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치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치양은 969년에 태어난 고려 시대의 인물로, 헌애왕후(천추태후)의 외척이었다. 그는 헌애왕후와의 부적절한 관계로 유배되었으나, 헌애왕후가 섭정을 시작하며 다시 등용되어 권력을 얻었다. 이후 자신의 아들을 왕위에 앉히려는 시도를 했으나, 강조의 정변으로 실패하여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상서우복야 - 지채문
    지채문은 고려 전기의 무신으로, 거란의 2차 침입 때 서경 방어에 참여했다가 현종의 몽진을 호종하며 왕을 보호한 공으로 공신에 녹훈되고 상장군 우복야에 올랐으며 사후 1등공신에 추록되었다.
  • 고려의 상서우복야 - 최자 (고려)
    최자는 고려 중기의 문신이자 문장가로, 최충의 6대손이며 강종 때 문과에 급제한 후 이규보의 천거로 최우에게 등용되었고 몽골 침략 당시 강화론을 주장했으며, 《속파한집》 또는 《보한집》 등의 저서를 남겼으나 무신정권과의 유착 등으로 비판적인 평가도 있다.
  • 1009년 사망 - 목종 (고려)
    목종은 고려의 제7대 왕으로, 헌애왕후의 섭정 하에 전시과 개혁과 국방 강화에 힘썼으나, 권력 남용과 왕위 찬탈 시도 속에 폐위되어 살해당하며 그의 죽음은 전쟁의 빌미가 되었다.
  • 1009년 사망 - 레롱딘
    레롱딘은 베트남 전 레 왕조의 황제로, 폭정과 잔혹한 성정, 잦은 병치레로 '와조'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사후 리공온에 의해 왕조가 멸망했다.
  • 고려의 남작 - 강민첨
    강민첨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으로, 1018년 고려-거란 전쟁 당시 원수로서 귀주대첩에서 거란군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사후 태자태부, 문하시랑평장사로 추증되고 은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고려의 남작 - 유방 (고려)
    유방은 고려 시대 문신이자 무신으로, 거란 침입 격퇴에 공을 세워 병부상서, 참지정사 서경유수 겸 서북면행영도병마사 등 주요 관직을 역임하고 문하시중에 이르렀으며 천승현개국남에 봉해졌다.
김치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치양
원래 이름김치양 (金致陽)
본명치양(致陽)
큰제목농서현개국남
별명해당사항 없음
계명동송(東松)
출생일969년
출생지서흥
사망일1009년 음력 2월 3일 (양력 3월 2일) (향년 41세)
사망지송도
복무 기간997년~1009년
배우자해당사항 없음
자녀해당사항 없음
가문동주 김씨
어머니해당사항 없음
전임자해당사항 없음
후임자해당사항 없음
종교불교
최종 계급우복야 겸 삼사사
주요 참전 전투/전쟁1008년 송도 모반역모 거병
기타 이력고려 목종 임금의 섭정
왕조해당사항 없음
성별남성

2. 생애

969년에 태어나 고려 경종의 왕후였던 헌애왕후(천추태후)와 관계를 맺고, 고려 목종 즉위 후 권력을 쥐었다. 1003년경 천추태후와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고 왕위에 올리려 했으나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처형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2. 1. 출신 배경 및 초기 생애

969년에 태어났다. 고려사에 따르면 성격이 간교하여 승려를 사칭하였다고 한다.[1] 김치양(金致陽)은 현재 황해도 소흥군에 기반을 둔 동주 김씨 가문 출신으로, 왕건을 지지했던 동주의 지역 영주인 김행파(金行波)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다. 그는 헌애왕후(천추태후)의 외척이었다.[1]

경종의 왕후였던 헌애왕후의 거처인 천추궁(千秋宮)에 드나들며 헌애왕후와 추문이 있었다.[2] 성종이 그를 처형하려 했으나 멀리 장배(杖配)하였다. 그러나 헌애왕후는 아들 목종이 즉위하면서 '''천추태후'''라는 칭호를 얻게 되자, 그를 다시 개경으로 소환하였다.[3]

2. 2. 헌애왕후와의 관계 및 권력 획득

고려 경종의 왕후였던 헌애왕후(천추태후)는 경종 사후 승려로 위장한 김치양과 관계를 맺었다.[2]고려사》는 김치양이 간교한 성격으로 승려를 사칭하였으며, 그의 성기는 수레바퀴 축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컸다고 기록한다.[2] 헌애왕후의 거처인 천추궁(千秋宮)에 드나들며 추문이 일자, 성종은 그를 처형하려 했으나 멀리 유배보내는 것에 그쳤다.[2]

목종 즉위 후 헌애왕후가 섭정 천추태후가 되자, 김치양을 개경으로 불러 합문통사사 벼슬을 주었다. 이후 몇 해 만에 우복야 겸 삼사사로 승진했다.[3] 천추태후와 목종의 총애를 받으며 권력을 남용했고,[3] 이주정 등 자신의 정치 세력을 조정에 배치했다.[1]

2. 3. 권력 남용 및 전횡

고려 경종의 왕후였던 헌애왕후(천추태후)는 경종 사후에 승려로 위장하여 궁궐에 들어온 김치양과 관계를 맺었다. ''고려사''에 따르면, 김치양의 성기는 수레바퀴의 축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컸다고 한다.[2] 그러나 이들의 관계는 발각되었고, 고려 성종은 김치양을 유배 보냈다.

고려 목종이 즉위하고 헌애왕후는 섭정 천추태후가 되었다. 천추태후는 섭정의 권력을 이용하여 유배된 김치양을 다시 불렀다. 김치양은 조현서의 통사사인(通事舍人)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우복야(右僕射)와 삼사사(三司使)로 승진하며 권력과 권한을 남용했다.[3]

김치양은 자신의 권력을 이용하여 이주정 등 자신의 정치 세력을 조정에 배치했다. 1003년에는 천추태후와의 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났다. 김치양과 천추태후는 아들을 왕위에 올리기 위해 적통 후계자인 고려 현종(대량원군)을 강제로 출가시키려 했고, 암살자를 보내 제거하려 했으나 번번이 실패했다.[1][4]

1009년 궁궐에 큰 불이 나고 목종이 충격으로 병을 얻자, 김치양은 이 기회를 틈타 권력을 잡고 자신의 아들을 왕위에 앉히려 시도했다.

2. 4. 몰락

1003년 경 김치양은 천추태후와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았고, 이 아들을 왕위에 앉히기 위해 대량원군을 살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4] 유일한 왕위 계승자인 고려 목종마저 해치려 했으나 이 또한 성공하지 못했다. 김치양은 개경 근처 사찰에 자신의 부하들을 승려로 위장시켜 숨기고 병력을 키워 거병하기도 했다.[3]

1009년 2월 13일, 궁궐에 큰 화재가 발생하여 목종이 충격을 받고 병에 걸리자, 김치양은 이 기회를 틈타 자신의 아들을 왕위에 앉히려 했다.[1] 그러나 목종은 서북면의 군사 감찰관인 강조에게 수도로 돌아와 김치양을 막으라고 명했다. 3월 2일, 강조의 정변으로 현종이 즉위하자 김치양은 아들과 함께 처형되었고,[1] 그의 일당과 천추태후의 친척 이주정 등은 섬으로 유배되었다.[3] 강조는 목종과 천추태후를 충주로 내쫓아 도중에 목종을 죽였고, 이후 천추태후는 유배에서 풀려나 황주에서 살았다.[3]

3. 가계


  • 아버지 : 동주 김씨
  • 어머니 : 미상
  • 정부 : 헌애왕후(964년~1029년)
  • 아들 : 미상

4.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KBS2 드라마 ''천추태후''(2009년)에서 김석훈과 이진석이, ''고려 거란 전쟁''(2023년)에서 공정환이 김치양을 연기했다.[5]

4. 1. TV 드라마

참조

[1] 웹사이트 김치양(金致陽) https://encykorea.ak[...] 2024-02-24
[2] Wikisource 高麗史
[3] 웹사이트 김치양 https://www.doopedia[...] 2024-02-24
[4] 학술지 Royal Ancestor Worship and Buddhist Politics: The Hyŏnhwa-sa Stele and the Origins of the First Koryŏ Tripitaka https://muse.jhu.edu[...] 2023-11-12
[5] 웹사이트 Choi Soo-jong's 'Goryeo–Khitan War', the final scene of the union script reading https://entertain.na[...] Sports Donga 2023-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