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카야마 다다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카야마 다다시는 1912년 도쿄에서 태어난 일본의 수학자이다. 대수학 분야에서 나카야마 보조 정리, 나카야마 대수, 나카야마 추측, 머너건-나카야마 규칙 등의 업적을 남겼다. 도쿄 제국 대학 졸업 후 오사카 대학, 나고야 대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 일리노이 대학교, 함부르크 대학교 등에서 객원 교수를 지냈다. 1954년 일본 학사원 상을 수상했으며, 1963년 일본 학사원 회원이 되었다. 1964년 결핵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고야 대학 교수 - 마스카와 도시히데
마스카와 도시히데는 쿼크의 약한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로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일본의 물리학자이다. - 나고야 대학 교수 - 아카사키 이사무
아카사키 이사무는 고휘도 청색 질화갈륨(GaN) p-n 접합 발광 다이오드를 발명하고, 질화물 반도체 연구를 통해 광전자공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일본의 수학자 - 고다이라 구니히코
고다이라 구니히코는 일본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변형 이론, 대수곡면 분류,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등의 업적을 남겨 1954년 필즈상을 수상했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일본의 수학자 - 히로나카 헤이스케
히로나카 헤이스케는 대수다양체의 특이점 해소 정리 증명으로 필즈상을 수상한 일본의 수학자로,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수학 교육에도 기여했다. - 오사카 대학 동문 - 데즈카 오사무
일본의 "만화의 신" 데즈카 오사무는 700권이 넘는 작품을 남기고 일본 만화와 애니메이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무시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애니메이션 제작에도 혁신을 가져왔다. - 오사카 대학 동문 - 천병규
천병규는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금융인, 관료, 정치인, 외교관으로 활동했으며, 한국은행 부총재, 재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6.10 통화 개혁을 주도하며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내다 사망했다.
나카야마 다다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나카야마 다다시 |
로마자 표기 | Nakayama Tadashi |
출생일 | 1912년 7월 26일 |
출생지 | 일본 제국 도쿄 |
사망일 | 1964년 6월 5일 |
사망지 | 일본 나고야시 |
국적 | 일본 |
학력 | |
출신 대학 | 도쿄 대학 |
출신 대학 2 | 오사카 대학 |
박사 과정 지도 교사 | 다카기 데이지 |
박사 과정 지도 교사 2 | 쇼다 겐지로 |
경력 | |
연구 기관 |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 |
연구 기관 2 | 나고야 대학 |
직업 | 수학자 |
연구 분야 | |
연구 분야 | 환론 |
연구 분야 2 | 표현론 |
수상 | |
수상 | 일본 학사원상 |
업적 | |
주요 업적 | 나카야마의 보조정리 (대수학) |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브라우어 |
영향을 준 인물 2 | 바일 |
영향을 받은 인물 | 구라니시 마사타케 |
영향을 받은 인물 2 | 나가타 마사요시 |
2. 생애
나카야마 다다시는 도쿄에서 태어나 도쿄 제국 대학을 졸업하고 오사카 제국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오사카 대학과 나고야 대학에서 정교수직을 역임했으며, 프린스턴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객원 교수를 지냈다. 나카야마 보조 정리, 나카야마 대수, 나카야마 추측 및 머너건-나카야마 규칙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는 젊어서부터 결핵을 앓았으며, 1964년 6월 5일 결핵으로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도쿄에서 태어났다.[1] 1935년에 도쿄 제국 대학을 졸업하였다.[1] 1937년부터 2년간 프린스턴 고등 수학 연구소에 있었다. 1941년에 오사카 제국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2. 2. 경력
1912년 6월 5일 도쿄에서 태어났다.[1] 1935년 도쿄 제국 대학을 졸업하고,[1] 오사카 대학에서 조교로 일했다. 1937년 오사카 대학 조교수가 되었으며, 같은 해부터 2년간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에 있었다. 1941년 오사카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 1942년 나고야 대학 조교수가 되었고, 1944년 정교수로 승진하였다. 1954년 일본 학사원 상을 수상[3]하였고, 1963년 일본 학사원 회원이 되었다.[4] 나고야 수학 잡지(NAGOYA MATHEMATICAL JOURNAL) 창간 및 편집에 힘썼다.[4] 프린스턴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객원 교수를 역임했다.2. 3. 사망
젊어서부터 결핵을 앓았으며, 1964년 6월 5일 결핵으로 사망하였다.[1]만년에는 이학부 A관 4층의 연구실까지 헐떡이며 계단을 오르는 나카야마를 위해 놓였다는 "나카야마 선생의 의자" 이야기가 지금도 전해지고 있다.[4]
3. 업적
나카야마 다다시는 대수학, 특히 표현론과 환론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이름을 딴 나카야마 보조정리는 대수학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나카야마 대수 역시 그의 중요한 공헌 중 하나이다. 또한, 표현론에서 자주 사용되는 머너건-나카야마 규칙을 제시하였다.[2]
나카야마는 프로베니우스 대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분야의 발전에 기여했다.[1] 그의 연구는 비가환 영역에서의 기본 제수 이론, 군 표현론, 정규 아이디얼의 합과 교차, 비가환 콤팩트 군의 쌍대성, 프로베니우스 대수와 준 프로베니우스 대수의 직교 관계, 단순환의 갈루아 이론 등 다양한 주제를 포괄한다.
나카야마의 주요 논문은 다음과 같다.
논문 제목 | 저널 | 연도 | DOI | JSTOR | MR |
---|---|---|---|---|---|
On Frobeniusean algebras. I | Annals of Mathematics | 1939 | 10.2307/1968946 | 1968946 | 0000016 |
On Frobeniusean algebras. II | Annals of Mathematics | 1941 | 10.2307/1968984 | 1968984 | 0004237 |
A note on the elementary divisor theory in non-commutative domains | 미국 수학회보(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 1938 | 10.1090/S0002-9904-1938-06850-4 | 1563855 | |
A remark on representations of groups | 미국 수학회보(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 1938 | 10.1090/S0002-9904-1938-06723-7 | 1563716 | |
A remark on the sum and the intersection of two normal ideals in an algebra | 미국 수학회보(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 1940 | 10.1090/S0002-9904-1940-07235-0 | 0001967 | |
On a problem of G. Birkhoff (하시모토 준지 공저) | 미국 수학회보(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 1950 | 10.1090/S0002-9939-1950-0035279-X | 0035279 | |
Remark on the duality for noncommutative compact groups | 미국 수학회보(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 1951 | 10.1090/S0002-9939-1951-0045131-2 | 0045131 | |
Orthogonality relation for Frobenius- and quasi-Frobenius-algebras | 미국 수학회보(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 1952 | 10.2307/2032255 | 2032255 | 0049876 |
Galois theory of simple rings | 미국 수학회보(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 1952 | 10.1090/S0002-9947-1952-0049875-3 | 0049875 | |
On some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quasi-Frobenius and regular rings (이케다 마사토시 공저) | 미국 수학회보(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 1954 | 10.1090/S0002-9939-1954-0060489-9 | 0060489 |
3. 1. 나카야마의 보조정리
나카야마의 보조정리는 대수학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업적 중 하나이다.[1]3. 2. 기타 업적
나카야마 다다시는 대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나카야마 대수는 그의 이름을 딴 대수 구조이다. 또한, 표현론에서 널리 사용되는 머너건-나카야마 규칙을 제시하였다.[2] 나카야마는 프로베니우스 대수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1]Nakayama, Tadasi|나카야마, 타다시|ja=中山 正영어의 주요 논문은 다음과 같다.
- Nakayama, Tadasi|나카야마, 타다시|ja=中山 正영어 (1939). “On Frobeniusean algebras. I”.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영어) (Annals of Mathematics) 40 (3): 611–633. doi:10.2307/1968946. JSTOR 1968946. MR 0000016.
- Nakayama, Tadasi|나카야마, 타다시|ja=中山 正영어 (1941). “On Frobeniusean algebras. II”.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영어) (Annals of Mathematics) 42 (1): 1–21. doi:10.2307/1968984. JSTOR 1968984. MR 0004237.
- Nakayama, Tadasi|나카야마, 타다시|ja=中山 正영어 (1938). “A note on the elementary divisor theory in non-commutative domains”. 《미국 수학회보(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4: 719–723. doi:10.1090/S0002-9904-1938-06850-4. MR 1563855.
- Nakayama, Tadasi|나카야마, 타다시|ja=中山 正영어 (1938). “A remark on representations of groups”. 《미국 수학회보(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4: 233–235. doi:10.1090/S0002-9904-1938-06723-7. MR 1563716.
- Nakayama, Tadasi|나카야마, 타다시|ja=中山 正영어 (1940). “A remark on the sum and the intersection of two normal ideals in an algebra”. 《미국 수학회보(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6: 469–472. doi:10.1090/S0002-9904-1940-07235-0. MR 0001967.
- Nakayama, Tadasi|나카야마, 타다시|ja=中山 正영어; Hashimoto, Junji|하시모토, 준지|ja=橋本 純二영어 (1950). “On a problem of G. Birkhoff”. 《미국 수학회보(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1: 141–142. doi:10.1090/S0002-9939-1950-0035279-X. MR 0035279.
- Nakayama, Tadasi|나카야마, 타다시|ja=中山 正영어 (1951). “Remark on the duality for noncommutative compact groups”. 《미국 수학회보(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2: 849–854. doi:10.1090/S0002-9939-1951-0045131-2. MR 0045131.
- Nakayama, Tadasi|나카야마, 타다시|ja=中山 正영어 (1952). “Orthogonality relation for Frobenius- and quasi-Frobenius-algebras”. 《미국 수학회보(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3: 183–195. doi:10.2307/2032255. MR 0049876.
- Nakayama, Tadasi|나카야마, 타다시|ja=中山 正영어 (1952). “Galois theory of simple rings”. 《미국 수학회보(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73: 276–292. doi:10.1090/S0002-9947-1952-0049875-3. MR 0049875.
- Ikeda, Masatoshi|이케다, 마사토시|ja=池田 正敏영어; Nakayama, Tadasi|나카야마, 타다시|ja=中山 正영어 (1954). “On some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quasi-Frobenius and regular rings”. 《미국 수학회보(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 15–19. doi:10.1090/S0002-9939-1954-0060489-9. MR 0060489.
4. 수상 및 학회 활동
1950년 국제 수학자 회의(ICM) 케임브리지 (미국) 초청 강연을 하였다.[5][6] 나고야 수학 잡지(NAGOYA MATHEMATICAL JOURNAL)의 창간 및 편집에 힘썼다.[4] 1963년에는 일본 학사원 회원이 되었다.[4]
4. 1. 수상 경력
4. 2. 학회 활동
나카야마는 나고야 수학 잡지(NAGOYA MATHEMATICAL JOURNAL)의 창간 및 편집에 힘썼다.[4] 1954년에 일본 학사원 상을 수상하였고,[3] 1963년에는 일본 학사원 회원이 되었다.[4]5. 저서
나카야마 다다시는 다양한 수학 분야에 걸쳐 여러 저서를 남겼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局所類体論|국소류체론일본어, 이와나미 서점〈이와나미 강좌 수학 9 별항〉, 1935년.
- 束論I|속론 I일본어 (묶음의 대수적 이론), 이와나미 서점〈현대 수학 총서 묶음론; I〉, 1944년.
- 代数系と微分|대수계와 미분일본어 (대수학에서 몇 가지 화제), 가와이데 서방〈수학 집서 4〉, 1948년.
- 集合、位相、代数系|집합, 위상, 대수계일본어 개정판, 시분도, 1965년.
아즈마야 고로와 공저한 代数学II|대수학 II일본어 (이와나미 서점, 1954년), 핫토리 아키라와 공저한 ホモロジー代数学|호몰로지 대수학일본어 (교리쓰 출판, 1957년)도 중요한 저서로 꼽힌다.
그의 이학 박사 학위 논문은 On frobeniusean algebras|온 프로베니우스 대수일본어 (1941년, 오사카 제국대학)이다.
5. 1. 주요 저서
- 局所類体論|국소류체론일본어, 이와나미 서점〈이와나미 강좌 수학 9 별항〉, 1935년.
- 束論I|속론 I일본어 (묶음의 대수적 이론), 이와나미 서점〈현대 수학 총서 묶음론; I〉, 1944년.
- 代数系と微分|대수계와 미분일본어 (대수학에서 몇 가지 화제), 가와이데 서방〈수학 집서 4〉, 1948년.
- 集合、位相、代数系|집합, 위상, 대수계일본어 개정판, 시분도, 1965년.
- 代数学II|대수학 II일본어, 아즈마야 고로 공저, 이와나미 서점, 1954년.
- ホモロジー代数学|호몰로지 대수학일본어, 핫토리 아키라 공저, 교리쓰 출판, 1957년.
5. 2. 학위 논문
中山 正|나카야마 다다시일본어의 이학 박사 학위 논문은 다음과 같다.- On frobeniusean algebras|온 프로베니우스 대수일본어 (1941년, 오사카 제국대학) (보고 번호 불명)
5. 3. 공저
東屋 五郎|히가시야 고로일본어와 함께 저술한 『환론』, 服部 昭|핫토리 아키라일본어와 함께 저술한 『리 환론 . 근대 대수학 . 호몰로지 대수학』 등이 있다.저자 | 제목 | 출판사 | 날짜 | 언어 |
---|---|---|---|---|
나카야마 다다시, 東屋 五郎|히가시야 고로일본어 | 代数学II|대수학 II일본어 | 岩波書店|이와나미 쇼텐일본어 | 1954년 | 日本語|일본어일본어 |
나카야마 다다시, 服部 昭|핫토리 아키라일본어 | ホモロジー代数学|호몰로지 대수학일본어 | 共立出版|쿄리츠 출판일본어 | 1957년 | 日本語|일본어일본어 |
東屋 五郎|히가시야 고로일본어 | 環論|환론일본어 | 岩波書店|이와나미 쇼텐일본어 | 1954년 | 日本語|일본어일본어 |
松島 与三|마쓰시마 요조일본어, 秋月 康夫|아키즈키 야스오일본어, 永田 雅宜|나가타 마사요시일본어, 服部 昭|핫토리 아키라일본어 (편) | リー環論 . 近代代数学 . ホモロジー代数学|리 환론 . 근대 대수학 . 호몰로지 대수학일본어 | 共立出版|쿄리츠 출판일본어 | 1956년, 2010년(복간) | 日本語|일본어일본어 |
참조
[1]
간행물
Obituary: Tadasi Nakayama
https://projecteucli[...]
[2]
웹사이트
CiNii 博士論文 - On frobeniusean algebras
https://ci.nii.ac.jp[...]
2017-08-17
[3]
웹사이트
恩賜賞・日本学士院賞・日本学士院エジンバラ公賞授賞一覧
https://www.japan-ac[...]
2017-08-17
[4]
간행물
『理』名古屋大学理学部広報誌 No.7 2004.10
https://www.sci.nago[...]
[5]
서적
『日本の数学100年史(下)』
岩波書店
[6]
간행물
ON TWO TOPICS IN THE STRUCTURAL THEORY OF RINGS (GALOIS THEORY OF RINGS AND FROBENIUS ALGEBRAS) TADASI NAKAYAMA
https://www.mathunio[...]
ICM Proceedings 1893-2018 ICM1950 Vol.2 p4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