 1978
[8] 논문 The emergence of Bronze Age chariots in eastern Europe 2006-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