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주시의 시내버스는 나주시와 인접 지역을 운행하며, 2017년 1월부터 요금 체계가 적용되고 있다. 나주교통이 주요 운송 업체이며, 2019년 6월부터 광신고속 노선이 나주교통으로 이관되었다. 노선은 100번대부터 700번대, 순환 노선, 급행버스, 광주 방면 노선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2016년 간선/지선 체계 개편을 통해 노선이 효율화되었고,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및 도시철도와 환승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광주, 화순, 함평, 영암 등 타 지역 차적의 버스 노선도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주시의 교통 - 다도로
다도로는 전라북도에서 시작해 나주시 다도면을 지나 화순군 도암면을 잇는 도로로, 세남로에서 시작하여 도천로, 운치도암로, 천태로와 연결된다. - 나주시의 교통 - 나주역
나주역은 1913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KTX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 전라남도의 버스 교통 - 담양공용버스터미널
담양공용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담양군에 위치하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농어촌버스 등 다양한 노선의 버스가 운행되는 터미널이다. - 전라남도의 버스 교통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나주시의 시내버스 | |
---|---|
버스 정보 | |
![]() | |
지역 | 전라남도 나주시 |
구분 | 시내버스 |
관리 기관 | 나주시청 경제건설국 |
서비스 지역 | 전라남도 나주시 |
기타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광주광역시 |
노선 수 | 144 |
인가 대수 | 150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
후불 카드 | |
기타 | |
사이트 | 나주시청 시내버스 노선 |
2. 운임
2017년 1월 15일부터 현재의 요금 체계가 시행되고 있다. 요금은 아래 표와 같다.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시계외구간 최고요금 (원) |
---|---|---|---|---|
시내 | ||||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 1350 | 1300 | 2550 | |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 1000 | 950 | 2050 | |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 650 | 600 | 1250 |
wikitext
1995년 나주시와 나주군이 통합된 이후, 운행 방면에 따라 노선 번호 체계가 정해졌다. 100번대(왕곡, 공산, 반남, 동강), 200번대(도동, 남평, 드들강, 중장터), 300번대(금천, 빛가람, 산포), 400번대(동창, 봉황, 군계, 영암, 중장터, 다도), 500번대(다시, 문평, 나산), 600번대(노안, 나주, 영산포, 부치, 동창) 노선과 순환 노선으로 구분되었다.[4] 2014년 5월 12일부터 광주공항까지 운행하는 1160번 버스가 개통되었다.[4]
나주시에서는 2003년 1월부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했으며, 2006년 12월부터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와 동일한 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이용객이 증가했다. 2008년 9월 8일부터 교통카드 이용 시 하차 후 30분 이내 1회 무료 환승이 가능했으나, 2017년 1월 15일부터 하차 후 1시간 이내 횟수 무제한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 7월 19일부터는 광역환승할인제도 시행으로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및 광주 도시철도로 환승 시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단, 광주광역시 경계를 출입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시계외요금은 km당 116.14원이다.
3. 운수 업체
2015년 11월 기준 나주시의 시내버스 운행업체는 나주교통이며, 등록대수는 다음과 같다.[3]운행업체 등록대수 나주교통 160 합계 160 4. 노선
2016년 6월 1일, 나주시는 버스 노선을 간선/지선 체계로 개편했다. 광주-남평-나주-영산포 등 주요 거점을 오가는 구간은 간선으로, 남평읍과 나주, 영산포에서 읍면동을 오가는 노선은 지선으로 변경되었다. 이 개편으로 각 읍면동으로 가는 버스 배차와 운행 횟수가 늘어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긍정적 효과를 더욱 강조하는 반면, 광주 방면 승객은 영산포터미널, 나주터미널, 남평에서 환승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여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5]
2016년 8월 22일부터 123번 버스가 999번으로 변경되어 운행한다.[6] 2017년 9월 2일부터 광신고속 160번 노선에 저상버스가 투입되었고, 2018년 3월 20일부터는 700번 노선에 전기버스 4대가 투입되었다.
2019년 1월 1일부터 나주터미널에 160번, 700번 버스가 정차하지 않게 되었다. 999번 노선은 빛가람로 경유로 통일되었고, 내기리 경유 노선(999-1번)은 동신대, 남평 강변도시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2019년 6월 1일부터 광신고속의 전체 노선과 차량을 나주교통에 이관하여 광신고속에서는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다.
4. 1. 급행버스
999번, 999-1번은 광주시내에서 아래 경유지에만 정차한다.[7] 전남대후문(종점) 이후 나주교통 문흥차고지까지는 공차회송하며, 999-1은 999차량에 번호만 바꿔 운행한다.
노선 번호 | 운행 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횟수 | 비고 | ||
---|---|---|---|---|---|---|---|
급행1 | 나주교통 | 나주터미널 | ↔ | 전남대후문 | 빛가람동행정복지센터.호수공원, 한전KDN/한국문화예술위원회, 나주역, 중앙로 | 왕복 30~40분 | 혁신도시 빛가람로 경유 |
급행3 | 영산포 | ↔ | 전남대후문 | 빛가람동행정복지센터.호수공원, 한전KDN/한국문화예술위원회, 나주역, 대덕아파트, 영강사거리.영강대교, 선창, 보건소 | 왕복 70~118회 | 혁신도시 미경유 |
4. 2. 광주 방면 노선
나주시에서 광주광역시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160번, 161번, 997번, 998번, 999번 등이 있다. 이들 노선은 나주교통에서 운행하며, 영산포를 기점으로 광주광역시 각지를 연결한다. 각 노선별 운행 구간, 배차 간격 등 자세한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최근에는 저상버스 보급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노선 번호 | 운행 업체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 비고 | ||
---|---|---|---|---|---|---|---|
160 | 나주교통 | 영산포 | ↔ | 문흥 | 나주역, 나주터미널, 본덕, 광주송정역, 공항역 | 20~30분 | |
161 | 영산포 | ↔ | 문흥 | 나주역, LH1·2단지, 이지더원아파트, 부영1단지, 중흥S클래스센트럴1.2차, 코오롱하늘채, 동곡, 도산역, 광주송정역, 공항역, 김대중컨벤션센터역, 운천역, 양동시장역, 대인광장 - (← 광주역 ←) - 말바우시장, 전남대공과대학 | 18~54분 | ||
997 | 영산포 | ↔ | 전남대학교 | 나주역, 우미린, 부영애시앙, 중흥1.2차, 산포, 남평 | 40~60분 | 우정로 경유 | |
998 | 영산포 | ↔ | 전남대학교 | 나주역, 농어촌공사, LH1.2차, 빛가람초등학교, 빛가람중학교, 산포, 남평 | 40~60분 | 그린로 경유 | |
999 | 영산포 | ↔ | 전남대학교 | 나주역, 나주터미널, 효사랑병원, 내기리(산포), 남평, 강변도시 | 35~60분 |
4. 3. 시내버스
남평정류장, 나주터미널, 영산포터미널 등에서 각각 읍, 면소재지로 운행한다.경유지에서 괄호로 표시한 부분은 일부 시간대만 정차하는 지역이다.
노선 번호 | 운행 업체 | 운행 구간 | 경유지 | 운행 횟수 | 비고 | ||
---|---|---|---|---|---|---|---|
100 | 나주교통 | 영산포 | ↔ | 봉추 | 나주터미널, 영산포터미널, (용교), 공산, 동강, (동산) | 왕복 8~10회 | 봉추 방면 10회 영산포 방면 8회 동산 3회 경유 |
101 | 영산포 | ↔ | 대전리 | 나주터미널, 영산포터미널, 화성, 진천, 공산, 동강, 곡천 | 왕복 6~7회 | 대전리 방면 6회 영산포 방면 7회 막차 화성, 진천, 곡천 미경유 | |
200 | 나주교통 | 남평 | ↔ | 유촌 | 도래 | 왕복 10~11회 | 덕림 1회 경유 |
201 | 남평 | ↔ | 행산 | 전남농업기술원, 국립나주병원, 해피니스골프장, 삼정삼거리, 다도면행정복지센터 , 불회사 , 중장터 | 135~200분 | ||
300 | 나주교통 | 남평 | ↔ | 박실 | 화지리 | 왕복 5회 | |
오림 | 화지리, 박실, 봉황 | 왕복 2회 | |||||
301 | 영산포 | ↔ | 남평 | 나주터미널, 금천, 신갈, 야죽, 금천, 산포, 산재 | 왕복 2회 | 남평 방면 첫차 나주터미널 출발 | |
302 | 영산포 | ↔ | 진포리 | 나주터미널, 금천, 평산, 영산포 | 왕복 2회 | 진포리 방면 막차 나주터미널 출발 영산포 방면 나주터미널 종착 | |
나주터미널, 금천, 신가리, 금천, 평산, 영산포 | 왕복 2회 | ||||||
400 | 나주교통 | 영산포 | ↔ | 동창 | 나주터미널, 나주역, 영산포터미널, 내정 | 왕복 3~5회 | 동창 방면 5회 영산포 방면 3회 동창 방면 2회 나주터미널 출발 영산포 방면 첫차 나주터미널 종착 |
교산 | 나주터미널, 나주역, 영산포터미널, 내정, 동창 | 왕복 4회 | 왕복 1회 나주터미널 시·종착 | ||||
식산 | 나주터미널, 나주역, 영산포터미널, 내정, 동창 | 왕복 6회 | 왕복 2회 나주터미널 시·종착 | ||||
금정 | 나주터미널, 나주역, 영산포터미널, 내정, 동창 | 왕복 4회 | 영산포 방면 2회 나주터미널 종착 | ||||
401 | 영산포 | ↔ | 동창 | 나주터미널, 금천, 봉황, (철애), (운곡) | 왕복 16~17회 | 동창 방면 17회 영산포 방면 16회 철애 5회 경유 동창 방면 운곡 3회 경유 영산포 방면 운곡 4회 경유 왕복 3회 나주터미널 시·종착 | |
402 | 영산포 | ↔ | 동창 | 나주터미널, 영산포터미널, 죽동 | 왕복 2회 | ||
나주터미널, 영산포터미널, 부치 | 왕복 3회 | 왕복 2회 나주터미널 시·종착 | |||||
교산 | 나주터미널, 영산포터미널, 죽동, 동창 | 왕복 1회 | 영산포 방면 나주터미널 종착 | ||||
덕곡 | 나주터미널, 영산포터미널, 죽동, 동창 | 왕복 5회 | 왕복 2회 나주터미널 시·종착 | ||||
403 | 영산포 | ↔ | 덕림 | 나주터미널, 영산포터미널, 봉황, 효룡, 다도면 | 왕복 2회 | 도동 방면 첫차 나주터미널 미경유 도동 방면 1회 나주터미널 출발 | |
500 | 나주교통 | 영산포 | ↔ | 문평 | 나주터미널, 영강삼거리, 다시 | 왕복 1~2회 | 문평 방면 2회 영산포 방면 1회 |
600 | 나주교통 | 영산포 | ↔ | 송정 | 나주터미널, (승촌보), (노안역), 노안면사무소, 덕림, 양천리 | 왕복 5회 | 왕복 1회 승촌보, 노안역 경유 왕복 1회 노안역 경유 송정 방면 1회 이슬 경유 송정 방면 1회 나주터미널 출발 영산포 방면 2회 나주터미널 종착 |
700 | 나주교통 | 우정사업 정보센터 후문 | ↔ | 동신대 | 전파진흥원, 빛가람초중교, LH1·2단지, 농어촌공사, 빛가람동주민센터, 한전후문, 우미린아파트, 나주역, 문화예술회관, 공공도서관, 목사고을시장 | 15~30분 (왕복41회) | |
701 | 남평 | ↔ | 중흥 골드스파 리조트 | 양우내안애, 인암마을 | 70-80분 (왕복10회) | ||
7001 | 나주교통 | 대호동(동신대학교) | ↔ | 빛가람병원 후문 | 성북주공아파트, 남고문, 소방삼거리, 나주시청, 나주역, 빛가람대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어촌공사, LH 1.2단지, 빛가람초중교, 부영1차, 우정사업정보센터후문 | 38회 | 전기버스 운행 |
7002 | 동호동(동신대학교) | ↔ | 빛가람동(우정사업정보센터후문) | 빛가람대교, 전력거래소, 우미린아파트, 중흥 1.2차, 우정사업본부, 부영3차아파트 | 38회 | 전기버스 운행 | |
7003 | 빛가람후문병원 | ↔ | 나주터미널 | 국립전파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나주시청년센터, 나주국민체육센터, KT나주빌딩, 나주초등학교, 성북동행정복지센터 | 13회 |
4. 4. 공공형 버스
번호업체
구간
횟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