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다지 (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꽃다지는 1992년 결성된 대한민국의 민중가요 노래패이다. 1980년대 노동자 노래단과 삶의 노래 예울림의 통합으로 결성되었으며, 비합법 음반과 정규 음반을 발매하며 노동 운동 현장에서 활동했다. 1997년 EP 음반 《세상을 바꾸자》를 발표하고, 2011년 4집 《노래의 꿈》을 발매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현재 구성원은 민정연, 정윤경, 정혜윤, 박성훈이며, 과거에는 조성일, 홍소영 등이 멤버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대 음악 그룹 - S.E.S.
S.E.S.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바다, 유진, 슈 세 멤버로 구성된 1997년 데뷔한 3인조 걸그룹으로, 뛰어난 가창력과 히트곡으로 1세대 아이돌로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해체 후 20주년 기념 재결합 앨범 발매 및 콘서트 개최, 후배 걸그룹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한국 걸그룹 역사에 중요한 획을 그은 그룹으로 평가받는다. - 1990년대 음악 그룹 - 핑클
1998년 데뷔한 핑클은 이효리, 옥주현, 이진, 성유리 네 명으로 구성된 1세대 걸그룹으로, '자유를 억압하는 것을 우리가 끝낸다'는 의미를 지니며, 다수의 히트곡과 활발한 활동으로 큰 인기를 얻었고, 2019년 재결합 후 활동을 재개하는 등 대한민국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00년대 음악 그룹 - 쥬얼리
2001년 데뷔하여 2015년 해체한 쥬얼리는 멤버 교체를 거치며 〈Super Star〉, 〈One More Time〉 등의 히트곡으로 전성기를 누린 대한민국의 4인조 걸 그룹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활동하며 2008년 골든디스크 디지털 음원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 2000년대 음악 그룹 - S.E.S.
S.E.S.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바다, 유진, 슈 세 멤버로 구성된 1997년 데뷔한 3인조 걸그룹으로, 뛰어난 가창력과 히트곡으로 1세대 아이돌로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해체 후 20주년 기념 재결합 앨범 발매 및 콘서트 개최, 후배 걸그룹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한국 걸그룹 역사에 중요한 획을 그은 그룹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 쥬얼리
2001년 데뷔하여 2015년 해체한 쥬얼리는 멤버 교체를 거치며 〈Super Star〉, 〈One More Time〉 등의 히트곡으로 전성기를 누린 대한민국의 4인조 걸 그룹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활동하며 2008년 골든디스크 디지털 음원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 틴탑
2010년 데뷔한 틴탑은 평균 연령 16.3세의 최연소 보이그룹으로 "미치겠어", "장난아냐", "아침부터 아침까지" 등의 히트곡과 유럽, 월드 투어로 인기를 얻었으며 멤버 변화에도 꾸준히 활동하며 2023년 7월 새 앨범 ''4SHO''를 발매했다.
꽃다지 (가수)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결성 | 1992년 |
장르 | 민중가요 락 포크 |
활동 시기 | 1992년 ~ 현재 |
레이블 | 해당사항 없음 |
소속사 | 해당사항 없음 |
관련 활동 | 노동자 노래단 삶의 노래 예울림 |
웹사이트 | 꽃다지 티스토리 |
구성원 | |
현재 구성원 | 민정연 정윤경 정혜윤 조성일 홍소영 |
이전 구성원 | 이태수 |
2. 역사
2. 1. 결성 이전 (1980년대 ~ 1992년)
1980년대 군부 독재 시절, 민주화 운동과 함께 민중가요 노래패들이 생겨났다.[2] '노래를 찾는 사람들(노찾사)', '메아리' 등이 대표적이었다.[3]1988년 말에는 "노동자 노래단"이, 1989년에는 "삶의 노래 예울림"이 결성되어 노동 현장을 중심으로 노동가요를 창작하고 보급했다.[2][3]
2. 2. 결성 (1992년)
1992년 3월 1일, '노동자 노래단'과 '삶의 노래 예울림'이 통합하여 꽃다지가 만들어졌다.[5] 같은 해 8월에 비합법 1집 《수선전도》를 발표했고 1993년 3월에 비합법 2집 《내일엔 내일의 태양이》를 발표하며 노동 운동 현장에서 활동했다.[5][6]2. 3. 대중화와 확장 (1994년 ~ 2001년)
꽃다지는 1995년 <노동가요 공식음반> 1, 2에 참여했다.[7] 1997년 2집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를 발매하고, 그해 12월에는 민중가요권 최초의 EP음반 <세상을 바꾸자>를 발표했다.[8] 2000년에는 합법음반 정규 3집 <진주>와 그동안 히트했던 노동가요의 명곡을 모은 짜깁기음반 <투쟁의 현장에서>를 발매했다.[9] 같은 해 EP음반 <오라>를 발매했고, 이듬해 EP음반 <반격>을 발매했다.[10]2. 4. 4집 발매와 현재 (2011년 ~ 현재)
꽃다지는 2011년 12월 9일에 10년 만에 4집 《노래의 꿈》을 발매하며 활동을 재개했다.[11] 수록곡 〈내가 왜?〉는 태준식 감독이 뮤직비디오로 제작했으며,[12] 〈Fighter〉에는 락 음악 요소가 사용되었다.[13]3. 구성원
- 민정연 (기획, 1997년~)
- 정윤경 (음악감독 & 대표, 가수, 작곡자, 2004년~)
- 정혜윤 (가수, 1999년~)
- 박성훈 (영상감독, 2022년~)[14][15]
- ''이동선''(가수, 2023~2024년)[14][15]
- ''조성일''(가수, 1998년~2011년. 2012년 솔로 독립. 솔로음반 <시동을 걸었어>)[14][15]
- ''서기상(가수)''[14][15]
- ''김용진(가수)''[14][15]
- ''이태수(가수)''[14][15]
- ''윤미진(가수)''[14][15]
- ''박향미(가수)''[14][15]
- ''이은진(대표)''[14][15]
- ''정인섭(기획)''[14][15]
- ''김희정(기획)''[14][15]
- ''홍소영''(가수. 2010년~2014년.)[14][15]
3. 1. 현재 구성원
3. 1. 1. 정윤경
2004년부터 꽃다지의 음악감독, 대표, 가수, 작곡자로 활동하고 있다.3. 1. 2. 민정연
꽃다지 결성 이전 민정연에서 활동하던 1997년부터 꽃다지의 음반 기획에 참여하였다.3. 1. 3. 정혜윤
1999년부터 가수 활동을 시작했다.3. 1. 4. 박성훈
영상감독 (2022년~)3. 2. 이전 구성원
- ''이동선''(가수, 2023~2024년)[14][15]
- ''조성일''(가수, 1998년~2011년. 2012년 솔로 독립. 솔로음반 <시동을 걸었어>)[14][15]
- ''서기상(가수)''[14][15]
- ''김용진(가수)''[14][15]
- ''이태수(가수)''[14][15]
- ''윤미진(가수)''[14][15]
- ''박향미(가수)''[14][15]
- ''이은진(대표)''[14][15]
- ''정인섭(기획)''[14][15]
- ''김희정(기획)''[14][15]
- ''홍소영''(가수. 2010년~2014년.)[14][15]
3. 2. 1. 이동선
가수 (2023~2024년)3. 2. 2. 조성일
조성일은 꽃다지의 가수로 1998년부터 2011년까지 활동했다.3. 2. 3. 그 외
꽃다지의 멤버는 서기상, 김용진, 이태수, 윤미진, 박향미, 이은진, 정인섭, 김희정, 홍소영 등이 있다.4. 음반 목록
4. 1. 정규 음반
정규 음반은 다음과 같다.[16]- 1992년: 비합법 1집 《수선전도》
- 1993년: 비합법 2집 《내일엔 내일의 태양이》
- 1994년: 《꽃다지 발췌곡집》
- 1994년: 1집 《금지의 벽을 넘어 완전한 자유를 노래하리라》
- 1997년: 2집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
- 2000년: 3집 《진주》
- 2011년: 4집 《노래의 꿈》
4. 1. 1. 1992년
1992년에는 비합법 1집 《수선전도》를 냈다.4. 1. 2. 1993년
1993년에는 비합법 2집 《내일엔 내일의 태양이》를 발표하였다.4. 1. 3. 1994년
1994년, 꽃다지는 1집 《금지의 벽을 넘어 완전한 자유를 노래하리라》를 발매했다.4. 1. 4. 1997년
1997년에 2집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를 발표했다.4. 1. 5. 2000년
2000년에 3집 <진주>를 발매했다.4. 1. 6. 2011년
4. 2. EP 음반 및 기타 음반
- 1997: 《세상을 바꾸자》[17]
- 2000: 《오라》(싱글앨범)[17]
- 2001: 《반격》[17]
- 2000: 편집음반 노동가요명곡선 1 《투쟁의 현장에서》[17]
- 2003: 편집음반 꽃다지 노동가요명곡선 2 《우리는 지금보다 강하게》[17]
4. 2. 1. 1997년
1997년에 꽃다지는 3집 앨범 《세상을 바꾸자》를 발표했다.4. 2. 2. 2000년
2000년에 싱글 앨범 <오라>와 편집 음반 노동가요명곡선 1 <투쟁의 현장에서>를 발매하였다.4. 2. 3. 2001년
요약과 원본 소스에 2001년과 관련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2. 4. 2003년
편집음반 꽃다지 노동가요명곡선 2 <우리는 지금보다 강하게>를 발매했다.4. 3. 참여 음반
꽃다지는 1995년에 노동가요 공식음반 1, 2를 발매하였다.[18]4. 3. 1. 1995년
1995년, 꽃다지는 노동가요 공식음반 1, 2를 발매하였다.참조
[1]
웹인용
꽃다지
http://music.naver.c[...]
2013-08-10
[2]
웹인용
꽃다지
http://music.naver.c[...]
2013-08-10
[3]
웹인용
꽃다지
http://music.naver.c[...]
2013-08-10
[4]
웹인용
꽃다지
http://music.naver.c[...]
2013-08-10
[5]
웹인용
꽃다지
http://people.search[...]
2013-08-10
[6]
뉴스
노동가요음반 첫 합법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4-05-14
[7]
웹인용
꽃다지 앨범
http://music.naver.c[...]
2013-08-10
[8]
웹인용
꽃다지 앨범
http://music.naver.c[...]
2013-08-10
[9]
웹인용
꽃다지 앨범
http://music.naver.c[...]
2013-08-10
[10]
웹인용
꽃다지 앨범
http://music.naver.c[...]
2013-08-10
[11]
웹인용
4집 노래의 꿈
https://vibe.naver.c[...]
2013-08-10
[12]
웹인용
스무 살 '꽃다지'는 혼자 울지 말라지만...
https://vibe.naver.c[...]
2013-08-10
[13]
웹인용
스무 살 '꽃다지'는 혼자 울지 말라지만...
https://vibe.naver.c[...]
2013-08-10
[14]
웹인용
꽃다지
http://music.naver.c[...]
2013-08-10
[15]
웹인용
꽃다지
http://people.search[...]
2013-08-10
[16]
웹인용
꽃다지 앨범
http://music.naver.c[...]
2013-08-10
[17]
웹인용
꽃다지 앨범
http://music.naver.c[...]
2013-08-10
[18]
웹인용
꽃다지 앨범
http://music.naver.c[...]
2013-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