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까치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까치오리는 멸종된 오리 종으로, 흰색과 검은색 얼룩무늬를 가진 수컷과 회색빛을 띤 암컷의 깃털을 특징으로 한다.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에서 서식하며, 얕은 물에서 조개류, 갑각류 등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50년에서 1870년 사이에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1878년 이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 서식지 파괴, 식량 감소, 알 채취, 깃털 거래 등이 멸종 원인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오리아과 - 흰줄박이오리
    흰줄박이오리는 오리과에 속하며 화려한 수컷과 회흑갈색 암컷의 깃털을 가진 조류로, 북아메리카,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러시아 극동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대한민국에서는 겨울철새 또는 텃새로 관찰되며, 바닷가 암벽이나 계류, 암초 해안 등에서 갑각류, 조개류, 곤충 등을 먹고 서식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된다.
  • 비오리아과 - 바다꿩
    바다꿩은 긴 꼬리 깃털을 가진 수컷이 특징적인 소형 바다오리류로, 극북 지역에서 번식하고 북태평양과 북대서양 등에서 월동하며,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1500년 이후 절멸한 새 - 슈아죌비둘기
    슈아죌비둘기는 솔로몬 제도의 초이설 섬에 서식했던 멸종된 비둘기 종으로, 회색빛 깃털과 수컷의 선명한 색깔이 특징이며, 외래종 포식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1500년 이후 절멸한 새 - 도도아과
    도도아과는 날지 못하는 거대한 몸집의 도도와 로드리게스도도를 포함하는 비둘기과의 아과로, 인간의 남획으로 멸종되어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니코바르비둘기와 계통 분류학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 1789년 기재된 새 - 바위비둘기
    바위비둘기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비둘기과의 새로, 야생에서는 바위 절벽에 살지만 도시 환경에도 적응하여 살아가며, 인간과의 공생 관계 속에서 질병 매개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 1789년 기재된 새 - 뜸부기
    뜸부기는 뜸부기과에 속하는 새로, 옆으로 납작한 몸, 긴 발가락, 짧은 꼬리를 가졌으며, 수컷은 붉은색 이마판과 뿔을 가진 것이 특징이고, 아시아 지역 습지에서 서식하며 곤충, 연체동물, 씨앗 등을 먹는 잡식성 새로 6~9월에 번식한다.
까치오리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미스소니언 국립 자연사 박물관의 암컷 표본
스미스소니언 국립 자연사 박물관의 암컷 표본
필드 자연사 박물관의 수컷
필드 자연사 박물관의 수컷
멸종 시기~1878년
학명Camptorhynchus labradorius
명명자(Gmelin, JF, 1789)
Camptorhynchus
속 명명자Bonaparte, 1838
한국어 이름카사사기가모 (カササギガモ)
영어 이름Labrador duck
보존 상태
IUCNEX (절멸)
IUCN 참고https://www.iucnredlist.org/species/22680418/92862623
TNCGX (기록 말소)
TNC 참고https://explorer.natureserve.org/Taxon/ELEMENT_GLOBAL.2.101134/Camptorhynchus_labradorius

2. 분류

수컷의 도해


래브라도오리는 바다오리로 분류된다. 중수골 I 과정의 형태와 부척골의 영양공 위치 등 해부학적 특징을 기준으로 바다오리류를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데, 래브라도오리는 솜털오리, 검둥오리, ''Histrionicus'', ''Clangula'' 등과 함께 두 번째 그룹에 속한다.[5]

과거에는 '얼룩오리' 또는 '스컹크오리'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수컷의 눈에 띄는 흑백 무늬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별명들은 검둥오리사촌이나 비오리, 심지어 검은머리물떼새와도 공유되었기 때문에 과거 기록을 해석하는 데 혼란을 주기도 했다. 또한 얕은 물에서 먹이를 찾는 습성 때문에 '모래여울 오리'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초기 연구에서는 진화적으로 검둥오리(''Melanitta'')와 가장 가깝다고 여겨졌다.[6]

그러나 최근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에 따르면, 래브라도오리는 스텔러오리(''Polysticta stelleri'')와 가장 가까운 친척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래브라도오리와 스텔러오리가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하며, 이 그룹은 다시 솜털오리류와 자매군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7]

3. 형태



존 제라드 킬레만스의 암컷과 수컷 그림


까치오리는 작고 둥근 눈을 가진 타원형 머리를 가지고 있었다. 부리는 머리 길이와 비슷했으며[9], 끝이 넓고[18] 안쪽에는 많은 새판(lamellae)과 홈이 늘어서 있어[19] 얕은 물에서 연체동물 같은 먹이를 걸러 먹기에 적합한 구조였다. 부리와 뒷다리는 검은색이었고, 부리 기부의 측면은 노란색이었다.[18] 몸은 짧고 납작했으며, 몸 뒤쪽에 짧고 튼튼한 발이 위치했다. 깃털은 작았고 꼬리는 짧고 둥글었다.[9]

수컷과 암컷은 깃털 색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수컷은 머리에서 목덜미까지 이어지는 깃털이 흰색이었으며, 정수리는 검은색이고 목덜미에는 깃털로 된 검은 반점이 고리 모양으로 나 있었다.[18] 몸통의 깃털은 검은색이었고[18], 날개는 첫 번째 날개깃을 제외하고는 거의 완전히 흰색이었다.[8] 이러한 눈에 띄는 흑백 무늬 때문에 '얼룩오리' 또는 '스컹크오리'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는 검둥오리사촌이나 비오리와 공유하는 이름이어서 오래된 기록 해석에 혼동을 주기도 했다.[6] 암컷의 깃털은 전체적으로 회색 또는 잿빛 갈색이었으며[18], 희미하게 무늬가 있었는데 이는 검둥오리 종류와 유사한 패턴이었다.[8] 얕은 물에서 먹이를 찾는 습성 때문에 '모래여울 오리'라고도 불렸다.[6]

날개 길이는 수컷이 21cm에서 22cm 사이였고, 암컷은 21cm 정도였다.[18]

수컷의 기관 구조는 검둥오리 종류와 유사했지만 차이점도 있었다. 기관 튜브의 확장이 앞쪽 끝에서 발생했고, 튜브 중간 근처에 두 개의 팽창(검둥오리는 하나)이 있었다. 골질의 팽대부(bulla)는 뼈로 둥글게 되어 있었고 왼쪽 측면으로 부풀어 오른 비대칭 형태였는데, 이는 바다오리나 할리퀸오리의 팽대부와 유사한 특징이다.[8]

까치오리는 현재 단형 속 ''Camptorhynchus''으로 분류되며[9], 북미 조류 중 가장 수수께끼 같은 새로 여겨져 왔다.[8] 가장 가까운 진화적 친척은 검둥오리(''Melanitta'')로 보이며[6], 미토게놈 연구에 따르면 스텔러오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

4. 분포 및 서식지

까치오리는 매년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을 따라 이동하는 철새였다. 주요 서식지는 미국 북동부와 캐나다 동부였다.[17] 여름에는 캐나다의 래브라도와 퀘벡 북부에서 번식했으며,[10][11] 존 제임스 오듀본의 아들이 래브라도에서 둥지를 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세인트로렌스 만의 섬에서 번식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10][11] 하지만 까치오리의 번식 생태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겨울에는 미국 동부 해안으로 남하하여 뉴저지주뉴잉글랜드 지역에서 월동했다. 월동지에서는 주로 모래 해안, 보호된 만, 항구, 강어귀 등을 선호했다.[10][11] 일부는 더 남쪽인 체서피크 만까지 내려가 월동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18][19]

5. 생태

까치오리의 생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으나, 주로 얕은 물가에서 생활하며 독특한 부리 구조를 이용해 먹이를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먹이는 작은 연체동물, 조개류, 갑각류 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5. 1. 식성

존 제임스 오듀본의 삽화


까치오리는 주로 작은 연체동물을 먹고 살았다. 일부 어부들은 홍합을 미끼로 사용한 낚싯줄에 까치오리가 걸려 잡혔다고 보고하기도 했다.[10] 까치오리의 부리는 대부분의 오리와는 상당히 다른 구조를 가졌는데, 넓고 평평한 끝 부분에 수많은 새판이 있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북 태평양과 북 아시아에 서식하는 스텔러바다오리와 생태적으로 유사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부리는 또한 매우 부드러워서, 먹이를 찾기 위해 퇴적물을 훑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0]

까치오리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호주의 분홍머리오리도 비슷한 형태의 부리(더욱 특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플랑크톤과 연체동물을 먹는다. 까치오리의 독특한 부리 형태는 이들이 얕은 물이나 펄 속에서 조개류나 갑각류를 걸러 먹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달팽이를 먹고 살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확한 식성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부리 형태로 미루어 볼 때 작은 조개류, 곤충의 유충, 갑각류와 같이 부드러운 먹이를 주로 섭취하는 데 특화된 종으로 추정된다.[18][19] 진흙이나 물속에 부리를 넣어 먹이를 걸러 먹는 방식으로 사냥했을 것으로 생각된다.[19]

6. 인간과의 관계

과거 식용으로 사용된 적이 있었다.[19] 그러나 고기가 부드럽고 맛이 없어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았으며, 사냥되는 경우도 적었다.[18][19]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는 롱아일랜드를 중심으로 한 서식지 파괴가 지목된다.[18][19]

7. 멸종

수컷 표본의 회전 비디오, 나투랄리스 생물다양성 센터


까치오리는 본래 희귀한 새로 여겨졌으나, 1850년에서 1870년 사이에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10] 정확한 멸종 시점은 알 수 없으나 1878년 이후 언젠가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12] 멸종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과거 식용으로 사냥된 적은 있지만,[19] 고기 맛이 좋지 않고 빨리 부패하며 낮은 가격에 거래되었기 때문에 사냥꾼들이 선호하는 대상은 아니었다.[19] 따라서 사냥이 멸종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알을 지나치게 많이 가져가거나, 번식지에서 깃털 거래로 인해 피해를 입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박제된 표본, 아메리카 자연사 박물관


멸종의 또 다른 주요 원인으로는 먹이 자원의 감소가 꼽힌다. 까치오리는 겨울철에 홍합을 비롯한 여러 조개류를 주식으로 삼았던 것으로 추정되는데,[13] 당시 미국 동해안의 인구 증가와 산업 발달로 인해 이들 조개류가 크게 줄어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른 바다 오리들도 얕은 물에 사는 연체동물을 먹지만, 서부 대서양에 서식했던 조류 중 까치오리만큼 특정 먹이에 크게 의존했던 종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13] 이처럼 특수한 식성 때문에 먹이 감소에 더욱 취약했을 수 있다.[18][19]

북아메리카 해안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서식지 자체가 파괴되거나 변화한 것도 멸종의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된다.[14][15] 까치오리는 서식지가 북대서양의 미국 해안으로 매우 제한적이었기 때문에,[16] 환경 변화에 적응하여 다른 서식지를 찾거나 생태적 지위를 바꾸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다. 특히 롱아일랜드를 중심으로 한 서식지 파괴가 멸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까치오리의 멸종은 사냥보다는 먹이 자원의 감소와 서식지 파괴라는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이며, 19세기 후반에 지구상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참조

[1] 간행물 "''Camptorhynchus labradorius''" 2016
[2] 웹사이트 "''Camptorhynchus labradorius''. NatureServe Explorer 2.0" https://explorer.nat[...] 2022-03-31
[3] 웹사이트 EXTINCT: Seeking a bird last seen in 1878 http://www.stargazet[...] 2017-06-23
[4] 서적 "The Curse of the Labrador Duck: My Obsessive Quest to the Edge of Extinction" Simon & Schuster 2009
[5] 논문 "The Appendicular Myology of the Labrador Duck (Camptorhynchus labradorius)"
[6] 논문 "Phylogeny and Evolutionary Ecology of Modern Seaducks (Anatidae: Mergini)" http://sora.unm.edu/[...]
[7] 논문 "Mitogenomics supports an unexpected taxonomic relationship for the extinct diving duck ''Chendytes lawi'' and definitively places the extinct Labrador Duck" https://digitalcommo[...]
[8] 웹사이트 "Handbook of Waterfowl Behavior: Tribe Mergini (Sea Ducks)" http://works.bepress[...] 2014-10-24
[9] 웹사이트 "Recently Extinct Animals - Species Info - Labrador Duck" http://www.petermaas[...] 2014-10-24
[10] 서적 A Gap in Nature https://archive.org/[...] Atlantic Monthly Press
[11] 논문 "Genetic Identification of Eggs Purportedly From the Extinct Labrador Duck (''Camptorhynchus labradorius'')" https://academic.oup[...] 2007
[12] 문서 Sibley and Monroe (Distribution and Taxonomy of Birds of the World, 1990, p. 40)
[13] 문서 Phillips, John C. (1922–1926): ''A Natural History of Ducks''. Boston: Houghton-Mifflin, volume 4, pp. 57–63.
[14] 논문 "Migratory Birds of Relict Distribution: Some Inferences" https://www.jstor.or[...] 1953
[15] 서적 "Biodiversity II: Understanding and Protecting Our Biological Resources" https://books.google[...] Joseph Henry Press 1996-09-30
[16] 웹사이트 "All About Birds" http://www.birds.cor[...] Cornell University 2007-10-22
[17]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BirdLife International
[18]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 (ガンカモ目) 財団法人東京動物園協会 1980
[19] 서적 絶滅危惧動物百科4 カザリキヌバネドリ―クジラ(シロナガスクジラ) 朝倉書店 2008
[20] 간행물 "''Camptorhynchus labradorius''" 2016
[21] 웹인용 NatureServe Explorer 2.0 https://explorer.nat[...] 2022-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