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흐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흐어파는 북동캅카스어족의 한 어파로, 바츠어와 바이나흐어군으로 나뉜다. 바이나흐어군에는 체첸어와 인구시어가 속하며, 바츠어는 체첸어나 인구시어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 나흐어파는 음운론적으로 인도유럽어족의 성문음 이론과 관련이 있으며, 다른 캅카스 지역 언어와 마찬가지로 자음, 모음 체계와 문법적 특징을 공유한다.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이며 능격형의 격 표시를 사용하고, 명사 등급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과거에 사용되었던 여러 언어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동캅카스어족 - 인구시어
    잉구시어는 북동카프카스어족 나흐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잉구셰티야 공화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이고, 복잡한 음운 및 문법 구조, 20진법 수 체계, 동사-두 번째 어순(V2)이 특징적이다.
  • 북동캅카스어족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 조지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조지아의 언어 - 라즈어
    라즈어는 카르트벨리어족 언어 중 하나로 메그렐어와 함께 잔어파를 형성하며, 터키 북동부와 조지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터키 알파벳 기반 문자와 조지아 문자로 표기되지만 공식적인 지위나 표준 문자가 없어 화자들은 터키어나 조지아어를 사용한다.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나흐어파
개요
유형북동캅카스어족
하위 분류바이낙어파
사용 지역중앙 캅카스
고유 코드glotto: nakh1246
glottorefname: Nakh

2. 분류

나흐어는 역사적으로 독립적인 '''북중부 코카서스어족'''으로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북동 코카서스어족의 한 갈래로 인정받고 있다. 나흐어가 공통 북동 코카서스어에서 분리된 시기는 신석기 시대(기원전 4천년경)로 잠정적으로 추정된다.[1]

2. 1. 하위 언어

바츠어 또는 바츠비어는 조지아의 제모알바니 주에서 약 2,500명이 사용한다.[4] 바이나흐어군(체첸-인구시어)에는 체첸어(약 95만 명)와 인구시어(약 23만 명)가 있다.

  • '''나흐어족'''
  • * 바이나흐어: 두 개의 문어(literary language)를 가진 방언 연속체
  • ** 체첸어 – 약 (2020년)[2]
  • ** 잉구쉬어 – 약 (2020년)[3]
  • * 바츠어 – 약 3,420명 (2000년)[4], 주로 제모-알바니, 조지아에서 사용되며, 체첸어 또는 잉구쉬어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

3. 음운

나흐어는 인도유럽어족의 성문음 이론과 관련이 있다. 바이나흐 분파가 인도유럽어족에서 가능성이 낮다고 비웃음을 사면서 제기되었던 파열음의 유성음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어두 위치에서 바츠어의 파열음은 바이나흐어의 파열음에 해당하지만, 어중 위치에서는 바이나흐의 유성 자음에 해당한다. (예외는 로, 바이나흐어에서는 파열음으로 남아 있다.)

바츠어체첸어다게스탄어족 동족어
'잠'
'채찍'기가틸 차말랄어:
'토끼'안디어:
'심장'안디어:
'이'차다콜롭 아바르어:
'검은색'기가틸 차말랄어:
'재'



비슷한 변화가 다른 다게스탄어족 언어에서도 일어났다.[5]

음운론적으로는 다른 북동캅카스어족이나 북서캅카스어족의 언어들에 비해 자음이 적지만, 방출음, 인두음, 구개수음 등이 있다는 점에서는 다른 캅카스 지역의 언어들과 공통된다. 바츠어는 거기에 더해 무성 치경 측면 마찰음 [ɬ]을 갖는다. 모음은 특히 체첸어는 캅카스 제어 중 많으며, 장모음과 이중 모음을 포함한 많은 모음을 구별한다.

3. 1. 체첸어 모음

중설 모음


4. 문법

나흐어파는 다른 코카서스 제어와 마찬가지로 교착어이며 능격형의 격 표시를 가지며 이베리아반도의 바스크어와도 공통점을 가진다. 또한 나흐어파는 명사 등급을 가지고 있으며 체첸어, 잉구쉬어에서는 6등급, 바츠어에서는 8등급이다. 체첸어와 잉구쉬어에서는 동사 활용은 인칭을 가지지 않고 명사 등급으로 명사와 일치하지만, 바츠어에서는 명사 등급에 더해 인칭도 가지고 있다.

어순은 SOV형이다.

4. 1. 명사 등급 (바츠어)

바츠어는 8개의 명사 등급을 가지고 있다.

등급단수복수의미여기에 속하는 명사
Mvb남성mar "남편"
ʕuv "양치기"
voħ "아들"
Fjd여성nan "어머니"
pstʼu "아내"
joħ "딸"
Ddd기타bader "아이"
kʼuit’ĭ "고양이"
dokʼ "마음"
ditx "고기"
Bdbd동물carkʼ "이"
maiqĭ "빵"
qʼar "비"
Jjj기타pħu "개"
ča "곰"
matx "태양"
*Bd/Jbj신체의 일부 (15개의 명사)bak "주먹"
bʕarkʼ "눈"
čʼqʼempʼŏ ‘목’
*D/Jdj신체의 일부 (4개의 명사)batʼr "입술", larkʼ "귀"
tʼotʼ "손", čʼamaǧ "뺨"
*B/Bbb단 3개의 명사에만 붙음borag "knit slipper"
čekam "부츠"
kakam "autumn wool"


4. 2. 동사 일치

체첸어와 잉구쉬어에서 동사 활용은 인칭을 가지지 않고 명사 등급으로 명사와 일치하지만, 바츠어에서는 명사 등급에 더해 인칭도 가지고 있다.

체첸어의 예:
nanaj-u
어머니여성 등급-있다
「어머니가 있다」
studentsunaaχʧad-ellaw-u
학생나에게기타 등급-주다(분사)남성 등급-있다
「학생은 나에게 돈을 주었다」


5. 소멸된 언어와의 연관성

많은 연구자들이 코카서스 지역, 특히 남코카서스 지역의 잘 알려지지 않은 고대 언어나 민족을 나흐어족과 연관 지으려 시도했다. 하지만 이러한 연관성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며, 대부분 지명에 근거하여 나흐어족으로 분류된다.

5. 1. 에르쉬어

에르쉬어는 북아르메니아에 거주했던 에르쉬인의 언어였으며, (아마도) 나중에는 주로 헤레티 지역, 즉 조지아 남동부와 아제르바이잔 북서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이는 대략적으로 나흐어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6] 에르쉬인은 결국 동화되었고, 그들의 언어는 조지아어 또는 아제르바이잔어로 대체되었다.

5. 2. 말흐어

말흐족[6]의 언어는 북캅카스에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의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에 살았고 한때 우비흐와 압하지야를 잠시 정복했던 민족이다. '말흐'는 태양을 의미한다. 이들의 언어는 나흐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처음에는 스키타이어를 사용하는 알란족에게, 그 다음에는 튀르크족에게 정복당했다. 그 후 그들의 고향을 대부분 버리고 체첸인들 사이에 피난처를 찾아 그들을 따라 테이프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그 자리에 남은 사람들은 전멸하거나 동화되었다.

5. 3. 드발어

드발의 언어는 많은 역사가들이 나흐어파에 속한다고 생각하지만,[6][7][8][9] 오세트어와 가깝다는 주장을 하는 반대 진영도 있다.[9] 나흐어파 이론에 대한 다양한 근거(학자마다 다른 주장을 사용)로는 과거 드발 영토에 나흐 지명이 존재한다는 점,[9] 드발족 또는 그 이전 사람들이 나흐족이었음을 암시하는 나흐-스반 간의 접촉 증거,[6] 체첸족 사이에 외래 기원의 드발 씨족이 존재한다는 점이 있다.[10] 이는 드발족이 외적(아마도 오세트족)의 침략으로 땅을 빼앗기자 체첸족에게 피난처를 찾은 것으로 보인다(말크족이 했던 것처럼).

5. 4. 초브어

기오르기 멜리키쉬빌리를 비롯한 조지아 학자들에 따르면, 우라르투의 소페네는 고대 나흐 부족인 초브족(Tsov)이 점령했으며, 그들의 국가는 고대 조지아 역사에서 초베나(Tsobena)라고 불린다.[11][12][13] 초브어는 이 지역 사람들이 사용하는 주요 언어였으며, 이 조지아 역사가들(및 다른 많은 사람들)은 이를 나흐 언어로 간주했다. 초브족과 그 지역의 친족들은 후르리-우라르티아어의 하위층을 아르메니아어에 기여했을 수 있다.

6. 성문음 이론과의 관련성

나흐어는 인도유럽어족의 성문음 이론과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바이나흐 분파가 인도유럽어족에서 가능성이 낮다고 비웃음을 사면서 제기되었던, 파열음의 유성음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어두 위치에서 바츠어의 파열음은 바이나흐어의 파열음에 해당하지만, 어중 위치에서는 바이나흐의 유성 자음에 해당한다. (예외는 로, 바이나흐어에서는 파열음으로 남아 있다.)

나흐어와 다게스탄어족 동족어 비교
바츠어체첸어다게스탄어족 동족어
'잠'
'채찍'기가틸 차말랄어:
'토끼'안디어:
'심장'안디어:
'이'차다콜롭 아바르어:
'검은색'기가틸 차말랄어:
'재'



비슷한 변화가 다른 다게스탄어족 언어에서도 일어났다.[5]

참조

[1] 서적 "Cechen" and "Ingush" in R. Smeets (ed.), ''The Indigenous Languages of the Caucasus''
[2]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Chechen http://www.ethnologu[...]
[3]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Ingush http://www.ethnologu[...]
[4]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Bats http://www.ethnologu[...]
[5] 서적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phonology of ejectives
[6] 서적 The Chechens: A Handbook Routledge Curzon
[7] 서적 Двалы и Двалетия в I—XV вв. н. э.
[8] 간행물 К изучению древней восточномалоазийской этнонимики ВДИ
[9] 서적 Essays on the history of Alans (in Russian) http://iratta.com/20[...] IR
[10] 문서 Melikishvilli
[11] 서적 Введение в историю грузинского народа
[12] 서적 Чечня и Ингушетия в XVIII - начале XIX века "Джангар", АПП
[13] 서적 Сочинение И. Гербера Описание стран и народов между Астраханью и рекою Курой находящихся
[14]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Chechen http://www.ethnologu[...]
[15]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Ingush http://www.ethnologu[...]
[16] 웹사이트 http://chechennews.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