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다이치 교스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긴다이치 교스케는 일본의 언어학자이자 아이누 문화 연구의 선구자이다. 1882년 이와테현에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에서 언어학을 전공했으며, 아이누어 연구에 매진하여 아이누 서사시 '유카라' 연구의 권위자가 되었다. 그는 아이누어 연구와 더불어 국어학 연구에도 힘썼으며, '명해 국어사전' 편찬, 표준어 제정 등 국어 정책에도 참여했다. 그러나 그의 아이누 연구는 아이누의 동화 정책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1954년 문화훈장을 수훈했으며, 소설가 요코미조 세이시의 추리 소설에 등장하는 탐정 긴다이치 고스케의 이름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누어학자 - 알렉산더 보빈
알렉산더 보빈은 러시아 출신 언어학자로, 일본어 역사 언어학, 아이누어, 고대 및 중세 한국어 연구를 수행했으며, 2022년에 사망했다. - 아이누학자 - 브로니스와프 피우수트스키
폴란드 출신 민족학자이자 정치 운동가인 브로니스와프 피우수트스키는 러시아 제국 알렉산드르 3세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사할린으로 유배 후 아이누족, 니브흐족 등 소수 민족의 문화와 언어 연구에 헌신하며 아이누어 사전 편찬과 민속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 아이누학자 - 마쓰마에 노리히로 (13대)
마쓰마에 노리히로(13대)는 에도 시대 마쓰마에 번의 마지막 번주로서, 하코다테 전쟁 중 사망했으며, 아이누 민족에 대한 기록인 "아이누 섬 기관 보주"를 남겼다. - 다이쇼 대학 교수 - 니시무라 마사히코
니시무라 마사히코는 도야마현 출신의 일본 배우로, 코미디 극단 활동과 드라마 《경부보 후루하타 닌자부로》 출연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영화 《웰컴 미스터 맥도날드》로 일본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다이쇼 대학 교수 - 기타 레이키치
기타 레이키치는 1885년 니가타현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민본주의를 옹호하며 평론가, 교육자,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제국미술학교 초대 교장을 지냈다.
긴다이치 교스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긴다이치 교스케 (金田一 京助) |
로마자 표기 | Kindaichi Kyōsuke |
출생 | 1882년 3월 5일 |
출생지 | 이와테현 남이와테군 모리오카 |
사망 | 1971년 11월 14일 |
사망지 | 도쿄도 분쿄구 혼고 |
묘지 | 도쿄 |
사인 | 동맥경화증, 기관지 폐렴 |
국적 | 일본 |
직업 | 언어학자 |
활동 기간 | 불명 |
배우자 | 긴다이치 시즈에 |
친척 | 긴다이치 하루히코(아들) |
학력 | |
출신 학교 | 도쿄 제국대학 문과대학 |
학위 | 문학 박사 |
지도 교수 | 우에다 만넨 |
주요 지도 학생 | 아리사카 히데요 쿠보데라 이츠히코 미모리 고키 핫토리 시로 |
경력 | |
연구 기관 | 고쿠가쿠인 대학 릿쿄 대학 도쿄 대학 |
연구 분야 | 언어학 국어학 |
주요 업적 | 아이누어 연구 |
수상 | |
주요 수상 경력 | 종3위 훈1등 서보장 문화훈장 |
인간 관계 | |
영향 받은 인물 | 시마자키 도손 신무라 이즈루 가나자와 쇼자부로 |
영향을 준 인물 | 지리 유키에 지리 마시호 |
가족 | 하루히코(장남) 마스미(손자) 히데호(손자) 미나코 (손녀) |
저서 | |
주요 작품 | 『유카라의 연구』 『아이누 문학』 『유카라 개설』 『마음의 오솔길』 |
학회 | |
소속 학회 | 일본언어학회 |
2. 생애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서 태어난 긴다이치 교스케는 저명한 언어학자 긴다이치 하루히코의 아버지이자, 이시카와 다쿠보쿠와 깊이 교류한 시인이기도 했다.
1882년(메이지 15년) 5월 5일, 긴다이치 구메노스케와 야스 부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긴다이치 가문은 증조부 때부터 난부번의 가신을 지낸 명문가였다.[2] 아버지 구메노스케는 상업에 실패했지만, 긴다이치 가문의 지원으로 교스케는 유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와테 현립 모리오카 중학교 시절, 화재로 손을 다쳐 그림을 포기하고 문학에 더욱 정진했다. 시마자키 도손의 영향을 받아 "매리화명"이라는 필명으로 시를 발표했고, 1900년에는 요사노 뎃칸의 인정을 받아 문예지 『묘조』에 작품을 게재하며 신시사의 동인이 되었다.[2] 1901년에는 오이카와 코시로의 소개로 이시카와 다쿠보쿠를 만나 교류하며 함께 단가 회람지 『백양』을 발행하기도 했다.[2]
도쿄 제국대학 문과대학 언어학과에서 우에다 만넨의 가르침을 받으며 아이누어 연구를 시작했다.[4] 1906년부터 홋카이도와 사할린에서 아이누어를 채집하며 연구에 매진했고, 1918년에는 치리 유키에와 함께 연구하며 『아이누 신요집』 집필에 기여했다.[4] 1931년에는 『유카라 연구: 아이누 서사시』를 간행하여 일본학사원 은사상을 수상했다.[5]
아이누어 연구 외에도 명해 국어사전을 편찬하고 국어심의회에서 활동하는 등 국어학 연구와 표준어 제정에도 공헌했다.[9][10] 도쿄제국대학과 고쿠가쿠인 대학 교수를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9][10]
만년에는 유카라 노트의 번역 및 주석 작업에 몰두했고, 이는 1959년부터 『아이누 서사시 유카라집』으로 간행되었다.[6] 1971년 11월 14일, 노쇠에 의한 동맥경화증과 기관지 폐렴으로 향년 90세(만 89세)로 사망했다.[6]
2. 1.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1882년(메이지 15년) 5월 5일, 이와테현 모리오카시 요츠야마치에서 긴다이치 구메노스케와 야스 부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누나 1명, 남동생 6명, 여동생 3명의 11남매였다. 아버지가 상업적인 이유로 교토로 상경하는 중에 태어났기 때문에 '''교스케'''라는 이름을 받았다. 긴다이치 가문은 교스케의 증조부 이헤에 카츠즈미가 쌀 곡물 상인으로서 일대에서 재산을 모았고, 1833년 덴포 대기근 때 창고를 열어 마을 사람들을 구제하여 난부번의 사분으로 발탁된 명문가였다.[2] 아버지 구메노스케(구 성씨: 매리)는 농가 출신이었지만 글쓰기, 셈하기, 붓글씨뿐만 아니라 그림에도 능했고, 재치가 넘쳤기 때문에 야스의 데릴사위가 되었지만, 장사를 못해 맡은 사업마다 실패했다. 그러나 긴다이치 가문의 당주이자 백부인 긴다이치 카츠사다 (야스의 장남)의 지원으로 교스케는 생활고를 모르고 자랐다.구메노스케는 아이들을 재울 때 『겐페이 시대』, 『헤이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이윽고 교스케는 긴다이치 본가의 문고에 드나들며, 『삼국지』, 『사기 평림』, 『항우본기』 등을 탐독하게 된다.
이와테 현립 모리오카 중학교(재학 중 이와테 현립 모리오카 중학교로 변경)에 진학했다. 동창으로는 오이카와 코시로와 노무라 코도가 있었다. 모리오카 중학교 시절에는 자택의 램프에서 시작된 화재를 끄려다 손을 다쳐 가운데 손가락과 약지가 굽어지지 않게 되었고, 특기였던 그림을 포기하고 더욱 문학에 열중하게 된다. 영향을 받은 것은 시마자키 도손의 『와카나집』이었다. "매리화명"이라는 필명으로 문예 잡지에 시를 투고했고, 학교 안에서는 "긴다이치 화명"이라고 불렸다.[2]
1900년 4월, 『묘조』가 창간되었을 때 다른 잡지에 투고한 시가 (그 잡지의 선자였던 요사노 뎃칸에 의해) 전재되었다.[2] 이를 계기로 교스케는 『묘조』의 발행원인 신시사의 사우가 되었고, 이후에도 『묘조』에 단가를 발표했다.[2] 1901년 1월경, 오이카와 코시로로부터 "단가를 지망하는 후배"로 이시카와 다쿠보쿠를 소개받았고, 교스케는 가지고 있던 『묘조』 전호를 다쿠보쿠에게 빌려주었다.[2] 이윽고, 다쿠보쿠와는 단가 회람지 『백양』을 발행했다. 1898년 (3학년) 당시에는 전교에서 17명의 특대생 중 한 명이었고, 해당 연도의 학업 성적 평균 점수는 86점이었다.[3]
당시 교스케는 키가 작았고, 유도 연습에서도 낮의 난타를 피하고 오로지 아침 연습에만 모습을 드러내곤 했다. 같은 방식으로 아침 연습에 온 사람은 2년 선배인 요나이 미쓰마사였고, 두 사람은 유도 연습을 하게 되었다. 덩치가 큰 요나이가 작은 교스케의 기술에 큰 소리를 내며 넘어지는 연습을 반복했다는 점에서, 실력 차이를 알고 있던 교스케는 부끄러워하며 쑥스러운 마음을 느꼈다고 한다.
2. 2. 아이누어 연구
도쿄 제국대학 문과대학 언어학과에서 우에다 만넨의 가르침을 받아 아이누어 연구를 시작했다. 우에다 만넨은 "아이누어 연구는 일본 학자의 사명이다"라고 말했고, 긴다이치 교스케는 이 말을 듣고 아이누어 연구를 결심했다고 한다.[4] 1906년(메이지 39년) 처음으로 홋카이도에서 아이누어를 채집했고, 이듬해인 1907년(메이지 40년)에는 사할린의 오초폿카에서 사할린 아이누어 조사를 실시했다. 이때 아이누 아이들에게 사할린 아이누어를 배운 일화는 훗날 수필 『마음의 작은 길』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4] 40일간의 조사 기간 동안 긴다이치 교스케는 문법과 4000개의 어휘를 채집하는 성과를 거두었다.[4]1918년(다이쇼 7년) 홋카이도 조사 중에 치리 유키에를 만나 아이누어와 일본어에 능통한 그녀를 도쿄로 초청하여 연구를 함께 했다. 치리 유키에는 『아이누 신요집』을 집필하는 데 큰 공헌을 했지만, 19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4]
1923년(다이쇼 12년)에는 눗키베츠의 유카라 명인 쿠로카와 츠나레를 방문하여 유카라를 채록했다. 1931년(쇼와 6년)에는 평생의 역작인 『유카라 연구: 아이누 서사시』를 간행하여 일본학사원 은사상을 수상했다.[5]
긴다이치 교스케는 아이누어 연구에 평생을 바쳤으며, 그의 연구는 아이누어 보존과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손자인 긴다이치 히데호는 긴다이치 교스케가 없었다면 아이누어는 남아있지 않았을지도 모른다고 평가했다.[7]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아이누 동화 정책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7]
긴다이치 교스케는 "아이누는 훌륭한 민족이다" "여러분의 문화는 결코 열등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면서도, 아이누가 일본에 동화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7] 이러한 그의 관점은 야스다 토시로의 저서 '긴다이치 교스케와 일본어의 근대'에서 비판적으로 다루어졌다.[8]
2. 3. 국어학 연구 및 기타 활동
긴다이치 교스케는 아이누어 연구 외에도 국어학 연구에 힘을 쏟았다. 1943년 명해 국어사전을 편찬하는 등 국어사전 편찬에도 기여했다. 표준어 제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국어심의회에서 표준어부회 부회장을 맡기도 했다. 이처럼 국어 정책에도 관여한 그는 도쿄제국대학 교수, 고쿠가쿠인 대학 교수 등을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9][10]긴다이치 교스케는 이시카와 다쿠보쿠와의 깊은 교류로도 유명하다. 그는 다쿠보쿠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으며, 이는 그의 삶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쿠보쿠의 만년에 "사상적 전회"가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9] 다만, 다쿠보쿠의 "사상적 전회"설에 대해서는 이와키 유키노리의 주장이 통설이 되고 있다.[9][11]
2. 4. 말년
만년의 긴다이치 교스케는 가네나리 마츠 등에게서 필사한 유카라 노트의 일본어 번역과 주석 작업에 전념했다. 이들은 1959년부터 『아이누 서사시 유카라집』으로 간행되었다.[6] 1969년, 아들 긴다이치 하루히코가 구입한 도쿄도 분쿄구 혼고의 맨션으로 이주했다. 1971년 8월경부터 자리에 눕는 일이 잦아졌고, 11월 7일 아침 상태가 악화되었다. 같은 달 14일 오후 8시 30분, 노쇠에 의한 동맥경화증과 기관지 폐렴으로 향년 90세(만 89세)로 사망했다.[6]3. 주요 업적
4. 비판과 논란
긴다이치 교스케는 아이누어 연구에 평생을 바쳤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아이누 동화 정책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았다.[7] 당시 일본 사회는 아이누를 와진(일본인)보다 열등한 민족으로 여겼지만, 긴다이치는 "아이누는 훌륭한 민족이다" "여러분의 문화는 결코 열등한 것이 아니다"라고 진지하게 대했다.[7]
하지만 긴다이치는 아이누들이 "미개인의 세계"에서 벗어나 일본의 "높은 사상"을 따라가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아이누들에게 아이누어를 버리고 일본어를 사용하도록 권장했으며, 이러한 태도는 2008년 야스다 도시로의 저서 '긴다이치 교스케와 일본어의 근대'에서 비판받았다.[8]
긴다이치의 제자였던 지리 마시호는 훗날 긴다이치 등 일본인의 아이누어 연구를 비판했다. 긴다이치는 지리의 저서 '아이누어 사전 식물편'이 아사히상 후보에 올랐을 때, 홋카이도 대학 식물학자를 헐뜯는다는 이유로 추천을 거절했다. 지리는 "선생님은 나를 질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하지만 긴다이치는 속편인 '인간편'에는 추천문을 썼다. 마시호가 1961년 사망했을 때, 긴다이치는 홋카이도까지 달려갔지만, 마시호가 죽으면 알려주었으면 하는 사람의 메모에는 긴다이치의 이름이 없었다.
1923년에는 눗키베츠의 유카라 명인 쿠로카와 츠나레를 방문했을 때 강압적인 수법으로 유카라를 채록하여 비판을 받았다.
이시카와 다쿠보쿠와의 관계에서도 논란이 있었다. 긴다이치는 『이시카와 다쿠보쿠 전집』 간행 당시, '로마자 일기'에 자신과 다쿠보쿠가 아사쿠사에서 창기와 놀았다는 내용이 있어 "딸의 결혼에 지장이 있다"며 수록을 반대했다. 긴다이치는 다쿠보쿠에게 사후에 일기를 맡아 태워달라는 부탁을 받았지만, 여러 사정으로 일기는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 공개되었다.
또한 긴다이치는 다쿠보쿠가 마지막으로 방문했을 때 "사상적 전회"가 있었다고 주장했지만,[9] 연구자 이와키 유키노리는 자료를 바탕으로 이를 비판했다.[9] 긴다이치는 감정적으로 반박했지만, 논점을 바꾸면서 이와키는 논쟁을 중단했다. 이후 두 사람은 화해했지만, 다쿠보쿠의 "사상적 전회"설은 이와키의 주장이 통설이 되었다.[9][11]
5. 수상 경력
- 1954년 문화훈장
- 1971년 보관훈장 1등, 종삼위 (추서)
6. 기타
소설가 요코미조 세이시의 추리 소설에 등장하는 명탐정 긴다이치 고스케는 긴다이치 교스케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요코미조는 『혼진 살인 사건』 집필 당시, 작품에 등장하는 새로운 탐정의 이름으로 처음에는 "기쿠타 이◯◯"라는 이름을 생각했다. 하지만 오카야마로 피난하기 전까지 요코미조가 살았던 도쿄 기치조지의 이웃집에 있던 "긴다이치 야스조"에서 "기쿠타 이치(きくたいち)"와 매우 비슷한 "긴다이치(きんだいち)"로 변경했다.
긴다이치 야스조가 저명한 언어학자 교스케의 친동생(전기 공학자)이라는 것을 알고, "교스케(きょうすけ)" 쪽도 빌려와서 "고스케(こうすけ)"로 했다. 긴다이치 하루히코는 "긴다"로 잘못 읽히는 경우가 많은 "긴다이치" 성을 유명하게 해 준 요코미조에게 "천금을 쌓아도 좋다"며 감사하고 있다.[1]
애니메이션 《딱따구리 탐정처》에 허구화된 긴다이치 교스케가 등장한다.
7. 저서
긴다이치 교스케는 아이누어 연구, 국어 음운론, 국어사, 국어 문법, 국어 연구, 국어 변천, 국어학 입문, 경어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의 저서들은 아이누 문화와 일본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며, 학문적으로도 큰 가치를 지닌다.
제목 | 출판사 | 출판 년도 | 비고 |
---|---|---|---|
『북 에조 고요 유편』 | 갑인총서 간행소 | 1914년 | |
『아이누의 연구』 | 내외서방 | 1925년 | |
『유카라의 연구 아이누 서사시』(전 2권) | 동양문고〈동양문고 논총 제14〉 | 1931년 | |
『국어 음운론』 | 도강서원 | 1932년 | |
『아이누 문학』 | 카와이데 서방 | 1933년 | |
『언어 연구』 | 카와이데 서방 | 1933년 | |
『이시카와 타쿠보쿠』 | 문교각 | 1934년 | 신편 각천 문고, 코단샤 문예 문고 |
『북쪽 사람』 | 재서방 | 1934년 | 각천 문고 |
『학창 수필』 | 인문서원 | 1936년 | |
『유카라』(수필) | 장화사 | 1936년 | |
『채방 수필』 | 인문서원 | 1937년 | |
『국어사 - 계통편 -』 | 도강서원 | 1938년 | |
『국어의 변천』 | 일본방송출판협회 | 1941년 | 라디오 신서, 창원 문고 |
『신 국문법』 | 도쿄 무사시노 서원 | 1941년 | |
『국어 연구』 | 야쿠모 서림 | 1942년 | |
『유카라 개설 아이누 서사시』 | 청자사 | 1942년 | |
『언령을 돌며』 | 팔주서방 | 1944년 | |
『국어의 진로』 | 교토 인쇄관 | 1948년 | |
『국어의 변천』 | 동광협회 출판부 | 1948년 | 각천 문고, 「일본어의 변천」 코단샤 학술 문고 |
『신 일본의 국어를 위하여』 | 아사히 신문사 | 1948년 | |
『국어학 입문』 | 킷카와 코분칸 | 1949년 | |
『마음의 오솔길』(수필) | 각천 서점 | 1950년 | |
『언어학 50년』 | 보문관 | 1955년 | |
『일본의 경어』 | 각천 신서 | 1959년 | 코단샤 학술 문고 |
긴다이치 교스케 선집 우리는 어떻게 살아갈까 | 포플러사 | 1959년 | |
긴다이치 교스케 선집 금다이치 박사 희수 기념 제1 (아이누어 연구) | 산세이도 | 1960년 | |
긴다이치 교스케 선집 제2 (아이누 문화지) 『일본어의 발상』 | 산세이도 | 1961년 | |
긴다이치 교스케 선집 제3 (국어학 논고) | 산세이도 | 1962년 | |
긴다이치 교스케 수필 선집 제1-3 | 산세이도 | 1964년 | |
『나의 걸어온 길 긴다이치 교스케 자전』 | 코단샤 현대 신서 | 1968년 | |
명해 국어 사전 | 산세이도 | 1943년 | |
사해 | 산세이도 | 1952년 | |
신선 국어 사전 | 사에키 바이유 편, 쇼가쿠칸 | 1959년 | |
예해 학습 국어 사전 | 쇼가쿠칸 | 1965년 |
7. 1. 공저 및 편저
- 지리 마시호 공저, 《아이누어 문법 개요》, 이와나미 서점, 1936년
- 스기야마 스에오 공저, 《아이누 예술》 제1~3권, 제일청년사, 1941~1943년
- 아라키다 이에토시 공저, 《아이누 동화집》, 제일예문사, 1943년 / 고단샤 문고, 1981년 / 카도카와 소피아 문고, 2019년
- 아라키다 이에토시 공저, 《아이누 옛날 이야기》, 코분샤, 1948년
- 지리 마시호 공편, 《리쿤베츠의 노인 아이누 옛날 이야기》, 쇼코 쇼인, 1948년
- 타치바나 마코토 공저, 《고금화가집의 해석과 문법》, 메이지 서원, 1954년
- 킨다이치 하루히코, 시바타 타케시, 야마다 타다오, 켄보 고키 공편, 《산세이도 국어 사전》, 1960년
7. 2. 번역
긴다이치 교스케는 다음과 같은 번역을 하였다.제목 | 출판사 | 출판 년도 |
---|---|---|
신 언어학 | 불명[1] | 불명 |
아이누 성전 | 세계 성전 전집·세계 문고 | 1923년 |
아이누 랏쿠르의 전설 | 아이누 신화 세계 문고 간행회 | 1924년 |
아이누 서사시 유카라 | 이와나미 문고 | 1936년, 1994년 복간 |
호장환의 노래 | 아이누 서사시 청자사 | 1944년 |
유카라집 아이누 서사시 제1-8 | 금성 마츠 필록 역주 삼성당 | 1959년 ~ 1968년 |
참조
[1]
웹사이트
盛岡市名誉市民と市勢振興功労者について教えてください。
http://www.city.mori[...]
2021-06-09
[2]
서적
石川啄木
吉川弘文館
1985
[3]
서적
石川啄木伝
筑摩書房
1985
[4]
서적
近現代アイヌ文学史論〈近代編〉
寿郎社
2018
[5]
간행물
『アイヌ叙事詩ユーカラの研究』生誕実録
平凡社
1974
[6]
서적
作家の臨終・墓碑事典
東京堂出版
1997
[7]
뉴스
金田一京助「ことばこそ堅くとざした…」
https://web.archive.[...]
2014-08-18
[8]
뉴스
アイヌを愛した国語学者、じゃなかったの?~『金田一京助と日本語の近代』
http://business.nikk[...]
日本経済新聞電子版
2008-10-07
[9]
서적
石川啄木とその時代
おうふう
1995
[10]
서적
石川啄木とその時代
[11]
서적
石川啄木とその時代
[12]
간행물
立教大学新聞 第12号
https://library.rikk[...]
1925-02-20
[13]
간행물
立教大学新聞 第27号
https://library.rikk[...]
1926-01-05
[14]
서적
証言・昭和将棋史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5]
웹사이트
金田一京助に関する展示資料(一部)- 盛岡市先人記念館
https://www.mfca.jp/[...]
2021-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