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긴다이치 고스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긴다이치 고스케는 요코미조 세이시가 창조한 탐정으로, 1913년 도호쿠 지방에서 태어났으며 헝클어진 머리카락과 낡은 기모노 차림이 특징이다. 다양한 취미를 즐기고 흡연을 즐기는 그는 사건 관련 인물과 인간 관계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통해 사건을 해결한다. 1946년 첫 등장 이후, 여러 작품에서 활약하며 영화, 드라마, 만화 등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화 등장인물 - 윌리엄 스트라이커
    윌리엄 스트라이커는 마블 코믹스 X-맨 시리즈의 악당으로, 종교적 광신과 돌연변이에 대한 증오심을 바탕으로 퓨리파이어를 이끌며 엑스맨을 공격하고 웨폰 X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등 돌연변이 박해를 자행하는 인물이다.
  • 만화 등장인물 - 슈퍼맨
    슈퍼맨은 제리 시걸과 조 슈스터가 창작한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로, 크립톤 행성 출신의 외계인 칼-엘이 지구에서 클라크 켄트라는 이름으로 이중 생활을 하며 초인적인 힘과 비행 능력 등 뛰어난 능력을 지녔지만 크립토나이트와 마법에 취약하고,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재해석되며 사회 정의와 인간애를 중시하는 영웅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소설 등장인물 - 제이 개츠비
    제이 개츠비는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의 등장인물로, 데이지 부캐넌의 마음을 얻기 위해 부를 쌓았지만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며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소설 등장인물 - 제이슨 본
    제이슨 본은 CIA 암살 훈련 프로그램의 산물로 기억을 잃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소설 및 영화 시리즈의 주인공이다.
  • 드라마 등장인물 - 오언 헌트
    오언 헌트는 드라마 《그레이 아나토미》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로, 시애틀 그레이스 병원 외상외과 과장으로 부임하여 크리스티나 양, 테디 알트만, 아멜리아 셰퍼드 등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십 대 어머니에게 버려진 아기를 입양하며 테디와의 사이에서 딸을 낳았다.
  • 드라마 등장인물 - 슈퍼맨
    슈퍼맨은 제리 시걸과 조 슈스터가 창작한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로, 크립톤 행성 출신의 외계인 칼-엘이 지구에서 클라크 켄트라는 이름으로 이중 생활을 하며 초인적인 힘과 비행 능력 등 뛰어난 능력을 지녔지만 크립토나이트와 마법에 취약하고,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재해석되며 사회 정의와 인간애를 중시하는 영웅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긴다이치 고스케 - [가상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긴다이치 고스케
로마자 표기Kindaichi Kōsuke
원어 이름金田一 耕助
작품긴다이치 고스케 시리즈
긴다이치 고스케의 청동 동상
일본에 있는 긴다이치 고스케의 청동 동상
첫 등장혼진 살인사건 (1946년)
마지막악령도 (1979년 - 1980년)
창작자요코미조 세이시
성별남성
직업사립 탐정
국적일본

2. 인물

2. 1. 용모

긴다이치 고스케는 키가 5자 4치(약 163.6cm)에 마른 체형으로, 자신의 체격에 열등감을 느끼고 있다.[95] 분위기는 박쥐를 닮았다는 평을 들으며,[95] 평범한 얼굴을 하고 있다. 『혼진살인사건』에서는 앨런 A. 밀튼의《붉은 저택의 비밀》에 등장하는 신입탐정 토니 질링엄과 닮았다는 언급이 있다.

참새 둥지 같은 헝클어진 머리카락에, 사람 좋은 미소가 특징이다. 머리에는 비듬이 많고, 복장은 주름진 카스리 홑옷 기모노에 하오리를 걸치고, 낡은 하카마를 입고, 형태가 망가진 모자를 쓴다. 발에는 더러운 흰 버선에 게다를 신는 것이 전형적인 모습으로, 매우 청결하지 못한 복장이 특징이다.[9] 추운 시기에는 겉옷(방한복)에 이중 돌려입기(톤비, 소매 없는 인버네스 코트)를 걸친다. 이러한 모습은 『박쥐와 민달팽이』에서 "분위기가 박쥐를 닮았다"는 평가를 받게 했다.[9]

수사를 위해 양복으로 변장하기도 했지만, "빈약한 샐러리맨처럼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비웃음을 당하거나, "어울리지 않는 차림새"라고 조롱당하는 경우가 많았다.[9]

2. 2. 언동

긴다이치 고스케는 흥분하면 새집과 같은 더벅머리를 긁으면서 말을 더듬기 시작한다.[12] 머리를 긁을 때 비듬이 떨어져 주변 사람들을 당황하게 만들기도 한다. 중요한 실마리를 발견했을 경우에는 휘파람을 부는 듯 입을 오므리거나 실제로 휘파람을 부는 버릇이 있다.[12]

평소에는 졸린 듯한 눈을 하고 있지만, 사건에 흥미를 느끼면 진지한 눈빛으로 변한다. 사람을 편안하게 만드는 분위기와 화술을 가지고 있어, 경찰이 알아내기 어려운 정보도 쉽게 얻어낸다.

평소 발언은 신중하고 능글맞지만, 범인이나 등장인물의 행동에 연민을 느끼는 말투나 괴로운 표정을 짓기도 한다. 다리를 떨거나 손수건을 쥐어뜯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범인의 동기나 관계자가 비사회적, 비인도적이며 교활하고 독선적인 경우에는 강하고 엄한 발언과 비판을 쏟아내며, 범인을 놓쳤을 때는 발을 동동 구르는 격렬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젊은 세대에게는 분별 있는 말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사건이 해결되면 강한 고독감(일종의 멜랑콜리)에 휩싸여 여행을 떠나는 경우가 많다. 등등력 경부 등은 킨다이치 고스케를 회복시키려고 일부러 사건을 맡기기도 했다.

2. 3. 취미·기호

긴다이치 고스케는 영화, 회화, 가부키 감상 등 다양한 취미를 가지고 있다.[15] 스포츠는 서툴지만, 도호쿠 지방 출신이라 스키는 특기이다.[15]

골초이며, 〈피스〉와 〈호프〉를 즐겨 피운다.[15] 전쟁 전에는 〈체리〉를 피우기도 했다. 술은 잘 마시지 못하지만, 가끔 이소카와 경부와 맥주를 마시거나, 도도로키 경부와 함께 단골 클럽 "스리 X"에 가기도 한다.

미국에서 귀국한 후 양식을 선호하며, 토스트, 계란, 우유, 샐러드 등을 즐겨 먹는다. 소식을 하는 편이며, 식사 장면에서 폭식을 하는 도도로키 경부와 대조적으로 묘사된다.

2. 4. 명명

요코미조 세이시의 수필《긴다이치 코스케 탄생기》에 의하면, 긴다이치 고스케는 극작가 기쿠타 가즈오를 모델로 했다.[96] 이름은 "기쿠타이치○○(菊田一○○)"로 하려고 했으나, 실례라는 생각에 그만두었다고 한다.

요코미조 세이시는 오카야마로 피난 가기전에 살았던 도쿄 기치조지에서 도나리구미[96]를 했던 어문학자 긴다이치 교스케의 동생 긴다이치 야스조의 문패를 본 일을 떠올려 “키쿠타이치(菊田一),국전일”에서 “김전일(金田一)”로 바꾸었다. 이름 역시 “경서(京助)”를 “경서(耕助)”로 바꾸어 명명했다.[96]

A・A・밀른의 탐정 소설 『붉은 집의 수수께끼』에 등장하는 아마추어 탐정 앤토니 길링엄을 일본화한 것이라고 『본진 살인 사건』에서 설명되어 있다. 긴다이치의 외모는 극작가 키쿠타 카즈오가 모델이다. 『긴다이치 고스케의 귀환』에서도 "언뜻 보기에는 작고 빈약하지만, 내면에 큰 재능을 숨긴 인물"로서 모델로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다.[21]

에도가와 란포가 창조한 탐정 아케치 코고로도 초기에는 머리가 덥수룩하고 넉살 좋은 외모였지만, 점차 댄디하게 변모해 갔기 때문에 "아케치가 변해 버렸으니 긴다이치를 할 마음이 생겼다"라는 작가의 변이 있다.[21]

요코미조는 노무라 코도의 장례식에서 긴다이치 교스케와 동석했으나 사과하지 못했고, 1971년에 쿄스케가 사망했기 때문에, 요코미조에게는 이중으로 곤란한 일이 되었다고 한다. 그 후, 지인을 통해 쿄스케의 아들 킨다이치 하루히코로부터 "긴다이치 고스케 씨 덕분에 세상 사람들이 킨다이치라고 정확하게 발음하게 되었다. 어려운 성이라 여러 가지로 잘못 읽혀 곤란했는데, 오히려 감사하고 있다고 전해 주시면 좋겠다"라는 말을 듣고 "가슴을 쓸어내렸다"고 회고하고 있다.[22]

2. 5. 가족·지인

긴다이치 고스케의 양친은 그가 탐정사무소를 개업하기 전에 모두 사별했다. 생애는 홀로 산 것으로 보이지만, 작품 중에 긴다이치 고스케가 마음에 둔 여성은 두 사람으로, 《옥문도》의 기토 사나에, 《여괴물》의 모치다 니지코이다. 그러나 이들과 연인 관계로 발전하지는 않았다.

『밤에 걷는 자』의 오시즈나 『가면성』의 전재 고아 산타 등, 관계자를 사건 해결 후에 맡거나 거두는 경우가 있지만, 그 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묘사되지 않으며, "가족"이라고 부를 수 있는 존재가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쿠보 긴조, 동창 친구 카자마 슌로쿠, 칸도 칸타로라는 3명의 후원자가 있으며, 그들의 원조에 힘입고 있다. 카자마 슌로쿠의 애인인 "쇼게츠"의 여주인 오세츠는 연하임에도 누나처럼 긴다이치를 돌봐준다. 또한, 후반에 거처를 마련한 미도리가오카장의 관리인인 야마자키 부부도, 종종 돈에 궁핍해지는 긴다이치를 위해 편의를 봐준다(『문의 그림자 속 여자』).

경찰로부터 높은 신뢰를 받고 있으며, 특히 "경시청의 늙은 너구리"라는 이명을 가진 토도로키 경부는 사적으로나 공적으로나 교류가 있는 절친이다. 마찬가지로 "오카야마현 경의 늙은 너구리"라는 이명을 가진 이소카와 경부와도, 사건이 있으면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오랜 친구 관계이다. 그 외, 토도로키 경부의 부하인 아라이 형사나, 아파트 관할 미도리가오카서의 시마다 경부보, 필자의 주거지 관할 세이조서의 야마카와 경부보 등도 긴다이치의 수완에 한눈에 반해, 여러 작품에 자주 등장한다.

전직 깡패 출신인 타몬 오사무라는 모험심이 강한 젊은이를 누명에서 구원한 적이 있으며(『중국 부채의 여자』 등), 이 타몬은 긴다이치를 흠모하여, 종종 수사를 돕고 있다(『암컷 거머리』에는 타몬 류헤이타라는 타몬 오사무와 거의 같은 경력의 인물이 등장하며, 동일 인물로 보인다). 동향 후배로 "신니치보사" 사회부의 우츠기 신스케 기자(『여왕벌』)나 "매일신문" 문화부의 우츠기 신사쿠 기자(『백과 흑』, 『밤의 흑표』 등)는, 긴다이치가 필요로 하는 조사를 대신 해주는 대신 특종으로 이어지는 정보를 긴다이치로부터 제공받는 협력 관계에 있다.

저자 자신을 모델로 한 작중 인물("Y 선생님" 등으로 불린다)과는 "코짱", "선생님"이라고 서로 부르는 사이다. Y 선생님에 따르면, "나는 그보다 먼저 태어났기 때문에, 그런 의미에서 그는 나를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며, 조금도 나를 존경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Y 선생님은 긴다이치를 "얄미운 남자"라고 부르며, 오면 반드시 어떤 불안의 그림자를 드리우기 때문에, "나는 이 남자를 매우 싫어한다"고 말하고 있다.

2. 6. 탐정 방법

긴다이치 고스케는 사건 관련 인물 및 인간 관계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중시한다. 구보 긴조의 도움으로 탐정 사무소를 개설한 후, 모 중요 사건을 해결한 공로로 소개된 신문 기사에는 "발자국 수색이나 지문 검출은 경찰에서 해줍니다. 저는 거기서 얻은 결과를 논리적으로 분류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추단을 내립니다. 이것이 저의 탐정 방법입니다."라는 그의 발언이 게재되어 있었다. (본진 살인사건)

이러한 수사 방식으로 인해 마지막 순간까지 수사 관계자에게 속내를 드러내지 않아 더 많은 희생자를 낳는 경우가 많고, 범인에게 자결을 종용하거나 눈감아주는 경우도 있어 "사건은 해결할 수 있지만, 범인을 놓쳐버린다"라는 평을 듣기도 한다. 도도로키 경부는 이를 "킨다이치 코스케류의 휴머니즘"이라고 말한다. (악마의 강탄제)

긴다이치는 경찰에 협력하지만, 정황에 따라 반드시 진범을 경찰에 넘기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사건의 진상을 밝히는 것에 가장 큰 의미를 두기 때문이다. 세상에 진상이 알려지지 않더라도 진범이 죽으면 "보응을 받았다"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여왕벌,목) 반대로 자결을 만류하는 경우도 있었다. (흑란희,미로장의 참극)

탐정 활동의 기초 기술을 어느 정도까지 익히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불명확한 부분이 있다. 세 개의 목탑, 병원 언덕의 목 매달린 집 등에서는 스스로 지문 대조를 하지만, 개 일족의 혈통, 불사나비 등에서는 전문가에게 위임하기도 한다.

평소 기모노에 하카마를 입는 킨다이치도 양복을 입는 경우가 있으며, 이것이 그대로 변장이 되기도 한다. "갭바 바지에 짙은 남색의 옷깃 없는 셔츠" (중국 부채의 여자), "쥐색 바지에 화려한 체크 알로하, 베레모형 헌팅캡에 바다거북테 안경" (암컷 거머리) 차림이 그 예시이다. 보이로 변장한 적도 있다. (화려한 야수) 범인을 드러내기 위해 다른 사람으로 변장하기도 하는데, 특히 길거리 점쟁이로 변했을 때는 "꽤 잘 맞춘다"는 평판을 얻기도 했다. (어둠 속의 고양이,황금의 지문)

"운동 신경 둔하다"라고 겸손해하지만, (가면 무도회) 뒤에서 오는 적의 습격에 재빨리 반응하는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투석을 피하기도 했다. (여왕벌,악마의 총애자) 하지만 범인이 숨어 있는 곳에서 정면으로 권총에 맞아 위험에 처한 적도 있다. (흑묘정 사건) 소년 대상 주브나일판에서는 부랑자 등으로 변장하거나, 주행하는 트럭 뒤에 매달리거나, 자루에 담겨 해중에 투기되었을 때 탈출하는 등 높은 운동 능력을 보여주기도 한다.

3. 경력

wikitext

긴다이치 고스케는 1913년 도호쿠 지방에서 태어났다.[24] 긴다이치 고스케의 탄생 연도에 대해, 요코미조 세이시(1902년 출생)는 "그는 나보다 11세 연하이다"라고 말하고 있으며[19], 작품 중에서는 『악마의 수구노래』에서 긴다이치 고스케 자신이 "쇼와 7년이라고 하면 나는 스무 살"이라고 발언하고 있다. 긴다이치의 생일은 불분명하지만, 요코미조는 독자와의 좌담회에서 "긴다이치는 빠른 생일이다"라고 말하고 있다.[25]

1931년 4월, 고향의 중학교를 19세로 졸업한 후, 동창생 카자마 슌로쿠와 함께 상경하여, 모 사립 대학(니혼 대학 예과의 약학 계열이라는 설이 있다.[26])[27]에 적을 두고, 칸다 부근의 하숙집에서 빈둥거렸다. 중학교 시절 선배의 소개로 가부키 배우 사노카와 쓰루노스케의 후원회인 단초회에 입회했으며(『유령좌』), 이 시기에 영화 여배우 모미지 테루코의 팬이 되었다(『안개의 산장』).

1932년 이후 3년간, 대학 입학 후 1년도 채 되지 않아 일본의 대학이 시시한 것 같아 홀연히 도미했다(『본진 살인 사건』). 도미한 곳에서 영화 배우 잭 야스나가와 알게 되었으며(『여자의 결투』), 접시 닦이 등을 경험하면서 한때 마약의 악습에 빠지기도 했다. 하지만 샌프란시스코의 일본인 사이에서 일어난 살인 사건을 해결하고, 이 때 재류 일본인 회의 자리에서 만난 오카야마현의 과수원 주인 쿠보 긴조의 학자금 지원을 받아 칼리지에 다녔다(『본진 살인 사건』). 훗날 탐정업을 염두에 두고, 다소나마 의학적 경험을 쌓아두고 싶어, 야간에는 병원에 근무하여 간호사 견습을 하기도 했다(『옥문도』).

1935년, 칼리지를 졸업하고 귀국했다.

3. 1. 출생 및 학창 시절

긴다이치 고스케는 1913년 도호쿠 지방에서 태어났다.[24] 긴다이치 고스케의 탄생 연도에 대해, 요코미조(1902년 출생)는 "그는 나보다 11세 연하이다"라고 말하고 있으며[19], 작품 중에서는 『악마의 수구노래』에서 긴다이치 고스케 자신이 "쇼와 7년이라고 하면 나는 스무 살"이라고 발언하고 있다. 긴다이치의 생일은 불분명하지만, 요코미조는 독자와의 좌담회에서 "긴다이치는 빠른 생일이다"라고 말하고 있다.[25]

1931년 4월, 고향의 중학교를 19세로 졸업한 후, 동창생 카자마 슌로쿠와 함께 상경하여, 모 사립 대학(니혼 대학 예과의 약학 계열이라는 설이 있다.[26])[27]에 적을 두고, 간다 부근의 하숙집에서 빈둥거렸다. 중학교 시절 선배의 소개로 가부키 배우 사노카와 쓰루노스케의 후원회인 단초회에 입회했으며(『유령좌』), 이 시기에 영화 여배우 모미지 테루코의 팬이 되었다(『안개의 산장』).

1932년 이후 3년간, 대학 입학 후 1년도 채 되지 않아 일본의 대학이 시시한 것 같아 홀연히 도미했다(『본진 살인 사건』). 도미한 곳에서 영화 배우 잭 야스나가와 알게 되었으며(『여자의 결투』), 접시 닦이 등을 경험하면서 한때 마약의 악습에 빠지기도 했다. 하지만 샌프란시스코의 일본인 사이에서 일어난 살인 사건을 해결하고, 이 때 재류 일본인 회의 자리에서 만난 오카야마현의 과수원 주인 쿠보 긴조의 학자금 지원을 받아 칼리지에 다녔다(『본진 살인 사건』). 훗날 탐정업을 염두에 두고, 다소나마 의학적 경험을 쌓아두고 싶어, 야간에는 병원에 근무하여 간호사 견습을 하기도 했다(『옥문도』).

1935년, 칼리지를 졸업하고 귀국했다.

3. 2. 탐정 활동

1935년, 긴다이치 고스케는 칼리지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도쿄에 탐정 사무소를 개설했다.[23] 사무소 개설 후 반년 정도는 의뢰인이 없어 어려움을 겪었으나, 곧 여러 큰 사건을 해결하며 '명탐정 긴다이치 고스케'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23] 1937년 11월에는 본진 살인 사건을 해결하며 오카야마현 경찰의 이소카와 츠네지로 경부와 인연을 맺었다.[23]

1940년, 긴다이치는 징집되어 중국으로 파병되었다.[23] 1942년에는 뉴기니의 웨와크까지 남하하여 전투를 치렀으며, 이 과정에서 부대가 전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기도 했다.[23] 긴다이치는 전장에서 전우들의 시신을 관찰하며 사후 경직에 대한 지식을 쌓았고, 이는 훗날 탐정 활동에 활용되었다.[23] 1945년 8월 15일, 웨와크에서 종전을 맞이했다.[23]

1946년 복원 후, 긴다이치는 전우에게 의뢰받은 사건 해결에 착수했다.[23] 같은 해 9월 백일홍 아래에서[23], 9월 하순부터 10월 상순에는 옥문도 사건을 해결했다.[23] 옥문도 사건 해결 후, 긴다이치는 키토 사나에에게 함께 도쿄로 갈 것을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23] 이후 우물은 왜 삐걱거리는가[23]사건과 흑란희[29]사건을 해결하고, 도쿄 교바시 뒤(긴자 뒤)의 삼각 빌딩 5층에 '긴다이치 코스케 탐정 사무소'를 다시 개설했다.[23]

1947년, 사무소를 닫고 오모리의 요정 여관 '쇼게츠' 별채로 거처를 옮긴 긴다이치는[23] 어둠 속의 고양이[23], 검은 고양이 정사건[23], 살인귀[23], 악마가 와서 피리를 분다[23] 등 여러 사건을 해결했다.

1948년 밤에 걷다[23], 팔묘촌[30], 사면[23], 여괴[23] 사건을 해결했다. 특히 여괴 사건에서는 모치다 니지코를 사모했지만, 그녀는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23]

그 후로도 1949년 인면창[23], 개신가(犬神家)의 일족[23], 까마귀[31], 1950년 미로장(迷路荘)의 참극[34], 1951년 여왕벌[37]등 수많은 사건을 해결하였다.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까지도 긴다이치의 활약은 계속되었다. 1955년 악마의 손구슬 노래[23], 1956년 밀랍 미인[23], 1957년 악마의 강탄제[50], 1958년 악마의 총아[23], 1959년 스페이드의 여왕[53], 1960년 가면 무도회[23], 1961년 박쥐 남자[23] 등 난해한 사건들을 해결하며 명탐정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1973년, 긴다이치는 병원 언덕의 목매달린 집[23] 사건을 마지막으로 탐정 활동을 중단하고 로스앤젤레스로 떠났다.[23] 1975년 귀국하여[55] 일본에서 여생을 보냈다.[55]

4. 등장 작품 목록

1946년 4월에 발표된 혼진 살인 사건/혼진 살인 사건일본어은 긴다이치 코스케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장편 소설이다. 1947년 1월부터 1948년 10월까지는 고문도]]/고문도일본어가 연재되었다. 1948년에는 요루아루쿠/밤에 걷는 여자일본어, 1949년 3월부터 1951년 3월까지는 팔묘촌/팔묘촌일본어이 발표되었다. 1949년에는 데스 마스크가 출간되었고, 1950년 1월부터 1951년 5월까지 이누가미 일족/

1951년 6월부터 1952년 5월까지 여왕벌]]/여왕벌 (1978년 영화)일본어이, 1951년부터 1953년까지는 악마가 와서 피리를 분다/악마가 와서 피리를 분다일본어가 연재되었다. 1955년에는 세 개의 머리 탑과 흡혈 나방이 발표되었다. 1957년 8월부터 1959년 1월까지는 악마의 구슬치기 노래가 연재되었다.

1974년에는 가면 무도회, 1975년에는 병원 언덕의 목 매달린 집/뵤인자카노 쿠비쿠쿠리노 이에일본어이 발표되었다.

4. 1. 장편

1946년 4월에 발표된 혼진 살인 사건은 긴다이치 코스케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장편 소설이다. 1947년 1월부터 1948년 10월까지는 옥문도가 연재되었다. 1948년에는 밤에 걷는 여자, 1949년 3월부터 1951년 3월까지는 팔묘촌이 발표되었다. 1949년에는 데스 마스크가 출간되었고, 1950년 1월부터 1951년 5월까지 이누가미 일족이 연재되었다.

1951년 6월부터 1952년 5월까지 여왕벌이, 1951년부터 1953년까지는 악마가 와서 피리를 분다가 연재되었다. 1955년에는 세 개의 머리 탑과 흡혈 나방이 발표되었다. 1957년 8월부터 1959년 1월까지는 악마의 공놀이 노래가 연재되었다.

1974년에는 가면 무도회, 1975년에는 병원 비탈길에 목 매달아 죽은이의 집이 발표되었다. 1978년 7월부터 1980년 3월까지는 악령도가 연재되었다.

4. 2. 단편

긴다이치 고스케 시리즈는 총 77개의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 흑묘정 사건(1947) - 원제는 '검은 고양이'이다.
  • 흑란 공주(1948)
  • 살인자 (1947–1932)
  • 여괴(1950)
  • 어둠 속의 고양이 (『만화와 읽을거리』 1947년 3월호 - 6월호, 원제 『쌍둥이는 춤춘다』를 『올 소설』 1956년 5월호에서 긴다이치 고스케 작품으로 개고)
  • 박쥐와 갯민달팽이 (『록』 1947년 9월호)
  • 우물은 어째서 삐걱거리는가 (『독물춘추』 1949년 1월 증간호, 1955년 5월에 긴다이치 작품으로 개고)
  • 인면창 (『강담클럽』 1949년 12월호, 1960년 7월에 긴다이치 작품으로 개고)
  • 백일홍 아래에서 (『개조』 1951년 1월 증간호)
  • 까마귀 (『올 讀物』 1951년 7월호)
  • 유령좌 (『오모시로 클럽』 1952년 11월호 - 12월호)
  • 호니 (『올 讀物』 1953년 1월호)
  • 살아있는 사가면 (『강담클럽』 1953년 10월호)
  • 화원의 악마 (『올 讀物』 1954년 2월호)
  • 타락한 천녀 (『오모시로 클럽』 1954년 6월호)
  • 신기루 섬의 열정 (『올 讀物』 1954년 9월호)
  • 잠자는 신부 (『독절소설집』 1954년 11월호, 원제 『요수』)
  • 목 (『보석』 1955년 5월호)
  • 폐원의 귀신 (『올 讀物』 1955년 6월호)
  • 독의 화살 (『올 讀物』 1956년 1월호, 1956년 3월에 개고)
  • 밀랍 미인 (『강담클럽』 1956년 2월호)
  • 검은 날개 (『소설춘추』 1956년 2월호)
  • 꿈 속의 여자 (『독절소설집』 1956년 7월호, 원제 『흑의 여자』)
  • 일곱 개의 가면 (『강담클럽』 1956년 8월호)
  • 화려한 야수 (『오모시로 클럽』 1956년 12월호)
  • 트럼프 테이블 위의 목 (『올 讀物』 1957년 1월호, 1959년 2월에 개고)
  • 안개 속의 여자 (『주간 도쿄』 1957년 1월 12일호 - 1월 19일호)
  • 여자의 결투 (『부인공론』 1957년 1월호 - 3월호, 원제 『씌인 여자』)
  • 진흙 속의 여자 (『주간 도쿄』 1957년 2월 23일호 - 3월 2일호, 원제 『진흙 속의 얼굴』)
  • 가방 속의 여자 (『주간 도쿄』 1957년 4월 6일호 - 4월 13일호)
  • 거울 속의 여자 (『주간 도쿄』 1957년 5월 18일호 - 5월 25일호)
  • 우산 속의 여자 (『주간 도쿄』 1957년 6월 29일호 - 7월 6일호)
  • 감옥 안의 여자 (『주간 도쿄』 1957년 8월 10일호 - 8월 17일호)
  • 거울 연못의 살인 (『올 讀物』 1957년 8월호)
  • 대여 보트 13호 (『별책 주간 아사히』 1957년 8월호, 1958년 9월에 개고)
  • 악마의 강탄제 (『올 讀物』 1958년 1월호, 1958년 7월에 개고)
  • 동굴 속의 여자 (『주간 도쿄』 1958년 2월 8일호 - 2월 15일호)
  • 관 속의 여자 (『주간 도쿄』 1958년 3월 22일호 - 3월 29일호)
  • 불의 십자가 (『소설 클럽』 1958년 4월호 - 6월호, 1958년 9월에 개고)
  • 붉은 속의 여자 (『주간 도쿄』 1958년 5월 3일호 - 5월 10일호)
  • 눈동자 속의 여자 (『주간 도쿄』 1958년 6월 14일호 - 6월 21일호)
  • 장미 별장 (『시간의 창』 1958년 6월호 - 9월호)
  • 향수 심중 (『올 讀物』 1958년 11월호)
  • 안개 산장 (『오모시로 클럽』 1958년 11월호, 원제 『안개 별장』을 1961년 1월에 개고)
  • 암컷 거머리 (『별책 주간 대중』 1960년 9월호)
  • 엽기의 시말서 (『추리 스토리』 1962년 8월호)
  • 해시계 속의 여자 (『별책 주간 만화 TIMES』 1962년 8월 21일호)
  • 고양이 관 (『추리 스토리』 1963년 8월호)
  • 박쥐 남자 (『추리 스토리』 1964년 5월호)

4. 3. 주브나일 작품

긴다이치 고스케 시리즈는 총 77개의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주브나일 작품으로는 대 미궁(1951), 황금의 지문(1951-1952, 원제 『황제의 촛대』), 가면성(1952) 등이 있다.[61][62][63] 금색의 마술사(1952), 등대섬의 괴(1952), 황금의 꽃잎(1953), 미궁의 문(1958)등도 주브나일 작품에 포함된다.

유리 린타로와 미츠키 슌스케가 등장하는 작품이었지만, 「소년 소녀 명탐정 긴다이치 코스케 시리즈」(아사히 소노라마)에 수록될 때 야마무라 마사오가 긴다이치 작품으로 개고하여 소노라마 문고 및 카도카와 문고에도 이어졌다.[61][62][63] 여기에는 야광 괴인 (1949-1950), 왁스 가면 박사 (1954)등이 해당된다. 카도카와 문고에 수록된 긴다이치 고스케가 등장하는 주브나일 작품은 야마무라에 의한 개고를 포함해 8작품이었으나, 이후 『황금의 꽃잎』이 발견되어 총 9작품으로 여겨진다.

긴다이치 고스케가 등장하지 않지만, 괴수 남작(1948)은 코스케가 등장하는 『대 미궁』이나 『황금의 지문』과 이야기가 이어지며, 악역들이 계속 출연하고 코스케 자신이 『괴수 남작』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설명을 하는 장면이 있다.[64]

5. 미디어 믹스

긴다이치 고스케는 여러 차례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의 소재로 사용되었으며, 폭넓게 다수의 배우가 연기했다.[82]

처음 긴다이치를 연기한 가타오카 지에조는 "가타오카 지에조의 긴다이치 코스케 시리즈"에서 설명된 사정으로 인해 원작과는 전혀 다른 수트 차림이었으며, 1950년대 동안은 이 이미지가 다른 배우에게도 이어져, 1961년의 다카쿠라 켄도 간편한 복장이었지만 양복이었다. 그 후, 1975년까지 14년간 영화화가 없었던 (텔레비전 드라마도 1962년부터 1969년까지 7년간 없었다) 것으로 인해 가타오카 지에조의 분장을 의식하지 않는 연출이 쉬워져[82], 1976년에 이시자카 코지가 처음으로 원작에 충실한 일본 전통 의상 스타일로 김다이치를 연기하게 되었다.[82]

일본 전통 의상 스타일의 김다이치는 1977년부터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후루야 잇코에게도 이어져, 이후 대체로 정착되었다. 다만, 망토 (원작에서는 이중 회전) 착용이나 트렁크를 들고 다니는 것 등, 원작과 다른 이시자카 코지의 분장이 이후에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부분도 있다.[82]

명탐정 코난 6권의 마지막 부분에 긴다이치 고스케의 프로필이 등장한다. 김전일 소년 사건부의 주인공인 김전일은 긴다이치 고스케의 손자로 묘사된다. 루팡 3세 PART 2 14화에서, 독일 백작은 자신의 비행선 처녀 비행에 김전일을 포함한 전 세계 최고의 사립 탐정들을 초대하여 백작의 보석을 노리는 루팡 3세를 잡으려 한다. 루팡 3세 PART 4의 에피소드 "From Japan With Love"에서 유명 탐정 아케치 코스케 홈즈는 긴다이치 고스케(뿐만 아니라 아케치 코고로와 셜록 홈즈)의 이름을 따서 부분적으로 명명되었다.

긴다이치가 등장하는 원작의 만화화는 소년지에서 시작되었다. 카게마루 죠야는 『주간 소년 매거진』지에서 『8묘촌』(1968년)을 연재하였는데, 카게마루가 그리는 긴다이치는 거의 원작에 충실한 모습이지만, 용모는 야성미가 강하다. 내용도 소년지답게 첩 관련 설정은 생략되었다. 카게마루는 1979년에도 『악마가 와서 피리를 분다』를 만화화했다. 츠노다 지로는 『악마의 템마리 노래』와 『개 일족의 초상』(1976년)을 만화화했는데, 내용은 거의 오리지널이며 오컬트색이 강하고, 긴다이치는 로이드 안경에 콧수염을 기른 양복 차림의 중년 남성으로 묘사된다.

요코미조 세이시 붐 속에서 소녀지에서도 원작의 만화화가 이루어졌다. 사사야 나나에는 『별책 소녀 코믹』지에서 『옥문도』와 『백일홍 아래에서』(1978년)를 연재하였는데, 원작과 같은 일본식 의상을 입고 있지만, 스마트하고 미남인 긴다이치로 묘사되었다. 이와카와 히로미는 『주간 마가렛』지에서 『여왕벌』(1977년)을 연재하였는데, 일본식 의상을 입고 주름도 있지만 젊고 미남인 긴다이치이며, 구성은 원작에 매우 충실하다.

헤이세이 시대가 되면서 여성 작가에 의한 만화화가 잇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타마이 마키코의 『여왕벌』, JET의 『본진 살인사건』 등이 간행되었다. 아키타 서점 『서스페리아 미스터리』지가 2002년 창간부터 2006년경까지 매달 요코미조 작품을 만화화했다. 이 중에서는 나가오 후미코에 의한 만화 작품이 가장 많다.

5. 1. 영화

1954년 영화 ''유령 남자''에서 카와즈 세이자부로가 긴다이치 역을 맡았고,[82] 1956년의 ''흡혈나방''에는 이케베 료가,[82] 1961년의 ''악마의 손말이 노래''에는 다카쿠라 켄이 출연했다.[82] 다카바야시 요이치 감독의 1975년 ''본진 살인 사건'' 각색작인 ''오래된 저택의 죽음''에서 나카오 아키라가 긴다이치 역을 맡았으며, 이 영화는 제2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 출품되었다.

이치카와 콘 감독은 이시자카 코지를 주연으로 하여 긴다이치에 관한 6편의 영화를 제작했다.[82]

아츠미 키요시는 ''팔묘촌'' (1977년)에서 탐정 역을 맡았고,[82] 니시다 토시유키는 ''악마의 피리'' (1979년)에 출연했다.[82] 오바야시 노부히코 감독은 1979년에 후루야 잇코가 주연을 맡은 패러디 영화 ''긴다이치 코스케의 모험''을 제작했다.[82] 카가 타케시는 1981년 영화 ''악령도''에서 이 캐릭터를 연기했으며, 1996년의 ''팔묘촌''에는 토요카와 에츠시가 출연했다.[82]

김다이치 코스케는 여러 차례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의 소재로 사용되었으며, 폭넓게 다수의 배우가 연기했다.[82]

처음 김다이치를 연기한 가타오카 지에조는 "가타오카 지에조의 긴다이치 코스케 시리즈"에서 설명된 사정으로 인해 원작과는 전혀 다른 수트 차림이었으며, 1950년대 동안은 이 이미지가 다른 배우에게도 이어져, 1961년의 다카쿠라 켄도 간편한 복장이었지만 양복이었다. 그 후, 1975년까지 14년간 영화화가 없었던 것으로 인해 가타오카 지에조의 분장을 의식하지 않는 연출이 쉬워져, 1976년에 이시자카 코지가 처음으로 원작에 충실한 일본 전통 의상 스타일로 김다이치를 연기하게 되었다.[82]

일본 전통 의상 스타일의 김다이치는 1977년부터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후루야 잇코에게도 이어져, 이후 대체로 정착되었다. 다만, 망토 착용이나 트렁크를 들고 다니는 것 등, 원작과 다른 이시자카 코지의 분장이 이후에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부분도 있다.[82]

5. 2. 텔레비전 드라마

긴다이치 코스케는 여러 차례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의 소재로 사용되었으며, 다수의 배우가 그를 연기했다.[82]

처음 긴다이치를 연기한 가타오카 지에조는 "가타오카 지에조의 긴다이치 코스케 시리즈"에서 설명된 사정으로 인해 원작과는 전혀 다른 수트 차림이었으며, 1950년대 동안은 이 이미지가 다른 배우에게도 이어졌다.[82] 1961년 다카쿠라 켄도 간편한 복장이었지만 양복이었다.[82] 그 후, 1975년까지 14년간 영화화가 없었고, 텔레비전 드라마도 1962년부터 1969년까지 7년간 없었던 것으로 인해 가타오카 지에조의 분장을 의식하지 않는 연출이 쉬워졌다.[82] 1976년에 이시자카 코지가 처음으로 원작에 충실한 일본 전통 의상 스타일로 김다이치를 연기하게 되었다.[82]

일본 전통 의상 스타일의 긴다이치는 1977년부터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후루야 잇코에게도 이어져, 이후 대체로 정착되었다.[82] 다만, 망토 (원작에서는 이중 회전) 착용이나 트렁크를 들고 다니는 것 등, 원작과 다른 이시자카 코지의 분장이 이후에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부분도 있다.[82]

후루야 카즈유키는 30년 가까이 텔레비전에서 킨다이치를 연기했다. 2013년과 2014년에는 킨다이치와 또 다른 유명한 일본 소설가 에도가와 란포아케치 고고로를 짝을 이룬 텔레비전 영화가 제작되었다. 야마시타 토모히사가 킨다이치를 연기했고, 이토 히데아키가 아케치를 연기했다.

긴다이치 코스케를 연기한 배우는 다음과 같다.

참고로, 명탐정 코난 (만화) 6권에는 긴다이치 코스케의 프로필이 등장하며, 김전일 소년 사건부의 주인공 김전일은 긴다이치 코스케의 손자이다. 루팡 3세 PART 2 14화에는 긴다이치 코스케가 등장하며, 루팡 3세 PART 4의 에피소드 "From Japan With Love"에 등장하는 아케치 코스케 홈즈는 긴다이치 코스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5. 3. 만화 및 애니메이션

명탐정 코난 6권의 마지막 부분에 긴다이치 고스케의 프로필이 등장한다. 김전일 소년 사건부의 주인공인 김전일은 긴다이치 고스케의 손자로 묘사된다. 루팡 3세 PART 2 14화에서, 독일 백작은 자신의 비행선 처녀 비행에 김전일을 포함한 전 세계 최고의 사립 탐정들을 초대하여 백작의 보석을 노리는 루팡 3세를 잡으려 한다. 루팡 3세 PART 4의 에피소드 "From Japan With Love"에서 유명 탐정 아케치 코스케 홈즈는 긴다이치 고스케(뿐만 아니라 아케치 코고로와 셜록 홈즈)의 이름을 따서 부분적으로 명명되었다.

긴다이치가 등장하는 원작의 만화화는 소년지에서 시작되었다. 카게마루 죠야는 『주간 소년 매거진』지에서 『8묘촌』(1968년)을 연재하였는데, 카게마루가 그리는 긴다이치는 거의 원작에 충실한 모습이지만, 용모는 야성미가 강하다. 내용도 소년지답게 첩 관련 설정은 생략되었다. 카게마루는 1979년에도 『악마가 와서 피리를 분다』를 만화화했다. 츠노다 지로는 『악마의 템마리 노래』와 『개 일족의 초상』(1976년)을 만화화했는데, 내용은 거의 오리지널이며 오컬트색이 강하고, 긴다이치는 로이드 안경에 콧수염을 기른 양복 차림의 중년 남성으로 묘사된다.

요코미조 세이시 붐 속에서 소녀지에서도 원작의 만화화가 이루어졌다. 사사야 나나에는 『별책 소녀 코믹』지에서 『옥문도』와 『백일홍 아래에서』(1978년)를 연재하였는데, 원작과 같은 일본식 의상을 입고 있지만, 스마트하고 미남인 긴다이치로 묘사되었다. 이와카와 히로미는 『주간 마가렛』지에서 『여왕벌』(1977년)을 연재하였는데, 일본식 의상을 입고 주름도 있지만 젊고 미남인 긴다이치이며, 구성은 원작에 매우 충실하다.

헤이세이 시대가 되면서 여성 작가에 의한 만화화가 잇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타마이 마키코의 『여왕벌』, JET의 『본진 살인사건』 등이 간행되었다. 아키타 서점 『서스페리아 미스터리』지가 2002년 창간부터 2006년경까지 매달 요코미조 작품을 만화화했다. 이 중에서는 나가오 후미코에 의한 만화 작품이 가장 많다.

6. 기타

6. 1. 번역

푸쉬킨 프레스(Pushkin Vertigo)는 2020년부터 긴다이치 고스케 시리즈의 영어 번역본을 출판했다. 『개 일족』(1951)과 『본진 살인사건』(1946)은 2020년에, 『팔묘촌』(1951)은 2021년에 출판되었다. 『옥문도』(1948)는 2022년 6월에, 『악마의 피리 노래 살인사건』(1953)은 2023년에 출판되었다. 『악마의 손공 노래』(아쿠마노 테마리 우타/悪魔の手まり歌일본어, 1959)는 2024년에 출판되었으며, 『검은 고양이 카페 살인사건』(1947)은 2025년 9월에 출판될 예정이다.

프랑스어 번역본으로는 『라 리투르넬 뒤 데몽』(아쿠마노 테마리 우타/悪魔の手まり歌일본어, 1959)이 출판되었다.

6. 2. 패스티시

패스티쉬 기법을 사용하여 긴다이치 고스케를 등장시킨 작품이 많다.

  • 쓰즈키 미치오 『긴다이치 흉내』
  • 사이토 사카에 『개와 고양이 선생님과 긴다이치 탐정』
  • 야마다 마사키 『승정의 목각 인형 노래』
  • 이자와 모토히코 『GEN겐지 이야기 비록』
  • 아시베 타쿠 『<호텔 미카도>의 살인』, 『아케치 코고로 대 긴다이치 고스케』, 『긴다이치 고스케 대 아케치 코고로』, 『아케치 코고로 대 긴다이치 고스케 다시』 등


쇼와 50년대에 요코미조 붐을 일으킨 가도카와 쇼텐에서 위작집이 2권 간행되었다.

  • 『긴다이치 고스케의 새로운 도전』
  • 『긴다이치 고스케에게 바치는 아홉 개의 광상곡』


이와사키 쇼고의 『탐정의 여름 혹은 악마의 자장가』(구 제목 『요코미조 세이시 살인 사건 혹은 악마의 자장가』)는 요코미조 작품의 혼가토리로 여겨진다. 이 작품은 『악마의 발자취』를 중심으로 요코미조 작품을 의식한 구상이 산재해 있다.

1990년대 이후, 만화 작품에는 긴다이치 고스케의 자손의 활약을 다룬 작품이 발표되었다. 김전일을 주인공으로 하는 『소년 탐정 김전일』(원작: 아마기 세이마루 · 카나리 요자부로, 작화: 사토 후미야, 주간 소년 매거진)과 『김전일 37세의 사건부』(원작: 아마기 세이마루, 작화: 사토 후미야, 이브닝)가 대표적이다. 김전일은 긴다이치 고스케의 손자라는 설정이며, 연재 시작 전 요코미조 세이시의 아내에게 사전 허락을 받았다.[93]

미스터리 전문 극단 회로 R의 『미녀와 살인귀 ~DEEP RED INFERNO~』(2012년 상연)에는 긴다이치 고스케를 연상시키는 노인(하야시 마사키)이 등장한다.

6. 3. 이벤트

오카야마현구라시키시마비초에서는 2009년부터 "순・긴다이치 고스케의 오솔길" 사업[86][87]의 일환으로 팬들이 긴다이치 등 요코미조 작품의 등장인물로 분장하는 코스프레 이벤트 "1000명의 긴다이치 고스케"가 매년 개최되고 있다(2019년 11월에 11회째)[88].본진 살인 사건에서 긴다이치가 처음 등장했을 때 내린 "기요―역"의 모델이 된 기요네 역을 기점으로, 본진 살인 사건의 무대(구 가와베 촌, 구 오카다 촌)나 요코미조 세이시 소개택, "요코미조 세이시 코너"와 긴다이치 고스케 상이 설치되어 있는 구라시키시 마비 고향 역사관 등 요코미조 관련 장소를 돌아다니는 이벤트이다.[89] 2020년, 2021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중지되었지만 2022년에 3년 만에 개최되었다.[90]

명탐정 긴다이치 고스케가 처음 등장하는 본진 살인 사건이 집필된 장소인 요코미조 세이시 소개택에서는 2015년부터 봄에 생일 파티가 열리고 있다.[91] 긴다이치는 요코미조가 마비초에 소개했던 1946년 4월 24일의 일기에 이름이 처음 등장했기 때문에, 소개택에서는 긴다이치의 생일로 매년 기념 행사가 열리고 있다.[92] 회장에는 포장마차가 늘어서고, 각종 연주가 선보여지고 있다.[91][92]

참조

[1] 웹사이트 How locked room mystery king Seishi Yokomizo at last broke into english https://www.theguard[...] 2020-02-06
[2] 웹사이트 Pushkin Vertigo https://www.penguinr[...]
[3] 웹사이트 Pushkin Vertigo https://pushkinpress[...]
[4] 서적 Kon Ichikawa Cinematheque Ontario 2001
[5] 서적 Japanese Cinema: Texts and Contexts Routledge 2007
[6] 웹사이트 Kindaichi Kôsuke vs. Akechi Kogorô https://www.imdb.com[...] 2022-03-02
[7] 웹사이트 Kindaichi Kôsuke vs. Akechi Kogorô Again https://www.imdb.com[...] 2022-03-02
[8] 서적 名探偵登場――日本篇 筑摩書房 1995-08-20
[9] 문서 いわゆる「バンカラ」の一種で、『本陣殺人事件』で金田一が初登場した1937年(昭和12年)当時の東京では、早稲田あたりの下宿にはこのような風采の青年がごろごろいて、場末のレヴュー劇場の作者部屋にもこれに似た風采の人物が見受けられた。
[10] 문서 探偵小説『赤い館の秘密』(A・A・ミルン著)に登場する素人探偵
[11] 문서 『大迷宮』「船から消えた男」の章より。
[12] 서적 横溝正史エッセイコレクション3 真説 金田一耕助 金田一耕助のモノローグ 柏書房株式会社 2022-06-05
[13] 문서 「京橋裏」と「銀座裏」の三角ビルを別地点と考える見解もある。しかし、一般に「○○裏」という場合には「○○」の領域から外れる場所も含める場合があるので、隣接する「京橋」と「銀座」の「裏」には重なりがあると考えられる。したがって、双方の三角ビルを同一地点と考えても矛盾しない。
[14] 문서 「侵入者」の章。
[15] 문서 横溝は「ホープ」を愛煙していた。
[16] 문서 『支那扇の女』に初出の際には「たもん おさむ」との読みが付されているが、『扉の影の女』『病院坂の首縊りの家』では「たもん しゅう」になっている。
[17] 문서 横溝の経歴と重なっている。
[18] 문서 2人の宇津木記者の関係は不明で、単なる同姓の他人という可能性もあるが、同一人物説もある。
[19] 문서 「贋作楢山節考」(『暮しと健康』、昭和50年1月号)
[20] 문서 映像作品では、相当する人物が横溝正史#演じた俳優|「横溝正史」という役名で登場する場合がある。
[21] 서적 真説 金田一耕助 角川書店 1979-01-05
[22] 서적 金田一耕助の帰還 出版芸術社 1996-05-25
[23] 문서 例として『幽霊座』では地の文に序盤で「昭和二十七年七月下旬」が現在と記載している(角川2022年版p. 14)にもかかわらず、冒頭で過去の歌舞伎役者失踪事件に触れ(角川2022年版p. 9)「それは昭和十一年のことだから、いまから十七年のむかしになる」と、昭和11年→1年目、昭和12年→2年目…と数えている。他にも金田一耕助物ではないが『心』(角川文庫では『双生児は囁く』に収録)で、本編部分を「昭和十二年に起こった出来事」と冒頭で記載(角川2005年版p. 225)しているが、第1章の最後で「大正五年七月二十六日」を(本編部分から見て)「二十二年前」としている(角川2005年版p. 230)、などがある。
[24] 문서 『本陣殺人事件』で前書き部分に、「(名前の似ている金田一京助は東北の生まれだが)、耕助も東北の生まれらしい。」と説明がある他、『犬神家の一族』では、金田一本人が、「東北生まれでスキーも得意」と述べている。
[25] 문서 「座談会・横溝正史―わが道をゆく」『本の本』1976年6月号
[26] 문서 宮下英龍 「語られない過去=出生から『本陣殺人事件』まで」『名探偵読本8・金田一耕助』(パシフィカ) 1979年
[27] 문서 旧制では中学校卒業後に大学の予科に入ることが可能だった。
[28] 문서 「恨みの『モロッコ』」の章で1932年(昭和7年)の話題になった際、金田一が当時東京で籍だけ置いた大学生だったと説明している。
[29] 문서 本編で「十一月のなかばごろ」と言われているが、宮武謹二の解雇時期について「十月下旬」「(今から)一週間ほど前」という記述があるため、「ごろ」「ほど」にもよるが上旬に近い中旬でないと両立が難しくなる。
[30] 문서 単行本では初刊本から通常「昭和二十×年」と伏字になっているが、雑誌連載時は「昭和二十三年」と記載があった(後述の出版芸術社の「横溝正史自選集」などでは連載時仕様に戻されている)。変更理由は同じく伏字(大正×年)にされた「二十六年前」の要蔵の凶行(1923年(大正12年))と年数が合わなくなるためと考えられている(『横溝正史自選集3 八つ墓村』出版芸術社、2007年、ISBN 978-4-88293-316-8、p. 381「解説」)。ただし、単行本で年代の再設定がされたわけではなく、修正後も「尋ね人」の章で1922年(大正11年)生まれの辰也の年齢、復員してからの経緯の記述で事件の年は1948年(昭和23年)と分かる。
[31] 문서 舞台の温泉地を訪れた当日、磯川警部が以前ここであった失踪事件が「三年前の明日」で「昭和二十一年十一月六日」のことであると最初の方で説明している。
[32] 문서 冒頭で8月23日に立花滋が軽井沢に来て、それから6日後に事件に遭遇。翌々日に金田一に相談という記述がある。年の記載はないが「滋君が去年の夏、軽井沢へ行ったとき」と地の文で何度も言っており、連載時(1951年)の前年という意味のようである。少なくとも金田一耕助が鬼丸太郎失踪事件を「今から10年ほど前」で「その後戦争が起きた」と説明していることと(「船から消えた男」)、中学が新制になっている説明(「黒めがねの少年」)より、1947年(新制開始)から1951年(開戦から10年後)の間であるのは確かである。
[33] 문서 横溝正史のジュブナイル物は後に朝日ソノラマで出た際に内容がかなり書き直されており、特に「満州で」「空襲で」「戦後何年」「新制中学」といった時代を感じさせる記述がなくなって、連載当時なかった新幹線やテレビなどが登場しているものが多い。角川文庫版もこのリライト版を載せてあるため、これらの年代の判定は原則として連載時準拠の柏書房『横溝正史少年小説コレクション』(2021年)を使用している。
[34] 문서 浜田知明、横溝正史探偵小説コレクション4『迷路荘の怪人』、出版芸術社、2012年、ISBN 978-4-88293-423-3、p. 136。
[35] 문서 登場人物が現在を「戦争がおわって六年」と表現する場面がある(「ダイヤのキング」の章)。月は物語冒頭で「春のお休み」とある(「たずねびと」の章)。
[36] 문서 三太少年は当時13歳の竹田文彦(この話の主人公)と「同じ年頃の少年」と顔を見られたときに言われるが、空襲による記憶喪失のため明確ではない。
[37] 문서 冒頭で大道寺智子の18歳の誕生日が「昭和二十六年五月二十五日」であると記述、少し後に金田一が同年5月上旬に依頼を受けた説明がある。
[38] 문서 本文中「戦後5年間寝込んで昨年亡くなった」という人の話が出てくる(「燭台の由来」)、月日は冒頭の岡山での沈没事件が8月25日と何度も記述、その後「1週間ほどのち」に主人公の郁雄が東京に戻ってから金田一が登場し、13日(注:ただし1951年9月13日は木曜日であるが、本文では怪獣男爵からの手紙に「13日の金曜日」とある。なお、同年から一番近い9月13日の金曜日は1946年にある。)に怪獣男爵と対決、それから1か月後に関係者を集めて最後の謎解きをする
[39] 문서 序盤で「昭和二十七年七月下旬」と記載。
[40] 문서 年代は劇中出てこないが、舞台の村の先代村長が「[[レッドパージ|パージ]]で追放された」という説明があるので1950年(昭和25年)以後であることは確実である。
[41] 문서 冒頭で「昭和二十七年十一月五日」と説明があり、死体発見の報を聞いて翌日の「十一月六日(中略)朝十時ごろ」に金田一がやってくる(第4章)。第2の死体発見が「(十一月)二十日の朝」(第6章)でその晩に金田一が訪問(第7章)、最後に年を越え「一月十日」に金田一が調査の報告をしに捜査一課に来る(第8章)。
[42] 문서 『吸血蛾』の「一人の欠席者」の章で「ミモザの三橋絹子が金田一耕助に助けられた話」が出てくるため、『吸血蛾』の少し前のことであるとわかる。
[43] 문서 年は「恐るべきトリック」の章で、過去の事件の容疑者の年齢について「昭和十七年に三十二、三とすると、現在四十四、五」(=「現在」は昭和17年(1942年)の12年後)と等々力警部が話す場面。月日は冒頭(死体発見日)に「五月十日」、翌日に身元判明や容疑者浮上が起き、さらに次の日に金田一耕助が調査室に来て(「花鳥劇場の支配人」-「金田一耕助」)、その後容疑者をよく知る漫画家から金田一が話を聞いたのが「五月二十四日」(「そどみあ」)、本庁にやってきて調査内容報告から事件解決が「五月二十八日」(「由紀子の見たもの」)と記述がある。
[44] 문서 終盤で新井刑事による「今から二十五年まえ、昭和四年のこと」という説明より。ただし、新井刑事は最初の方である場所を捜査した時期を「(5月26日の)事件から4日目、5月29日のこと」と数えで日数をカウントしている場面があるので、1953年(昭和28年)の可能性もある。
[45] 문서 『三つ首塔』の年代について[[中島河太郎]]は1953年(昭和28年)説を挙げている(角川文庫『華やかな野獣』解説)。
[46] 문서 本編中には月日のみ記載されており、冒頭部の狼男の林檎が贈られるのが10月5日(「恐ろしい発見」)、年を越えた終盤で1月19日とあり(「血の群像」)最終盤の日付は不明。年については「救いの手?」の章に「昭和三十×年」と伏せられている。ただし、浅茅文代が服飾の勉強のためにパリに行き、1953年に帰国してすぐに売れっ子になったという説明(「無国籍者」)と、一昨年の秋に(日本の)コンクール優勝した説明(「虹の会」)から、1955年(昭和30年)初頭であることは確定。
[47] 문서 『黒い翼』の第8章に「つい最近、『毒の矢』の一件で」と触れているので『黒い翼』の直前にあった事件である。
[48] 문서 年は第4章で「昭和20年生まれは今年で数え12歳」という主旨の説明あり。
[49] 문서 本編内で今現在が何年か明記はないが、冒頭の「昭和二十九年の秋」に父親が死んで娘が屋敷を相続した説明(「吉田御殿」)などの記述から、中島河太郎は「昭和31年の事件と推定される」としている(角川文庫『華やかな野獣』解説)。季節は本文中で複数の人間がセーターを着ている描写があるが、[[本牧]]の海を泳ぐことが可能な程度の温度の時期。
[50] 서적 金田一耕助の新冒険 出版芸術社 1996
[51] 문서 短編3作は出版芸術社の『金田一耕助の帰還』 (ISBN 978-4-88293-117-1)と『金田一耕助の新冒険』({{ISBN2|4-88293-118-4}})より、長編3作は角川文庫の該当作品単行本2021 - 2022年版より。
[52] 서적 横溝正史自選集7
[53] 서적 別冊宝島 僕たちの好きな金田一耕助 宝島社
[54] 문서 本編中に、1953年(昭和28年)に起きたことから「七年以上たっている」と説明あり。
[55] 서적 横溝正史読本 角川グループパブリッシング 2008
[56] 문서 作品中に年月日の記述はないが、登場人物の山名が地主だった実家について「[[財産税法|財産税]]と[[農地改革]]、二重にいためつけられ'''てる'''」(現在進行形)ので経済的にもうダメだという発言から、農地の買い上げが始まった1947年3月31日が上限(実際には即困窮というのは考えにくいのでもう少し後が妥当)、逆に「3年前」に引っ越してきたお繁が「戦争中はたいそう景気が良かった」と湯浅が説明していることから、1948年(昭和23年)8月よりかなり以前だと推定できる。
[57] 문서 『扉の影の女』の原型作品『扉の中の女』でハルヨに相当するのは『渦の中の女』(および改稿作品『白と黒』)に登場するハルミこと緒方(須藤)順子であるが、長編化に際して別人に変更されたため「語られざる事件」になった。
[58] 문서 作中で金田一が「一昨年」と言っていることからの推算。
[59] 문서 複雑な改稿経緯を経て長編として完結した形態の初出情報。
[60] 문서 作者の昭和8年発表の作品に同名のものがあるが、それとは別作品である。
[61] 문서 「少年少女名探偵金田一耕助シリーズ」は由利&三津木登場作品を改稿した2作品と当初から金田一が登場するジュヴナイル作品であった『仮面城』『黄金の指紋』『大迷宮』の3作品のほか、大人向けの金田一登場作品をジュヴナイル化した『八つ墓村』『三本指の男(本陣殺人事件)』『獄門島』『女王蜂』『洞窟の魔女(不死蝶)』の5作品からなる。この5作品は横溝の許可を受けて山村と[[中島河太郎]]が改稿・改題したものであるが、文庫化されていないため初出のハードカバーでしか読むことができない。
[62] 웹사이트 由利先生、獄門島へ下り立つ http://kakeya.world.[...] 2020-04-09
[63] 웹사이트 少年読物の研究 10 https://supekuri.sho[...] 2022-06-28
[64] 서적 怪獣男爵 柏書房 2021
[65] 문서 『横溝正史自選集7』 ISBN 978-4-88293-324-3 pp.388 - 391にも収録されている。
[66] 문서 『[[金田一耕助の冒険]]』の当初版と2分冊化版を別々に計上し、併せて3編としている。この42編には、金田一耕助登場作品77作の他に『[[びっくり箱殺人事件]]』『[[上海氏の蒐集品]]』が収録されている。
[67] 웹사이트 角川文庫 よ5 ― 現行No.シリーズ ― http://kakeya.world.[...] 2020-03-28
[68] 문서 『悪魔の降誕祭』のみ1990年代に出版したものを改版。
[69] 웹사이트 不死蝶 https://www.kadokawa[...] 2022-07-02
[70] 웹사이트 夜の黒豹 https://www.kadokawa[...] 2022-07-02
[71] 웹사이트 支那扇の女 https://www.kadokawa[...] 2022-07-02
[72] 문서 「金田一耕助ファイル」に含まれない長編は網羅しているが、含まれる長編で収録されているのは『[[本陣殺人事件]]』と『[[悪魔の百唇譜]]』のみである。
[73] 문서 「金田一耕助ファイル」に含まれない中短編のうち『[[悪魔の降誕祭]]』 (ISBN 4-04-355503-2) に収録の3作と『[[幽霊座]]』、含まれる中短編のうち『[[七つの仮面]]』 (ISBN 4-04-130466-0) に収録の7作と『[[黒猫亭事件]]』の併せて12作を除いて網羅されている。
[74] 웹사이트 金田一耕助ファイル https://store.kadoka[...]
[75] 웹사이트 「金田一耕助」シリーズ (全28巻) https://www.amazon.c[...]
[76] 웹사이트 金田一耕助の冒険 (角川文庫) Kindle版 https://www.amazon.c[...]
[77] 웹사이트 怪獣男爵 (角川文庫) Kindle版 https://www.amazon.c[...]
[78] 웹사이트 横溝正史少年小説コレクション2 迷宮の扉 単行本 https://www.amazon.c[...]
[79] 문서 中絶作品のうち『病院横町の首縊りの家』については1998年3月に光文社文庫に収録されている([[病院坂の首縊りの家#原型短編]]を参照)。
[80] 문서 『不死蝶』の原型作品は、[[論創社]]『横溝正史探偵小説選5』 ISBN 978-4-8460-1545-9 に収録されている。『火の十字架』については、『金田一耕助の新冒険』の単行本版の解説では「初出誌が入手出来なかったため、今回は収録していない」とあるが、文庫版では「3回分載の最終回、トリックの解明部分が加筆されているのみで、量的な意味でも、質的な意味でも、改稿版としての扱いではないことが判明している」に改められている。
[81] 문서 『迷路荘の怪人』の中間段階作品の初出は[[東京文芸社]]『金田一耕助推理全集第5巻』(1959年)であり、[[出版芸術社]]『横溝正史探偵小説コレクション4』 ISBN 978-4-88293-423-3 にも収録されている。
[82] 서적 別冊宝島 僕たちの好きな金田一耕助 宝島社 2007-01-05
[83] 문서 ただし、「かねだはじめ」と読むフルネーム。
[84] 웹사이트 安藤裕子の新曲MVで峯田和伸が金田一耕助役 https://natalie.mu/m[...] 音楽ナタリー 2016-02-24
[85] 문서 原作には最初から「助手」として活動する女性は登場しないが、『[[死仮面]]』に登場する白井澄子は金田一に協力を求められて助手役を務めている。なお、本項に挙げられた作品の原作はいずれも比較的初期のものであり、この時期の作品には男性も含めて最初から金田一の助手として活動する人物は登場しないが、後期の作品では多門修が金田一の助手として活動する。ジュブナイルものまで含めると『少年倶楽部』連載作品にレギュラー登場していた立花滋が『灯台島の怪』で'''「金田一耕助の少年助手'''」と冒頭で言われている。また、『蝋面博士』は、後年の改稿により探偵役が三津木から金田一に変えられた際、三津木の相棒的な少年記者の御子柴進が金田一の助手的ポジションになっている。
[86] 서적 市町村の活性化施策――平成25年度地域政策の動向調査 https://www.soumu.go[...] 総務省自治行政局地域振興室 2014-03
[87] 웹사이트 JR伯備線&井原鉄道で金田一耕助ミステリー誕生の舞台をめぐりたい! https://www.toretabi[...] 株式会社交通新聞社 2023-06-06
[88] 웹사이트 第11回・コスプレイベント1000人の金田一耕助(令和元年11月23日開催) ~ 名探偵のふるさと真備町を巡るイベント https://kuratoco.com[...] 一般社団法人はれとこ 2019-11-30
[89] 웹사이트 「1000人の金田一耕助」 https://www.kurashik[...] 倉敷市観光情報発信協議会 2023-09-15
[90] 뉴스 「金田一耕助」100人、横溝正史ゆかりの地に集結…白マスク姿の犬神家「佐清」も https://www.yomiuri.[...] 讀賣新聞社 2022-11-27
[91] 뉴스 名探偵誕生の地 金田一耕助春の誕生会 https://tv.kct.jp/pr[...] 株式会社倉敷ケーブルテレビ
[92] 뉴스 4月24日は名探偵・金田一耕助の“誕生日” 横溝正史の疎開宅で記念イベント【岡山・倉敷市】 https://www.ohk.co.j[...] OHK岡山放送 2022-04-24
[93] 문서 金田一耕助語辞典:名探偵にまつわる言葉をイラストと豆知識で頭をかきかき読み解く』木魚庵.YOUCHAN.[[誠文堂新光社]]。
[94] 문서 [[시공사]] 출판물에서 긴다이치 코스케, [[동서문화사]] 출판물에는 긴다이찌 고스께로 번역출판되었고, [[서울문화사]]에서 번역 출판한 만화《[[소년탐정 김전일]](긴다이치 소년의 사건부)》에서는 킨다이치 코스케로 소개하지만, 시즌2 중반부터는 긴다이치 코스케로 소개하고 있다。
[95] 문서 《[[박쥐와 괄태충]]》[[이나가키 고로]]가 주연한 드라마《[[악마가 와서 피리를 분다]]》의 첫머리에 [[연합사령부]] 병사로부터 "Bat Man"으로 불렸다
[96] 문서 일본에 있었던 제도로 [[1940년]]에 비로소 명문화되었다. 마을의 일정 호수(戶數)마다 한조로 묶어 배급의 효율화와 사상통제를 꾀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