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첸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첸인은 주로 체첸 공화국에 거주하는 북캅카스 민족으로, 스스로를 '노흐치이'라고 부른다. 체첸이라는 명칭은 러시아어를 통해 조지아와 서유럽 민족명 전통에 들어왔으며, 어원은 '내륙 지역'을 의미하는 나흐어족에서 유래했다. 체첸인들은 주로 체첸 공화국에 거주하며, 러시아의 다른 지역과 튀르키예, 카자흐스탄 등에도 흩어져 살고 있다. 선사 시대부터 북캅카스에 거주하며 나흐족에 속하며, 몽골과 티무르의 침략, 러시아의 카프카스 전쟁 등 격동의 역사를 겪었다. 소비에트 연방 시기에는 강제 이주와 탄압을 겪었으며, 소련 붕괴 이후에는 러시아 연방에 대항하여 독립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체첸어는 나흐어족에 속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주로 믿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첸인 - 바이나흐족
바이나흐족은 러시아 민족학자들이 체첸인과 잉구시인을 묶어 부르는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명칭으로, 고유한 문화와 사회 구조, 다양한 전설을 가지며 나크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이다. - 체첸인 - 람잔 카디로프
람잔 카디로프는 러시아 체첸 공화국의 수장으로, 체첸 전쟁 참여 및 아버지의 보좌관 활동을 거쳐 2007년부터 권위주의 통치, 인권 문제, 언론 탄압 등의 비판 속에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하며 러시아군을 지원하고 있다. - 체첸 공화국 - 제2차 체첸 전쟁
제2차 체첸 전쟁은 1999년부터 2009년까지 러시아와 체첸 분리주의 세력 간의 무력 충돌로, 하사뷰르트 협정 이후 체첸의 불안정과 테러를 계기로 러시아의 공격이 시작되어 수십만 명의 사상자와 파괴, 인권 침해를 남겼으며 러시아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체첸의 불안정은 지속되었다. - 체첸 공화국 - 인구시인
인구시인은 북캅카스 지역의 나흐족 계열 민족으로, 스스로는 '갈가이'라 부르며 러시아 제국에 저항하고 강제 이주를 겪었으나 인구시 공화국을 수립했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으며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니고 있다. - 러시아의 민족 - 이누이트
이누이트는 북극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을 통해 생활하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지닌 민족으로, 현대 사회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러시아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체첸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인구 | 200만 명 |
거주 지역 | 러시아 체첸 공화국 다게스탄 로스토프주 스타브로폴 지방 인구셰티야 모스크바주 볼고그라드주 한티만시 자치구 아스트라한주 사라토프주 유럽 연합 프랑스 오스트리아 벨기에 독일 스웨덴 덴마크 폴란드 튀르키예 카자흐스탄 요르단 이라크 조지아 노르웨이 시리아 아제르바이잔 이집트 우크라이나 아랍에미리트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핀란드 미국 라트비아 |
종교 | 수니파 이슬람 |
언어 | 체첸어 |
관련 민족 | 기타 나흐족 잉구시인 바츠인 키스트인 |
![]() | |
러시아 내 인구 통계 | |
러시아 | 1,674,854명 |
체첸 공화국 | 1,456,792명 |
다게스탄 | 99,320명 |
로스토프주 | 14,316명 |
스타브로폴 지방 | 13,779명 |
인구셰티야 | 12,240명 |
모스크바주 | 11,491명 |
볼고그라드주 | 8,038명 |
한티만시 자치구 | 7,085명 |
아스트라한주 | 6,873명 |
사라토프주 | 5,748명 |
유럽 및 기타 지역 인구 통계 | |
유럽 연합 | 130,000명 (2009년) |
튀르키예 | 100,000명 |
카자흐스탄 | 33,557명 |
요르단 | 12,000–30,000명 |
이라크 | 11,000명 |
조지아 | 10,100명 (키스트인 포함) |
노르웨이 | 10,000명 |
시리아 | 6,000–35,000명 |
아제르바이잔 | 5,400명 |
이집트 | 5,000명 |
우크라이나 | 2,877명 |
아랍에미리트 | 2,000–3,000명 |
키르기스스탄 | 1,709명 |
핀란드 | 891명 |
미국 | 250–1,000명 |
라트비아 | 136–189명 |
2. 어원
"체첸인"이라는 명칭은 18세기에 러시아어를 통해 조지아와 서유럽 민족명 전통에 들어온 외래 민족명이다.[30] 소비에트 국가 초창기인 19세기 중반까지 일부 연구자들은 모든 체첸인과 인구시인을 "체첸인"이라는 이름으로 묶었다.[31][32] 현대 과학에서는 이들을 묶어 "바이나흐족"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2. 1. 체첸 (Chechen)
일반적으로 '체첸인'(Чеченцыru)이라는 명칭은 체첸 공화국 중앙 지역의 여러 마을과 도시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지역으로는 체찬, 나나-체차("어머니 체차"), 요크 체첸("대체첸") 등이 있다.[26] '체첸'이라는 이름은 16세기 후반 러시아 자료에 "차차나"로 등장하는데, 이는 체첸 왕자 시흐 무르자의 소유지로 언급된다.[27] 이 단어의 어원은 나흐어족에서 유래하며, 접미사 '-차'/'-찬'에 '체'("안쪽")라는 단어가 붙은 형태로, 전체적으로 "내륙 지역"으로 번역될 수 있다. 체찬이라는 이름을 가진 마을과 도시들은 현대 체첸 중앙에 위치한 '체찬-아레'("체첸 평원")에 항상 위치해 있었다.[28][29]2. 2. 노흐치이 (Nokhchiy)
체첸인들은 특정 지리적 지역(체첸 중앙부)을 가리키는 용어로 '체찬'(Chechan)을 사용했지만, 스스로를 고지대 방언에서는 '나흐치이'(Nakhchiy) 또는 저지대 방언에서는 '노흐치이'(Nokhchiy)라고 불렀다. '나흐치이'(Nakhchiy)라는 용어가 가장 오래된 기록은 1310년 조지아 정교회의 키릴 도나우리(Cyril Donauri) 총대주교가 투셰티인, 아바르인 및 기타 여러 북동 코카서스 민족들 사이에 있는 '나흐체(Nakhche) 사람들'을 언급한 것이다.[33]'나흐치이'(Nakhchiy)라는 용어는 많은 소비에트 시대와 현대 역사가들에 의해 낙시반 도시와 낙차마티안(Nakhchamatyan) 민족(7세기 아르메니아 저서인 『아슈카르하츠우츠』에 사르마티아의 여러 민족 중 하나로 언급됨)과 연결되어 왔지만, 역사가 N. 볼코바는 후자의 연결 가능성을 낮게 보고 '나흐치마티안'(Nakhchmatyan)이 사르마티아 부족 중 하나인 '이악사마타이'(Iaxamatae)와 혼동되었을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들은 체첸인과는 관련이 없다고 주장한다.[33][34] 1820년대 초 아랍어로 쓰인 체첸어 사본에는 현대 카즈먼(터키) 근처의 '나흐추반'(Nakhchuvan)을 모든 나흐치이의 고향으로 언급하고 있다. '나흐치이'(Nakhchiy)라는 용어의 어원은 '사람들'을 의미하는 '나흐'(Nakh)에 '영토'를 의미하는 '추오'(Chuo)가 결합된 합성어로 이해될 수 있다.[29][35]
3. 지리와 분포
체첸인들은 주로 체첸 공화국에 거주한다.[36] 러시아의 다른 연방 구성단위에도 상당한 체첸인 인구가 있으며, 특히 다게스탄(아욱), 인구시와 모스크바에 많다.
러시아 외부에서는 카자흐스탄, 튀르키예 및 아랍 국가(특히 요르단과 이라크)에 상당한 디아스포라 인구가 있다. 튀르키예, 이라크 및 요르단에 있는 체첸인들은 대부분 카프카스 전쟁 중 체첸을 떠나야 했던 가족들의 후손들이다. 이 전쟁은 1859년 러시아 제국에 의한 체첸의 병합과 1865년 테렉 주에서 오스만 제국으로의 체첸인들의 강제 이주로 이어졌다.[36] 카자흐스탄에 있는 체첸인들은 1944년 요세프 스탈린과 라브렌티 베리아가 실시한 전체 인구에 대한 민족 청소에서 기원한다. 최근의 체첸 전쟁의 결과로 수만 명의 체첸 난민들이 특히 2002년 이후 서구로의 이민 물결 속에서 유럽 연합 및 기타 지역에 정착했다.[36]
4. 역사
체첸인들은 선사 시대부터 북카프카스 고지대에 거주해 온 나크족 중 하나로,[37] 기원전 3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적 연속성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38][37] 기원전 10,000~8,000년경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그들의 조상이 이동해 왔다는 증거도 존재한다.[38]
16세기부터 동쪽 다게스탄 지역에서 이슬람교의 수피교단이 진출하여, 19세기까지 점차 이슬람화가 진행되었다.
18세기 말부터 러시아 제국이 북동부 체첸인 거주지역에 대한 침공을 시작하자, 체첸인들은 강력하게 저항했다. 1818년에는 체첸 지역 내에 러시아인에 의해 요새 도시 그로즈니가 건설되는 등 러시아의 압력이 점차 높아졌다. 이에 맞서 체첸인들은 무리디즘이라는 전투적인 신비주의 종교 집단의 지도자 아래 결속하여 대항하였고, 19세기 중반에는 북카프카스 동부에 샤밀을 지도자로 하는 캅카스 이맘국을 건설했다.
러시아 제국은 무리디즘에 대해 격렬하게 공격을 가했고(카프카스 전쟁), 1859년에 마침내 샤밀을 항복시켜 체첸인 제압을 완료하였다. 이후 이 지역에서는 석유가 발견되어 석유 산업이 건설되었고, 러시아에게 없어서는 안 될 지역이 되어갔다. 한편, 강력하게 저항을 계속한 체첸인에 대한 공포심과 적개심은 러시아 사회에 깊이 남게 되었고, 체첸인들 사이에서도 자신들의 땅에서 채굴되는 석유의 부가 러시아인들에 의해 가져지는 것에 대한 불만이 축적되어 갔다.
러시아 혁명 이후인 1920년, 북카프카스는 적군에 의해 정복되었고, 1922년 11월 30일에 체첸-인구시 자치 공화국이 설립되어 소비에트 연방의 일부가 되었다.
체첸인과 잉구시인은 발카르인, 카라차이인, 크림타타르인과 함께 소련의 강제적인 집단농장화에 반대했다.[116] 체첸 산악 주민인 고르치는 집단농장화 조직자들과 그로즈니에서 온 징집자들과 싸웠다.[116]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3년, 체첸인과 잉구시인은 스탈린 정권으로부터 나치와 협력했다는 의혹을 받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했다.[116] 1944년 2월 23일에서 24일 밤, 기습 작전이 시작되어 체첸인과 잉구시인은 전원 체포되어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으로 강제 이주당했다.[116] 이 과정에서 티푸스가 유행하여 체첸인과 잉구시인 전체 인구의 40%에 해당하는 수십만 명이 사망했다.[116] 이 강제 이주는 집단 학살의 하나로 여겨진다.[116]
1957년 1월, 스탈린 사후, 추방된 여러 민족의 명예가 회복되면서 체첸인과 잉구시인은 북 코카서스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고, 체첸-인구시 자치 공화국이 재건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체첸인들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전쟁을 거치며 독립을 추구했지만 실패하였고, 체첸 공화국은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 남아있다. 일부 체첸인들은 유럽 여러 국가 등으로 망명하거나 이주하여 생활하기도 한다.[117]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체첸군이 러시아 측에 가담하여 논란이 되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러시아 연방군 내에서 가장 잔혹한 이들로 부랴트인과 함께 체첸인을 언급했다.[118] 이에 대해 람잔 카디로프 체첸 공화국 수장은 교황이 "선전의 희생양이 되었다"고 비난했다.[119]
4. 1. 고대
체첸인들은 선사 시대부터 북캅카스 고지대에 거주해 온 나흐족 중 하나이다.[37] 기원전 3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적 연속성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으며,[38][37] 기원전 10,000~8,000년경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그들의 조상이 이동해 왔다는 증거도 있다.[38]현대 체첸인과 잉구시인의 조상은 두르즈크족으로 알려져 있다. 『조지아 연대기』에 따르면, 두르즈크족은 카프카소스의 후손으로, 기원전 4세기와 3세기에 "두르즈케티아(Dzurdzuketia)"라고 불리는 강력한 국가를 건설했다.[41] 체첸의 테이프(족속) 중에서 두르즈크족과 음이 비슷한 주르자코이(Zurzakoy) 테이프는 체첸의 이툼칼레 지역에 거주한다.
조지아 역사가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Giorgi Melikishvili)는 남 캅카스 지역에 나흐족의 정착 증거가 있지만, 이것이 그들이 북 캅카스에도 살았던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42]
두르즈케티 국가는 기원전 4세기부터 알려져 왔다.[21] 『아르메니아 연대기』는 두르즈크족이 스키타이족을 패배시키고 기원전 1천년기에 이 지역에서 중요한 세력이 되었음을 언급한다.[21]
4. 2. 중세
중세 시대 동안, 체첸 저지는 카자르와 그 후 알란의 지배를 받았다. 지역 문화는 조지아의 영향을 받았고, 일부 체첸인들은 동방 정교회로 개종하기도 했다. 14세기부터 이슬람이 체첸인들 사이에 점차 퍼져나갔지만,[50][51] 19세기까지도 체첸인들의 고유한 이교 신앙은 여전히 강력했다. 사회는 봉건적인 계급으로 조직되었다.체첸은 13세기 몽골 침입과 14세기 티무르의 침입으로 황폐화되었다.[52][53] 몽골 침입은 체첸 민담에 잘 알려져 있으며, 종종 알란-두르즈크족과 몽골의 전쟁에 대한 군사 보고서와 관련되어 있다.
선교사 피안 데 카르피네에 따르면, 알란족의 일부는 12년 동안 몽골군의 산성 공격을 성공적으로 저지했다고 한다.[54]
그러나 이 12년간의 포위 공격은 다른 어떤 보고서에도 나와 있지 않다. 러시아 역사가 A. I. 크라스노프는 이 전투를 1967년 그가 기록한 두 개의 체첸 민담과 연결 지었다. 이 민담은 이디그라는 노련한 사냥꾼이 그의 동료들과 함께 타타르-몽골인들에 맞서 12년 동안 다쿠오흐 산을 방어했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는 또한 전투가 일어난 산 근처에서 13세기의 여러 화살촉과 창촉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55]
14세기 후반 티무르의 카프카스 침입은 황금 호르드의 동맹이자 티무르 반대파였던 체첸 왕국 심시르에 특히 큰 피해를 입혔다. 그 지도자 쿠르 엘라는 테렉 강 전투에서 칸 토크타미시를 지원했다.[56]
체첸인들은 몽골인들의 저항을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침략으로부터 자신들을 방어한 몇 안 되는 민족 중 하나이다. 두 번이나 성공했지만, 국가가 완전히 파괴되었기 때문에 큰 희생을 치렀다. 이러한 사건들은 체첸 민족의 형성과 그들의 무술 지향적이고 씨족 기반의 사회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57]
4. 3. 근세
카프카스 지역은 오스만 제국과 페르시아 (사파비 왕조, 아프샤르 왕조, 카자르 왕조)의 각축장이었으나, 체첸인들은 어느 제국에도 완전히 복속되지 않았다. 16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이 남쪽으로 확장하면서 체첸인들과의 충돌이 잦아졌다.[58] 1650년대~1670년대 알다만 게자가 지휘한 행정 및 군사 원정으로 체첸은 당시 주요 제국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페르시아의 침략에 대항하여 지역 영주들과 동맹을 맺고 러시아의 영향력을 막기 위해 전투를 벌였다.[59]표트르 대제 시절, 러시아-페르시아 전쟁을 통해 러시아가 카프카스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체첸인들과의 군사적 충돌이 시작되었다.[60] 18세기 후반, 셰이크 만수르가 체첸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러시아는 카프카스 전쟁을 통해 북카프카스 정복에 나섰다. 예르몰로프 장군은 체첸인을 "대담하고 위험한 사람들"이라 묘사하며 강경책을 펼쳤다.[61] 그는 초토화 작전과 강제 추방 정책을 사용했고, 1818년 그로즈니 요새를 건설했다. 체첸인들은 이맘 샤밀의 지도하에 저항했으나, 1861년 패배하여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많은 체첸인들이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하거나 강제 추방되었다.[62][63][64][65]
4. 4. 현대
1865-66년, 1877년, 러시아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러시아/소비에트 권력에 대한 다양한 체첸 반란이 있었다. 러시아화와 소비에트 연방의 집단화 및 반종교 운동에 대한 비폭력 저항도 있었다. 1944년 요셉 스탈린은 모든 체첸인과 카프카스의 여러 민족에게 대규모 강제 이주를 명령하여 카자흐와 키르기스 SSR로 이주시켰다. 이 과정에서 전체 체첸 인구의 4분의 1 이상, 어쩌면 절반이 사망했으며, 문화와 역사 기록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63][66][67] 1956년 "재활"되어 다음 해에 귀환이 허용되었지만, 생존자들은 경제적 자원과 시민권을 상실했으며 소비에트와 소비에트 이후 정부 모두에서 차별 대상이 되었다.[63][68]18세기 말부터 러시아 제국은 카프카스 중앙부의 카바르다인, 오세티아인 등의 거주지역을 병합하고 체첸인 거주지역에 대한 침공을 시작했다. 체첸인들은 강력하게 저항했으나, 1818년에는 체첸인 지역 내에 러시아인에 의해 요새 도시 그로즈니가 건설되는 등 러시아의 압력이 점차 높아졌다. 이에 맞서 체첸인들은 무리디즘이라는 전투적인 신비주의 종교 집단의 지도자 아래 결속하여 대항하였고, 19세기 중반에는 북카프카스 동부에 샤밀을 지도자로 하는 코카서스 이맘 국가를 건설했다.
러시아 제국은 무리디즘에 대해 격렬하게 공격을 가했고(코카서스 전쟁), 1859년에 마침내 샤밀을 항복시켜 체첸인 제압을 완료하였다. 이후 이 지역에서는 석유가 발견되어 석유 산업이 건설되었고, 러시아에게 없어서는 안 될 지역이 되어갔다. 한편, 강력하게 저항을 계속한 체첸인에 대한 공포심과 적개심은 러시아 사회에 깊이 남게 되었고, 체첸인들 사이에서도 자신들의 땅에서 채굴되는 석유의 부가 러시아인들에 의해 가져지는 것에 대한 불만이 축적되어 갔다.
4. 4. 1. 소비에트 연방 시기
러시아 혁명 이후, 1920년 북카프카스는 적군에 의해 정복되었다. 1922년 11월 30일에는 체첸 자치주가 설립되어 소비에트 연방의 일부가 되었다. 이 자치주는 이후 인구시 자치주와 합병하여 체첸-인구시 자치 공화국이 되었다.체첸인과 인구시인은 발카르인, 카라차이인, 크림타타르인과 함께 소련의 강제적인 집단농장화에 반대했다.[116] 체첸 산악 주민인 고르치는 집단농장화 조직자들과 그로즈니(Грозный)에서 온 징집자들과 싸웠다.[116]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3년, 체첸인과 인구시인은 요시프 스탈린 정권으로부터 나치와 협력했다는 의혹을 받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했다.[116]
1944년 2월 23일에서 24일 밤, 기습 작전이 시작되어 체첸인과 인구시인은 전원 체포되었다. 노인, 여성, 아이, 공산당원, 석유 노동자, 산악 주민 등 예외는 없었다. 이들은 창문 없는 화차에 실려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으로 강제 이주당했다.[116] 화차의 위생 상태는 열악했고, 수송 중 많은 사람이 사망했다. 이주지는 강제 수용소와 같은 참혹한 상황이었다. 티푸스가 유행하여 체첸인과 인구시인 전체 인구의 40%에 해당하는 수십만 명이 사망했다.[116] 이 강제 이주는 집단 학살의 하나로 여겨진다.[116]
같은 시기에 크림반도의 크림타타르인, 조지아의 메스헤트 투르크인,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고려인(한국인), 볼가강 하류 지역의 칼미크인, 볼가 독일인 등도 같은 조치를 받았다(소비에트 연방의 강제 이주).
1956년 흐루시초프는 "처벌받은 민족"의 복권을 인정했지만, 체첸인과 인구시인은 유형지에 남으라는 명령을 받았다.[116]
1957년 1월, 스탈린 사후, 추방된 여러 민족의 명예가 회복되면서 체첸인과 인구시인은 북 코카서스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체첸-인구시 자치 공화국도 재건되었다.
4. 4. 2. 러시아 연방 시기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체첸인들은 독립을 추구했지만 첫 번째와 두 번째 전쟁을 거치며 러시아 연방에 잔류하게 되었다.[63] 체첸 공화국은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 남아있다. 일부 체첸인들은 유럽 여러 국가 등으로 망명하거나 이주하여 생활하기도 한다.[117]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체첸군이 러시아 측에 가담하여 논란이 되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러시아 연방군 내에서 가장 잔혹한 이들로 부랴트인과 함께 체첸인을 언급했다.[118] 이에 대해 람잔 카디로프 체첸 공화국 수장은 교황이 "선전의 희생양이 되었다"고 비난했다.[119]
5. 하위 집단
6. 언어
체첸인들의 주요 언어는 체첸어이다. 체첸어는 나흐어족(북동카프카스어족)에 속하며, 중앙 저지대 방언을 기반으로 한 문어를 사용한다. 인구시어와 바츠어는 관련 언어이다. 체첸인들은 역사적으로 조지아 문자, 아랍 문자, 라틴 문자를 사용했으며, 2008년 현재 공식 문자는 러시아 키릴 문자이다.[69][70][71][72][73] 20세기 초 바이나크인이라는 민족명이 등장하기 전까지 인구시어와 바츠어는 체첸어의 방언으로 간주되었다.
1989년에는 73.4%가 러시아어를 사용했다.[74] 하지만 전쟁으로 인한 교육 부족, 언어 습득 거부, 체첸 디아스포라의 대량 분산 등으로 인해 이 수치는 감소했다. 디아스포라에 있는 체첸인들은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아랍어, 폴란드어, 조지아어, 터키어 등 거주 국가의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나흐어족은 북동카프카스어족의 하위 그룹이며, 나흐-다게스탄어족과 관련이 있다. 나흐-다게스탄어족에는 아바르인, 다르긴인, 레즈긴인 등의 언어가 포함된다. 하지만 이 관계는 가깝지 않다.
일부 연구자들은 나흐-다게스탄어족과 우라르투-후리아어족 사이의 언어적 관계를 제안하기도 한다.[75][76][77][78][79]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어족 간의 연관성에 의문을 제기하거나,[80][81][82]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생각한다.[83][84][85]
7. 유전학
체첸인에 대한 유전자 검사는 주로 캅카스와 유럽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북캅카스 mtDNA에 대한 연구는 캅카스가 유럽과 더 가까운 관계에 있음을 나타냈지만(Nasidze 외, 2001), Y 염색체는 서아시아와 더 가까운 관계에 있음을 나타냈다(Nasidze 외, 2003).[89][90]
2004년의 mtDNA 연구는 체첸인들이 미토콘드리아 게놈에서 다양하며, 단 23개의 샘플에서 18개의 다른 하플로그룹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잉구시인, 아바르인, 체르케스인과 같은 다른 모든 북캅카스 민족들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들의 미토콘드리아 DNA는 매우 다양하다.
2011년 발라놉스키(Balanovsky) 등의 연구[91]에서는 말고베크, 아흐호이-마르탄에 있는 한 곳과 다게스탄의 두 곳 등 세 곳의 표본 채취 지역에서 총 330명의 체첸인을 표본으로 채취하여 Y-DNA 하플로그룹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첸인의 약간 많은 수가 하플로그룹 J2에 속하는데, 이는 지중해, 캅카스, 비옥한 초승달 지대 인구와 관련이 있다. 북캅카스 튀르크계 민족인 쿠미크인(25%)[92], 발카르인(24%)[93] 사이에서도 다른 주목할 만한 값이 발견되었다. J2는 비-나흐 북동캅카스 민족의 영토에 들어서면 갑자기 감소하여 다게스탄 민족들 사이에서는 매우 낮은 값으로 떨어진다.[89][91][94][95] 체첸 J2의 대부분은 J2a4b*(J2-M67) 아계통에 속하며, 이 아계통은 나흐계 민족들 사이에서 압도적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다. 발라놉스키 연구에 따르면 체첸인은 55.2%였고, 잉구시인은 87.4%였다.
전반적으로 검사 결과 체첸인은 잉구시인, 체르케스인 및 다른 북캅카스인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일부 검사에서는 다른 민족들과의 친족 관계를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발라놉스키의 연구는 잉구시인이 체첸인과 압도적으로 가장 가까운 친족임을 보여주었다.[91][95][96]
8. 문화
체첸 사회는 평등주의, 다원주의, 개인 존중을 중시하는 민주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며, ''툭훔(tukkhum)''(씨족 연합)과 약 130개의 ''테입(teips)''(씨족)을 중심으로 한다. 테입은 혈연보다는 토지와 단일 계보에 기반하며 (외혼이 일반적이고 장려됨), 체첸 국가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결합한다. 테입은 더 작은 ''가르(gar)''(가지)로 세분되고, 가르는 ''네키예(nekye)''(성씨 가족)로 세분된다.[99] 체첸 사회 규범은 ''녹찰라(nokhchallah)''("녹추오(Nokhchuo)"는 "체첸인"을 의미)라고 하며, "체첸인의 기질"로 번역될 수 있다. 체첸의 명예 규범과 관습법(아닷(adat))은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행동, 관용, 여성의 명예 수호를 강조한다.[99][100] 전통적인 체첸 속담에는 체첸 사회 구성원들이 테입처럼 (이상적으로) "늑대처럼 자유롭고 평등하다"고 묘사한다.
체첸인들은 강한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오래된 씨족 네트워크와 씨족, 툭훔 등에 대한 의무인 녹찰라에 의해 강화된다. 이는 종종 현대적인 감각으로 변형된 오래된 가치관과 결합된다. 그들은 신화적으로 서사시적 영웅 투르팔로-녹추오("체첸 영웅")의 후손이다. 국가 동물인 늑대를 통해 국가를 대표한다. 땅, 농장, 숲에 대한 강한 의존성(그리고 늑대와의 국가적 연관성) 때문에 체첸인들은 자연에 대한 강한 애정을 가지고 있다. 체첸 철학자 아프티 비술타노프(Apty Bisultanov)에 따르면 개미집을 파괴하거나 짝짓기 철에 코카서스 산양을 사냥하는 것은 매우 죄악시되었다.[101] 글라스노스트 시대 체첸 독립 운동인 ''바르트(Bart)''(통일)는 그로즈니에서 단순한 환경 운동 단체로 시작되었다.[102]
체첸 문화는 자유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국가 국민 영웅의 대다수는 독립을 위해 싸웠거나, 전설적인 젤림한(Zelimkhan)처럼 러시아 억압자들로부터 체첸 아이들을 먹이기 위해 로빈 후드처럼 강탈했다. 체첸어 인사말인 ''마르샤 오일라(marsha oylla)''는 문자 그대로 "자유 속으로 들어오라"로 번역되며, 자유라는 단어는 평화와 번영의 개념도 포함한다.
9. 종교
체첸은 주로 수니파 이슬람 국가이다.[103] 대부분의 인구는 샤피이 학파[104] 또는 하나피 학파 법학을 따른다. 샤피이 학파는 체첸인들 사이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기에[105] 가장 많이 실천되는 학파로 남아있다.[106] 일부는 신비주의 수피즘 전통인 무리드주의를 따르는 반면, 체첸인의 약 절반은 수피 수도회 또는 ''타리카''에 속한다. 북코카서스에 퍼진 두 가지 수피 타리카는 낙시반디야와 카디리야였다.(낙시반디야는 다게스탄과 체첸 동부에서 특히 강세를 보이는 반면, 카디리야는 체첸과 인구시야의 나머지 지역에 대부분의 신자를 두고 있다).[103] 또한 소수의 기독교인과 무신론자 소수 민족이 있지만, 체첸 내에서 그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카자흐스탄에서는 체첸 인구의 약 3%와 2%가 각각 기독교인과 무신론자이다.[107]
평균적인 체첸인이 근본주의 무슬림이라는 고정관념은 잘못되고 오해의 소지가 있다.[108][109] 2000년대 후반, 체첸에는 두 가지 새로운 경향이 나타났다. 무장 체첸 분리주의 운동의 급진적인 잔당은 살라피파(러시아에서는 일반적으로 와하비파로 알려져 있으며 1990년대부터 소수이지만 체첸에 존재해 왔음)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대부분 범이슬람주의를 위해 민족주의를 버리고 다른 여러 지역 이슬람 반군과 합쳐 코카서스 에미레이트를 형성했다. 동시에 모스크바의 지원을 받는 람잔 카디로프의 권위주의적 통치하에 있는 체첸은 공화국의 논란이 많은 이슬람화 반대 운동을 겪었으며, 정부와 체첸 공화국 무슬림 정신 행정부는 러시아 공식법을 대체한 샤리아의 요소들을 도입하는 등 소위 "전통 이슬람"의 자체 버전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시행했다.[110][111][112][113]
체첸인과 인구시인의 조상들은 매우 오래전부터 북카프카스에 거주했던 것으로 여겨지며, 고대 지리서에 이미 두 민족의 조상에 대한 기록이 있다고 한다. 16세기부터 동쪽 다게스탄 지역에서 이슬람교의 수피교단이 진출하여, 19세기까지 걸쳐 점차 이슬람화가 진행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ussian Census of 2021
https://view.officea[...]
[2]
웹사이트
Russian Census of 2021
https://view.officea[...]
[3]
뉴스
As Hit Men Strike, Concern Grows Among Chechen Exiles
http://www.rferl.org[...]
RFE/RL
2009-03-12
[4]
간행물
Chechens in the Middle East: Between Original and Host Cultures
http://belfercenter.[...]
Caspian Studies Program
[5]
뉴스
Chechen refugee came to Finland via Baku and Istanbul
http://www.hs.fi/eng[...]
[6]
웹사이트
Итоги Национально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21 года в Республике Казахстан
https://web.archive.[...]
2022-09-02
[7]
웹사이트
Jordan willing to assist Chechnya – King
http://reliefweb.int[...]
2007-08-28
[8]
논문
Iraqi Circassians (Chechens, Dagestanis, Adyghes)
https://web.archive.[...]
2012-11
[9]
웹사이트
https://www.vg.no/ny[...]
[10]
서적
The Chechens: A Handbook
Routledge
[11]
뉴스
Circassian, Ossetian, Chechen Minorities Solicit Russian Help To Leave Syria
http://www.rferl.org[...]
2012-08-12
[12]
웹사이트
Chechen in Azerbaijan
https://joshuaprojec[...]
2024-12-08
[13]
웹사이트
About number and composition population of Ukraine by data All-Ukrainian census of the population 2001
http://2001.ukrcensu[...]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2012-01-17
[14]
간행물
Chechnya's Exodus to Europe
The Jamestown Foundation
2008-01-24
[15]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оценка на начало года, человек)
https://www.stat.gov[...]
2020-10-19
[16]
웹사이트
Population 31.12. By Origin, Background country, Language, Year, Age, Sex and Information
https://pxdata.stat.[...]
[17]
뉴스
The Chechens in America: Why They're Here and Who They Are
http://www.thedailyb[...]
2013-04-19
[18]
웹사이트
Population by ethnicity at the beginning of year – Time period and Ethnicity | National Statistical System of Latvia
https://data.stat.go[...]
[19]
웹사이트
Latvijas iedzīvotāju sadalījums pēc nacionālā sastāva un valstiskās piederības, 01.01.2023. – PMLP
https://www.pmlp.gov[...]
[20]
서적
The Chambers Dictionary
Chambers
[21]
서적
The Chechens
[22]
서적
National Geographic Atlas of the World
National Geographic
[23]
웹사이트
Russian Census of 2021
https://view.officea[...]
[24]
백과사전
Chechenzes
[25]
서적
Чечня и Чеченцы
[26]
웹사이트
Миграционные и урбанизационные процессы в ходе ста (Амин Тесаев) / Проза.ру
https://proza.ru/202[...]
[27]
웹사이트
декларация
http://orsthoy.ru/im[...]
1951-02
[28]
웹사이트
РУССКО-ЧЕЧЕНСКИЕ ОТНОШЕНИЯ ВТОРАЯ ПОЛОВИНА XVI-XVII в. DrevLit.Ru – библиотека древних рукописей
http://drevlit.ru/do[...]
[29]
웹사이트
"Вайнахи и аланы" Руслан Арсанукаев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названий и самоназваний Чеченцев и Ингушей
https://web.archive.[...]
2020-11-06
[30]
서적
Этнонимы и племенные названия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Наука
[31]
서적
Чечня и чеченцы / Подгот. текста и предисл. Я. З. Ахмадова и И. Б. Мунаева, ред. Е. А. Куприянова.
[32]
서적
Родовой быт и обычное право чеченцев и ингушей
[33]
웹사이트
"Вайнахи и аланы" Руслан Арсанукаев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названий и самоназваний Чеченцев и Ингушей
https://web.archive.[...]
2020-11-06
[34]
서적
Этнонимы и племенные названия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https://books.google[...]
Nauka
[35]
웹사이트
Предание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чеченцев
https://chechenlaw.r[...]
2017-02-18
[36]
간행물
Chechnya's Exodus to Europe
The Jamestown Foundation
2008-01-24
[37]
웹사이트
ETHNICITY AND CONFLICT IN THE CAUCASUS(5)
http://src-h.slav.ho[...]
2018-10-17
[38]
논문
Peering Into the Past, With Words
2000-05-19
[39]
논문
Peering Into the Past, With Words
https://www.science.[...]
2000-05-19
[40]
웹사이트
The Ingush (with notes on the Chechen): Background information
http://ingush.berkel[...]
1997-02-01
[41]
서적
The Chechens
http://dx.doi.org/10[...]
Routledge
2004-11-10
[42]
서적
The Chechens: A Handbook
[43]
서적
Древности Чечено-Ингушетии
Изд-во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ССР
1963
[44]
서적
ПРОБЛЕМА ЭТ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Й СТРУКТУРЫ ЧЕЧНИ В XVIII–XIX ВВ. В ИСТОРИЧЕСКОЙ ЛИТЕРАТУРЕ.
[45]
서적
«В ущельях Аргуна и Фортанги»
Москва
1965
[46]
서적
«Чеченский тайп в период его разложения»
Грозный
1973
[47]
서적
«Грузино-чечено-ингушские взаимоотношения»
Тбилиси
1992
[48]
서적
История народов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до конца XVIII в.
Наука
1988
[49]
서적
Этнически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в XVIII-начале XX века
Наука
1974
[50]
웹사이트
Islam: Islam in the Caucasus and the Middle Volga
https://www.encyclop[...]
2022-03-10
[51]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Routledge
[52]
서적
[53]
서적
[54]
논문
К личности и борьбе чеченского героя идига (1238–1250 гг.)
2020
[55]
논문
Копье Тебулос-Мта
[56]
논문
Симсим
2018
[57]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58]
서적
Conflict and Security in Central Asia and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8-10-17
[59]
웹사이트
Гази Алдамов, или Алдаман ГIеза, воевода и предвод (Амин Тесаев) / Проза.ру
https://proza.ru/201[...]
[60]
서적
The Insurgency in Chechnya and the North Caucasus: From Gazavat to Jiha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61]
서적
[62]
서적
[63]
웹사이트
Who are the Chechens?
http://iseees.berkel[...]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웹사이트
But after their unification in 1934 into a single Chechen-Ingush Autonomous Region (Chechen-Ingush Autonomous Soviet Socialist Republic since 1936), the authorities did their best to ensure the merger of the Chechens and Ingush into a single people, for which a new name was created "Veinakhs / Vainakhs". In the 1960s–1980s. this identity was actively introduced into the consciousness of the Chechens and Ingush and gradually gained more and more popularity.
https://www.klex.ru/[...]
[70]
웹사이트
Yazyki i narechiya Rossiyskoy Imperii, Statisticheskiy atlas Rossii A.F. Marksa, prilozheniye 14, Sankt-Peterburg, 1907 god.
http://hisdoc.ru/edi[...]
[71]
웹사이트
Kavkazskiy tolmach: (perevodchik s russkogo na glavnѣyshiye kavkazskiye yazyki)
https://books.google[...]
[72]
웹사이트
N. YA. Marr. Izbrannyye raboty
http://apsnyteka.org[...]
[73]
웹사이트
ГПИБ {{!}} Вып. 1 : [Терская область :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экскурсии Всев. Миллера]. – 1888.
http://elib.shpl.ru/[...]
ИнфоРост
2022-04-23
[74]
서적
Chechnya and Tatarstan
[75]
서적
The anthropology of Chechens and Ingush is somewhat different. The Ingush belong to the central cluster of the Caucasian [Mtebid] anthropotype, with pronounced brachycephalization, which indicates a strong mixing with the Koban culture. Whereas the Chechens, although they belong mainly to the Caucasians [Mtebids], combine many elements of the Caspian and even the Pontid. In addition, the Chechen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dolichocephalic index among the characteristic brachycephalic Caucasians [Mtebids]. All this testifies that the Chechens, to a greater extent, have preserved the Hurrian substratum.
https://books.google[...]
J. Taisayev. «Etnogenez narodov Kavkaza.»
2017-09-05
[76]
웹사이트
"The Urartians themselves, or Alarodians, called their country and state Biainili, from which comes the modern name of Lake Van, in the basin of which the center of this state was located. Since ancient times, Urartian (Alarodian) tribes, akin to the Hurrian population of the countries to the southwest of Lake Van, lived around Lake Van and in adjacent areas. The Urartian (as well as the Hurrian) language belonged to a special linguistic family, among the modern languages the closest to them are some languages of the North Caucasus – Chechen and Ingush."
https://books.google[...]
[77]
서적
"The long-standing assumptions about the connections of Hurrian and Urartian with the Caucasian languages have received serious confirmation thanks to the collected ... correspondences identified in the North-East Caucasian languages, and especially in Vainakh"
https://opus.bibliot[...]
[78]
서적
"The most ancient state on the territory of our country was the Urartian kingdom in the Transcaucasus. The word "Urartu" (the memory of it is preserved in the name of Mount Ararat) is Assyrian, but the inhabitants themselves called their country Biainili (hence – Lake Van). The Alarodian (or Urartian) tribes living around this lake, who spoke a language that has not survived to this day (of the modern ones, Chechen and Ingush are the closest to it), back in the 13th century. BC e. created their own tribal union. "
https://rusneb.ru/ca[...]
Prosveshchenie
[79]
서적
"Of the peoples existing in our time, the Chechens and Ingush are the closest to the Hurrian-Urartian in terms of language ".
https://na5ballov.pr[...]
Астрель
[80]
논문
On Hurro-Urartian as an Eastern Caucasian language
https://glottolog.or[...]
[81]
논문
About the vocalic system of Armenian words of substratic origins
https://www.academia[...]
[82]
서적
The Nakh Dagestanian consonant correspondences
John Benjamins Publishing
[83]
서적
Urartian and Urartians
https://www.academia[...]
[84]
백과사전
Caucasi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85]
서적
XXI. Beyond Indo-European
De Gruyter Mouton
[86]
서적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87]
웹사이트
LacusCurtius • Herodotus — Book VII: Chapters 57‑137
https://penelope.uch[...]
[88]
서적
Urartian and Urartians
https://www.academia[...]
[89]
논문
Mitochondrial DNA and Y-Chromosome Variation in the Caucasus
http://www.eva.mpg.d[...]
[90]
논문
Mitochondrial DNA and Y-Chromosome Variation in the Caucasus
https://www.research[...]
2022-02-28
[91]
논문
Parallel Evolution of Genes and Languages in the Caucasus Region
[92]
서적
[93]
논문
Y-chromosomal evidence of the cultural diffusion of agriculture in southeast Europe
http://www.draganpri[...]
2008-12-24
[94]
서적
[95]
서적
The key role of patrilineal inheritance in the genetic variation of Dagestani highlanders
[96]
논문
Mitochondrial DNA and Y-Chromosome Variation in the Caucasus
[97]
웹사이트
V.A. Potto. Kavkazskaya voyna v otdel'nykh ocherkakh, epizodakh, legendakh i biografiyakh
https://runivers.ru/[...]
[98]
뉴스
В Росстате рассказали об увеличении среднего роста россиян
https://absatz.media[...]
2023-03-10
[99]
서적
Chechens
[100]
서적
The Lone Wolf and the Bear: Three Centuries of Chechen Defiance of Russian Rule
London
[101]
웹사이트
Chechen Republic – History – Born to be free
https://web.archive.[...]
2013-04-20
[102]
서적
Chechnya: The Case for Independence
[103]
웹사이트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 Washington, D.C.
https://web.archive.[...]
2018-10-17
[104]
뉴스
Shafi'i and Hanafi schools of jurisprudence in Chechnya
http://www.jamestown[...]
Jamestown.org
2013-04-19
[105]
서적
Religion and Politics in Russia: A Reader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9-11-09
[106]
웹사이트
The Kremlin's War on Islamic Education in the North Caucasus
http://jamestown.org[...]
2006-09-08
[10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1-07-24
[108]
웹사이트
Shattering the Al Qaeda-Chechen Myth: Part 1
http://www.jamestown[...]
2003-10-02
[109]
서적
Chechnya: the Case for Independence
[110]
웹사이트
Kadyrov Exploits Ties with Moscow to Build Islamic State
http://www.refworld.[...]
2013-04-22
[111]
웹사이트
Virtue Campaign on Women in Chechnya under Ramzan Kadyrov | Human Rights Watch
https://www.hrw.org/[...]
2012-10-29
[112]
웹사이트
Chechen Leader's Islamic Policies Stir Unease
https://www.npr.org/[...]
2013-04-22
[113]
웹사이트
The Islamic Republic of Chechnya
https://web.archive.[...]
Pulitzer Center
2011-03-16
[114]
웹사이트
Chechnya 'has no troops in Ukraine'
https://www.bbc.com/[...]
2014-05-28
[115]
웹사이트
ВПН-2010
https://web.archive.[...]
[116]
서적
スターリンのジェノサイド
[117]
뉴스
亡命チェチェン人、殺害相次ぐ/欧州各地 反体制派ら 当局・露関与か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6-26
[118]
웹사이트
ローマ教皇、ロシア軍でチェチェン人とブリヤート人の部隊が「最も残酷」と発言
https://www.cnn.co.j[...]
CNN
2022-11-30
[119]
웹사이트
チェチェン首長、ローマ教皇は「プロパガンダの餌食」に
https://www.afpbb.co[...]
AFP
2022-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