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준완은 고려대학교 야구부 출신으로, NC 다이노스, 상무 야구단, 키움 히어로즈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2013년 NC 다이노스에 입단하여 2021년까지 선수로 활동했으며, 2018년에는 상무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했다. 2021년 12월 키움 히어로즈로 이적하여 2023년 은퇴를 선언했다. 2024년에는 상무 야구단 코치, 2025년에는 키움 히어로즈 코치로 활동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길동초등학교 동문 - 유재웅
유재웅은 두산 베어스와 SK 와이번스에서 외야수로 활동했던 전 KBO 리그 선수로, 두산에서 유망주로 주목받았으나 SK 이적 후 은퇴했으며 현재는 해설가로 활동 중이다. - 서울길동초등학교 동문 - 황규택
황규택은 대한민국 야구 선수로,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1년 프로에 입단했으나 1군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고 은퇴했다. -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 - 박진영
박진영은 대한민국의 가수, 프로듀서, 사업가로, 1994년 솔로 가수로 데뷔하여 JYP 엔터테인먼트를 설립, god, 비, 트와이스 등 아이돌 그룹을 프로듀싱하며 한국 3대 기획사로 성장시켰으며, 2024년 데뷔 30주년을 맞았다. -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 - 정태호 (1963년)
정태호는 학생·노동운동과 이해찬 의원 비서 경력을 가진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직 인수위원,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정무비서관 등을 역임하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일자리수석비서관으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주도했으며, 현재 제21·22대 국회의원(서울 관악구 을)이다. - 장충고등학교 동문 - 김명성 (1988년)
김명성(1988년)은 중앙대학교 야구 선수로 국가대표로도 활약하며 아시안 게임 금메달로 병역 혜택을 받았으나,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 후 두산 베어스로 트레이드, 방출되며 프로 통산 52경기 1승 1패, 평균자책점 6.18을 기록한 전 야구 선수이다. - 장충고등학교 동문 - 김동한 (야구인)
김동한은 전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 야구 선수이자 현재 롯데 자이언츠 2군 코치로 활동하며 가수 김동한과 동명이인이다.
김준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김준완 |
원어명 | Kim Jun-Wan |
소속 구단 | 키움 히어로즈 |
등번호 | -- |
국적 | 대한민국 |
출신지 | 서울특별시 |
생년월일 | 1991년 1월 20일 |
신장 | 174 |
체중 | 73 |
수비 위치 | 우익수, 좌익수, 중견수 |
투구 | 우 |
타석 | 좌 |
프로 입단 연도 | 2013년 |
드래프트 순위 | 지명없음(육성선수 입단) |
첫 출장 | KBO / 2013년 7월 23일 대구 대 삼성전 |
마지막 경기 | KBO / 2023년 8월 23일 고척 대 두산전 |
선수 경력 | |
코치 경력 |
2. 선수 시절
김준완은 고려대학교 야구부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NC 다이노스, 상무 야구단, 키움 히어로즈를 거치며 프로 선수 생활을 하였다.[1][4]
2. 1. 아마추어 시절
고려대학교 야구부 주장 겸 리드오프로 활약했으나 프로 지명을 받지 못했다. 장충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유영준의 추천으로 NC 다이노스에 입단했다.[1]2. 2. 프로 선수 시절
김준완은 NC 다이노스, 상무 야구단, 키움 히어로즈를 거치며 프로 선수 생활을 했다.[4]2. 2. 1. NC 다이노스 시절
2013년에는 팔꿈치 수술로 인해 3경기에만 출장해 5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1] 7월 23일~7월 24일 삼성전에 출장해 각각 4타수 3삼진 무안타, 1타수 무안타를 기록했고, 7월 26일 KIA전에서 이호준의 대주자로 교체 후 이현곤의 타석에서 대타 교체를 끝으로 계속 2군에만 있었다.2014년에는 총 6경기에 출전해 4타수 2안타, 1득점, 1도루를 기록했다. 6월 14일 한화전에서 송광민의 파울 라인 쪽으로 휘어지는 타구를 다이빙 캐치로 잡아내는 호수비를 보여줬다.[2] 하지만 6월 27일 롯데전 후에 다시 2군으로 내려갔다.
2015년에는 수비와 주루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타격 부분에서 약한 모습을 보이며 대부분의 경기 중후반에 대주자 및 대수비로 출전했다. 8월 20일 전날 주루 플레이 중 손가락 부상을 당한 김종호가 1군에서 말소되며 시즌 첫 엔트리에 포함됐다.[3] 2군에서는 타율 0.348로 김태진에 이어 중부 리그 타율 2위를 기록했다.
2016년에는 선구안과 훌륭한 수비력으로 준주전 선수로 도약했다. 선발 출전시 이종욱을 대신해 중견수로 기용됐다.[1] 시즌 122경기에 출전해 2할대 타율, 60안타(1홈런), 12타점, 66볼넷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시즌 104경기에 출전해 2할대 타율, 31안타, 8타점을 기록했다.
2. 2. 2. 상무 야구단 시절
2018년에 입단하여 군 복무를 수행했다.2. 2. 3. NC 다이노스 복귀
2020년 시즌에는 주로 대수비와 대주자로 출장하여, 45경기에 출전해 2할대 타율, 14안타(1홈런), 8득점, 5타점을 기록했다.2021년 시즌에는 13경기에 출전해 1할대 타율, 2안타, 1타점을 기록했고, 2021년 10월 7일에 NC 다이노스에서 방출됐다.[4]
2. 2. 4. 키움 히어로즈 시절
2021년 12월에 키움 히어로즈에 입단하였다. 2022년 시즌에는 111경기에 출전해 0.192의 타율, 61안타, 28타점을 기록했고, 2023년 시즌에는 76경기에 출전해 0.222의 타율, 42안타, 14타점을 기록했다.[4] 2023년 10월에 방출됐고, 은퇴를 선언했다.3. 야구선수 은퇴 후
4. 출신 학교
5. 등번호
연도 | 등번호 |
---|---|
2013년 | 105 |
2013년, 2019년 | 68 |
2014년 | 15 |
2015년 ~ 2017년, 2020년 ~ 2021년 | 1 |
2022년 | 14 |
2022년 ~ 2023년 | 10 |
6.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13 | NC | 0.000 | 3 | 5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0 |
2014 | 0.500 | 6 | 4 | 1 | 2 | 0 | 0 | 0 | 2 | 0 | 0 | 0 | 1 | 0 | 1 | 0 | 0 | |
2015 | 0.277 | 30 | 44 | 12 | 10 | 0 | 0 | 0 | 10 | 2 | 2 | 1 | 10 | 0 | 10 | 1 | 1 | |
2016 | 0.261 | 122 | 253 | 60 | 66 | 7 | 1 | 1 | 78 | 12 | 2 | 5 | 66 | 2 | 62 | 4 | 1 | |
2017 | 0.250 | 104 | 124 | 19 | 31 | 2 | 1 | 0 | 35 | 8 | 2 | 2 | 15 | 1 | 27 | 3 | 2 | |
2019 | 0.250 | 8 | 16 | 0 | 4 | 0 | 0 | 0 | 4 | 1 | 0 | 0 | 2 | 0 | 2 | 0 | 0 | |
2020 | 0.215 | 45 | 65 | 8 | 14 | 1 | 0 | 1 | 18 | 5 | 0 | 0 | 10 | 0 | 9 | 3 | 0 | |
2021 | 0.167 | 13 | 14 | 3 | 2 | 0 | 1 | 0 | 4 | 1 | 0 | 0 | 2 | 0 | 0 | 0 | 0 | |
2022 | 키움 | 0.192 | 111 | 317 | 43 | 61 | 10 | 2 | 1 | 78 | 28 | 1 | 1 | 64 | 8 | 71 | 4 | 3 |
2023 | 0.222 | 76 | 189 | 25 | 42 | 7 | 0 | 0 | 49 | 14 | 0 | 0 | 26 | 1 | 57 | 2 | 0 | |
통산 | 10시즌 | 0.225 | 518 | 1029 | 171 | 232 | 27 | 5 | 3 | 278 | 71 | 8 | 9 | 196 | 12 | 242 | 17 | 7 |
참조
[1]
뉴스
육성선수 출신의 ‘슈퍼 캐치’ 김준완
https://sports.news.[...]
2016-07-18
[2]
웹사이트
NC 김준완, 주간 호수비 선정
http://www.gnnews.co[...]
2016-08-05
[3]
웹사이트
삼성-NC, 1·2위 팀의 똑같은 부상 걱정
http://sports.khan.c[...]
[4]
웹인용
NC 선수단 정리…최금강·김준완·이원재 등 방출 통보
https://www.news1.kr[...]
2021-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