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라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라타주는 시마모토 리오의 소설로, 2005년에 발표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대학생이 된 쿠도 이즈미가 고등학교 시절 연극부 고문이었던 하야마 타카시와 재회하면서 벌어지는 사랑 이야기를 그린다. 소설은 과거 회상을 통해 현재와 과거를 중첩시키는 '나라타주' 기법을 활용하며, 이즈미, 하야마, 그리고 주변 인물들의 복잡한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2017년에는 유키사다 이사오 감독, 마츠모토 준, 아리무라 카스미 주연의 영화로 제작되어 개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영화 - 노무현입니다
    노무현입니다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로, 그의 정치 입문, 좌절, 재기, 그리고 2002년 대통령 선거 경선 과정을 조명한다.
  • 2017년 영화 - 문영
    문영은 말을 못하는 소녀가 카메라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이야기를 그린 2015년 서울독립영화제 공개작으로, 김태리 주연, 서울농아인협회와 영화진흥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으며, 2017년 확장판이 개봉되었다.
  • 일본어 영화 작품 - 덕혜옹주 (영화)
    허진호 감독 연출, 손예진 주연의 영화 《덕혜옹주》는 권비영의 소설을 원작으로 일제강점기 덕혜옹주의 삶과 귀환을 그린 작품으로,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혼합하여 흥행과 함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일본어 영화 작품 - 벼랑 위의 포뇨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2008년 애니메이션 영화 《벼랑 위의 포뇨》는 인간이 되려는 물고기 소녀 포뇨와 인간 소년 소스케의 만남과 모험을 그린 작품으로, 우정과 사랑,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아름다운 영상미와 음악으로 호평을 받으며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나라타주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나루타주
원제Narratage
장르멜로/로맨스
드라마
원작섬본 리오의 "나루타주"
삽화가가타오카 타다히코
서적 정보
저자섬본 리오
삽화가가타오카 타다히코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출판사가도카와 쇼텐
출판일2005년 2월 28일
페이지 수373쪽
ISBN978-4048735902
ISBN (문고본)978-4043885015
웹사이트나루타주 (문고): 섬본 리오 - 가도카와 쇼텐
영화 정보
감독유키사다 이사오
제작자오가와 신지
각본가앤 호리즈미
출연마쓰모토 준
아리무라 가스미
사카구치 겐타로
음악구마가이 요코
우라야마 히데히코
촬영 감독준 후쿠모토

2. 원작 소설

시마모토 리오가 2005년에 발표한 소설로, 시마모토가 처음으로 문예지 등을 거치지 않고 집필하여 단행본으로 발행한 작품이다.[1]

이 소설은 "이 연애 소설이 대단해! 2006년판"(다카라지마샤) 제1위[1], 책의 잡지가 뽑은 상반기 베스트 10"에서 제1위, 2006년 서점 대상에서 제6위[2]로 선정되는 등 큰 주목을 받았다. 야마모토 슈고로 상 후보[3]에 올랐으며, 2016년 7월 기준 누계 40만 부가 판매되었다.[4] 시마모토가 개인 트위터에서 팬들에게 좋아하는 작품을 설문 조사한 결과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여, 시마모토의 대표작으로 꼽힌다.[5]

2. 1. 집필 배경

시마모토 리오는 이 작품을 통해 처음으로 문예지가 아닌 단행본으로 작품을 발표했다. 집필 당시 대학생이었던 시마모토는 학업보다 집필에 몰두하여 대학을 중퇴하기까지 했다.[7] 제목 '나리타주'는 영화 용어에서 따온 것으로, 과거 회상을 통해 현재와 과거를 중첩시키는 기법을 의미한다.[8] 시마모토는 이 작품을 통해 이전 작품들과 달리 장기간에 걸쳐 진정한 연애 소설을 쓰고자 했다.[9][10]

2005년 당시 『ViVi』에 연재되던 시마모토의 에세이에 따르면, 원고지 환산 700매가 넘는 장편으로 완성되어 독자들이 끝까지 읽어줄지 매우 불안했다고 한다.[6] 2006년 『WEB 책의 잡지』 인터뷰에서 시마모토는 본작의 제목 유래에 대해 설명하며 영화 용어인 '내러테이션'내러테이션|내러테이션영어이라는 단어를 발견했고, 이 단어와 의미가 작품명과 이야기 묘사에 거의 그대로 사용되었다고 답했다.[8]

2010년 문예지 『문예』에 시마모토의 특집 기사가 기획되었을 때 수록된 인터뷰에서는, "(『태어나는 숲』이) 아쿠타가와 상을 받지 못해서, '나도 좀 더 제대로 마음을 잡고 써야겠다'라고 생각하고 매달린 작품(이 본작)"이라고 답했다.[12] 전반부 300매 정도를 써낸 단계에서 담당 편집자에게 "마음껏 쓰세요"라는 답을 듣고 최종적으로 원고량 환산 740매 정도를 써서 제출했다고 한다. 또한, 본작 집필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손목 터널 증후군에 걸렸다고도 말한다.[12]

2. 2. 줄거리

대학 2학년이 된 '''쿠도 이즈미'''는 고등학교 시절 연극부 고문이었던 '''하야마 타카시'''에게서 갑작스러운 전화를 받는다. 하야마는 연극부 공연을 도와줄 졸업생을 찾고 있었고, 이즈미는 하야마와 다시 만날 수 있다는 생각에 설레면서도 당황한다.[1]

이즈미는 고등학교 시절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던 중 하야마에게 의지하며 특별한 감정을 품게 되었다. 하야마는 이즈미를 연극부에 초대해 주었고, 서로에게 마음의 안식처가 되어 주었지만, 졸업식 날 키스 이후 연락이 끊겼다. 하야마는 이전에 결혼했지만, 어머니와 전 부인의 갈등으로 이혼한 상태였다.[1]

이즈미는 하야마에 대한 마음을 정리하지 못한 채, 대학 친구인 '''오노 레이지'''의 고백을 받는다. 하지만 하야마에 대한 미련 때문에 오노의 고백을 거절한다. 하야마는 아내와 별거 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이즈미는 큰 충격을 받는다.[1]

연극부 공연 후, 이즈미는 오노에게 다시 한번 고백을 받고 그의 따뜻함에 이끌려 교제를 시작한다. 하지만 오노는 이즈미 마음속의 하야마에 대한 질투심을 숨기지 못하고, 결국 두 사람의 관계는 파국으로 치닫는다. 그러던 중, 연극부 후배의 자살 시도 소식을 듣고 병원으로 달려간 이즈미는 하야마와 마주치게 되고, 오노와 이별을 결심한다.[1]

오노와 헤어진 이즈미는 하야마에게 돌아가고, 하야마는 이즈미에게 자신의 마음을 고백한다. 하지만 하야마는 별거 중인 아내와 다시 시작하기로 했다는 사실을 밝힌다. 이즈미는 하야마와 마지막 사랑을 나누지만, 그와의 관계가 자신을 망가뜨릴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이별을 선택한다. 두 사람은 서로의 행복을 빌며 헤어진다.[1]

2. 3. 등장인물


  • '''쿠도 이즈미''' (工藤 泉)


국문학 전공 대학생. 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하야마 타카시에게 호감을 품고 있었으며, 그의 영향으로 영화(특히 오래된 외국 작품)를 좋아하게 된다. 하야마에게 졸업식 날 키스를 받지만 그 후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었다. 대학 2학년 봄, 연극부 은퇴 공연을 돕는 것을 계기로 멈춰있던 하야마와의 관계가 다시 시작된다. 하야마에게 거짓말을 당했다는 것을 알고 절망한 나머지 진정제를 과다 복용하여 심신이 모두 무너진다. 공연 후에 다시 고백해 준 오노 레이지와 교제하지만, 그는 하야마에 대한 질투심 때문에 이즈미를 속박하거나, 육체적인 관계를 강요하게 되어 반 강제로 헤어진다. 그 후 하야마에게 돌아가 서로 강하게 원하고 깊이 사랑하려고 하지만, 그는 아내와 다시 시작하기로 결심하고 스스로 관계의 종결을 제안했다. 그 이후 하야마를 만난 적이 없고, 대학 졸업 후 취업한 회사에서 만난 남성과 결혼을 결심한다.[1]

  • '''하야마 타카시''' (葉山 貴司)


이즈미가 다니던 고등학교의 교사. 연극부 고문을 맡고 있다. 32세지만 나이보다 젊어 보인다. 모자 가정에서 자랐다. 이즈미가 고등학교 3학년 때 세계사 교사로 부임해 왔다. 이즈미의 담임은 아니었지만 반에서 고립되어 있던 이즈미를 신경 써서 연극부에도 권유했다. 아내와는 별거 중이며, 시어머니와의 관계가 좋지 않아 정신적 이상을 일으켜 방화 사건을 일으킨 것이 원인이다. 이즈미에게는 헤어졌다고 말했지만 실제로는 호적을 정리하지 않았고, 방에는 아내와의 사진과 사물들이 남아 있었다. 부부 관계를 다시 시작하는 것도, 헤어지는 것도 할 수 없는 채 괴로워했지만, 학생이었던 이즈미의 존재에 구원받아 서로 의존하게 되었다. 이즈미와 애매한 관계를 이어갔지만, 이야기 후반부에서 별거 중인 아내와 다시 시작하기로 하고, 다른 학교로 전근하기로 결심한다.[1]

  • '''오노 레이지''' (小野 玲二)


이과 (생물 계열) 학부에 다니는 대학생으로, 쿠로카와 히로후미의 친구. 나가노현 출신. 대학 연극 서클에 소속되어 있었지만, 선배 여자친구에게 반해 쫓아다니게 된 것에 질려서 서클을 그만두고 연극에서 멀어졌다. 이즈미에게 교제를 신청하여 한 번 거절당했지만, 하야마와의 관계를 끊으려고 했을 때 다시 고백하여, 교제하게 되었다. 그러나 불안과 질투심에서 이즈미와 하야마의 관계를 의심하고, 이즈미의 마음을 고려하지 않는 육체 관계를 강요하게 된다. 유즈코가 병원으로 이송되었을 때 하야마와 마주치고, 이즈미를 독점하고 싶은 마음을 억누를 수 없게 된 끝에, 이즈미와 말다툼을 하고 파국을 맞는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브라스 밴드부에서 트롬본을 담당했고, 신구 서양 및 일본 음악에 대한 조예가 깊다.[1]

  • '''쿠로카와 히로후미''' (黒川 博文)


영문학과에 다니는 대학생. 이즈미의 고등학교 시절 동창. 미국으로 어학 연수를 가기로 결정했고, 교제하고 있는 야마다 시오와의 관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1]

  • '''야마다 시오''' (山田 志緒)


심리학을 공부하는 여대생. 이즈미의 고등학교 시절 동창으로, 쿠로카와와 교제하고 있다. 미인이지만 성격이 강하고, 누구에게나 솔직하게 말하는 성격 때문에 연극부에서 다툼이 많았다. 이즈미의 마음을 눈치챘지만 일부러 모른 척했다. 이즈미의 좋은 상담 상대.[1]

  • '''츠카모토 유즈코''' (塚本 柚子)


연극부 소속 고등학교 3학년. 그림을 그리는 것을 잘하며, 학교에 붙이는 공연 공지 포스터를 그린다. 모자 가정에서 자랐다. 귀여운 외모지만, 오랜만에 만난 이즈미가 바로 알아차릴 정도로 야위었고, 하야마에게도 진로가 정해지지 않은 것과 결석 및 조퇴가 늘어나는 것을 걱정받았다. 어머니와 싸우고 가출 소동을 일으킨다. 연극부를 은퇴한 후, 신도 케이 앞으로 작년 겨울 자신의 몸에 일어난 사건과 그에게의 고백을 적은 편지를 보낸 후, 육교 위에서 뛰어내려 자살을 시도했다.[1]

  • '''신도 케이''' (新堂 慶)


연극부 소속 고등학교 3학년. 유즈코와 친했지만, 연애 관계는 아니다. 그녀의 이상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최악의 결말을 맞이했기 때문에, 구하지 못한 죄악감과 후회에서 대학 진학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행방을 감춘다.[1]

  • '''카네다 이오리''' (金田 伊織)


연극부 소속 고등학교 3학년. 노안이며, 처음 만난 오노에게는 교사로 여겨졌다.[1]

2. 4. 작품 속 문화

작중에 등장하는 이즈미와 하야마가 방문하는 우에노시타 아파트먼트 (2006년 1월 촬영)

  • '''독일''': 이즈미의 부모님이 일 때문에 독일에 체류 중이었다. 이즈미는 대학 여름 방학을 이용하여 부모님을 만나 독일 문화를 접한다.[13]
  • '''연극''': 하야마의 부탁으로 이즈미는 고등학교 연극부 공연을 돕게 된다. 연기한 작품은 『부엌의 공주님』이다.[14]
  • '''동윤회 아파트''': 이즈미가 고등학생 시절 하야마에게 이야기를 들었던 곳이다. 재회 후, 하야마의 이혼하지 않은 아내의 존재를 알고 하야마에 대한 마음이 흔들리기 시작한 이즈미는 하야마와 함께 이나리초 역에 내려 아파트를 방문한다.[15]
  • '''묘가다니''': 오래된 건축물을 좋아하는 하야마가 자주 방문하는 장소이다.[16]
  • '''회중시계''': 하야마가 이즈미에게 준 물건이다.[17] 이즈미가 이것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어떤 장면에서 하야마의 과거를 아는 인물에게 말을 걸게 된다.[18]
  • '''영화''': 하야마의 권유로 이즈미는 영화를 좋아하게 된다. 작중에는 다음과 같은 영화들이 등장한다.
  • * 엘 수르: 하야마가 좋아하는 영화.[19] 이즈미는 하야마에게 빌린 이 영화의 DVD를 돌려주지 못하고 있었다.[20] 이즈미와 하야마가 깊이 사랑한 후 이 영화를 보고 이즈미는 최종적인 결단의 시간을 맞이한다.[17]
  • * 미드나잇 카우보이: 연극 첫 연습 후, 하야마가 이즈미에게 이야기를 할 때 대화에 등장하는 영화이다.[21]
  • * 꿀벌의 속삭임: 이즈미가 좋아하는 영화이다.[19]
  • * 어둠 속의 댄서: 하야마의 별거 중인 아내가 좋아하는 영화이다. 이 영화의 DVD가 하야마의 집에 있어서, 이즈미는 하야마가 이혼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22]
  • * 언더그라운드: 이즈미가 독일에서 귀국 후, 오노와 베를린의 정경에 대해 이야기할 때 화제로 꺼낸 영화이다.[23]
  • * 내 마을은 전쟁이었다: 이즈미가 오노의 방에서 처음 밤을 보낼 때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던 영화이다.[24]
  •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이즈미가 오노와의 교제에 망설임을 느끼기 시작했을 때 본 영화이다.[25]
  • '''마쓰모토시와 그 주변''': 오노의 고향이 있는 곳이다. 이즈미 등 대학생 그룹이 연극 연습 (합숙)을 위해 방문했고,[26] 이즈미와 오노가 교제한 후에도 둘이서 다시 고향을 방문한다.[27]
  • '''음악''': 오노는 고등학생 시절 브라스 밴드부에 소속되어 음악에 대한 조예가 깊다. 작중에는 다음과 같은 아티스트와 악곡이 등장한다.
  • * 네이티브 선: 이즈미 등이 처음 오노의 집에 방문했을 때 오노가 틀었던 아티스트이다. 곡은 『슈퍼 사파리』였는데, 오노에게는 옛 여자 친구를 연상시키는 곡이다.[28]
  • * EGO-WRAPPIN': 이즈미가 혼자 오노의 집을 방문했을 때 앨범 『Night Food』가 재생되고 있었다. 오노는 보컬의 목소리를 좋아한다고 말한다.[29]
  • * Time After Time: 신디 로퍼의 곡. 신디 로퍼가 오노에게 빌린 MD에 녹음되어 있었다.[30]
  • * 라디오헤드: 마쓰모토시로 향하는 버스 안에서 이즈미가 듣고 있던 MD에 들어 있던 아티스트 중 하나이다.[30]
  • * Over the Rainbow: 이즈미가 하야마와 만나기로 했을 때 흘러나오던 곡이다. 이즈미는 이 곡을 오노의 방에서 들었다고 솔직하게 말했기 때문에 불안한 분위기가 조성되기 시작한다.[31]
  • * 레이디 럭: 로드 스튜어트의 곡. 이즈미가 오노와 교제를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 곡이 수록된 CD를 받는다.[32]

2. 5. 평가

시마모토 리오일본어의 소설 《나라타주》는 제18회 야마모토 슈고로 상 후보에 올랐으며,[3] 평론가들로부터 섬세한 문체와 심리 묘사에 대한 호평을 받았다.

아사다 지로는 "이토록 육체의 감각을 생생하게 문장으로 표현하는 기술을 가진 작가는 드물"다고 평하며, "읽으면서 저절로 탄식이 나왔다"고 극찬했다. 기타무라 가오루는 비유가 자연스럽고 솜씨 부린 데가 없다고 평가했다. 고이케 마리코는 "만약 후반부, 200페이지 즈음부터의 부분만을 후보작으로 읽었다면, 틀림없이 나는 이 작품을 추천했을 것"이라고 말했다.[33][34]

다만, 멜로드라마적인 전개와 회상 형식의 한계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 아사다 지로는 멜로드라마 풍의 전개와 속도를 아쉬운 점으로 꼽았다. 시게마츠 기요시는 "이 이야기가 회상 형식이어야 했던 이유를 끝까지 읽을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시노다 세츠코는 "너무나 좁은 시야와, 내부 이야기의 세계에 질리면서 읽었다"며, "편리한 설정과 이야기 전개가 너무 많아 작품에서 보편성과 긴장감을 빼앗고 있다"고 평가했다.[33][34]

3. 영화

유키사다 이사오 감독, 마츠모토 준, 아리무라 카스미 주연의 영화가 2017년 10월 7일에 공개되었다.[36] 전국 289개 스크린에서 개봉되었으며, 흥행 수입은 12.8억을 기록했다.

3. 1. 제작 배경

이누도 잇신 감독은 원작 출판 직후부터 영화화를 구상했지만, 하야마 역에 적합한 배우를 찾지 못해 난항을 겪었다.[39][40] 원작자 시마모토는 "영화화는 꼭 하고 싶었지만, 최상의 형태가 좋아서 억지로 결정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39] 그러던 중 프로듀서 오가와 신지가 이누도에게 "하야마 역에 마츠모토 준은 어떻습니까?"라고 제안하면서 제작이 본격화되었다.[40]

이누도와 마츠모토 준의 대담에서, 이누도는 하야마와 이즈미의 "어쩔 수 없이 끊을 수 없는 관계"에서 나루세 미키오의 떠도는 구름과의 연결을 느꼈다고 말했다.[41] 떠도는 구름은 본작(영화판)에도 등장한다.[42]

마츠모토 준은 소설 야성시대에 게재된 시마모토와의 대담에서 하야마를 연기하며 "(히로인인) 이즈미의 회상 이야기"라고 해석했고, "이즈미에게 어떻게 비춰지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라고 말했다.[43] 그는 이즈미의 시선에서 하야마가 어떻게 보이는지를 의식하며 연기했다고 밝혔다.[43]

3. 2. 출연진

마츠모토 준, 아리무라 카스미, 사카구치 켄타로 외에 오오니시 레이호, 후루타치 유타로, 카미오카 미키, 코마키네 류스케, 카네코 다이치, 이치카와 미카코, 세토 코지, 오오타카 아키라, 호리 치에미, 타케하츠 시로, 미우라 세이코, 니시무타 메구미, 이토 사이리, 코마츠 모카, 야마우치 유카, 블랙스완 등이 출연했다.[1]

3. 2. 1. 주연

배우역할
마츠모토 준하야마 타카시
아리무라 카스미쿠도 이즈미
사카구치 켄타로오노 레이지
오오니시 레이호야마다 시오
후루타치 유타로쿠로카와 히로후미
카미오카 미키츠카모토 유즈
코마키네 류스케카네다 이오리
카네코 다이치신도 케이
이치카와 미카코하야마 미유키
세토 코지미야자와 케이타
오오타카 아키라, 호리 치에미, 타케하츠 시로, 미우라 세이코, 니시무타 메구미, 이토 사이리, 코마츠 모카, 야마우치 유카, 블랙스완 외기타


3. 2. 2. 조연


  • 야마다 시오 - 오오니시 레이호
  • 구로카와 히로후미 - 후루타치 유타로
  • 츠카모토 유즈 - 카미오카 미키
  • 가네다 이오리 - 코마키네 류스케
  • 신도 케이 - 카네코 다이치
  • 하야마 미유키 - 이치카와 미카코
  • 미야자와 케이타 - 세토 코지

3. 3. 스태프


  • 원작 - 시마모토 리오 "나라타주" (카도카와 문고 간행)
  • 감독 - 이유키 사다이[44]
  • 각본 - 호리이즈미 안
  • 음악 - 메이나Co.
  • 제작 - 사노 마사유키, 이치카와 미나미, 후지시마 쥴리 K., 호리우치 다이지, 유미야 마사노리, 쿠라타 소호, 다카하시 마코토, 아라나미 오사무, 코가 슌스케, 요시카와 에이사쿠, 오가와 신지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토요시마 마사오, 우에다 다이지
  • 프로듀서 - 오가와 신지, 코가 슌스케
  • 촬영 - 후쿠모토 준
  • 조명 - 이치카와 노리미츠
  • 편집 - 이마이 고
  • 의상 디자인 - 이토 사치코
  • 미술 - 소마 나오키
  • 장식 - 다나카 히로시
  • 녹음 - 이토 히로키
  • 조감독 - 마스다 신야
  • VFX 슈퍼바이저 - 스스무 타케시
  • 음향 효과 - 오카세 아키히코
  • 연극 감수 - 시마다 마사유키
  • 극중극 - "한여름 밤의 꿈" (번역: 마츠오카 카즈코)
  • 취재 협력

학교
지바현립 마츠도 고등학교, 지바현립 마츠도마바시 고등학교, 도쿄도립 아스카 고등학교, 도쿄도립 오이즈미 사쿠라 고등학교, 독협 고등학교, 도야마현립 도야마히가시 고등학교, 시모지 카즈아키 (준텐도 대학)


  • 로케 협력

기관
도야마현, 도야마시, 다카오카시, 히미시, 도야마현 로케이션 오피스, 도야마 필름 커미션, 다카오카 필름 커미션, 다카오카시 관광 협회, 도야마현립 후시키 고등학교, 도야마현립 토나미노 고등학교 외


  • 기획 협력 - KADOKAWA
  • 기획 - 세컨드 사이트, 브리지헤드
  • 배급 - 도호, 아스믹 에이스
  • 제작 프로덕션 - 도에이 도쿄 촬영소
  • 제작 협력 - 더 풀
  • 제작 - "나라타주" 제작위원회 (아스믹 에이스, 도호, 제이 스톰, KADOKAWA, JR 동일본 기획, 세컨드 사이트, KDDI, GYAO, 더 풀, 일본출판판매, 브리지헤드)

3. 4. 관련 상품


  • ナラタージュ DVD 豪華版일본어 (2018년 5월 9일 발매/도호)[1]
  • ナラタージュ DVD 通常版일본어 (2018년 5월 9일 발매/도호)[1]
  • ナラタージュ Blu-ray 豪華版일본어 (2018년 5월 9일 발매/도호)[1]

참조

[1] 서적 生まれる森 講談社
[2] 웹사이트 2006年本屋大賞結果発表&発表会レポート http://www.hontai.or[...] 2016-10-25
[3] 웹사이트 第十八回山本周五郎賞 https://www.shinchos[...] 2016-10-25
[4] 문서 ナタラージュ 表紙カバーの作者紹介 2016-08-10
[5] 웹사이트 diary http://shimamotorio.[...] 2016-10-25
[6] 서적 CHICAライフ
[7] 서적 CHICAライフ
[8] 和書 作家の読書道:第49回 島本理生 http://www.webdoku.j[...] WEB本の雑誌 2016-12-30
[9] 和書 「作家と90分」芥川賞候補となった『夏の裁断』を越えて、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小説に舵を切っていく「決意」--島本理生(1)#夏の3日間で一気に書き上げた『生まれる森』 http://hon.bunshun.j[...] 本の話WEB(文藝春秋) 2017-03-01
[10] 和書 「作家と90分」芥川賞候補となった『夏の裁断』を越えて、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小説に舵を切っていく「決意」--島本理生(1)#「恋愛小説家」というイメージについて http://hon.bunshun.j[...] 本の話WEB(文藝春秋) 2017-03-01
[11] 간행물 野性時代 2007-12
[12] 간행물 文藝 2010-03 # Spring issue assumed to be March
[13] 서적 ナラタージュ
[14] 간행물 せりふの時代 1998-08 # Summer issue assumed to be August
[15] 서적 ナラタージュ
[16] 서적 ナラタージュ
[17] 서적 ナラタージュ
[18] 서적 ナラタージュ
[19] 서적 ナラタージュ
[20] 서적 ナラタージュ
[21] 서적 ナラタージュ
[22] 서적 ナラタージュ
[23] 서적 ナラタージュ
[24] 서적 ナラタージュ
[25] 서적 ナラタージュ
[26] 서적 ナラタージュ
[27] 서적 ナラタージュ
[28] 서적 ナラタージュ
[29] 서적 ナラタージュ
[30] 서적 ナラタージュ
[31] 서적 ナラタージュ
[32] 서적 ナラタージュ
[33] 간행물 小説新潮 2005-07
[34] 웹사이트 山本周五郎賞-選評の概要-第18回 http://prizesworld.c[...] 2016-11-23
[35] 영화 映連興行収入
[36] 웹사이트 松本潤、有村架純と“禁断の恋” 『ナラタージュ』映画化 https://www.oricon.c[...] 2016-10-25
[37] 간행물 エンタミクス KADOKAWA 2017-02
[38] 웹사이트 松本潤 4年ぶり主演映画「ナラタージュ」公開に万感「忘れられない作品になった」 : 映画ニュース https://eiga.com/new[...] 2017-10-07
[39] 웹사이트 行定勲監督「ナラタージュ」での有村架純の土下座に賛辞「ブサイク。それが素晴らしい」 https://eiga.com/new[...] 2017-09-15
[40] 간행물 +act 2017-10
[41] 간행물 ぴあ Movie Special 2017-09 # Autumn으로 추정하여 9월로 설정
[42] 간행물 +act 2017-10
[43] 간행물 小説 野性時代 2017-10
[44] 웹사이트 映画ファンが「官能的…」と高評価!大胆で美しい「ラブシーン」がある映画って? https://news.livedoo[...]
[45] 뉴스 『ナラタージュ』主題歌は上白石萌歌だった! “adieu”として音楽活動本格化へ https://www.cinemaca[...] イード 2019-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