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린제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린제닌은 4', 5, 7번 탄소에 수산기를 가진 플라바논으로, 아글리콘 형태와 배당체 형태인 나린진으로 존재한다. 나린제닌은 간 효소 나린지나제의 가수분해 작용으로 나린진으로부터 생성되며, 4-쿠마로일-CoA와 말로닐-CoA로부터 유래한다. 이 화합물은 CYP1A2 억제제로 작용하며,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나린제닌은 자몽, 오렌지, 토마토 등 다양한 식물에 함유되어 있으며, 경구 섭취 시 흡수율이 낮지만, 자몽 주스, 오렌지 주스, 조리된 토마토 페이스트 등을 통해 흡수될 수 있다. 나린제닌의 배당체로는 나릴루틴, 나린진, 프루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조르시놀 - 칸나비디올
    칸나비디올(CBD)은 대마초에서 추출되는 칸나비노이드의 일종으로 정신 활성 효과는 없지만 항염증, 항경련, 항산화 효능이 있으며 특정 간질 질환 치료제로 승인되었으나,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추가 연구와 품질 관리가 필요하며 국가별 법적 규제가 상이하여 의료용 및 오락용 사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인 물질이다.
  • 레조르시놀 - 터부탈린
    터부탈린은 천식 단기 치료에 사용되는 속효성 기관지확장제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조산 지연에 사용될 수 있지만 심혈관계 부작용 위험과 약물 상호작용 문제, 그리고 세계 반도핑 기구 금지 약물 목록 등재로 인해 통상적으로 권장되지는 않는다.
  • 3-하이드록시프로펜알 - 피리독살
    피리독살은 비타민 B6에 속하는 복소환식 유기 화합물들의 총칭으로, 피리독신, 피리독사민 등을 포함하며 녹색 식물에 주로 존재하고 결핍 시 간질 발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수용액 상태에서 자외선이나 열에 불안정하다.
  • 3-하이드록시프로펜알 -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메틸은 골테리아 속 식물에서 발견되는 유기 화합물로 윈터그린 오일의 주성분이며, 향료, 진통제, 식물 호르몬 전구체 등으로 사용되지만 고농도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 카파 오피오이드 수용체 대항제 - 날록손
    날록손은 오피오이드 수용체 길항제로서 아편류 과다 복용의 응급 치료에 주로 사용되며, 클로니딘 과다 복용, 오피오이드 오남용 방지, 쇼크 치료 등에 활용되기도 하지만, 임산부나 간·신장 기능 장애 환자에게는 신중한 투여가 필요하고 금단 증상 및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약물이다.
  • 카파 오피오이드 수용체 대항제 - 카테킨
    카테킨은 페그나무 유래 생약 카테큐에서 유래한 화합물로, 특정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식품에 존재하고 항산화 작용 등 생리 활성을 가지지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
나린제닌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개요
나린제닌
나린제닌 구조
나린제닌 3D 모델
나린제닌 3D 모델
IUPAC 이름(2S)-4′,5,7-트라이하이드록시플라반-4-온
관용명나린제톨; 살리푸롤; 살리푸르폴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480-41-1
DrugBankDB03467
ChEBI50202
UNIIHN5425SBF2
KEGGC00509
ChEMBL9352
PubChem CID439246
ChemSpider ID388383
SMILESO=C2c3c(O[C@H](c1ccc(O)cc1)C2)cc(O)cc3O
표준 InChI1S/C15H12O5/c16-9-3-1-8(2-4-9)13-7-12(19)15-11(18)5-10(17)6-14(15)20-13/h1-6,13,16-18H,7H2/t13-/m0/s1
표준 InChIKeyFTVWIRXFELQLPI-ZDUSSCGKSA-N
속성
분자식C15H12O5
겉모습해당 없음
밀도해당 없음
녹는점251 °C
용해도475 mg/L
위험성
주요 위험해당 없음
인화점해당 없음
자연 발화점해당 없음
약리학 정보
IUPAC 이름 (약리학)5,7-다이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페닐)크로만-4-온
투여 경로해당 없음
생체 이용률해당 없음
단백질 결합해당 없음
대사해당 없음
제거 반감기해당 없음
ATC 코드해당 없음
동의어4',5,7-트라이하이드록시플라바논

2. 구조

나린제닌은 4', 5, 7번 탄소에 3개의 수산기를 가진 플라바논의 골격 구조를 가지고 있다.[2] 나린제닌은 아글리콘 형태와 배당체 형태인 나린진으로 발견될 수 있으며, 나린진은 7번 탄소에 이당류 네오헤스페리도스가 배당체 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대부분의 플라바논과 마찬가지로, 나린제닌은 2번 탄소에 단일 키랄 중심을 가지고 있지만 광학 순도는 가변적이다.[6][7] (''S'')-(−)-나린제닌의 래스화는 비교적 빠르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8]

3. 생합성 및 대사

나린제닌은 간 효소 나린지나제의 가수분해 작용에 의해 나린진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2] 나린제닌은 말로닐-CoA와 4-쿠마로일-CoA로부터 유래하는데,[2] 후자는 페닐알라닌에서 유래한다. 생성된 테트라케타이드는 칼콘 합성효소에 의해 작용하여 칼콘을 생성하며, 이 칼콘은 고리 폐쇄를 거쳐 나린제닌이 된다.[19]

효소 나린제닌 8-디메틸알릴전이효소는 디메틸알릴 이인산과 (−)-(2''S'')-나린제닌을 사용하여 이인산과 8-프레닐나린제닌을 생성한다. 포유류 대사 모델 유기체인 곰팡이 ''Cunninghamella elegans''는 나린제닌 황산화를 연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20]

나린제닌의 대사 과정과 생물학적 역할은 연구하기 어렵다. 나린제닌이 장과 간에서 빠르게 대사되고, 대사산물이 배설되기 때문이다.[2][21] 나린제닌 대사산물의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모 화합물과는 구조와 기능이 다를 가능성이 높다.[2][21]

4. 생리 활성

나린제닌의 대사 과정과 생물학적 역할은 연구하기 어렵다. 나린제닌이 장과 간에서 빠르게 대사되고, 대사산물이 배설되기 때문이다.[2][21] 나린제닌 대사산물의 생물학적 활성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모 화합물과는 구조와 기능이 다를 가능성이 높다.[2][21]

나린제닌은 CYP1A2의 억제제로 작용하며, 항변이원성을 갖는 것으로 시사되었다.[22]

동물 실험에서 나린제닌은 LDL 수용체 결손 마우스를 고지방식에 의한 비만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보였다.[25] 또한 랫트에서 HMG-CoA 환원 효소와 ACAT를 억제하여 혈액 중과 간장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켰다.[26]

4. 1. 항C형 간염 바이러스 효과

나린제닌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간세포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이는 나린제닌이 가진 간세포로부터의 초저밀도 지단백질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의 이차적인 효과로 생각된다[23]. 나린제닌의 항C형 간염 바이러스 효과는 현재 임상 연구 중이다[24].

5. 소재 및 흡수

나린제닌과 그 배당체는 허브, 과일을 포함하여 다양한 곳에서 발견된다. 여기에는 자몽, 오렌지, 레몬[2], 시트론[9], 사워 체리[10], 토마토[11], 코코아 콩[12], 그리스 오레가노[13], 워터 민트[14] 뿐만 아니라 에서도 발견된다.[15] 나린제닌과 나린진의 비율은 공급원에 따라 다르며,[2] 거울상 이성질체 비율도 다르다.[7]

나린제닌-7-글루코사이드 형태는 아글리콘 형태보다 생체 이용률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16] 자몽 주스는 오렌지 주스보다 훨씬 높은 혈장 내 나린제닌 농도를 제공할 수 있다.[17] 나린제닌은 조리된 토마토 페이스트에서 흡수될 수 있는데, 토마토 페이스트 150g에는 3.8mg의 나린제닌이 들어 있다.[18] 나린게닌은 천연으로 존재하는 화합물이며, 자몽[27], 오렌지, 토마토 등에 함유되어 있다. 나린제닌을 경구 섭취해도 흡수가 잘 되지 않으며, 가장 좋은 조건에서도 15% 정도만 흡수된다. 나린제닌-7-글루코시드는 아글리콘인 나린제닌보다 흡수가 더 어려운 것으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경우, 자몽 주스, 오렌지 주스, 조리된 토마토 페이스트 등을 섭취해도 나린제닌이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배당체

나린제닌의 배당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알려져 있다.


  • 나릴루틴 (나린제닌-7-O-루티노시드)
  • 나린진 (나린제닌-7-O-네오헤스페리도사이드)
  • Prunin|프루닌영어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

참조

[1] HMDB
[2] 웹사이트 Flavonoids https://lpi.oregonst[...]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2024-05-09
[3] 논문 "[Grapefruit juice and drugs: a hazardous combination?]" 2002
[4] 논문 Effects of food on clinical pharmacokinetics 1999-09
[5] 논문 Drug interactions with grapefruit juice. Extent, probable mechanism and clinical relevance https://pubmed.ncbi.[...] 1998-04
[6] 논문 Methods of analysis and separation of chiral flavonoids 2007-04
[7] 논문 Pharmacokinetics of selected chiral flavonoids: hesperetin, naringenin and eriodictyol in rats and their content in fruit juices 2008-03
[8] 논문 Analysis of enantiomeric flavanones in plant extract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n a cellulose triacetate based chiral stationary phase 1991-07
[9] 논문 Chiral separation of diastereomeric flavanone-7-''O''-glycosides in citrus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2003-08
[10] 논문 Antioxidant polyphenols from tart cherries (''Prunus cerasus'') 1999-03
[11] 논문 Changes in the polyphenol profile of tomato juices processed by pulsed electric fields 2012-09
[12] 논문 Liquid chromatographic/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ic study of the phenolic composition of cocoa (''Theobroma cacao'') 2003-01
[13] 논문 LC-UV-solid-phase extraction-NMR-MS combined with a cryogenic flow probe and its applica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compounds present in Greek oregano 2003-11
[14] 논문 Isolation of the MAO-inhibitor naringenin from Mentha aquatica L 2008-05
[15] 논문 Effects of flavonoids released naturally from bean (''Phaseolus vulgaris'') on nodD-regulated gene transcription in ''Rhizobium leguminosarum'' bv. ''phaseoli'' 1992-05-01
[16] 논문 Interactions of the flavonoid naringeni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 influence of glycosylation 1999-11
[17] 논문 Plasma kinetics and urinary excretion of the flavanones naringenin and hesperetin in humans after ingestion of orange juice and grapefruit juice 2001-02
[18] 논문 Naringenin from cooked tomato paste is bioavailable in men 2002-11
[19] 논문 Characterization of Stilbene Synthase Genes in Mulberry (''Morus atropurpurea'') and Metabolic Engineering for the Production of Resveratrol in ''Escherichia coli'' 2017-03
[20] 논문 Sulfation of naringenin by ''Cunninghamella elegans'' 2000-01
[21] 논문 Systematic analysis of the polyphenol metabolome using the Phenol-Explorer database 2016-01
[22] 논문 Inhibitory effect of grapefruit juice and its bitter principal, naringenin, on CYP1A2 dependent metabolism of caffeine in man 1996
[23] 논문 Apolipoprotein B-dependent hepatitis C virus secretion is inhibited by the grapefruit flavonoid naringenin 2008-05
[24] 간행물 A Pilot Study of the Grapefruit Flavonoid Naringenin for HCV Infection http://clinicaltrial[...]
[25] 간행물 Naringenin prevents dyslipidemia, apoB overproduction and hyperinsulinemia in LDL-receptor null mice with diet-induced insulin resistance http://diabetes.diab[...]
[26] 간행물 Cholesterol-Lowering Activity of Naringenin via Inhibition of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and Acyl Coenzyme A: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 Rats http://content.karge[...] 1999
[27] 간행물 Bioavailability of the flavanone naringenin and its glycosides in rats http://ajpgi.physiol[...]
[28] 논문 Interactions of the Flavonoid Naringeni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 Influence of Glycosylation 1999
[29] 간행물 Plasma Kinetics and Urinary Excretion of the Flavanones Naringenin and Hesperetin in Humans after Ingestion of Orange Juice and Grapefruit Juice http://jn.nutrition.[...]
[30] 간행물 Naringenin from Cooked Tomato Paste Is Bioavailable in Men http://jn.nutrition.[...]
[31] 문서 Sulfation of naringenin by Cunninghamella elegans. Abdel-Rahim S. Ibrahim, Phytochemistry, Volume 53, Issue 2, January 2000, pages 209-212
[32] 웹인용 Naringenin http://chem.sis.nlm.[...] ChemIDplus
[33] 저널 Preparation and Taste of Certain Glycosides of Flavanones and of Dihydrochalcones 1994-01-01
[34] 저널 Structure of (R,S)-hesperetin monohydrate 1987-10-15
[35] 저널 Bioavailability of the flavanone naringenin and its glycosides in rats https://hal.inrae.fr[...] 2000-12
[36] 저널 Methods of analysis and separation of chiral flavonoids 2007-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