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규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김승규는 여러 명이 존재하며, 질문에서 지칭하는 김승규는 조선 전기의 문신입니다. 다음은 조선시대 김승규에 대한 정보입니다.
김승규 (金承珪, 1416년 ~ 1453년 11월 10일)
- 본관: 순천 (順天)
- 호: 승남(昇南), 산남(山南)
- 가족 관계:
- 아버지: 김종서 (金宗瑞,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명장)
- 부인: 서산 류씨 (류쟁(柳諍)의 딸)
- 주요 이력:
- 1447년: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 1449년: 형조정랑(刑曹正郞), 호군(護軍)
- 1452년: 사복소윤(司僕少尹)
- 1453년: 수전농시윤(守典農寺尹), 전농윤(典農尹), 지형조사(知刑曹事), 병조참의(兵曹參議)
- 의주성 축조 감독 (1450년, 1452년)
- 사망: 1453년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아버지 김종서가 수양대군(세조) 측에 의해 살해당할 때, 아버지를 보호하려다 함께 죽임을 당했습니다.
- 사후:
- 1747년(영조 23): 정려(旌閭) 건립 (충신, 효자 등을 기리기 위해 세우는 붉은 문)
- 1791년(정조 15): 김종서와 함께 장릉(莊陵) 배식단에 배향
김승규는 김종서의 장남으로, 아버지와 함께 단종을 보위하려다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습니다. 그의 충절은 후대에 높이 평가되어 정려가 내려지고, 아버지와 함께 장릉에 배향되었습니다. 김종서 가문은 계유정난으로 인해 멸문지화를 당했지만, 숙종 대에 이르러 신원되었습니다. 김승규와 김종서의 묘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있으며, 관련 유적들이 남아 있습니다.
김승규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승규 |
원어명 | 金承珪 |
출생일 | ? |
사망일 | 1453년 11월 10일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에서 계유정난 사건으로 암살됨) |
본관 | 순천(順天) |
정당 | 무소속 |
직책 | 조선국 성균관 예하 강독관 (朝鮮國 成均館 隸下 講讀官) |
군주 | 조선 세종대왕 이도 |
섭정 | 왕세자 이향 |
종교 | 유교(성리학) |
가족 관계 | |
부모 | 김종서(부), 파평 윤씨 부인(모) |
친인척 | 김추(할아버지) 윤원부(외할아버지) 김태영(증조할아버지) 김종한(큰아버지) 김종흥(작은아버지) 김중남(동복 조카) 김효달(동복 조카) |
형제 | 김승벽(동복 아우) 김승유(동복 아우) 김목대(이복 아우) 김석대(이복 아우) |
배우자 | 내은비 |
자녀 | 김조동(장남) 김수동(차남) 김행남(3남) |
경력 | |
임기 | 1447년 2월 23일 ~ 1449년 2월 23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