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글파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글파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배로, 죽은 자들의 손톱으로 만들어졌다고 묘사된다. 어원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손톱이 아닌 시체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나글파르는 《고 에다》와 《신 에다》에 언급되며, 라그나로크 때 무스펠의 사람들이 타고 온다. 툴스토프 룬돌에 묘사되어 있으며, 현대에는 게임, 소설, 음악 등 다양한 매체에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선박 - 아르고호
아르고호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이아손과 아르고나우테스들이 황금 양털을 찾아 떠나는 모험에 사용된 배이며, 아르고스에 의해 건조되었고 아테나 여신의 도움을 받아 설계되었으며 갤리선으로 추정된다. - 신화의 선박 - 태양의 돛단배
태양의 돛단배는 이집트 신화에서 태양신 라가 태양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타고 다니는 배로, 낮에는 하늘을 가로지르고 밤에는 사후 세계에서 아펩과 전투하며, 파라오의 사후 세계 여정에도 사용될 것이라 믿어졌고, 현대에는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노르드 신화의 물건 - 궁니르
궁니르는 북유럽 신화에서 드베르그가 만든 오딘의 창으로, 던지면 반드시 맞고 되돌아오는 강력한 무기이며 라그나로크에서 오딘이 사용할 것으로 예언되었다. - 노르드 신화의 물건 - 글레이프니르
글레이프니르는 북유럽 신화에서 드워프들이 여섯 가지 특별한 재료로 만든, 실크 리본처럼 가늘지만 강력한 마법 쇠사슬로, 악마 늑대 펜리르를 묶어 라그나로크까지 속박하는 운명을 지녔다.
나글파르 | |
---|---|
기본 정보 | |
![]() | |
어원 | 고대 노르드어 '손톱 배' |
문화 | 북유럽 신화 |
관련 인물 | 로키 (선장) 흐륌 (선장) |
신화 속 역할 | |
역할 | 라그나로크 때 죽은 자들의 손톱으로 만들어진 배로, 거인족을 태우고 비그리드로 향함. |
특징 | 거대하고 불길한 배 |
건조 재료 | 죽은 자의 손톱 |
관련된 사건 | 라그나로크 |
해석 | |
상징 | 죽음, 혼돈, 종말 |
의미 | 죽은 자들의 세계와 현세의 연결 세상의 종말을 알리는 징조 |
기타 | |
추가 정보 | 나글파르는 북유럽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배임. 배의 재료와 관련된 금기 사항이 존재함. 몇몇 학자들은 나글파르가 장례 풍습과 관련이 있다고 해석함. |
2. 어원
"나글파르(Naglfarnon)"의 어원에 관해서는 논쟁이 있었다. 아돌프 노리엔은 "나글(nagl-non)"이 "손발톱(en)"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시체"를 의미하는 "나르(nárnon)"의 변형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지크문트 파이스트, 앨버트 모를리 스터트반트, 브루스 링컨 등은 이러한 어원 연구를 부정하거나 "나글"이 "손발톱"이라는 의미가 아니라고 주장할 이유가 없다고 반박했다.[18][3]
2. 1. 아돌프 노리엔의 주장 (19세기 말)
아돌프 노리엔은 "나글(nagl-non)"이 평상시 의미인 "손발톱(en)"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시체"를 의미하는 "나르(nárnon)"의 변형으로서 최종적으로는 인도유럽조어 *''nok-w-i''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했다. 노리엔은 나글파르를 "손톱-배"라고 해석하는 것은 민간어원이며, 그 민간어원이 자리 잡으면서 "손발톱으로 만든 배"의 개념도 비로소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18][3]2. 2. 지크문트 파이스트와 브루스 링컨의 반박
지크문트 파이스트는 1909년에 아돌프 노리엔의 어원 연구를 부정했다.[18] 앨버트 모를리 스터트반트도 1951년에 주요 난점을 들어 노리엔의 이론을 거부했다.[3] 1977년 브루스 링컨은 "나글"이 "손발톱"이라는 평상시 의미가 아니라고 주장할 만한 이유는 존재하지 않으며, 나글파르는 스노리가 쓴 그대로 손발톱으로 만들어진 배라고 결론내렸다.[18] 또한 링컨은 손발톱으로 만든 배가 인도유럽어족에서 발견되는, 머리카락과 손발톱을 자르고 또 제물로 바치는 어떤 거대한 패턴의 일부라는 점을 발견했다.[3]2. 3. 인도유럽어족과의 연관성
"나글파르(Naglfarnon)"의 어원에 관해서는 다소 논쟁이 있었다. 19세기 말 아돌프 노리엔은 "나글(nagl-non)"이 "손발톱(nail)"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시체"를 의미하는 "나르(nárnon)"의 변형으로서 최종적으로는 인도유럽조어 *''nok-w-i''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했다. 노리엔은 나글파르를 "손톱-배" 라고 해석하는 것은 민간어원이며, 그 민간어원이 자리잡으면서 "손발톱으로 만든 배"의 개념도 비로소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18][3]그러나 1909년 지크문트 파이스트는 이러한 어원적 연구를 부정했고, 1951년 앨버트 모를리 스터트반트를 거쳐 1977년 브루스 링컨은 “"나글"이 "손발톱"이라는 의미가 아니라고 주장할 만한 이유는 존재하지 않으며, 나글파르는 스노리가 쓴 그대로 손발톱으로 만들어진 배”라고 결론내렸다. 또한 링컨은 손발톱으로 만든 배가 인도유럽어족에서 발견되는, 머리카락과 손발톱을 자르고 또 제물로 바치는 어떤 거대한 패턴의 일부라는 점을 발견했다.[18][3]
브루스 링컨은 인도유럽어족의 머리카락 및 손발톱 처리를 연구했다. 링컨은 스노리의 《산문 에다》와 아베스타어 문헌에서 아후라 마즈다가 머리카락과 손발톱을 제대로 묻지 않고 방치하면 거기서 대바와 즈라프스트라가 생겨난다고 경고하는 것을 서로 비교하면서 양자의 개념적 유사성을 강조한다. 링컨은 나글파르의 ‘손발톱-배’라는 특징적인 이미지는 게르만 세계 특유의 것임이 의심할 여지가 없으나, 그 기본적 아이디어는 인도유럽어족이 공유하는 머리카락과 손발톱을 부적절하게 처리하면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는 고대의 관념에 기반하고 있다고 말한다.[18]
3. 출전
나글파르는 《고 에다》와 《신 에다》 양쪽 모두에서 언급된다.
《고 에다》의 〈무녀의 예언〉에서는 나글파르가 두 개의 절에 걸쳐 딱 한 번 언급된다. 죽은 볼바는 오딘에게 솟구치는 물줄기와 함께 배가 도착할 것이며, 그 배에는 흐륌과 로키를 비롯한 여러 무리들이 타고 있으리라 예언한다.
《신 에다》에서는 나글파르가 네 번 언급된다. 〈길피의 속임수〉 제43장에서 높으신 분은 스키드블라드니르가 가장 좋은 솜씨로 잘 만들어진 배이며, 가장 거대한 배는 나글파리인데 무스펠들의 소유라고 말한다.[21]
제51장에서 높으신 분은 라그나로크 때 밧줄이 풀려나는 나글파르는 망자들의 깎지 않은 손발톱으로 만들어졌다고 묘사하면서, 누구든 손발톱을 깎지 않고 죽는 사람의 수를 줄이는 것은 가치있는 일이라고 경고한다. 왜냐하면 그렇게 죽은 사람은 나글파르의 재료를 보태게 되는데, 신들과 인간들은 나글파르의 완성을 미루고 싶어하기 때문이다.[22] 높으신 분은 배의 키를 잡고 선장 노릇을 하는 이는 요툰 흐륌이며, 나글파르는 물을 헤치면서 솟구치는 파도를 몰고 다닌다고 덧붙인다.[22] 그 뒤 제51장에서 높으신 분은 나글파르가 언급되는 〈무녀의 예언〉 구절을 인용한다.[23]
나글파르는 〈시어법〉의 각종 선박 이름 목록에도 올라와 있다.[24]
3. 1. 고 에다
《고 에다》의 〈무녀의 예언〉에서는 나글파르가 두 절에 걸쳐 언급된다. 죽은 볼바는 오딘에게 솟구치는 물줄기와 함께 배가 도착할 것이며, 그 배에는 흐륌과 로키를 비롯한 여러 무리들이 타고 있을 것이라고 예언한다.벤저민 소프의 번역 | 헨리 애덤스 벨로우스의 번역 |
---|---|
3. 2. 신 에다
《신 에다》에서 나글파르는 네 번 언급된다. 먼저 〈길피의 속임수〉 제43장에서 높으신 분은 스키드블라드니르가 가장 좋은 솜씨로 잘 만들어진 배이며, 가장 거대한 배는 나글파리인데 무스펠들의 소유라고 말한다.[21]제51장에서 높으신 분은 라그나로크 때 일어날 일들을 이야기한다. 별들이 하늘에서 사라진 뒤, 땅이 흔들려 산들이 모두 무너지고, 나무들은 뿌리가 뒤집히며, 새들은 부리를 딱딱거리고, 이로써 늑대 펜리르가 족쇄에서 해방된다. 그 뒤 세계뱀 요르문간드가 분노를 몰아치며 해안으로 헤엄쳐 오고, 이 때문에 바다가 땅을 덮친다. 또한 나글파르도 계류용 밧줄이 풀려난다. 높으신 분은 나글파르가 망자들의 깎지 않은 손발톱으로 만들어졌다고 묘사하며, "그 배는 망자의 손발톱으로 만들어졌으며, 누구든 손발톱을 깎지 않고 죽는 사람의 수를 줄이는 것은 가치있는 일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죽은 사람은 나글파르의 재료를 보태게 되는데, 신들과 인간들은 나글파르의 완성을 미루고 싶어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22] 높으신 분은 배의 키를 잡고 선장 노릇을 하는 이는 요툰 흐륌이며, 나글파르는 물을 헤치면서 솟구치는 파도를 몰고 다닌다고 덧붙인다.[22] 그 뒤 제51장에서 높으신 분은 나글파르가 언급되는 〈무녀의 예언〉 구절을 인용한다.[23]
나글파르는 〈시어법〉에서 각종 선박의 이름 목록에 올라와 있어 《신 에다》에서 마지막으로 언급된다.[24]
4. 유물
스코네의 툴스토프 룬돌에 새겨진 암각화는 라그나로크를 묘사한 것으로, 괴물 늑대 펜리르 아래쪽에 나글파르가 묘사되어 있다.[25] 이 배는 선수와 선미 양쪽에 모두 비크헤드가 달려 있는데, 바이킹 시대 배에서는 발견된 바 없는 모습이기에, 상징적인 배로 보인다.[26]
4. 1. 툴스토프 룬돌
툴스토프 룬돌에 새겨진 암각화는 라그나로크를 묘사한 것이다. 위쪽 5분의 4가량 면적을 차지하는 네 발 달린 짐승이 괴물 늑대 펜리르고, 그 아래쪽에 나글파르가 보인다.[25] 암각화에 새겨진 나글파르는 선수와 선미 양쪽에 모두 비크헤드가 달려 있는데, 이러한 모습은 어떠한 바이킹 시대 배들에서도 발견된 바 없으며, 즉 이 배는 상징적인 배인 것 같다.[26]
툴스토르프 룬석의 그림들이 라그나로크에서 유래한 것으로 정확히 확인된다면, ''나글파르''는 거대한 늑대 펜리르 아래에 묘사되어 있다.[11] 이 배의 그림은 알려진 어떠한 바이킹 선박과 달리 앞뒤 모두 비크헤드를 가지고 있어, 상징적인 배일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있다.[12]
비문에는 ''울프''("늑대")라는 이름과 ''클레피르''/''글리피르''라는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 마지막 이름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지만, 펜리르 늑대를 묶었던 밧줄인 ''글레이프니르''와 유사한 ''Glæipiʀ''을 나타냈을 수 있다. 이 두 남성 이름이 룬석에 묘사된 주제에 영감을 주었을 수 있다.[13][14]
5. 현대의 등장
나글파르는 비디오 게임 《위쳐 3: 와일드 헌트》와 스핀오프 게임 《궨트》에 등장하며, 사악한 와일드 헌트가 세계를 오갈 때 사용하는 이동 수단으로 묘사된다.
또한, 나글파르는 비디오 게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군단》 확장팩에 등장한다. 영웅들은 던전인 영혼의 maw에서 2부로 구성된 던전의 마지막 절반을 나글파르에서 완료한다. 이는 던전의 최종 보스인 헬리아를 물리치는 것으로 절정에 달한다.
《EVE 온라인》에서 나글파르는 드레드노트급 전함이다.
파이어 엠블렘 성마의 광석의 보스 캐릭터 라이온의 마법책 이름은 나글파르이다.
존 마이어스 마이어스는 《실버록》의 첫 문단에서 나글파르를 침몰한 배의 이름으로 사용하여, 주인공이 현대 세계에서 벗어나 신화와 전설의 영역으로 모험을 떠나도록 설정했다.
나글파르는 스웨덴의 블랙 메탈 밴드 이름이다.
나글파르는 릭 라이어던의 소설 《죽은 자들의 배》의 중심 소재이며, 주요 등장인물들은 나글파르의 발진을 막기 위한 퀘스트를 수행한다.
참조
[1]
웹사이트
När Fenrir fick färg
https://k-blogg.se/2[...]
2023-12-16
[2]
간행물
Treatment of Hair and Fingernails among the Indo-Europeans
https://www.jstor.or[...]
1977
[3]
문서
Lincoln (1977:360—361).
[4]
웹사이트
Völuspá 50–51
https://www.voluspa.[...]
[5]
문서
Thorpe (1906:7).
[6]
문서
Bellows (1923:21—23).
[7]
문서
Faulkes (1995:36—37).
[8]
문서
Faulkes (1995:53).
[9]
문서
Faulkes (1995:55).
[10]
문서
Faulkes (1995:162).
[11]
문서
Merrony (2004:136); Crumlin-Pedersen & Thye (1995:170).
[12]
문서
McKinnell (2005:114).
[13]
웹사이트
När Fenrir fick färg
http://www.k-blogg.s[...]
Swedish National Heritage Board
[14]
웹사이트
"Bite me" runestones
http://www.runforum.[...]
Henrik Williams, Uppsala University
[1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60頁
[1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14頁
[17]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75頁
[18]
문서
Lincoln (1977:360—361).
[19]
문서
Thorpe (1906:7).
[20]
문서
Bellows (1923:21—23).
[21]
문서
Faulkes (1995:36—37).
[22]
문서
Faulkes (1995:53).
[23]
문서
Faulkes (1995:55).
[24]
문서
Faulkes (1995:162).
[25]
문서
Merrony (2004:136); Crumlin-Pedersen & Thye (1995:170).
[26]
문서
McKinnell (2005: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