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영암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영암군은 전라남도에 위치한 군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백제 시대에는 대외 무역항이 있던 곳이다. 신라 경덕왕 때 영암군으로 개칭되었고, 고려 시대에는 낭주군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1096년 다시 영암군이 되었다. 조선 시대를 거쳐 1895년 나주부에, 1896년 전라남도에 편입되었으며,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행정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현재는 2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대삼호중공업이 위치한 삼호읍을 중심으로 조선업이 발달했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국도와 남해고속도로가 있으며, 과거에는 목포공항이 있었으나 폐쇄되었다. 문화 관광 자원으로는 월출산 국립공원, 영암호,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 등이 있으며, 영암왕인문화축제와 월출산 국화축제가 열린다. 교육 기관으로는 세한대학교, 영암고등학교 등이 있으며, 영등포구, 산청군, 히라카타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암군의 행정 구역 - 삼호읍
    전라남도 영암군 남서쪽에 위치한 삼호읍은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영암군청과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이 위치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연결된다.
  • 영암군의 행정 구역 - 영암읍
    영암읍은 전라남도 영암군의 읍으로, 16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영암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대한민국 전라남도 영암군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이름영암군
원어 이름영암군
한자 표기靈巖郡
로마자 표기Yeongam-gun
McCune-Reischauer 표기Yŏng'am-gun
국가대한민국
지역호남
방언전라
행정 구역
종류
하위 행정 구역2 9
지리 정보
면적544.48 km²
인구 정보
총인구51,573 명
인구 밀도104.77 명/km²
남자 인구27,372 명
여자 인구24,978 명
행정 정보
군수우승희(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서삼석(더불어민주당, 영암군·무안군·신안군)
군청 소재지영암읍 군청로 1 (동무리 158)
홈페이지영암군청
상징
군목느티나무
군화매화
군조산비둘기
엠블럼
영암군 엠블럼
영암군 엠블럼
깃발
영암군 깃발
영암군 깃발
기타
영암군 교차로의 목동상 야경
영암군 교차로의 목동상 야경
문화재도갑사 대웅보전과 오층석탑

2. 역사

영암군은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다듬은 돌도구 등 청동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3]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했고, 삼국 시대에는 백제의 영역으로 대외무역항이 있었으며, 왕인 박사가 왜로 출항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3]


  • 백제 시대 : 월내군(月奈郡)이었다.[3]
  • 757년 (신라 경덕왕 16) : 영암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 995년 (고려 성종 14) : 낭주군(朗州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1096년 (고려 현종 9) : 다시 영암군이 되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나주부 영암군[14][5]
  • 1896년 8월 4일 : 전라남도 영암군[15][6]
  • 1914년 4월 1일 : 11면으로 개편.[16][7] 곤이시면의 일부가 해남군에 편입되었고, '''영암군'''에 영암면, 북일시면, 북일종면, 시종면, 군서면, 곤일시면, 곤일종면, 곤이시면, 곤이종면, 금정면, 신북면이 설치되었다.
  • 1931년 4월 1일 : 북일시면을 덕진면으로, 북일종면을 도포면으로, 곤이시면을 학산면으로, 곤이종면을 서호면으로, 곤일시면을 미암면으로, 곤일종면을 삼호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17][8]
  • 1973년 7월 1일 : 군서면 송평리를 영암면으로, 금정면 용산리를 신북면으로 편입하였다.
  • 1979년 5월 1일 : 영암면이 영암읍으로 승격하였다.[18][9]
  • 2002년 1월 20일 : 삼호면 서부출장소를 개소하여 삼포리, 용당리를 관할하였다.
  • 2003년 5월 1일 : 삼호면이 삼호읍으로 승격하였다.[19][10]

2. 1. 고대

영암군은 삼한시대 마한의 세력 아래에 있다가 삼국 시대에는 백제의 영역에 속했으며, 백제의 대외무역항이 있었다. 왕인 박사가 왜로 출항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3]

2. 2. 고려 시대

삼한시대에 영암군은 마한의 세력 아래에 있다가, 삼국 시대에는 백제의 영역에 속하였으며, 백제의 대외무역항이 있었다. 왕인 박사가 왜로 출항한 곳이 바로 영암군이다.[3] 백제 시대에는 월내군(月奈郡)이었다.[3] 757년 (신라 경덕왕 16)에 영암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14]

995년 (고려 성종 14)에는 낭주군(朗州郡)이라 개칭하였다가,[14] 1096년 (고려 현종 9)에 다시 영암군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성종 15년(995년)에 낭주안남도호부가 설치되었으나, 1018년에 다시 영암으로 개칭되었다.

2. 3. 조선 시대

영암군은 삼한시대 마한에 속했다가 백제에 편입되어 백제의 대외무역항이 있었으며, 왕인 박사가 왜로 출항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3] 백제 시대에는 월내군(月奈郡)이었다.[3] 757년(신라 경덕왕 16) 영암군으로 개칭되었고,[3] 995년(고려 성종 14) 낭주군(朗州郡)으로 바뀌었다가[3] 1096년(고려 현종 9) 다시 영암군이 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남해안의 섬들을 관할하기도 했으나, 이후 축소되어 현재의 범위가 되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나주부 영암군,[14][5]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영암군으로 개편되었다.[15][6] 1914년 4월 1일 11면으로 개편되었는데,[16][7] 당시 설치된 면은 영암면, 덕진면(북일시면), 도포면(북일종면), 시종면, 군서면, 미암면(곤일시면), 삼호면(곤일종면), 학산면(곤이시면), 서호면(곤이종면), 금정면, 신북면이다. 1931년 4월 1일, 북일시면은 덕진면, 북일종면은 도포면, 곤이시면은 학산면, 곤이종면은 서호면, 곤일시면은 미암면, 곤일종면은 삼호면으로 각각 개칭되었다.[17][8]

2. 4. 일제강점기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나주부 영암군으로 개편되었고,[14][5]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영암군으로 개편되었다.[15][6] 1914년 4월 1일 11면으로 개편하였으며,[16][7] 곤이시면의 일부가 해남군에 편입되었다. 당시 설치된 11면은 영암면, 북일시면, 북일종면, 시종면, 군서면, 곤일시면, 곤일종면, 곤이시면, 곤이종면, 금정면, 신북면이다.

1931년 4월 1일 북일시면을 덕진면으로, 북일종면을 도포면으로, 곤이시면을 학산면으로, 곤이종면을 서호면으로, 곤일시면을 미암면으로, 곤일종면을 삼호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17][8]

2. 5. 대한민국

영암군은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다듬은 돌도구 등 청동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3]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했고, 삼국 시대에는 백제의 영역으로 대외무역항이 있었으며, 왕인 박사가 왜로 출항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3]

  • 백제 시대 : 월내군(月奈郡)이었다.[3]
  • 757년 (신라 경덕왕 16) : 영암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 995년 (고려 성종 14) : 낭주군(朗州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1096년 (고려 현종 9) : 다시 영암군이 되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나주부 영암군[14][5]
  • 1896년 8월 4일 : 전라남도 영암군[15][6]
  • 1914년 4월 1일 : 11면으로 개편.[16] 곤이시면의 일부가 해남군에 편입되었고, '''영암군'''에 영암면, 북일시면, 북일종면, 시종면, 군서면, 곤일시면, 곤일종면, 곤이시면, 곤이종면, 금정면, 신북면이 설치되었다.[7]
  • 1931년 4월 1일 : 북일시면을 덕진면으로, 북일종면을 도포면으로, 곤이시면을 학산면으로, 곤이종면을 서호면으로, 곤일시면을 미암면으로, 곤일종면을 삼호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17][8]
  • 1973년 7월 1일 : 군서면 송평리를 영암면으로, 금정면 용산리를 신북면으로 편입하였다.
  • 1979년 5월 1일 : 영암면이 영암읍으로 승격하였다.[18][9]
  • 2002년 1월 20일 : 삼호면 서부출장소를 개소하여 삼포리, 용당리를 관할하였다.
  • 2003년 5월 1일 : 삼호면이 삼호읍으로 승격하였다.[19][10]

3. 지리

영산강 하구가 열리고, 삼포강·영암천(靈巖川)·도갑천(道岬川)·송계천(松溪川) 등 작은 하천들이 영산강으로 흘러들어 좁은 평야들을 형성하는데 평야에 많은 관개용 저수지가 축조되어 농경지가 발달하였다. 시종면, 도포면, 미암면 등 간척지가 많고 비교적 낮은 지형이다. 평야가 많아 농경지로 적합한 땅을 이루고 있다.

4. 행정 구역

영암군의 행정 구역은 2읍 9면, 121개 법정리, 385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20] 면적은 604.24 km2이다.[21]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5만 7045 명, 2만 7190 가구이다.[22]

영암군 행정구역


읍면한자면적인구세대
영암읍靈巖邑59.78,8313,872
삼호읍三湖邑88.521,9829,413
덕진면德津面26.22,0181,105
금정면金井面72.92,2341,212
신북면新北面48.94,2142,245
시종면始終面62.03,9792,232
도포면都浦面34.92,4531,354
군서면郡西面57.23,4611,795
서호면西湖面44.02,1381,130
학산면鶴山面61.93,1991,574
미암면美巖面47.62,5361,258
영암군靈巖郡604.2457,04527,190


5. 인구

wikitext

영암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23]

연도총인구
1960년123,674명
1966년139,731명
1970년125,848명
1975년118,620명
1980년100,037명
1985년86,287명
1990년68,833명
1995년55,353명
2000년60,343명
2005년61,256명
2010년58,748명
2015년58,137명



2024년 인구는 약 51,000명으로 삼호읍의 인구는 조금씩 늘고 있으나 타 지역의 인구 감소가 극심하여 전체적인 인구는 줄고 있으며, 50,000명 붕괴 위험도 크다.

6. 산업

현대삼호중공업(HSHI)은 세계 5위의 조선업체이자 전라남도 최대 기업으로, 삼호읍에 위치해 있다. 현대삼호중공업의 협력업체들 또한 삼호읍 대불국가산업단지에 본사를 두고 있다. 목포시에 인접한 삼호읍에는 현대삼호중공업(구 한라중공업)의 본사와 대형 조선소가 있다. 대불국가산업단지는 현대삼호중공업의 하청을 맡는 중소기업들이 밀집해 있는 곳으로, 역시 삼호읍에 위치한다. 따라서 현대삼호중공업의 사업장이 있는 삼호읍과 통근자가 많이 거주하는 목포시는 현대삼호중공업의 기업 도시라고 할 수 있다.

6. 1. 조선업

현대삼호중공업(HSHI)은 세계 5위의 조선업체이자 전라남도 최대 기업으로, 삼호읍에 위치해 있다. 현대삼호중공업의 협력업체들 또한 삼호읍 대불국가산업단지에 본사를 두고 있다. 목포시에 인접한 삼호읍에는 현대삼호중공업(구 한라중공업)의 본사와 대형 조선소가 있다. 대불국가산업단지는 현대삼호중공업의 하청을 맡는 중소기업들이 밀집해 있는 곳으로, 역시 삼호읍에 위치한다. 따라서 현대삼호중공업의 사업장이 있는 삼호읍과 통근자가 많이 거주하는 목포시는 현대삼호중공업의 기업 도시라고 할 수 있다.

6. 2. 기타 산업

현대삼호중공업(HSHI)은 세계 5위의 조선업체이자 전라남도 최대 기업으로 삼호읍에 위치해 있다. HSHI의 많은 협력업체들도 삼호읍 대불국가산업단지에 본사를 두고 있다. 목포시에 인접한 삼호읍에는 현대삼호중공업(구·한라중공업)의 본사 및 대형 조선소가 있다. 대불국가산업단지는 주로 현대삼호중공업의 하청을 맡는 중소기업들이 밀집해 있다. 따라서 현대삼호중공업의 사업장이 있는 삼호읍과 통근자가 많이 거주하는 목포시는 현대삼호중공업의 기업 도시라고 할 수 있다.

7. 교통

영암 여객 자동차 터미널


영암 여객 자동차 터미널


나주시로부터 국도 제13호선이 남으로 뻗어 '''영암'''을 통과해서 해남, 완도까지 이어지고 강진군과의 경계 부근인 성전에서 목포 ~ 순천 방향의 국도 제2호선과 십자로 교차하여 동서와 남북으로 교통이 편리하다. 서영암 나들목, 학산 나들목을 통해 남해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 도로 ====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23호선이 영암군을 지난다.

==== 항공 ====

목포공항삼호읍에 있었으나, 항공 사고의 위험이 잦고 대형사고가 발생하여 2007년에 대체 공항인 무안국제공항을 개항하고 폐쇄하였다. 무안국제공항 개항에 따라 민간 노선은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대한민국 해군의 전용 비행장이다.

==== 철도 ====

영암군에는 여객 철도 노선은 지나지 않는다. 대불선은 2004년 개통된 화물선으로, 대불역이 있다.

==== 버스 ====

영암군의 농어촌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영암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 고속버스를 하루 5회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4시간 40분이다. 광주행 시외버스는 20~30분 간격, 목포·마포면행은 2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7. 1. 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23호선이 영암군을 지난다.

7. 2. 항공

목포공항삼호읍에 있었으나, 항공 사고의 위험이 잦고 대형사고가 발생하여 2007년에 대체 공항인 무안국제공항을 개항하고 폐쇄하였다. 무안국제공항 개항에 따라 민간 노선은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대한민국 해군의 전용 비행장이다.

7. 3. 철도

영암군에는 여객 철도 노선은 지나지 않는다. 대불선은 2004년 개통된 화물선으로, 대불역이 있다.

7. 4. 버스

영암군의 농어촌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영암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 고속버스를 하루 5회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4시간 40분이다. 광주행 시외버스는 20~30분 간격, 목포·마포면행은 2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8. 군사

영암군 삼호읍에는 대한민국 해군 제3함대 사령부와 제6항공전단 예하 제609교육훈련전대가 있다.

9. 문화·관광

영암읍 교차로의 목동상


영암읍과 월출산


왕인문화축제 조형물

  • 영암호

: 먹이가 풍부한 개펄과 넓은 수면, 따뜻한 기온 때문에 철새들의 이동 통로이자 중간 기착지로서 겨울철새 100여 종 30만 마리 이상이 방문하고 있다. 방조제를 사이로 담수와 해수가 갈려 담수어와 해수어 낚시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 도기박물관
  • 월출산 온천
  • 영산호농업박물관
  •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

: 삼호읍 삼포리에 있다. 2010년부터 7년 간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F1 코리아 그랑프리가 개최되었다.

  • 월출산 국립공원

: 영암군, 강진군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 구림전통한옥마을

: 월출산 서쪽 자락에 있다.

  • 월출산국립공원
  • 한국국제자동차경주장

: 한국국제자동차경주장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도시 계획을 발표했으며, 동 그랑프리의 주최자이자 운영자인 "한국 오토 밸리 오퍼레이션"(Korea Auto Valley Operation = KAVO)은 2021년까지 경주장 일대를 모터스포츠와 관광을 중심으로 한 도시로 발전시키는 구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 도시 계획의 총액은 16억 7,000만 달러(약 1,357억 원)로 알려져 있다. 주변 도시 계획 공사는 2011년 하반기에 착공을 예정하고 있다.[11]

영암군에서는 다음과 같은 축제가 열린다.

  • 영암왕인문화축제
  • 월출산 국화축제

9. 1. 축제

영암군에서는 다음과 같은 축제가 열린다.

  • 영암왕인문화축제
  • 월출산 국화축제

10. 교육 기관

영암군에는 세한대학교와 동아인재대학 등의 대학교와 전문대학이 있다. 영암고등학교, 영암낭주고등학교, 영암여자고등학교, 전남에너지고등학교, 구림공업고등학교, 삼호고등학교 등의 고등학교가 있다.

구림중학교, 삼호서중학교, 삼호중학교, 시종중학교, 신북중학교, 영암금정중학교, 영암낭주중학교, 영암도포중학교, 영암미암중학교, 영암서호중학교, 영암여자중학교, 영암중학교 등의 중학교가 있다.

특수학교로는 소림학교와 은광학교가 있다.

11. 자매 도시

영암군은 대한민국과 국외 도시에 걸쳐 여러 자매 도시를 맺고 있다.

12. 출신 인물

영암군 출신 인물에 대한 내용은 분류:영암군 출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IOL Motoring http://www.motoring.[...]
[3] 웹사이트 Yeongam-gun - History https://www.yeongam.[...]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5] 법률 勅令第98号・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6]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7]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8] 법률 道令第7号 1931-03-09
[9] 법률 大統領令第9409号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0] 법률 郡条例第1726号 읍면리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3-04-30
[11] 뉴스 韓国、F1サーキットを中心とした都市建設を計画 http://f1-gate.com/k[...] F1 Gate.com 2010-10-19
[1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4]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5]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7] 법률 도령 제7호 1931-03-09
[18]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9] 법률 군조례 제1726호 읍면리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3-04-30
[20] 웹사이트 기본현황 http://www.yeongam.g[...] 2017-08-11
[21] 웹사이트 토지 http://www.yeongam.g[...] 2017-08-11
[2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2017-08-11
[23] 통계자료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