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상협은 일제강점기 출생하여 고려대학교 교수,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이다. 그는 삼양그룹 창업주 김연수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 김성수의 백부였으며, 일본 유학 후 고려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문교부 장관과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을 거쳐 제5공화국에서 국무총리를 지냈으며, 대한적십자사 총재와 고려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김상협은 1995년 심장 질환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마구치 대학 동문 - 김성한 (소설가)
1950년 등단한 소설가 김성한은 토속적인 소재와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 소설의 현대화에 기여했으며, 역사 소설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문단에서 인정받으며 교육 및 정치 활동도 병행했다. - 야마구치 대학 동문 - 강석린
강석린은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이자 광복 후 한국독립당과 자유당에서 활동한 정치인으로, 일본 유학 중 항일 비밀 결사 조직 활동으로 체포된 후 중국 상하이에서 항일 운동을 이어갔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 고려대학교 총장 - 한승주
한승주는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후 미국에서 정치학 학위를 취득하고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외무부 장관과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관이다. - 고려대학교 총장 - 김용무
김용무는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중 납북되기까지 변호사, 교육자,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독립운동가 변호, 동아일보 이사, 보성전문학교 교장, 초대 대법원장 등을 역임했다. - 대한적십자사 대표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 대한적십자사 대표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김상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상협 |
원어명 | 金相浹 |
![]() | |
출생일 | 1920년 4월 20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 |
사망일 | 1995년 2월 21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인천직할시 |
본관 | 울산 |
학력 | 도쿄 제국대학교 정치학 학사 |
경력 | 고려대학교 교수 문교부 장관 제6대 고려대학교 총장 |
정당 | 무소속 |
부모 | 아버지 김연수(金䄵洙) |
배우자 | 김인숙 |
자녀 | 1남 3녀 |
종교 | 개신교(장로회) |
별명 | 호는 남재(南齋)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직책 | 대한민국 제16대 국무총리 |
임기 | 1982년 9월 21일 ~ 1983년 10월 14일 |
대통령 | 전두환 |
전임 | 유창순 |
후임 | 진의종 |
대한민국 문교부 장관 | |
직책 | 대한민국 제11대 문교부 장관 |
임기 | 1962년 1월 9일 ~ 1962년 10월 14일 |
대통령 | 송요찬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백낙준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김현철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
총리 | 송요찬 대한민국 내각수반 백낙준 대한민국 내각수반 직무대행 서리 박정희 대한민국 내각수반 김현철 대한민국 내각수반 |
전임 | 문희석 |
후임 | 박일경 |
차관 | 이민재 이승우 |
2. 생애
김상협은 1920년 4월 20일에 태어났다.[5]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에서 삼양그룹 창업자인 김연수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독립운동가 겸 교육자, 정치인 인촌 김성수는 그의 백부였다. 4살 때 경성(후일의 서울특별시)으로 이사했다. 일본 유학을 떠나 1940년 야마구치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2년 도쿄 대학 법학부 정치학과에 입학했다.
1946년 고려대학교 정경대 조교수가 된 후 부교수, 교수를 지냈으며, 1949년 고시위원회 상무위원을 겸직했다. 1956년 단국대학교 부속대학 통신교육부 교수로 파견되어 강의하였다. 이후 고려대로 복귀, 1960년 3월 19일 학술원회원에 선출되었다. 1962년 문교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63년 고려대학교 정경대 교수로 복직하여 1970년까지 재직하였다. 1965년 한일협정 반대에 동참하였다. 1967년 동아일보사 이사를 지냈고, 1970년부터 1975년까지와 1977년부터 1982년까지 고려대학교 총장을 두 차례 역임하였다.
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을 지냈다. 제5공화국에서 1982년 총리서리로 지명되었다가 1982년부터 1983년까지 제16대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1983년 9월 23일 서울 어린이대공원에서 열린 고하 송진우 동상 제막식에 참석하였다. 1984년 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을 지냈으며, 1985년 1월 17일 연세대학교 강당에서 열린 백낙준 추모 예배에 참석하였다. 1985년부터 1991년까지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지냈다. 1979년 12월 21일 연암문화재단 감사패 등을 수상했다. 1994년 고하송진우기념사업회 출범과 동시에 고하기념사업회 이사에 선임되었다. 1995년 심장질환으로 사망하였다.[4]
2. 1. 초기 생애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에서 삼양그룹 창업자인 김연수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백부는 독립운동가 겸 교육자, 정치인 인촌 김성수였다. 4살 때 경성(후일의 서울특별시)으로 이사했다.일본 유학을 떠나 1940년 야마구치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2년 도쿄 대학 법학부 정치학과에 입학했다.
2. 2. 학창 시절
김상협은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에서 삼양그룹을 창업한 기업인 김연수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독립운동가 겸 교육자, 정치인 인촌 김성수는 그의 백부였다. 4살 때 부안군 줄포에서 경성(후일의 서울특별시)으로 이사했다.일본에 유학하여 1940년 일본 야마구치고등학교를 거쳐 1942년 도쿄 대학 법학부 정치학과에 입학했다.
2. 3. 교육 활동
1946년 고려대학교 정경대 조교수가 된 후 부교수, 교수를 지냈으며, 고려대학교 교수 재직 중 1949년 고시위원회 상무위원을 겸직했다. 1956년에는 단국대학교 부속대학 통신교육부 교수로 파견되어 강의하였다. 이후 다시 고려대로 복귀했으며, 1960년 3월 19일 학술원회원에 선출되었다. 1962년 문교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63년에 고려대학교 정경대 교수로 복직하여 1970년까지 재직하였다. 1965년에는 한일협정 반대에 동참하였다. 1970년부터 1975년까지와 1977년부터 1982년까지 고려대학교 총장을 두 차례 역임하였다.[4] 1967년 동아일보사 이사 역임.2. 4. 정치 활동
김상협은 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을 지냈다. 대한민국 제5공화국에서 1982년 총리서리로 지명된 후, 1982년부터 1983년까지 제16대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7] 1983년 9월 23일 서울 어린이대공원에서 열린 고하 송진우 동상 제막식에 참석하였다. 1984년 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을 지냈으며, 1985년 1월 17일 연세대학교 강당에서 열린 백낙준 추모 예배에 참석하였다. 이창동 사건 이후 전두환은 유창순을 대신하여[6] 1982년 6월 25일 김상협을 국무총리로 임명하였다.[7] 1983년 10월 14일, 김상협의 후임으로 김일청이 국무총리가 되었다.[8]2. 5. 사망
金相浹중국어은 1995년 심장마비로 서울 자택에서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그는 1920년 4월 20일에 태어났으며[5], 사망 원인은 심장질환이었다.3. 상훈
- 1971년 2월 - 서울 경복고등학교 명예 졸업장
- 1979년 12월 21일 - 연암문화재단 감사패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년도 |
---|---|---|
부인 | 김인숙(金仁淑) | 1924년 |
자녀는 1남 3녀를 두었다. |
5. 기타 활동
金相浹|김상협일본어은 1985년부터 1991년까지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역임하였다.[4] 1979년 12월 21일 연암문화재단 감사패를 수상했다. 1983년 9월 23일 서울 어린이대공원에서 열린 고하 송진우 동상 제막식에 참석하였고,[8] 1985년 1월 17일 연세대학교 강당에서 열린 백낙준 추모 예배에 참석하였다. 1994년 고하 송진우 기념사업회 출범과 동시에 기념사업회 이사로 선임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World Factbook
https://books.googl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83
[2]
웹사이트
Sorrow Outweighs Joy as Koreans End Their Visits
https://www.latimes.[...]
1985-09-24
[3]
웹사이트
New president of Korea National Red Cross and sister Grace
https://www.donga.co[...]
[4]
뉴스
Kim Sang Hyup; South Korean Educator, 74
https://www.nytimes.[...]
1995-03-01
[5]
웹사이트
Deceased Members
https://www.nas.go.k[...]
[6]
웹사이트
NATIONAL INTELLIGENCE DAILY (CABLE) 25 JUNE 1982
https://www.cia.gov/[...]
[7]
웹사이트
South Korea (1948–present)
https://uca.edu/poli[...]
[8]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1984–85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