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쿠치 다이로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쿠치 다이로쿠는 일본의 수학자, 교육자, 정치가이다. 그는 난학 연구자의 차남으로 태어나 영국 유학을 통해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고 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도쿄 대학 이학부 교수로 근대 수학을 일본에 도입했으며, 도쿄 제국대학 총장, 문부대신, 교토 제국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귀족원 의원과 추밀원 고문관을 지내며 정치 활동에도 참여했으며, 남작 작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토 대학 총장 - 신조 신조
신조 신조는 일본의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로, 교토 제국 대학 교수와 총장을 역임하고 중국 과학사 연구에 기여했으며 중일 전쟁 중 문화재 보호에 헌신하다 사망했다. - 교토 대학 총장 - 다키카와 유키토키
다키카와 유키토키는 일본의 자유주의적 형법학자로, 형법의 목적을 사회 방위와 개선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다키카와 사건의 중심 인물이자 교토제국대학 교수, 교토 대학 법학부 학부장, 일본형법학회 창립, 교토 대학 총장 등을 역임하며 일본 형법학 발전에 기여했다. - 일본 제국의 문부관료 - 마쓰우라 시게지로
마쓰우라 시게지로는 도쿄제국대학 졸업 후 내무성과 문부성에서 요직을 거쳐 문부차관, 경성제국대학교와 규슈제국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귀족원 의원과 문부대신을 지낸 일본의 관료, 교육자, 정치인이지만, 일제강점기 행적으로 친일 논란이 있다. - 일본 제국의 문부관료 - 가노 지고로
가노 지고로는 일본의 교육자이자 문부관료이며 유도의 창시자로서, 유도를 세계적으로 보급하고 국제 스포츠계 및 일본 교육계에 큰 공헌을 했다. - 도쿄 대학 총장 - 가토 히로유키
가토 히로유키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계몽 사상가, 교육자, 정치인으로, 천부인권론을 주창하며 계몽 운동에 앞장섰으나 사회 진화론을 수용하며 국가주의적 성향을 강화했고, 도쿄대학 총장 등을 역임하며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입헌정우회에 가입하여 정치 활동을 펼쳤다. - 도쿄 대학 총장 - 난바라 시게루
난바라 시게루는 일본의 정치 철학자이자 교육자로서, 도쿄 대학 총장을 역임하고 독일 관념론 연구를 통해 일본 국체론을 비판했으며, 전후 일본 헌법 심의에 참여했다.
기쿠치 다이로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작위 | 남작 |
이름 | 기쿠치 다이로쿠 |
출생일 | 1855년 3월 17일 (안세이 2년 1월 29일) |
출생지 | 무사시국 에도 가지바시 (현 도쿄도 주오구 야에스) |
사망일 | 1917년 8월 19일 |
사망 장소 | 가나가와현 고자군 지가사키정 (현 지가사키시) |
학력 | 케임브리지 대학교 센트 존스 칼리지 |
배우자 | 알려진 정보 없음 |
부모 | 알려진 정보 없음 |
자녀 | 알려진 정보 없음 |
학문 분야 및 경력 | |
주요 관심사 | 수학 |
직장 | 도쿄 대학 이학부 제국 대학 이과 대학 도쿄 제국 대학 이과 대학 |
학위 | 문학 석사 (케임브리지 대학교, 1877년) 이학 박사 (일본, 1888년) |
칭호 | 맨체스터 대학교 명예 법학 박사 (1907년) 글래스고 대학교 명예 법학 박사 (1907년) 럿거스 대학교 명예 법학 박사 (1910년) 도쿄 제국 대학 명예 교수 (1901년) 교토 제국 대학 명예 교수 (1913년) |
소속 기관 | 제국 학사원 도쿄 수학 물리 학회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알려진 정보 없음 |
제16대 문부대신 | 임기 시작: 1901년 6월 2일 임기 종료: 1903년 7월 17일 내각: 제1차 가쓰라 내각 |
추밀고문관 | 임기 시작: 1912년 5월 8일 임기 종료: 1917년 8월 19일 |
귀족원 의원 | 선거구: (칙선 의원) 임기 시작: 1890년 9월 29일 임기 종료: 1912년 5월 15일 |
서명 | |
![]() |
2. 생애
난학 연구자 미쓰쿠리 슈헤이/箕作秋坪일본어의 차남으로 에도 덴진시타(현 신주쿠구 기쿠이초)의 쓰야마 마쓰다이라 가문의 별저에서 태어나, 아버지의 친가인 기쿠치 가문의 양자가 되었다. 아키라는 란학자 미쓰쿠리 겐포의 제자였고, 츠네는 그 겐포의 셋째 딸이다.
반서조사(도쿄 대학의 전신)에서 영어를 배우고, 1867년(게이오 3년)에 막부 파견, 1870년(메이지 3년)에 신정부 파견으로 두 차례 영국 유학을 했다. 두 번째 유학에서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여 학위를 취득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졸업한 최초의 일본인 유학생이 되었다.[7] 귀국 후 1877년(메이지 10년), 도쿄 대학이학부 교수가 되어, 근대 수학을 처음으로 일본에 들여왔고, 이학부에서의 수학 교육은 외국인 교사에 의한 것이 아니게 되었다.[8] 동 대학 총장, 가쿠슈인 원장, 교토 제국 대학 총장, 이화학연구소 초대 소장 등을 역임했으며, 1902년(메이지 35년)에는 남작 작위를 받았다. 후쿠자와 유키치와는 지기(知己)의 사이로, 1874년(메이지 6년)에는 후쿠자와의 초빙으로 메이로쿠사에 참가, 후쿠자와가 그 후에 설립한 교준사에도 발족 시 상임 의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1889년(메이지 22년)에는 제국학사원의 전신인 도쿄학사회원 회원으로 선임되었다.
영국 유학 중에는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통해 상관계수로 유명한 칼 피어슨과 동창이자 친한 친구가 되었고, 귀국 후 피어슨이 편집한 책을 일본에서 번역 출판했다.[9] 1884년에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경도 0으로 정한 국제 자오선 회의에 일본 대표로 참석했다.
키쿠치는 수학자이자 교육자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수완도 있었다. 1890년(메이지 23년) 9월 귀족원 칙선 의원으로 칙임되어 연구회에 소속되어, 1912년(메이지 45년) 5월 추밀 고문관으로 칙임되어 의원 사직할 때까지 22년간 국정에 참여했다.[10] 이 기간 동안 문부성에서는 전문 학무국 국장부터, 1897년(메이지 30년) 11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제2차 마쓰카타 내각부터 제3차 이토 내각에 걸쳐 문부 차관이 되어 하마오 신, 사이온지 킨모치, 도야마 마사카즈 3대신을 보좌했고, 1901년(메이지 34년) 6월에는 제1차 가쓰라 내각의 문부대신을 제수받아 이듬해 7월까지 국정의 중추에 관여했다. 1913년(다이쇼 2년) 6월에는 교토 제대 명예 교수가 되었다.[11] 추밀 고문관은 1917년(다이쇼 6년) 8월에 사망할 때까지 맡았다. 이 외에 제국학사원에서도 1909년(메이지 42년)에 제2대 원장으로 선출되어, 사망할 때까지 그 직을 맡았다.
1917년(다이쇼 6년) 7월 하순부터 피서를 위해 지가사키의 별장을 방문했지만, 같은 해 8월 19일 신문을 읽던 중 뇌출혈을 일으켜 의사의 응급 치료를 받았지만 그대로 사망했다.[12] 묘소는 야나카 영원에 있다.
2. 1. 가계 및 출생
난학 연구자 미쓰쿠리 슈헤이/箕作秋坪일본어의 차남으로 에도(현재의 도쿄)에서 태어났으며, 1877년에 법적 절차를 완료하여 아버지의 친가인 기쿠치가(菊池家)를 계승하였다.[1] 미쓰쿠리 가문은 학자로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메이지 시대 일본 교육 시스템의 중심에 있었다. 그의 할아버지는 네덜란드 학문("란가쿠")의 연구자였다.2. 2. 초기 교육 및 영국 유학
기쿠치 다이로쿠는 난학 연구자 미쓰쿠리 슈헤이/미쓰쿠리 슈헤이일본어의 차남으로 태어나, 아버지의 친가 기쿠치가(菊池家)의 양자(養嗣子)로 들어갔다.[1] 반쇼시라베쇼에서 영어를 배웠다.[1] 1866년, 도쿠가와 막부가 보낸 일본인 유학생 그룹 중 가장 어린 학생으로 영국에 파견되어 유니버시티 칼리지 스쿨에 입학했다.[2] 1870년 다시 영국으로 건너가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서 물리학과 수학을 전공하고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2]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졸업한 최초의 일본인 학생이었다.[2] 1884년에는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 자오선 회의에 참석했고, 볼티모어에서 열린 켈빈의 마스터 클래스에 참여했다.2. 3. 교육 및 연구 활동
난학 연구자 箕作秋坪/미쓰쿠리 슈헤이일본어의 차남으로 태어나, 아버지의 친가 기쿠치가(菊池家)의 양자(養嗣子)로 들어갔다. 반쇼시라베쇼에서 영어를 배우고 1870년 영국으로 유학하여 케임브리지 대학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서 수학을 배우고 학사를 졸업하였다. 당시 해외에서 전문적인 수학을 배운 첫 일본인 중 한 명으로서, 귀국 후 막 세워진 도쿄 대학 이학부 교수가 되어 근대 수학을 처음 일본에 도입한 인물이 되었다.그의 평면 기하학 교과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일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 기하학 교과서였다.
도쿄 제국대학 총장, 교토 제국대학 총장을 역임했다. 1909년에는 런던에서 일본 교육에 관해, 1910년에는 뉴욕에서 새로운 일본: 지적 및 도덕적 발전에 관해 강연했다. 1917년에는 이화학연구소의 초대 소장이 되었지만, 그해에 사망했다.
2. 4. 정치 활동
기쿠치 다이로쿠는 난학 연구자 미쓰쿠리 슈헤이/箕作秋坪일본어의 차남으로 태어나, 아버지의 친가 기쿠치가(菊池家)의 양자(養嗣子)로 들어갔다. 반쇼시라베쇼에서 영어를 배우고 1870년 영국으로 유학하여 케임브리지 대학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서 수학을 배우고 학사를 졸업하였다.1890년 귀족원의 연구회(貴族院)에 소속된 것을 시작으로 여러 정치직을 역임하여 22년간 국정 계획에 관여하였다. 1901년에는 제1차 가쓰라 내각의 문부대신을 맡아 1903년까지 있었다.
1902년 화족 제도로 남작이 되었다.
2. 5. 사망
3. 학문적 업적
3. 1. 수학 교육 개혁
3. 2. 과학 연구 진흥
4. 정치 및 사회 활동
4. 1. 문부 관료 및 대신
기쿠치는 도쿄 제국대학 총장[3], 문부대신(1901–1903) 및 교토 제국대학 총장을 역임했다.[4]4. 2. 귀족원 의원 및 추밀원 고문관
5. 평가
6. 일화
기쿠치 다이로쿠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시절 수학에서 항상 수석을 차지했다. 다른 영국인 학생들의 질투에도 불구하고, 다이로쿠가 감기로 입원했을 때 브라운이라는 학생이 매일 문병하며 강의 노트를 건네주어 수석 자리를 유지할 수 있었다. 다이로쿠는 브라운의 고결한 행동에 깊이 감동받았다고 회상했다.
1872년에는 럭비 경기에 출전한 기록이 있어, 일본인 최초의 럭비 선수였을 가능성이 있다.
7. 가족 관계
기쿠치 다이로쿠는 부인 타츠와의 사이에 4남 5녀를 두었다.[14] 부인 타츠는 여자고등사범학교 사감이었으며, 후쿠다 요네코의 장녀였다. 기쿠치의 자녀들은 저명한 과학자가 되었으며, 그의 손자 미노베 료키치는 도쿄 도지사가 되었다.
장녀 타미코는 헌법학자 미노베 타츠키치의 아내로, 훗날 도쿄도지사가 되는 미노베 료키치의 어머니였다. 타미코는 화려한 미인으로 후지무라 미사오의 실연 상대였다는 소문이 있었다.[15][16] 차녀 치요코는 민법학자 하토야마 히데오의 아내였다. 하토야마 히데오는 훗날 내각총리대신이 되는 하토야마 이치로의 동생이다. 삼녀 후유코는 법학자 스에히로 겐타로의 아내였다. 스에히로 겐타로의 장남 스에히로 시게오의 아내는 닛폰방송 회장 등을 역임한 우에무라 코고로의 조카였다. 사녀 에이코는 철도성 기술관 히라야마 후쿠지로의 아내였다. 오녀 유리코는 내무관료 가와무라 히데후미의 아내였는데, 가와무라 히데후미의 아버지는 대만 총독 등을 역임한 가와무라 타케지의 장남이었다.
장남은 요절하였다. 차남 타이치(1893-1921)는 물리학자로, 작위와 가독을 계승하였다. 1917년에 도쿄 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하고 체신성 전기시험소, 이화학연구소를 거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유학했으나, 그곳에서 객사하였다.[17][18][19] 타이치의 부인 타마는 미하라 시게키치(일본우선 중역, 우키요에 수집가)의 차녀였다. 삼남 겐조는 도쿄 대학 교수였다. 1925년 도쿄 제국대학 동물학과를 졸업하였다.[20] 사남 마사시는 전후 일본을 대표하는 원자물리학자였다.
기쿠치 다이로쿠의 아버지 미쓰쿠리 아키쓰라.[14] 남동생으로는 동물학자 미쓰쿠리 요시키치와 역사학자 미쓰쿠리 모토하치가 있었다.
7. 1. 직계 가족
기쿠치 다이로쿠는 부인 타츠와의 사이에 4남 5녀를 두었다.[14] 부인 타츠는 여자고등사범학교 사감이었으며, 후쿠다 요네코의 장녀였다. 기쿠치의 자녀들은 저명한 과학자가 되었으며, 그의 손자 미노베 료키치는 도쿄 도지사가 되었다.장녀 타미코는 헌법학자 미노베 타츠키치의 아내로, 훗날 도쿄도지사가 되는 미노베 료키치의 어머니였다. 타미코는 화려한 미인으로 후지무라 미사오의 실연 상대였다는 소문이 있었다.[15][16] 차녀 치요코는 민법학자 하토야마 히데오의 아내였다. 하토야마 히데오는 훗날 내각총리대신이 되는 하토야마 이치로의 동생이다. 삼녀 후유코는 법학자 스에히로 겐타로의 아내였다. 스에히로 겐타로의 장남 스에히로 시게오의 아내는 닛폰방송 회장 등을 역임한 우에무라 코고로의 조카였다. 사녀 에이코는 철도성 기술관 히라야마 후쿠지로의 아내였다. 오녀 유리코는 내무관료 가와무라 히데후미의 아내였는데, 가와무라 히데후미의 아버지는 대만 총독 등을 역임한 가와무라 타케지의 장남이었다.
장남은 요절하였다. 차남 타이치(1893-1921)는 물리학자로, 작위와 가독을 계승하였다. 1917년에 도쿄 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하고 체신성 전기시험소, 이화학연구소를 거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유학했으나, 그곳에서 객사하였다.[17][18][19] 타이치의 부인 타마는 미하라 시게키치(일본우선 중역, 우키요에 수집가)의 차녀였다. 삼남 겐조는 도쿄 대학 교수였다. 1925년 도쿄 제국대학 동물학과를 졸업하였다.[20] 사남 마사시는 전후 일본을 대표하는 원자물리학자였다.
기쿠치 다이로쿠의 남동생으로는 동물학자 미쓰쿠리 요시키치와 역사학자 미쓰쿠리 모토하치가 있었다.
7. 2. 친족
아버지 미쓰쿠리 아키쓰라[14]부인: 타츠 - 여자고등사범학교 사감, 후쿠다 요네코의 장녀. 다이로쿠와의 사이에 4남 5녀를 두었다.[14]
장녀: 타미코 - 헌법학자 미노베 타츠키치의 아내 (후의 도쿄도지사 미노베 료키치의 어머니. 화려한 미인으로 후지무라 미사오의 실연 상대라는 소문도 있었다.[15][16])
차녀: 치요코 - 민법학자 하토야마 히데오의 아내 (하토야마 히데오는 후의 내각총리대신 하토야마 이치로의 동생)
삼녀: 후유코 - 법학자 스에히로 겐타로의 아내 (스에히로의 장남 스에히로 시게오의 아내는 닛폰방송 회장 등을 역임한 우에무라 코고로의 조카)
사녀: 에이코 - 철도성 기술관 히라야마 후쿠지로의 아내
오녀: 유리코 - 내무관료 가와무라 히데후미의 아내 (가와무라 히데후미의 아버지는 대만 총독 등을 역임한 가와무라 타케지의 장남)
장남 - 요절
차남: 타이치(1893-1921) - 물리학자, 작위와 가독을 계승. 1917년에 도쿄 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하고 체신성 전기시험소, 이화학연구소를 거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유학했으나, 그곳에서 객사.[17][18][19] 부인 타마는 미하라 시게키치(일본우선 중역, 우키요에 수집가)의 차녀.
삼남: 겐조 - 도쿄 대학 교수. 1925년 도쿄 제국대학 동물학과 졸업.[20]
사남: 마사시 - 전후 일본을 대표하는 원자물리학자
남동생: 동물학자 미쓰쿠리 요시키치와 역사학자 미쓰쿠리 모토하치[14]
8. 영전
;위계
- 1881년(메이지 14년) 9월 24일 - 정6위[21]
- 1883년(메이지 16년) 2월 16일 - 종5위[21]
- 1890년(메이지 23년) 12월 8일 - 종4위[22]
- 1896년(메이지 29년) 1월 17일 - 정4위[23]
- 1901년(메이지 34년) 3월 20일 - 종3위[24]
- 1910년(메이지 43년) 12월 10일 - 정3위[25]
- 1917년(다이쇼 6년) 8월 20일 - 종2위[26]

;훈장 등
- 1890년(메이지 23년) 11월 1일 - 남수포장[27]
- 1892년(메이지 25년) 6월 29일 - 훈4등 서보장[28]
- 1896년(메이지 29년) 3월 28일 - 훈3등 욱일중수장[29]
- 1901년(메이지 34년) 12월 27일 - 훈2등 서보장[30]
- 1902년(메이지 35년) 2월 27일 - 남작[31]
- 1906년(메이지 39년) 4월 1일 - 욱일중광장[21]
- 1913년(다이쇼 2년) 12월 27일 - 훈1등 서보장[32]
- 1915년(다이쇼 4년) 11월 10일 - 대례기념장[33]
- 1917년(다이쇼 6년) 8월 20일 - 욱일대수장[26]
8. 1. 위계
기쿠치 다이로쿠는 1881년 9월 24일 정6위에[21], 1883년 2월 16일 종5위에 서위되었다.[21] 이후 1890년 12월 8일 종4위[22], 1896년 1월 17일 정4위[23], 1901년 3월 20일 종3위[24], 1910년 12월 10일 정3위[25]를 거쳐 1917년 8월 20일 종2위에 올랐다.[26]8. 2. 훈장 등
1890년(메이지 23년) 11월 1일 남수포장을 받았다.[27] 1892년(메이지 25년) 6월 29일에는 훈4등 서보장을[28], 1896년(메이지 29년) 3월 28일 훈3등 욱일중수장을 받았다.[29] 1901년(메이지 34년) 12월 27일 훈2등 서보장을 받았고[30], 1902년(메이지 35년) 2월 27일 남작이 되었다.[31] 1906년(메이지 39년) 4월 1일 욱일중광장을[21], 1913년(다이쇼 2년) 12월 27일 훈1등 서보장을 받았다.[32] 1915년(다이쇼 4년) 11월 10일에는 대례기념장을[33], 1917년(다이쇼 6년) 8월 20일 욱일대수장을 받았다.[26]9. 저작
기쿠치 다이로쿠는 수학, 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저작 활동을 했다. 1888년에는 문부성(文部省) 편집국에서 ''초등 기하학 교과서 평면 기하학''을 출판했고, 1889년에는 ''초등 기하학 교과서 입체 기하학''을 출판했다. 1893년에는 사와다 고이치와 함께 ''초등 평면 삼각법 교과서''를 편찬했다. 1910년에는 후잔보(冨山房)에서 ''신일본(新日本)''을 출판했다.
기쿠치는 번역 작업에도 참여했는데, 1879년에는 ''백과전서 수사 및 화문''을 번역하여 출판했다. 1884년에는 존 스코트 러셀의 ''직업 교육론''을 번역했고, 1887년에는 영국 기하학 교수법 개량회에서 편찬한 ''평면 기하학 교수 조목''을 번역했다. 1892년에는 모리 오가이와 함께 올라우스 헨리시의 ''평면 기하학 합동 도형론''을 공역했다.
참조
[1]
서적
Japanese Students at Cambridge University in the Meiji Era, 1868–1912
[2]
간행물
http://venn.csi.cam.[...]
[3]
웹사이트
Japanese Education
https://archive.org/[...]
1909
[4]
웹사이트
New Japan: Its Intellectual and Moral Development
https://archive.org/[...]
1910
[5]
웹사이트
Catalogue of the officers and alumni of Rutgers College (originally Queen's College) in New Brundswick, N. J. 1766 to 1916
https://archive.org/[...]
State Gazette Publishing Co., Printers
1916
[6]
뉴스
『官報』第2182号
1890-10-06
[7]
웹사이트
Kikuchi Dairoku: the first Japanese graduate.
http://www.diverse.c[...]
[8]
논문
近代日本における函数の概念とそれに関連したことがらの受容と普及 (数学史の研究)
https://hdl.handle.n[...]
京都大学数理解析研究所
2012-04
[9]
서적
ナイチンゲールは統計学者だった! : 統計の人物と歴史の物語
日本科学技術連盟
2008-06
[10]
뉴스
『官報』第8670号、明治45年5月16日。[[衆議院]]、[[参議院]]編 『議会制度百年史 貴族院・参議院議員名鑑』
1990-11
[11]
뉴스
『官報』第269号、大正2年6月23日
[12]
서적
事典有名人の死亡診断 近代編
吉川弘文館
2010
[13]
서적
現代家系論
文藝春秋
1973-09
[14]
웹사이트
文部大臣男爵菊池大麓君
https://dl.ndl.go.jp[...]
国鏡社
1902-04
[15]
서적
寺田寅彦の生涯
東京図書
1995
[16]
웹사이트
美濃部達吉の妻多美について
http://kanehanakai.j[...]
2012-01-26
[17]
간행물
『日英新誌』64号
1921-07
[18]
웹사이트
菊池泰二(きくちたいじ)
http://ya-na-ka.saku[...]
[19]
서적
長岡半太郎伝
朝日新聞社
1973
[20]
웹사이트
東京帝国大学卒業生氏名録
https://dl.ndl.go.jp[...]
東京帝国大学
1926
[21]
문서
枢密院文書・枢密院高等官転免履歴書 大正ノ一
[22]
뉴스
『官報』第2237号「叙任及辞令」
1890-12-11
[23]
뉴스
『官報』第3764号「叙任及辞令」
1896-01-18
[24]
뉴스
『官報』第5312号「叙任及辞令」
1901-03-22
[25]
뉴스
『官報』第8243号「叙任及辞令」
1910-12-12
[26]
뉴스
『官報』第1517号「叙任及辞令」
1917-08-21
[27]
뉴스
『官報』第2205号「彙報 - 官庁事項 - 褒章 - 藍綬褒章下賜」
1890-11-04
[28]
뉴스
『官報』第2701号「叙任及辞令」
1892-06-30
[29]
뉴스
『官報』第3823号「叙任及辞令」
1896-03-31
[30]
뉴스
『官報』第5548号「叙任及辞令」
1901-12-28
[31]
뉴스
『官報』第5593号「叙任及辞令」
1902-02-28
[32]
뉴스
『官報』第427号「叙任及辞令」
1913-12-29
[33]
뉴스
『官報』第1310号・付録「辞令」
1916-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