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흐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흐어파는 북동캅카스어족의 한 어파로, 바츠어와 바이나흐어군으로 나뉜다. 바이나흐어군에는 체첸어와 인구시어가 속하며, 바츠어는 체첸어나 인구시어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 나흐어파는 음운론적으로 인도유럽어족의 성문음 이론과 관련이 있으며, 다른 캅카스 지역 언어와 마찬가지로 자음, 모음 체계와 문법적 특징을 공유한다.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이며 능격형의 격 표시를 사용하고, 명사 등급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과거에 사용되었던 여러 언어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동캅카스어족 - 인구시어
잉구시어는 북동카프카스어족 나흐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잉구셰티야 공화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이고, 복잡한 음운 및 문법 구조, 20진법 수 체계, 동사-두 번째 어순(V2)이 특징적이다. - 북동캅카스어족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 조지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조지아의 언어 - 라즈어
라즈어는 카르트벨리어족 언어 중 하나로 메그렐어와 함께 잔어파를 형성하며, 터키 북동부와 조지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터키 알파벳 기반 문자와 조지아 문자로 표기되지만 공식적인 지위나 표준 문자가 없어 화자들은 터키어나 조지아어를 사용한다.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나흐어파 | |
|---|---|
| 개요 | |
| 유형 | 북동캅카스어족 |
| 하위 분류 | 바이낙어파 |
| 사용 지역 | 중앙 캅카스 |
| 고유 코드 | glotto: nakh1246 glottorefname: Nakh |
2. 분류
나흐어는 역사적으로 독립적인 '''북중부 코카서스어족'''으로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북동 코카서스어족의 한 갈래로 인정받고 있다. 나흐어가 공통 북동 코카서스어에서 분리된 시기는 신석기 시대(기원전 4천년경)로 잠정적으로 추정된다.[1]
2. 1. 하위 언어
바츠어 또는 바츠비어는 조지아의 제모알바니 주에서 약 2,500명이 사용한다.[4] 바이나흐어군(체첸-인구시어)에는 체첸어(약 95만 명)와 인구시어(약 23만 명)가 있다.- '''나흐어족'''
- * 바이나흐어: 두 개의 문어(literary language)를 가진 방언 연속체
- ** 체첸어 – 약 (2020년)[2]
- ** 잉구쉬어 – 약 (2020년)[3]
- * 바츠어 – 약 3,420명 (2000년)[4], 주로 제모-알바니, 조지아에서 사용되며, 체첸어 또는 잉구쉬어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
3. 음운
나흐어는 인도유럽어족의 성문음 이론과 관련이 있다. 바이나흐 분파가 인도유럽어족에서 가능성이 낮다고 비웃음을 사면서 제기되었던 파열음의 유성음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어두 위치에서 바츠어의 파열음은 바이나흐어의 파열음에 해당하지만, 어중 위치에서는 바이나흐의 유성 자음에 해당한다. (예외는 로, 바이나흐어에서는 파열음으로 남아 있다.)
| 바츠어 | 체첸어 | 뜻 | 다게스탄어족 동족어 |
|---|---|---|---|
| '잠' | |||
| '채찍' | 기가틸 차말랄어: | ||
| '토끼' | 안디어: | ||
| '심장' | 안디어: | ||
| '이' | 차다콜롭 아바르어: | ||
| '검은색' | 기가틸 차말랄어: | ||
| '재' |
비슷한 변화가 다른 다게스탄어족 언어에서도 일어났다.[5]
음운론적으로는 다른 북동캅카스어족이나 북서캅카스어족의 언어들에 비해 자음이 적지만, 방출음, 인두음, 구개수음 등이 있다는 점에서는 다른 캅카스 지역의 언어들과 공통된다. 바츠어는 거기에 더해 무성 치경 측면 마찰음 [ɬ]을 갖는다. 모음은 특히 체첸어는 캅카스 제어 중 많으며, 장모음과 이중 모음을 포함한 많은 모음을 구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