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좌근 고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좌근 고택은 조선 후기 문신 김좌근의 고택이다. 안동 김씨 세도 정치의 중심 인물이었던 김좌근의 집으로, 안채 1동과 별당 1동이 남아있다. 조선 후기 권문세가의 주택 양식을 잘 보여주어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경기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천시의 문화유산 - 이천 설봉산성
이천 설봉산성은 이천 설봉산에 위치한 삼국시대 산성으로, 약 3만 평의 고원지대에 흙으로 쌓은 포곡식 산성이며, 삼국시대 군사적 요충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이천시의 문화유산 - 망이산성
망이산성은 충청북도, 경기도, 이천시 경계의 마이산 정상에 축조된 산성으로, 백제, 통일신라, 고려 시대에 걸쳐 사용되었으며, 흙과 돌로 쌓은 내외성, 치성, 성문, 봉수대 등의 시설을 갖추고 각 시대별 축성 기술의 변화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 이천시의 건축물 - 베어스 파크
베어스 파크는 두산 베어스 2군 훈련장 및 홈 구장으로 사용되는 야구장이며, 2005년 이천에 건립되어 베어스 필드로 운영되다가 시설 개선 및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 이천시의 건축물 - 이천종합버스터미널
이천종합버스터미널은 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하여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을 통해 전국 각지로 연결되며, 시내버스 노선도 운행되어 이천 시내 및 인근 지역의 대중교통을 책임진다.
김좌근 고택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좌근 고택 |
한자 이름 | 金左根 古宅 |
위치 |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내촌리 222-14 |
지정 번호 | 경기도 민속문화재 12호 |
지정일 | 2003년 4월 21일 |
종류 | 민속문화재 |
수량 | 2동 |
2. 역사
김좌근(1797년~1869년)은 조선 후기 안동 김씨 세도 정치 시기의 인물이다. 영안부원군 김조순의 아들이자 순조의 왕비 순원왕후의 남동생으로, 영의정을 세 번 역임하는 등 순탄하게 벼슬을 했다.[2]
2. 1. 건립 배경
김좌근 고택은 산을 뒤에 두고 남향으로 자리 잡은 전통 한옥으로, 처음에는 99칸이었으나 현재는 담장과 행랑채가 없어지고 안채와 별채만 남아 있다. 이 집은 영의정 김좌근의 아들이며 고종 때 어영대장과 이조판서를 지낸 김병기가 1865년 부친의 묘지 관리를 겸한 별장용으로 지은 건물로 알려져 있다.[2]수십 년 전까지만 해도 복판에 높다란 솟을대문과 사랑채, 행랑채가 두 겹으로 안채를 싼 규모 있는 사대부집 전통 가옥의 모습을 온전하게 간직하고 있었다. 그러나 후손들이 덩치가 큰 건물을 관리하기가 어렵다는 이유로 당시 신흥 재벌에 건물을 팔아 넘겼다.[3] 사랑채와 행랑채를 뜯어 옮기던 도중 회사가 부도로 건물 이전이 중단되어 2009년 서울대학교가 인수하였고, 서울대 측에서 복원 계획을 세워 그나마 현재의 모습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4]
2. 2. 구조 변화
김좌근 고택은 원래 99칸 규모의 전통 한옥이었으나, 현재는 담장과 행랑채가 없어지고 안채와 별채만 남아 있다.[2] 이 집은 영의정 김좌근의 아들이며 고종 때 어영대장과 이조판서를 지낸 김병기가 1865년 부친의 묘지 관리를 겸한 별장용으로 지은 건물로 알려져 있다.[2]수십 년 전까지만 해도 솟을대문, 사랑채, 행랑채가 안채를 둘러싼 규모 있는 사대부집 전통 가옥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후손들이 건물 관리가 어렵다는 이유로 건물을 매각했다.[3] 사랑채와 행랑채를 이전하던 중 회사가 부도나 이전이 중단되었고, 2009년 서울대학교가 인수하여 복원 계획을 세워 현재의 모습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4]
원래 구조는 대문과 중문을 지나 안채로 통하는 ㄷ자형 구조였고, 중문과 연결된 사랑채와 대문과 연결된 ㄱ자형 행랑채가 있었다. 현재는 안채와 별채가 서로 떨어져 있지만, 원래는 두 건물 사이에 건물이 있었고, 널마루로 짠 회랑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2]
회랑은 없어졌지만 별채 뒷면의 쪽마루는 온전하게 남아 있다. 이는 흙을 밟지 않고 안채와 별채 사이를 왕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는 서쪽부터 부엌, 다락, 3개의 방과 곳간으로 이루어진 팔작지붕의 일자형 건물이다. 부엌은 3칸 규모로, 문 왼쪽에 퇴, 오른쪽에 다락이 있다. 3개의 방 전면에는 3칸 정도의 대청마루가 있다.[2]
집 앞에는 연못을 파서 인공섬을 만들었는데, 주민들이 시멘트 구조물로 된 정자를 지어 휴식처로 사용하고 있다. 솟을 대문과 담장, 행랑채 등이 없어졌지만, 남아 있는 건물들은 조선 후기 권문세가의 가옥 구조를 잘 보여준다.[2]
2. 3. 원래 구조
김좌근 고택은 산을 뒤에 두고 남향으로 자리 잡은 전통 한옥으로, 원래는 99칸이었으나 현재는 담장과 행랑채가 없어지고 안채와 별채만 남아 있다. 원래 구조는 대문과 중문을 지나 안채로 통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안채는 ㄷ자형으로 중문과 연결된 사랑채가 있었으며, 바깥쪽은 대문과 연결된 행랑채가 ㄱ자형으로 둘러싸고 있었다.[2] 현재는 안채와 별채가 서로 떨어져 독립된 두 개의 건물로 되어 있지만, 원래는 두 건물 사이에도 가로막힌 건물이 있었고, 그 건물 뒤쪽에 널마루로 짠 회랑을 달아서 왕래하기 편하도록 서로 연결된 구조였다.[2]3. 건축 양식
김좌근 고택은 산을 뒤에 두고 남향으로 자리 잡은 전통 한옥이다. 원래는 99칸이었으나 현재는 담장과 행랑채가 없어지고 안채와 별채만 남아 있다. 원래 안채는 ㄷ자형으로 중문과 연결된 사랑채가 있었으며, 바깥쪽은 대문과 연결된 행랑채가 ㄱ자형으로 둘러싸고 있었다. 현재는 안채와 별채가 서로 떨어져 독립된 두 개의 건물로 되어 있다.[2]
3. 1. 안채
김좌근 고택은 산을 뒤에 두고 남향으로 자리 잡은 전통 한옥으로, 원래는 99칸이었으나 현재는 담장과 행랑채가 없어지고 안채와 별채만 남아 있다. 안채는 ㄷ자형으로 중문과 연결된 사랑채가 있었으며, 바깥쪽은 대문과 연결된 행랑채가 ㄱ자형으로 둘러싸고 있었다. 현재는 안채와 별채가 서로 떨어져 독립된 두 개의 건물로 되어 있지만, 원래는 두 건물 사이에도 가로막힌 건물이 있었고, 그 건물 뒤쪽에 널마루로 짠 회랑을 달아서 왕래하기 편하도록 서로 연결된 구조였다.[2]안채는 서쪽부터 부엌과 다락, 3개의 방과 곳간으로 이루어진 팔작지붕의 일자집이다. 부엌은 3칸 규모로 문을 들어서면 왼쪽에 퇴를 달았고 오른쪽에 다락이 있다. 3개의 방 전면에는 3칸 정도의 대청마루가 있다.[2]
3. 2. 별채
별채는 영의정 김좌근의 아들이며 고종 때 어영대장과 이조판서를 지낸 김병기가 1865년 부친의 묘지 관리를 겸한 별장 용도로 지은 건물로 알려져 있다.[2]원래는 안채와 별채 사이를 가로막는 건물이 있었고, 그 건물 뒤쪽에 널마루로 짠 회랑을 달아 왕래하기 편하도록 서로 연결된 구조였다.[2] 회랑은 없어졌지만 별채 뒷면을 돌아가며 둘러싼 쪽마루는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 이는 마당의 흙을 밟지 않고도 안채와 별채 사이를 편하게 왕래할 수 있게 만들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3. 3. 기타 시설
김좌근 고택은 원래 99칸이었으나, 현재는 담장과 행랑채가 없어지고 안채와 별채만 남아 있다.[2] 집 앞에는 연못을 파서 인공섬으로 만들었는데, 주민들이 시멘트 구조물로 된 정자를 지어 휴식처로 사용하고 있다.[2]4. 문화재 지정
이 집은 안채 1동과 별당 1동만 남아 있으나, 안사랑채인 별당을 둔 점 등, 구조와 치목에 있어서 상당히 격식을 갖춘 집으로 조선 후기 권문세가 주택을 잘 보여주고 있어 건축적 자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며 경기도의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2]
5. 현대적 의의
김좌근 고택은 조선 후기 세도 정치기의 주택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역사적 인물인 김좌근과 관련된 장소라는 점에서 역사적, 건축학적 가치를 지닌다.
5. 1. 역사적 가치와 보존
김좌근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안동 김씨 세도 정치 후반의 중심 인물이었다. 영안부원군 김조순의 아들이자 순조의 왕비인 순원왕후의 남동생으로, 영의정에 세 번이나 임명되는 등 순탄한 벼슬 생활을 하면서 안동 김씨 세도 정치의 중심 인물이었다.[2]참조
[1]
간행물
문화재 지정
https://www.gg.go.kr[...]
경기도지사
2003-04-21
[2]
웹인용
김좌근고택
https://gjicp.ggcf.k[...]
경기문화재연구원
2021-08-06
[3]
웹인용
세도 정치의 핵, 이천 김좌근 고택
https://ncms.ncultur[...]
지역IN문화
2021-08-06
[4]
뉴스
서울대, ‘김좌근 고택’ 기증받아
http://m.segye.com/v[...]
세계일보
2021-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