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천군은 충청북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고구려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어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겪었다. 현재는 2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부고속도로와 평택제천고속도로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다. 과거 농업 중심 지역이었으나, 수도권 규제 완화 및 충북혁신도시 개발의 영향으로 공업 도시로 변화하고 있으며, 동서식품, CJ제일제당 등 대기업들이 입주해 있다. 주요 문화 유적으로는 용화사, 배티성지가 있으며, 진천 종박물관, 초평호 등 다양한 관광 자원도 보유하고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우석대학교 진천캠퍼스, 여러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으며, 서울 성동구, 강동구, 미국 캘리포니아주 발레호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천군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정보통신산업 정책 연구 및 수립 지원, 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유통시장 활성화, 정보통신기술 융합 및 활용, 국제 교류 및 해외 진출 지원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기관으로, 2009년 3개 기관 통합으로 설립되어 충청북도 진천군에 위치하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를 부설기관으로 두고 있다. - 진천군 - 원녕태자
원녕태자는 고려 태조의 아들로, 광종 시기 숙청에 연루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경종 즉위 후 살해되었고, KBS 드라마 《제국의 아침》에 등장한다. - 충청북도의 군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충청북도의 군 - 괴산군
괴산군은 충청북도 중앙 만곡부에 위치한 산지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현재의 모습이 갖춰졌으며,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의 산업과 유기농 농업이 발달했고, 괴산 올갱이 축제와 산막이옛길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진천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진천군 |
고유 이름 | 진천군 |
로마자 표기 | Jincheon-gun |
한글 | 진천군 |
한자 | 鎭川郡 |
맥큔-라이샤워 표기 | Chinch'ŏn-gun |
지역 | 호서 |
방언 | 충청 방언 |
국가 | 대한민국 |
행정 구역 종류 | 군 |
면적 | 407.38 km² |
인구 | 86,742명 |
인구 밀도 | 150.1 명/km²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2 읍, 5 면 |
정치 | |
군수 | 송기섭 |
군수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임호선 (더불어민주당, 증평군·진천군·음성군) |
상징 | |
군목 | 은행나무 |
군화 | 장미 |
군조 | 까치 |
![]() | |
![]() | |
기타 | |
공식 웹사이트 | 진천군청 |
2. 역사
진천군은 오랜 역사를 가진 지역으로, 시대에 따라 다양한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고구려 시대에는 금물노군(今勿奴郡) 등으로 불렸고, 신라를 거쳐 고려 시대에는 진주(鎭州) 등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청주에 속하기도 하였다. 고종 때에는 창의현(彰義縣)으로 바꾸고 현령을 두었다가 원종 때 의령(義寧)이라 하였다.[9]
조선 시대에는 상산(常山)으로 불리다가 진천 감무(監務)로 바뀌었고,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진천이라는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연산군 때 경기도로 편입되었다가 조선 중종 때 충청도로 다시 돌아왔다.[9]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충주부 진천군으로 개편되었고,[10]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진천군으로 개편되었다.[11] 1914년 4월 1일에는 7개면(진천면, 덕산면, 이월면, 초평면, 만승면, 문백면, 백곡면)으로 개편되었으며, 경기도 죽산군 일부가 만승면에 편입되었다.[12] 1917년 10월 1일 군중면을 진천면으로 개칭하였다. 1930년 3월 1일 진천면 명암리·사송리가 백곡면에, 태락리가 문백면에, 덕산면 삼덕리가 진천면에, 덕산면 오갑리·문백면 연담리가 초평면에 편입되었다. 1945년 4월 1일 청주군 북이면 4개 리(용기리, 용산리, 진암리, 은암리)를 초평면으로 편입하였다.[13]
1973년 7월 1일 진천면이 진천읍으로 승격되었고,[14] 1983년 2월 15일 읍, 면간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다.[15] 2000년 1월 1일 만승면을 광혜원면으로 개칭하였다.[16] 2014년 8월 16일 충북혁신도시 건설로 음성군 맹동면 일부가 진천군으로, 진천군 덕산면 일부가 음성군으로 편입되었다.[17] 2019년 7월 1일 덕산면에서 덕산읍으로 승격되었다. 2019년 12월 10일 덕산읍혁신도시출장소 설치되었고, 2020년 10월 30일 문백면 구곡리를 구산동리로 개칭하였다.
2. 1. 고대
고구려 시대에 진천은 금물노군(今勿奴郡)으로 불렸으며, 만노군(萬弩郡), 수지(首知), 신지(新知)라고도 하였다.[9] 신라 시대에는 흑양군(黑壤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다시 황양군(黃壤郡)으로 변경되었다.[9] 고려 초에는 강주(降州)로 불렸다가 진주(鎭州)로 개칭되었고, 성종 때 자사(刺使)를 두었다가 목종 때 폐지되었으며, 현종 때에는 청주에 속하였다.[9] 고종 때에는 창의현(彰義縣)으로 바꾸고 현령을 두었다가 원종 때 의령(義寧)이라 하였다.[9]2. 2.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 진천은 상산(常山)으로 불렸다가 진천 감무(監務)로 바뀌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진천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연산군 11년(1505년) 경기도에 속했다가 조선 중종 초에 다시 충청도로 환원되었다.[9]2. 3. 근현대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충주부 진천군으로 개편하였다.[10]
-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진천군으로 개편하였다.[11]
- 1914년 4월 1일 7개면(진천면, 덕산면, 이월면, 초평면, 만승면, 문백면, 백곡면)으로 개편, 경기도 죽산군 일부를 만승면에 편입하였다.[12]
- 1917년 10월 1일 군중면을 진천면으로 개칭하였다.
- 1930년 3월 1일 진천면 명암리·사송리가 백곡면에, 태락리가 문백면에, 덕산면 삼덕리가 진천면에, 덕산면 오갑리·문백면 연담리가 초평면에 편입되었다.
- 1945년 4월 1일 청주군 북이면 4개 리(용기리, 용산리, 진암리, 은암리)를 초평면으로 편입하였다.[13]
- 1973년 7월 1일 진천면이 진천읍으로 승격되었다.[14] (1읍 6면)
- 1983년 2월 15일 읍, 면간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다.[15]
- 덕산면·이월면의 각 일부가 진천읍에 편입되었다.
- 덕산면의 일부가 초평면에 편입되었다.
- 만승면의 일부가 이월면에 편입되었다.
- 2000년 1월 1일 만승면을 광혜원면으로 개칭하였다.[16]
- 2014년 8월 16일 충북혁신도시 건설로 음성군 맹동면 일부가 진천군으로, 진천군 덕산면 일부가 음성군으로 편입되었다.[17]
- 2019년 7월 1일 덕산면에서 덕산읍으로 승격되었다.
- 2019년 12월 10일 덕산읍 혁신도시출장소 설치되었다.
- 2020년 10월 30일 문백면 구곡리를 구산동리로 개칭하였다.
3. 지리
진천군은 충청북도 서북부에 위치하며, 중부고속도로가 관통하는 농업 중심의 내륙 지역이다. 동쪽으로 음성군, 증평군, 서쪽으로 충청남도 천안시, 남쪽으로 청주시, 북쪽으로 안성시와 경계를 접한다. '생거진천'이라는 유래처럼 차령산맥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어 산악 지형이 많고, 동북부에는 금강 상류인 미호강이 광혜원면과 백곡면에서 발원하여 남쪽의 넓은 평야 지대를 흐르며 비옥한 곡창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3. 1. 위치 및 지형
진천군은 충청북도 중부에 위치하며 서북부는 중부고속도로가 관통하는 농업 중심의 내륙 지역이다. 동쪽으로는 음성군과 증평군, 서쪽으로는 충청남도 천안시, 남쪽으로는 청주시, 북쪽으로는 안성시와 경계를 이룬다. '생거진천'이라는 말처럼 차령산맥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어 산악 지형이 많고, 동북부에는 금강 상류인 미호강이 광혜원면과 백곡면에서 발원하여 남쪽의 넓은 평야 지대를 흐르며 비옥한 곡창지대를 형성한다. 경기도와도 인접해 있으며, 남서쪽은 산악 지형의 특징을 보인다.4. 행정 구역
진천군은 2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407.23km2이다. 1965년 88,782명이던 인구는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여 2019년 10월 말 기준 36,955세대, 80,942명이며, 이 중 46.2%가 진천읍에 거주한다.[18]
읍면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
진천읍 | 鎭川邑 | 78km2 | 13,450 | 30,165 |
덕산읍 | 德山邑 | 35.26km2 | 10,682 | 24,993 |
초평면 | 草坪面 | 76.28km2 | 1,653 | 3,259 |
문백면 | 文白面 | 59.88km2 | 1,902 | 3,622 |
백곡면 | 栢谷面 | 80.09km2 | 1,180 | 2,085 |
이월면 | 梨月面 | 55.21km2 | 3,266 | 6,331 |
광혜원면 | 廣惠院面 | 29.87km2 | 5,210 | 10,770 |
진천군 | 鎭川郡 | 407.23km2 | 37,343 | 81,225 |
4. 1. 행정 구역 현황
진천군의 행정 구역은 2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천군의 면적은 407.23km2이다. 1965년에는 인구가 88,782명이었으나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여 2013년 10월 말 기준으로 27,584세대, 68,056명이었다. 그 중 46.2%가 진천읍에 거주한다.[18] 2019년 10월 말 기준으로는 36,955세대, 80,942명이다.읍면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
진천읍 | 鎭川邑 | 78km2 | 13,450 | 30,165 |
덕산읍 | 德山邑 | 35.26km2 | 10,682 | 24,993 |
초평면 | 草坪面 | 76.28km2 | 1,653 | 3,259 |
문백면 | 文白面 | 59.88km2 | 1,902 | 3,622 |
백곡면 | 栢谷面 | 80.09km2 | 1,180 | 2,085 |
이월면 | 梨月面 | 55.21km2 | 3,266 | 6,331 |
광혜원면 | 廣惠院面 | 29.87km2 | 5,210 | 10,770 |
진천군 | 鎭川郡 | 407.23km2 | 37,343 | 81,225 |
4. 2. 행정 지도
진천군의 행정 구역은 2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천군의 면적은 407.23km2이다. 인구는 1965년에는 88,782명이었으나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여 2013년 10월 말 기준으로 27,584세대, 68,056명이었다. 그 중 46.2%가 진천읍에 거주한다.[18] 2019년 10월 말 기준으로 36,955세대, 80,942명이다.읍면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
진천읍 | 鎭川邑 | 78km2 | 13,450 | 30,165 |
덕산읍 | 德山邑 | 35.26km2 | 10,682 | 24,993 |
초평면 | 草坪面 | 76.28km2 | 1,653 | 3,259 |
문백면 | 文白面 | 59.88km2 | 1,902 | 3,622 |
백곡면 | 栢谷面 | 80.09km2 | 1,180 | 2,085 |
이월면 | 梨月面 | 55.21km2 | 3,266 | 6,331 |
광혜원면 | 廣惠院面 | 29.87km2 | 5,210 | 10,770 |
진천군 | 鎭川郡 | 407.23km2 | 37,343 | 81,225 |
5. 군청
진천군청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진천군의 행정 업무를 총괄한다. 진천군수는 진천군수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진천군청의 최고 책임자이다.[1]
5. 1. 군청 위치
현재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에 진천군청이 위치하고 있다.6. 교통
중부고속도로와 평택제천고속도로가 진천군을 통과하며, 진천 나들목(중부고속도로)과 북진천 나들목(평택제천고속도로)을 통해 서울 등 수도권, 대전, 청주 등으로 연결된다.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4호선이 진천군을 교차 통과한다.[1]
6. 1. 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가 군 중앙을 통과하며 진천 나들목을 통하여 서울 등 수도권과 대전, 청주로 연결된다. 서울까지 약 1시간, 대전까지 약 40분 소요된다.2009년 평택제천고속도로가 개통되고 이월면에 북진천 나들목이 생겨나 서울 및 수도권으로의 이동이 편리해졌다.
6. 2. 국도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4호선이 진천군을 교차 통과한다.7. 문화·관광
진천군의 주요 문화·관광지로는 통일신라시대 사찰인 용화사, 조선 후기 천주교 순교 성지인 배티성지,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등의 종교 유적이 있다. 또한, 한국의 종을 전시하는 진천 종박물관, 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 포석 조명희 문학관 등의 문화시설과 초평호, 고려 초기에 건설된 농교와 같은 자연 관광지가 있다.[4][5][19]
7. 1. 종교 유적
- '''용화사'''
용화사는 통일신라시대 사찰로 신라 성덕왕 19년에 만들어진 숭덕불상을 모시기 위해 처음에는 미륵불당으로 세워졌다. 조선시대에 와서 숭유척불 정책으로 불교를 배척할 때 절은 없어지고 이 석불만 외롭게 서 있다가 1959년에 한자심에 의해 법당, 요사채를 각 세 칸씩 짓고 1965년에 법당을 중수하고 용화사라 이름 지었다.[19]
- '''배티성지'''
진천군 백곡면 양백리 노고산 아래 위치한 배티성지는 조선 후기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받아 순교한 곳이다. 1870년부터 다시 신앙이 싹터 1884년에는 선교사들이 진천에 배티, 삼박골, 용진골, 새울, 굴티 등 다섯 곳에 공소를 설정하게 되었으며 1890년에는 배티공소에 "교리학교"가 세워지기도 했다. 순교자의 종교정신을 기리고 기도하는 장소와 피정의 집으로 활용되었으나 십자가와 묵주만이 남아 천주교 박해의 정도를 가늠케한다. 일제강점기에 신자들이 하나, 둘 떠나 현재 이곳 배티에는 신자들이 생업을 영위하던 옹기점과 무명순교자의 묘만이 남아있다. 동네 어귀에 배나무가 많은 배나무 고개라서 '이치'란 말이 생겨났고 이것이 순수한 우리말로 '배티'라 불리게 되었다는 설과 조선 영조 때 이인좌의 난 때 백곡을 지나다 이 마을 노인 이순곤이 이끄는 주민에게 패한 뒤 다시 안성쪽으로 향하다 오명황이 이끄는 관군에게 진압되어 패전하였다는데서 '패치'라 불리다 바뀌었다는 설이다.
7. 2. 박물관 및 문화시설
진천 종박물관은 2005년 9월에 개관하여 한국의 종과 그 예술적 가치를 알리고, 전시 기획 및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세계적인 인정을 받았다. 박물관은 종의 연구, 수집, 전시 및 보존에도 힘쓰고 있다.[4]진천군립 생거판화미술관과 포석 조명희 문학관이 있다.
7. 3. 자연 관광지
; 초평호; 진천 농교
문백면 구곡리 굴티 마을 앞 세금천에 있는 '농교'라 불리는 이 돌다리는 상산지(1932) 기록에 따르면 고려 초기 임 장군이 건설했다고 한다.[5]
8. 경제
진천군은 음성군과 함께 충청북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 수도권 규제로 인한 반사이익을 얻는 곳으로, 충청남도에 천안과 아산이 있다면 충청북도에는 음성과 진천이 있다. 과거에는 농업 중심 지역이었지만, 수도권과의 접근성과 충북혁신도시의 영향으로 산업단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농업은 2018년 8월 기준으로 이 지역의 주요 산업으로 성장하여, 두 번째로 성공적인 산업에서 1위를 차지했다.[3] 현대오토넷은 2008년 2월부터 진천에 이전한 공장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한국의 한 마을에서 ''오징어 게임'' 인형이 발견되기도 했다.
8. 1. 산업 현황
음성과 함께 충북에서 가장 성장이 빠른 지역이다. 수도권 규제의 반사이익을 얻은 곳으로, 충청남도에 천안과 아산이 있다면 충청북도에는 음성과 진천이 있다. 원래 농업이 중심인 동네이지만, 수도권과 가깝다는 장점과 충북혁신도시 버프를 받아 산업단지 개발이 활발하여 현재 동서식품, CJ제일제당, 동원F&B, CJ푸드빌, 현대모비스, 팔도, 한화솔루션 큐셀사업부가 입주해 있으며, 점차 공업 중심의 도시로 점점 변하고 있다. 2022년 1월에는 롯데글로벌로지스의 메가허브 터미널이 초평면에 준공되어 옥천, 대전, 곤지암과 함께 택배 거점도시가 되었다. 한때 특산품은 쌀, 장미, 관상어였다. 그러나 쌀을 제외하고 시장 변화로 대부분 사양길이다. 쌀의 경우도 워낙 흔한 작물이라 특산물이라고 하기도 그렇다. 현재 경제성의 이유로 쌀 생산량은 점점 줄고 있으며 비닐하우스 같은 시설 농업이 늘어가는 추세이다. 전국에서 생산하는 숯의 70%를 진천군, 특히 백곡면에서 생산하고 있다. 그래서 백곡면에서는 매년 참숯마실축제를 열기도 한다.[3]8. 2. 주요 기업 및 산업단지
동서식품, CJ제일제당,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여러 주요 기업들이 충북혁신도시와 수도권 인접성이라는 이점을 바탕으로 진천군에 입주하면서, 진천군은 점차 공업 중심 도시로 변화하고 있다.[3] 2022년 1월에는 롯데글로벌로지스 메가허브 터미널이 초평면에 준공되어 옥천군, 대전, 곤지암과 더불어 택배 거점 도시로 부상하였다.한때 쌀, 장미, 관상어가 특산품이었으나, 쌀을 제외하고는 시장 변화에 따라 대부분 사양길에 접어들었다. 쌀 또한 흔한 작물이 되면서 특산물로서의 의미는 퇴색되었다. 현재는 경제적인 이유로 쌀 생산량이 감소하고 시설 농업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백곡면은 전국 숯 생산량의 70%를 담당하며, 매년 참숯마실축제를 개최한다.
8. 3. 특산물
과거 진천군의 특산물은 쌀, 장미, 관상어였으나, 시장 변화로 쌀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양길에 접어들었다. 쌀 또한 흔한 작물이 되어 특산물로서의 의미가 약해졌고, 현재는 쌀 생산량이 줄고 시설 농업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현재 진천군은 전국 숯 생산량의 70%를 생산하고 있으며, 특히 백곡면에서 많이 생산한다. 백곡면에서는 매년 참숯마실축제가 열린다.[3]9. 교육
진천군에는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대학교로는 우석대학교 진천캠퍼스가 있고, 고등학교는 진천고등학교, 광혜원고등학교, 서전고등학교, 한국바이오마이스터고등학교, 진천상업고등학교, 충북체육고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는 진천중학교, 이월중학교, 광혜원중학교, 덕산중학교, 진천여자중학교, 서전중학교가 있으며, 초등학교는 진천삼수초등학교, 진천상산초등학교, 성암초등학교, 이월초등학교, 학성초등학교, 진천상신초등학교, 금구초등학교, 옥동초등학교, 한천초등학교, 초평초등학교, 구정초등학교, 문백초등학교, 문상초등학교, 백곡초등학교, 만승초등학교가 있다.
9. 1. 대학교
우석대학교 진천캠퍼스가 있다.9. 2. 고등학교
진천고등학교광혜원고등학교
서전고등학교
한국바이오마이스터고등학교 (구 진천농업고등학교)
진천상업고등학교
충북체육고등학교
9. 3. 중학교
진천중학교이월중학교
광혜원중학교
덕산중학교
진천여자중학교
서전중학교
9. 4. 초등학교
10. 자매 도시
진천군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6]
10. 1. 국내 자매 도시
진천군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강동구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10. 2. 해외 자매 도시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6]참조
[1]
웹사이트
Jincheon County mayor
https://www.jincheon[...]
2024-01-01 # 날짜 형식을 YYYY-MM-DD로 변환. 일자가 없으므로 1일로 설정.
[2]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 날짜 형식을 YYYY-MM-DD로 변환. 일자가 없으므로 1일로 설정.
[3]
뉴스
현대오토넷, 이천공장 진천으로 이전
http://www.moneytoda[...]
MoneyToday
2008-01-23
[4]
웹사이트
The Bell museum opened in Jincheon
http://news.khan.co.[...]
[5]
웹사이트
'농다리'의 미스터리를 풀어보는 재미
http://news.naver.co[...]
2017-10-02
[6]
웹사이트
Vallejo Sister City
http://www.vallejosi[...]
2013-09-11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8]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9]
웹인용
진천군 소개
http://www.jincheon.[...]
2010-09-30
[10]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음력 날짜는 양력으로 변환하기 어려우므로 그대로 표기.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면 더 정확한 날짜를 제공할 수 있음.
[11]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2]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9호
[14]
법령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15]
법령
군조례 제776호
1983-02-07
[16]
법령
군조례 제1676호
1999-12-28
[17]
법령
대통령령 제25534호 충청북도 진천군과 음성군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2014-08-06
[18]
웹인용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2012-03-15
[19]
웹사이트
진천군 사찰
http://www.jincheon.[...]
2012-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