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앞잡이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길앞잡이아과는 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에 속하는 아과로, 전 세계적으로 약 2,600종이 분포하며 한국에는 약 20종이 서식한다. 이들은 모래 땅, 강가, 해안가 등 햇볕이 잘 드는 지역을 선호하며, 다른 곤충이나 작은 무척추동물을 먹이로 한다. 유충은 땅에 굴을 파고 살아가며, 성충은 빠른 속도와 뛰어난 시력을 이용해 먹이를 사냥한다. 일부 종은 박쥐의 초음파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회피 행동을 보이며,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기도 한다. 과거에는 한의학에서 약재로 오인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생태 지표종으로서 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길앞잡이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Cicindelidae |
명명자 | 라트뢰유, 1802 |
속하는 과 | 오삼이과 |
영어 이름 | tiger beetle |
화석 기록 | 압트절 |
하위 분류 | |
계급 | 족 |
하위 족 | Cicindelini Collyridini Manticorini (Amblycheila 포함) Megacephalini Oxycheilini Ctenostomatini |
과거 학명 | |
과거 학명 | Cicindelinae 라트뢰유, 1802 |
특징 | |
속도 | 9km/h |
2. 형태 및 생태
길앞잡이아과는 크고 불룩한 눈, 길고 가느다란 다리, 크고 굽은 턱을 가지고 있으며, 성충과 유충 모두 포식성이다. Cicindela 속은 범세계적 분포를 보인다. ''Cicindela'' 속의 구성원은 보통 주행성이며 가장 더운 날에도 활동할 수 있지만, ''Tetracha'', ''Omus'', ''Amblycheila'', ''Manticora''는 모두 야행성이다. ''Cicindela''와 ''Tetracha''는 종종 밝은 색을 띠는 반면, 언급된 다른 속들은 보통 균일하게 검은색을 띤다. ''Manticora'' 속의 길앞잡이아과는 이 과에서 크기가 가장 크다. 이들은 주로 남아프리카의 건조 지역에 산다.[4]
길앞잡이아과는 훌륭한 지표종으로 여겨지며 생물 다양성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에 사용되었다.[6][7] Methocha 속의 날개 없는 기생 말벌(과 Thynnidae)의 여러 종은 ''Cicindela'' spp.(예: ''Cicindela dorsalis'')의 유충에 알을 낳는다.[8]
2. 1. 형태
길앞잡이아과는 크고 불룩한 눈, 길고 가느다란 다리, 크고 굽은 턱을 가진다. 성충과 유충 모두 포식성이 있다. ''Tetracha'', ''Omus'', ''Amblycheila'', ''Manticora''는 모두 야행성이다. ''Cicindela''와 ''Tetracha''는 종종 밝은 색을 띠는 반면, 다른 속들은 보통 균일하게 검은색을 띤다. ''Manticora'' 속의 길앞잡이아과는 이 과에서 크기가 가장 크다.[4]성충은 몸에 비해 머리가 크고, 겹눈과 큰턱이 발달했다. 다리 또한 가늘고 길게 발달했다. 체색은 종류에 따라 다양하며, 온몸이 검은색인 것도 있고, 반점이나 금속광택이 있는 선명한 체색을 가진 것도 있다.
동작은 매우 민첩하며, 재빠르게 뛰어다니거나 날개를 사용하여 날아다닌다. 하지만, 통상적인 생활에서 나는 거리는 수십 m 이내이며, 광역 분산을 할 때를 제외하면, 하늘 높이 날거나 장거리를 계속 나는 것은 그다지 하지 않는다. 마가타마길앞잡이에서 보이는 것처럼 뒷날개가 퇴화한 종도 있어, 이들은 날 수 없다.
유충은 머리가 크고, 위쪽에는 최대 6개의 작은 눈이 있으며, 아래쪽에는 강력한 턱이 있다. 다섯 번째 복부 마디 상단에는 두 쌍의 역방향 갈고리가 있는 눈에 띄는 혹이 있어 머리가 굴을 채우고 표면과 수평이 되도록 굴에 고정된다. 그들은 먹이가 너무 가까이 오기를 기다렸다가 굴 안으로 잡아서 끌어내려고 한다. 혹과 갈고리는 발버둥치는 먹이가 굴 밖으로 그들을 끌어내는 것을 막는다.
세계 최대의 길앞잡이는 아프리카 남부에 분포하는 Manticora latipennis|오엔마길앞잡이영어로, 몸길이가 6cm에 달하며, 거대한 턱을 가지고 있다. 일본 최대의 종류는 몸길이 20mm 정도인 길앞잡이(나미길앞잡이)이다.
2. 2. 생태
호랑이딱정벌레는 크고 불룩한 눈, 길고 가느다란 다리, 크고 굽은 턱을 가진 포식성 곤충이다. 유충은 최대 1미터 깊이의 원통형 굴에 살며, 머리가 크고 위쪽에 작은 눈이 여러 개 있으며, 아래쪽에는 강력한 턱이 있다. 다섯 번째 복부 마디에는 두 쌍의 갈고리가 있는 혹이 있어 굴에 몸을 고정하고 먹이를 기다린다.[4] 혹과 갈고리는 먹이가 굴 밖으로 끌어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빠르게 움직이는 성충은 먹이를 쫓아가며 날개가 매우 빠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인 집파리와 비슷하다. 열대 지방의 일부 호랑이딱정벌레는 나무 위에서 생활하지만, 대부분은 지표면에서 활동한다. 이들은 바다와 호숫가, 모래 언덕, 플라야 호수 바닥, 점토 둑이나 숲길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특히 모래 표면을 선호한다.[5]
길앞잡이(나미길앞잡이) 성충은 몸에 비해 머리가 크고, 겹눈과 큰턱이 발달했다. 다리도 가늘고 길게 발달했으며, 체색은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동작은 매우 민첩하며, 재빠르게 뛰어다니거나 날개를 사용하여 날아다닌다. 하지만, 나는 거리는 짧은 편이며, 뒷날개가 퇴화하여 날지 못하는 종도 있다.
바위, 사막, 강가, 해안 등 식물이 적은 환경에 서식하며, 주행성 종이 많지만, 삼림의 나무 위에서 생활하거나 야행성인 종도 있다. 육식성으로, 파리, 개미, 옆새우, 지렁이 등 작은 곤충이나 동물의 사체를 먹는다. 사육 시에는 가다랑어포나 분쇄 처리한 개 사료, 생고기 작은 조각 등을 먹기도 한다.
성충은 점토질의 단단한 흙 속에 알을 낳고, 부화한 유충은 그 자리에서 토양을 파고 들어가 집을 만든다. 유충의 둥지는 수직으로 파인 원통형의 깊은 구멍이며, 지표나 나무 줄기, 해안 암석 등에 둥지를 짓는다. 유충은 둥지 입구를 머리와 앞가슴으로 막고 기다리다가, 근처를 지나가는 곤충을 잡아먹는다. 둥지에서 튀어나와 큰 턱으로 먹이를 잡는 모습은 깜짝 상자와 같다. 유충의 등에는 앞을 향한 갈고리 모양의 돌기가 있어 둥지 벽에 걸어 먹이에게 끌려나가지 않도록 한다. 3령이 종령이며, 종령 유충은 둥지 입구를 막고 둥지 바닥에서 번데기가 된다.
3. 분류
길앞잡이아과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며, 열대·아열대를 중심으로 아한대까지 전 세계에 2,000여 종이 알려져 있다.[3] 2020년 이후, 길앞잡이아과는 딱정벌레과와 자매 관계에 있는 별개의 과로 취급해야 한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3] 많은 속들이 ''Cicindela''에서 분리되었으며, 독일의 곤충학자 발터 호른이 많은 종을 기재하였다.[3][16][17]
3. 1. 아과
길앞잡이아과(Cicindelinae)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아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이 분포한다. 한국에도 여러 종이 서식하며, 다음과 같은 속과 종들이 알려져 있다.[21]- '''길앞잡이족''' (Cicindelini)
- 길앞잡이
- 아이누길앞잡이
- 산길앞잡이
- 강변길앞잡이
- 참길앞잡이
- 큰무늬길앞잡이
- 주홍길앞잡이
- '''Collyridini족'''
- '''Manticorini족'''
- '''Megacephalini족'''
- 꼬마길앞잡이
- 닻무늬길앞잡이
- 무녀길앞잡이
이 외에도 ''Tetracha'', ''Omus'', ''Amblycheila'', ''Manticora'' 등 다양한 속이 존재한다.[4] 특히 ''Manticora'' 속은 남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이 과에서 가장 큰 크기를 자랑한다.[4]
다음은 길앞잡이아과(Cicindelinae)에 속하는 주요 속의 목록이다.
다음은 일본에 서식하는 길앞잡이아과의 종 목록이다.
- 야에야마쿠비나가길앞잡이
- 흰줄메다카길앞잡이
- * 야쿠흰줄메다카길앞잡이
- * 이리오모테흰줄메다카길앞잡이
- 니와길앞잡이
- * 에조니와길앞잡이
- * 토사니와길앞잡이
- 꼬마니와길앞잡이
- 곡옥길앞잡이
- 아이누길앞잡이
- * 시코쿠길앞잡이
- 루이스길앞잡이
- 미야마길앞잡이
- 길앞잡이
- * 오키나와길앞잡이 - 독립종으로 보는 설도 있다.
- 아마미길앞잡이
- * 토쿠노시마길앞잡이
- 히메길앞잡이(엘리자길앞잡이)
- 오가사와라길앞잡이
- 꼬마길앞잡이
- 도쿄히메길앞잡이
- 오키나와히메길앞잡이(류큐히메길앞잡이)
- 히메야츠보시길앞잡이
- 호소길앞잡이
- 요도시로헤리길앞잡이
- 흰테길앞잡이
- * 미야케흰테길앞잡이
- * 오키나와흰테길앞잡이
- 세로줄길앞잡이
- 배불뚝길앞잡이
- 갈고리무늬길앞잡이
- 강가길앞잡이
- * 큐슈강가길앞잡이
다음은 일본 환경성 적색 목록 2015에 등재된 길앞잡이아과의 종 목록이다.[20]
분류 | 표준 일본어 이름 | 학명 |
---|---|---|
오가사와라길앞잡이 | Cylindera bonina | |
rowspan="3" | | 갈고리무늬길앞잡이 | Abroscelis anchoralis |
강가길앞잡이 | Chaetodera laetescripta | |
루이스길앞잡이 | Cicindela lewisi | |
rowspan="3" | | 요도시로헤리길앞잡이 | Callytron inspeculare |
호소길앞잡이 | Cylindera gracilis | |
배불뚝길앞잡이 | Lophyridia angulata | |
rowspan="3" | | 오키나와흰테길앞잡이 | Callytron yuasai okinawense |
흰테길앞잡이 | Callytron yuasai yuasai | |
아이누길앞잡이 | Cicindela gemmata aino |
3. 2. 속
길앞잡이아과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아과이다. 다음은 길앞잡이아과에 속하는 속들의 목록이다.- ''Abroscelis''
- ''Amblycheila''
- ''Aniara''
- ''Antennaria''
- ''Apteroessa''
- ''Archidela''
- ''Baloghiella''
- ''Bennigsenium''
- ''Brasiella''
- ''Caledonica''
- ''Caledonomorpha''
- ''Callidema''
- ''Callytron''
- ''Calomera''
- ''Calyptoglossa''
- ''Cenothyla''
- ''Cephalota''
- ''Chaetodera''
- ''Cheilonycha''
- ''Cheiloxya''
- ''Cicindela''
- ''Collyris''
- ''Cratohaerea''
- ''Cretotetracha''
- ''Ctenostoma''
- ''Cylindera''
- ''Darlingtonica''
- ''Derocrania''
- ''Diastrophella''
- ''Dilatotarsa''
- ''Distipsidera''
- ''Dromica''
- ''Dromicoida''
- ''Dromochorus''
- ''Ellipsoptera''
- ''Enantiola''
- ''Eunota''
- ''Euprosopus''
- ''Euryarthron''
- ''Eurymorpha''
- ''Euzona''
- ''Grammognatha''
- ''Grandopronotalia''
- ''Guineica''
- ''Habrodera''
- ''Habroscelimorpha''
- ''Heptodonta''
- ''Hypaetha''
- ''Hujia''
- ''Iresia''
- ''Jansenia''
- ''Jundlandia''
- ''Langea''
- ''Leptognatha''
- ''Lophyra''
- ''Macfarlandia''
- ''Manautea''
- ''Mantica''
- ''Manticora''
- ''Megacephala''
- ''Megalomma''
- ''Metriocheila''
- ''Micromentignatha''
- ''Microthylax''
- ''Myriochila''
- ''Naviauxella''
- ''Neochila''
- ''Neocicindela''
- ''Neocollyris''
- ''Neolaphyra''
- ''Nickerlea''
- ''Notospira''
- ''Odontocheila''
- ''Omus''
- ''Opilidia''
- ''Opisthencentrus''
- ''Orthocindela''
- ''Oxycheila''
- ''Oxycheilopsis''
- ''Oxygonia''
- ''Oxygoniola''
- ''Paraphysodeutera''
- ''Pentacomia''
- ''Peridexia''
- ''Phaeoxantha''
- ''Phyllodroma''
- ''Physodeutera''
- ''Picnochile''
- ''Platychile''
- ''Pogonostoma''
- ''Polyrhanis''
- ''Pometon''
- ''Prepusa''
- ''Probstia''
- ''Pronyssa''
- ''Pronyssiformia''
- ''Prothyma''
- ''Prothymidia''
- ''Protocollyris''
- ''Pseudotetracha''
- ''Pseudoxycheila''
- ''Rhysopleura''
- ''Rhytidophaena''
- ''Rivacindela''
- ''Ronhuberia''
- ''Salpingophora''
- ''Socotrana''
- ''Stenocosmia''
- ''Sumlinia''
- ''Tetracha''
- ''Therates''
- ''Thopeutica''
- ''Tricondyla''
- ''Vata''
- ''Waltherhornia''
- ''Zecicindela''
다음은 일본에 서식하는 길앞잡이아과의 속, 종, 아종 목록이다.
표준 일본어 이름 | 학명 | 비고 |
---|---|---|
야에야마쿠비나가길앞잡이 | Neocollyris loochooensisla | |
흰줄메다카길앞잡이 | Therates alboobliquatusla | |
Therates alboobliquatus yakushimanusla | 야쿠흰줄메다카길앞잡이 | |
Therates alboobliquatus riomotensisla | 이리오모테흰줄메다카길앞잡이 | |
니와길앞잡이 | Cicindela japanala | |
Cicindela japana japonala | ||
Cicindela japana inhumeralisla | 에조니와길앞잡이 | |
Cicindela japana tosanala | 토사니와길앞잡이 | |
꼬마니와길앞잡이 | Cicindela transbaicalicala | |
Cicindela transbaicalica japanensisla | ||
곡옥길앞잡이 | Cylindera ovipennisla | |
Cicindela gemmatala | ||
Cicindela gemmata ainola | 아이누길앞잡이 | |
Cicindela gemmata shikokuanala | 시코쿠길앞잡이 | |
루이스길앞잡이 | Cicindela lewisila | |
미야마길앞잡이 | Cicindela sachalinensisla | |
Cicindela sachalinensis niohozanala | ||
길앞잡이 | Cicindela japonicala | |
Cicindelia japonica japonicala | ||
Cicindela japonica okinawanala | 오키나와길앞잡이 (독립종으로 보는 설도 있음) | |
아마미길앞잡이 | Cicindela ferrieila | |
Cicindela ferriei ferrieila | ||
Cicindela ferriei ndigonaceala | 토쿠노시마길앞잡이 | |
히메길앞잡이(엘리자길앞잡이) | Cylindera elisaela | |
오가사와라길앞잡이 | Cylindera boninala | |
꼬마길앞잡이 | Myriochile speculiferala | |
Cylindera kaleeala | ||
Cylindera kaleea yedoensisla | 도쿄히메길앞잡이 | |
오키나와히메길앞잡이(류큐히메길앞잡이) | Cylindera humerulala | |
히메야츠보시길앞잡이 | Cylindera psilicala | |
Cylindera psilica luchuensisla | ||
호소길앞잡이 | Cylindera gracilisla | |
요도시로헤리길앞잡이 | Callytron inspecularela | |
흰테길앞잡이 | Callytron yuasaila | |
Callytron yuasai yuasaila | ||
Callytron yuasai miyakejimanala | 미야케흰테길앞잡이 | |
Callytron yuasai okinawensela | 오키나와흰테길앞잡이 | |
세로줄길앞잡이 | Lophyra striolatala | |
Lophyra striolata dorsolineolatala | ||
배불뚝길앞잡이 | Lophyridia angulatala | |
Lophyridia angulata niponensisla | ||
강가길앞잡이 | Chaetodera laetescriptala | |
Chaetodera laetescripta laetescriptala | ||
Chaetodera laetescripta circumpictulala | ||
Chaetodera laetescripta kiushuensisla | 큐슈강가길앞잡이 | |
갈고리무늬길앞잡이 | Abroscelis anchoralisla | |
Abroscelis anchoralis punctatissimala |
4. 적응
길앞잡이아과는 생존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적응해왔다. 호랑이딱정벌레는 크고 불룩한 눈, 길고 가느다란 다리, 크고 굽은 턱을 가지고 있으며, 성충과 유충 모두 포식성이다. Cicindela 속은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며, ''Tetracha'', ''Omus'', ''Amblycheila'', ''Manticora''와 같은 속도 잘 알려져 있다.[4] ''Cicindela'' 속은 보통 주행성이며 더운 날에도 활동하지만, ''Tetracha'', ''Omus'', ''Amblycheila'', ''Manticora''는 야행성이다. ''Cicindela''와 ''Tetracha''는 밝은 색을 띠는 반면, 다른 속들은 보통 검은색이다. ''Manticora'' 속은 이 과에서 가장 크며, 주로 남아프리카의 건조 지역에 산다.[4]
길앞잡이아과의 유충은 최대 1미터 깊이의 원통형 굴에 살며, 머리가 크고 위쪽에 작은 눈이 최대 6개까지 있다. 아래쪽에는 강력한 턱이 있으며, 다섯 번째 복부 마디에는 두 쌍의 역방향 갈고리가 있는 혹이 있어 굴에 고정된다. 이 혹과 갈고리는 먹이가 굴 밖으로 끌어내는 것을 막는다. 빠르게 움직이는 성충은 먹이를 쫓아가며 날개가 매우 빠르고, 반응 시간은 집파리와 비슷하다.
열대 지방의 일부는 수목성이지만 대부분 지표면에서 달리며, 바다와 호숫가, 모래 언덕, 플라야 호수 바닥, 점토 둑이나 숲길 등 모래 표면을 좋아한다.[5] 길앞잡이아과는 지표종으로 생물 다양성 연구에 사용되기도 한다.[6][7] Methocha 속의 날개 없는 기생 말벌은 ''Cicindela'' 속 딱정벌레 유충에 알을 낳는다.[8]
4. 1. 사냥 전략
호랑이벌레는 먹이를 향해 빠르게 질주한 다음 멈춰서 시각적으로 방향을 재정비하는 특이한 형태의 추적 행동을 보인다. 이는 호랑이벌레가 달리는 동안 시각 시스템이 이미지를 정확하게 처리하기에는 너무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일 수 있다.[1] 달리는 동안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안테나를 몸 앞쪽에 단단하게 고정하여 주변 환경을 기계적으로 감지한다.[9]많은 호랑이벌레는 평평하고 모래가 많은 지역에서 사냥하며, 눈은 수평선에 해당하는 고해상도 인식 선과 같은 평면 세계 적응을 보인다. 호랑이벌레는 시야에서 잠재적 먹이의 고도를 사용하여 먹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시각적 사냥꾼으로서, 호랑이벌레는 모래밭, 숲길, 황무지 관목지 등과 같이 열리고 비교적 평평한 서식지에서 사냥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호랑이벌레는 먹이를 시각적으로 추적할 때 고도를 거리 단서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10] 몇몇 주홍길앞잡이속 종은 눈을 사용하지 않고 사냥할 수 있으며, 일부는 황혼기에 활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1]
4. 2. 초음파 감지
일부 길앞잡이아과 종들은 초음파에 민감하며, 박쥐에 반응하여 초음파를 생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박쥐가 피하는 독성 나방의 소리를 모방하는 베이츠 의태를 통해 생존 전략을 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2]5. 화석 기록
가장 오래된 길앞잡이 화석은 중생대 백악기 초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 내몽골 자치구의 이셴 층에서 발견된 ''Cretotetracha grandis''는 약 1억 2500만 년 전의 화석이며,[13] 브라질의 산타나 층에서 발견된 ''Oxycheilopsis cretacicus''는 1억 1200만 년 전의 화석이다.[14]
5. 1. 주요 화석 발견
가장 오래된 길앞잡이 화석인 ''Cretotetracha grandis''는 중국 내몽골 자치구의 이셴 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시기는 약 1억 2500만 년 전인 초기 백악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발견된 대부분의 화석은 회색 또는 노란색의 실트질 이암이다.[13] ''Cretotetracha''를 길앞잡이아과로 식별하는 특징은 낫 모양의 긴 턱, 턱 안쪽 표면에 배열된 단순한 이빨, 턱 기부와 눈 사이 머리에 부착된 더듬이이다. 왼쪽 턱의 길이는 약 3.3mm이고 오른쪽 턱의 길이는 약 4.2mm이다. 몸통이 길고, 눈과 머리를 합친 너비가 가슴보다 넓으며, 다리가 길다.[13] 이전에 알려진 중생대 길앞잡이 화석은 약 1억 1300만 년 전 크라토 층에서[13] 발견된 것과, 브라질의 산타나 층에서 발견된 ''Oxycheilopsis cretacicus'' (1억 1200만 년 전 화석)이다.[14]6. 인간과의 관계
한방에서 생약으로 쓰이는 "반묘(斑猫)"는 사실 청딱지벌레과의 말벌반날개나 미도리겐세이 등을 가리키며, 이들은 칸타리딘이라는 강한 독성 성분을 가지고 있어 일본 국외에서는 암살에 사용되기도 했다.[19] 그러나 에도 시대 초기에 『본초강목』 번역 오류로 인해 길앞잡이가 반묘로 오인되었고, 닌자들이 길앞잡이를 암살용 독약으로 사용했다는 오해가 생겼다. 길앞잡이의 선명한 색채도 이러한 오해를 부추겼다. 비록 길앞잡이에게 독이 있다는 오해는 오랫동안 지속되었지만, 실제로는 독이 없으며, 큰턱에 물리면 아플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6. 1. 생태 지표
길앞잡이아과는 생물 다양성 연구에 사용되는 훌륭한 지표종이다.[6][7]6. 2. 한의학적 오해
과거 한의학에서 길앞잡이를 약재로 잘못 사용한 사례가 있었다. 이는 청딱지벌레과의 말벌반날개나 미도리겐세이 등을 가리키는 생약 "반묘(斑猫)"를 길앞잡이로 오인했기 때문이다. 반묘는 칸타리딘이라는 강한 독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실제로 일본 국외에서는 암살에 이용된 사례도 있다.[19]그러나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초기에 도래한 본초강목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길앞잡이과 곤충이 반묘로 잘못 알려졌다. 이 때문에 닌자들이 길앞잡이 가루를 암살용 독약으로 사용했다는 오해가 생겨났다.[19] 길앞잡이의 선명한 색채 또한 독이 있을 것이라는 오해를 부추겼을 것으로 보인다.[19]
이러한 오해는 오랫동안 남아, 지금도 일부 지식인들 사이에서 길앞잡이가 독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이 존재한다.[19] 하지만 실제 길앞잡이과 곤충에는 독이 없다. 다만, 큰 턱으로 물리면 상당히 아프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ornell News, Jan. 16, 1998 When tiger beetles chase prey at high speeds they go blind temporarily, Cornell entomologists learn
http://www.news.corn[...]
News.cornell.edu
1998-01-16
[2]
간행물
2005
[3]
논문
Phylogenomic analyses clarify the pattern of evolution of Adephaga (Coleoptera) and highlight phylogenetic artefacts due to model misspecification and excessive data trimming
2021-10
[4]
서적
Tiger beetles : the evolution, ecology, and diversity of the cicindelids
Comstock Publishing Associates
2001
[5]
간행물
2000
[6]
논문
A test for the adequacy of bioindicator taxa: Are tiger beetles (Coleoptera: Cicindelidae) appropriate indicators for monitoring the degradation of tropical forests in Venezuela?
https://www.scienced[...]
1998
[7]
논문
SPATIAL MODELING OF BUTTERFLY SPECIES RICHNESS USING TIGER BEETLES (CICINDELIDAE) AS A BIOINDICATOR TAXON
http://doi.wiley.com[...]
1998
[8]
간행물
"Biology of ''Methocha californica'' Westwood (Hymenoptera: Tiphiidae)."
http://www.dec.ny.g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1959
[9]
웹사이트
Blinded by speed, tiger beetles use antennae to 'see' while running
https://www.scienced[...]
2020-10-26
[10]
간행물
The role of target elevation in prey selection by tiger beetles (Carabidae: Cicindela spp.).
2006
[11]
논문
Diurnal Tiger Beetles (Coleoptera: Cicindelidae) Capture Prey Without Sight
http://link.springer[...]
2005
[12]
논문
Tiger beetles produce anti-bat ultrasound and are probable Batesian moth mimics
https://royalsociety[...]
2024
[13]
논문
The earliest tiger beetle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China (Coleoptera: Cicindelinae)
[14]
논문
A comprehensive molecular phylogeny of tiger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Cicindelinae)
[15]
논문
A comprehensive molecular phylogeny of tiger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Cicindelinae): Molecular phylogeny of Cicindelinae
https://onlinelibrar[...]
2019
[16]
논문
Integrative phylogenomics reveals a Permian origin of Adephaga beetles
https://onlinelibrar[...]
2021-10
[17]
논문
Validation of tiger beetles as distinct family (Coleoptera: Cicindelidae), review and reclassification of tribal relationships
2020
[18]
서적
札幌の昆虫
北海道大学出版会
[19]
서적
野外の毒虫と不快な虫 : 原色図鑑
全国農村教育協会
[20]
웹사이트
別添資料4)レッドリスト(2015)【昆虫類】
https://www.env.go.j[...]
環境省
2019-04-11
[21]
서적
한국 곤충 총 목록, 2010
http://book.naver.co[...]
자연과생태
2010-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