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종일 (육상 선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종일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로, 1982년 뉴델리 아시안 게임 멀리뛰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한국 육상 선수 최초로 올림픽 결선에 진출하여 8위를 기록했다.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다시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 게임 2연패를 달성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지도자 및 학자로서 활동하며, 캘빈 칼리지에서 코치로 재직하며 NCAA 올해의 코치로 선정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남자 멀리뛰기 선수 - 서영주 (육상 선수)
  • 대한민국의 남자 멀리뛰기 선수 - 김덕현 (육상 선수)
    김덕현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로, 멀리뛰기와 세단뛰기에서 활약하며 아시안 게임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고, 유니버시아드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한국 신기록을 여러 차례 세웠다.
  • 대한민국의 남자 단거리달리기 선수 - 장재근
    장재근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로, 1982년과 1986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올림픽에도 출전했으며 은퇴 후 광고 모델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남자 단거리달리기 선수 - 서말구
    서말구는 1955년 울산 출생으로 육상 선수와 야구 코치로 활동했으며, 1978년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1979년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100m 대한민국 기록을 세웠으며, 롯데 자이언츠 코치로도 활동하다 2015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1982년 아시안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장재근
    장재근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로, 1982년과 1986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올림픽에도 출전했으며 은퇴 후 광고 모델로 활동했다.
  • 1982년 아시안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무로후시 시게노부
    무로후시 시게노부는 "아시아의 철인"으로 불리며 아시안 게임 5연패와 일본 육상 선수권 대회 10연패 등의 업적을 남긴 일본의 해머던지기 선수이자 지도자로, 은퇴 후 주쿄 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아들 무로후시 고지를 비롯한 후진을 양성하고 "쓰러짐" 투척폼 개발로 올림픽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김종일 (육상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올림픽 오륜기
올림픽 오륜기
이름김종일
한글 이름김종일
한자 이름金鍾鎰
로마자 표기Gim Jong-il
출생1962년 9월 11일
출생지대한민국 충청북도 진천군
신장178cm
몸무게70kg
종목육상
세부 종목멀리뛰기, 트랙 단거리
최고 기록멀리뛰기 8.00m (1988년)
선수 경력
코치알려지지 않음
은퇴은퇴함
수상 내역
아시안 게임1982 뉴델리 멀리뛰기 금메달
1986 서울 멀리뛰기 금메달
1986 서울 4x100m 계주 동메달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1981 도쿄 4×100m 계주 동메달
1983 쿠웨이트 시티 4×100m 계주 동메달

2. 선수 경력

김종일은 1962년 9월 11일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태어났다.[2] 1979년 육상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3]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1982년 뉴델리 아시안 게임과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남자 멀리뛰기에서 연달아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 게임 2연패를 달성했다.[4] 또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는 한국 육상 선수 최초로 올림픽 결선에 진출하여 8위를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3][5]

1988년 8월에는 개인 최고 기록인 8m를 세웠으며,[6] 같은 해 서울 올림픽에도 참가했다.[7] 이후 1989년 IAAF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와[2]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는 등[3] 국제 무대에서 꾸준히 활동했다.

2. 1. 초기 선수 경력 (1979년 ~ 1982년)

김종일은 1962년 9월 11일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태어났다.[2] 1979년 육상 국가대표팀에 합류했으며,[3] 1982년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1982년 아시안 게임 멀리뛰기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 처음으로 이름을 알렸다. 당시 그의 기록은 7.94m로, 이는 1974년 테헤란 아시안 게임에서 인도의 T.C. 요한난이 세운 8.07m에 이어 아시안 게임 역사상 두 번째로 좋은 기록이었다. 김종일은 이 대회에서 2위를 차지한 중국의 류위황을 5cm 차이로, 3위를 차지한 일본의 우수이 준이치를 7cm 차이로 따돌리고 우승했다.[4]

2. 2. 아시안 게임 2연패와 국제 무대 진출 (1982년 ~ 1986년)

1982년 뉴델리에서 열린 1982년 아시안 게임 멀리뛰기 종목에 출전하여 7.94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 처음으로 이름을 알렸다. 이는 1974년 테헤란 아시안 게임에서 인도의 T.C. 요한난이 세운 8.07m에 이어 아시안 게임 역사상 두 번째로 좋은 기록이었다. 김종일은 2위인 중국의 류위황을 5cm 차이로, 3위인 일본의 우수이 준이치를 7cm 차이로 따돌렸다.[4]

2년 뒤인 1984년,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198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멀리뛰기 예선에서 결선 진출 기준인 상위 12위 또는 최소 7.9m 기록을 넘어야 했다. 김종일은 첫 시기는 파울이었고, 두 번째 시기에서는 2.5m/s의 맞바람 속에서 7.67m를 기록하여 결선 진출이 불투명했다. 그러나 마지막 세 번째 시기에서 7.87m를 뛰어 전체 9위로 결선에 진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같은 아시아 경쟁자인 우수이 준이치(8.02m)와 류위황(7.83m)과 함께 이룬 성과였다.[5] 결선에서는 첫 시기 7.76m, 두 번째 시기 7.81m를 기록했다. 두 번째 기록으로 8위에 올라 상위 8명에게 주어지는 세 번의 추가 시기 기회를 얻었다. 하지만 이후 7.77m, 7.59m를 기록하고 두 번의 파울을 범하며 최종 8위로 대회를 마감했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종일은 한국 육상 선수 최초로 올림픽 결선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3]

1985년 1월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회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7.31m로 11위를 기록했다.[2] 이 대회 참가 불과 4일 전에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대회에서 7.84m를 기록하기도 했다.[2]

1986년에는 안방인 서울에서 열린 1986년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여 대회 2연패에 도전했다. 김종일은 다시 한번 7.94m를 기록하며 일본의 우수이 준이치를 2cm 차이로, 중국의 천준롱을 14cm 차이로 제치고 금메달을 목에 걸며 아시안 게임 2연패를 달성했다.[4] 또한, 이 대회 4 x 100미터 릴레이 종목에도 대한민국 대표팀의 일원으로 출전하여 동메달을 추가했다.[3] 1986년부터 1987년까지는 미국의 휴스턴 대학교 육상팀인 휴스턴 쿠거스에서 훈련하며 기량 향상을 도모했다.[3]

2. 3. 미국 유학과 선수 생활 후반기 (1987년 ~ 1990년)

1986년부터 1987년까지 미국으로 건너가 휴스턴 대학교의 지도를 받으며 휴스턴 쿠거스 소속으로 훈련했다.[3]

1988년 8월, 서울에서 열린 올림픽 전 대회에서 8m를 뛰며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6] 그러나 한 달 뒤 같은 도시에서 열린 1988년 서울 올림픽 멀리뛰기 종목에서는 예선에서 7.36m, 7.68m, 7.7m를 기록하는 데 그쳐 전체 16위로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7] 당시 결선 진출 마지막 순위의 기록은 7.77m였으며, 아시아 선수 중에서는 중국의 팡얀만이 유일하게 결선에 진출했다. 천준롱, 우수이 준이치 등 다른 아시아 경쟁자들과 더불어, 훗날 1996년 하계 올림픽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게 되는 캐나다의 브루니 수린과 글렌로이 길버트 역시 예선에서 탈락했다.[7]

이후 1989년 IAAF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2] 그의 마지막 주요 국제 대회 출전은 베이징에서 열린 1990년 아시안 게임이었으며, 이 대회 멀리뛰기에서 4위를 기록했다.[3]

3. 지도자 및 학자 경력

김종일은 1986년 동아대학교에서 체육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1993년 워싱턴 주립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6년에는 박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워싱턴 주립 대학교에 남았다. 1997-98 학년도에 김종일은 캘빈 칼리지에서 건강, 체육, 레크리에이션, 무용 및 스포츠 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남자 육상팀의 수석 코치를 겸임했다. 2002년에는 여자팀의 수석 코치직도 맡았다. 김종일은 2010 시즌 이후 육상 코치직에서 물러났다.

그의 코치로서의 영예로는 2002년과 2003년 NCAA 디비전 III 올해의 여자 코치로 선정된 것이 있다. 2003년에는 올해의 남자 코치로도 선정되었으며, 그는 같은 해에 두 상을 모두 수상한 최초의 코치였다.[3]

4. 주요 대회 기록

(내용 없음)

4. 1. 국제 대회

김종일은 1979년 육상 국가대표팀에 합류했으며,[3] 1982년 뉴델리에서 열린 1982년 아시안 게임 멀리뛰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렸다. 그는 7.94m를 기록하여 1974년 테헤란 아시안 게임에서 인도의 T.C. 요한난이 세운 8.07m에 이어 아시안 게임 역대 두 번째 기록을 세웠다. 당시 2위였던 중국의 류위황과는 5cm, 3위 일본의 우수이 준이치와는 7cm 차이였다.[4]

2년 후, 김종일은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8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멀리뛰기 예선에서 결선에 진출하려면 상위 12위 안에 들거나 최소 7.9m를 기록해야 했다. 첫 시기는 파울이었고, 두 번째 시기에서는 2.5m/s의 맞바람 속에서 7.67m를 기록하여 결선 진출에는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마지막 시기에서 7.87m를 뛰어 전체 9위로 결선에 진출했다. 아시아 선수로는 우수이 준이치(8.02m)와 류위황(7.83m)도 함께 결선에 올랐다.[5] 결선에서는 첫 시기 7.76m, 두 번째 시기 7.81m를 기록했다. 두 번째 시기 기록(7.81m)으로 8위에 해당하여 세 번의 추가 시기 기회를 얻었으나, 이후 기록을 향상시키지 못하고 7.77m, 7.59m 기록과 두 번의 파울로 최종 8위에 머물렀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한국 육상 선수 최초로 올림픽 결선에 진출했다.[3]

1985년 1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회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7.31m로 11위를 기록했다.[2] 이는 불과 4일 전 오사카 국제 실내 대회에서 기록한 7.84m에는 미치지 못했다.[2] 1986년에는 고국 서울에서 열린 1986년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여 아시안 게임 2연패에 도전했다. 김종일은 1982년 대회와 같은 7.94m를 기록하며 우수이 준이치를 2cm 차이로, 중국의 천준롱을 14cm 차이로 따돌리고 금메달을 획득했다.[4] 또한 대한민국 4 x 100미터 릴레이 대표팀의 일원으로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3] 1986년부터 1987년까지는 미국 휴스턴 대학교의 지도 아래 휴스턴 쿠거스에서 훈련하기 위해 미국에 거주했다.[3]

1988년 8월, 김종일은 서울에서 열린 올림픽 전 대회에서 8m를 뛰며 개인 최고 기록을 세웠다.[6] 다음 달 같은 도시에서 올림픽이 열렸다. 김종일은 다시 한 번 멀리뛰기에 출전했다. 7.36m, 7.68m, 7.7m의 기록으로 그는 전체 16위를 기록하여 이번에는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7] 결선 진출 마지막 순위의 기록은 7.77m였고, 결선에 진출한 아시아 선수는 중국의 팡얀이 유일했다. 천준롱, 우수이 준이치(세 번의 파울), 그리고 릴레이에서 1996년 하계 올림픽 챔피언이 되는 캐나다의 브루니 수린과 글렌로이 길버트 등도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7]

그 후 김종일은 1989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으나 예선 15위(7.53m)에 그쳤다.[2] 그의 마지막 주요 국제 대회는 베이징에서 열린 1990년 아시안 게임이었고, 이 대회 멀리뛰기에서 4위를 기록했다.[3]
주요 국제 대회 성적

연도대회명종목결과 (기록)
1981아시아 선수권 대회멀리뛰기5위 (7.43m)
1981멕시코시티 국제 주니어 육상 대회멀리뛰기1위 (7.98m)
1981서울 국제 주니어 육상 대회멀리뛰기1위 (7.63m)
1981요코하마 국제 주니어 친선 육상 대회멀리뛰기1위 (7.8m)
1982세계 대학 선수권 대회멀리뛰기3위 (7.65m)
19821982년 아시안 게임멀리뛰기금메달 (7.94m)
1983198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멀리뛰기7위 (7.62m)
19841984년 하계 올림픽멀리뛰기8위 (7.81m)
1984올림픽 주경기장 개장 기념 국제 육상 대회멀리뛰기2위 (7.78m)
1985오사카 국제 실내 육상 대회멀리뛰기3위 (7.84m)
19851985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멀리뛰기11위 (7.31m)
1985198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멀리뛰기예선 11위 (7.39m)
1985서울 국제 육상 대회멀리뛰기1위 (7.89m)
19861986년 아시안 게임멀리뛰기금메달 (7.94m)
19861986년 아시안 게임4 x 100m 릴레이동메달
1987요미우리 국제 실내 육상 대회멀리뛰기3위 (7.56m)
1987아시아 선수권 대회멀리뛰기5위 (7.76m)
19881988년 하계 올림픽멀리뛰기예선 16위 (7.7m)
19891989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멀리뛰기예선 15위 (7.53m)
19901990년 아시안 게임멀리뛰기4위


참조

[1] 웹사이트 "국제J육상 金鍾鎰 한국신으로「金」"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81-06-13
[2] World Athletics PAGENAMEBASE 2008-12-30
[3] 웹사이트 Meet Dr. Jong-il Kim http://www.calvin.ed[...] Calvin College 2008-12-30
[4] GBR Athletics Asian Games http://www.gbrathlet[...] 2008-12-30
[5] Sports Reference Athletics at the 1984 Los Angeles Summer Games: Men's Long Jump https://web.archive.[...] 2008-12-30
[6] 문서 World men's all-time best long jump (last updated 2001) http://hem.bredband.[...] 2008-12-30
[7] Sports Reference Athletics at the 1988 Seoul Summer Games: Men's Long Jump https://web.archive.[...] 2008-12-30
[8] 뉴스 국제J육상 金鍾鎰 한국신으로「金」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1-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