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난민촌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민촌 전쟁은 1985년부터 1987년까지 레바논에서 아말 운동과 팔레스타인 난민촌 민병대 간에 벌어진 일련의 무력 충돌을 의미한다.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과 나크바 이후 레바논으로 유입된 팔레스타인 난민과 PLO의 성장, 시리아의 개입이 배경이 되었다. 1985년 베이루트 난민촌 전투를 시작으로 시돈과 티레 지역 전투를 거쳐 1987년 국제사회의 개입으로 휴전되었다. 이 전쟁으로 수천 명이 사망하고 부상당했으며, 난민촌이 파괴되고 레바논 내 시아파 세력 간의 분열이 심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난민촌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분쟁레바논 내전의 일부
기간1985년 5월 19일 – 1988년 7월
장소베이루트레바논 남부
원인아말과 알무라비툰 간의 갈등
결과무승부
알무라비툰의 패배
시리아의 서베이루트 점령
팔레스타인인 난민촌 대부분 파괴
일부 잔존 난민촌 PLO가 접수
교전 세력
교전국 1PLO
파타
PFLP
DFLP

알무라비툰
2·6 운동
OACL
쿠르드 민주당
진보사회당
레바논 공산당
교전국 2[[파일:Flag of the Amal Movement.svg|22px|테두리]] 아말 운동


제6보병여단
제8보병여단
PNSF
파타 알인티파다
앗사이카
PFLP-GC
팔레스타인 해방군
지휘관 및 지도자
교전국 1 지휘관야세르 아라파트
아바스 알무사위
이브라힘 쿨라일라트
무흐신 이브라힘
왈리드 베이 줌블라트
교전국 2 지휘관[[파일:Flag of the Amal Movement.svg|22px|테두리]] 나비흐 베리
미셸 아운
하페즈 알아사드
가지 카난
사이드 알무라그하
아흐메드 지브릴
병력 규모
교전국 1 병력알 수 없음
교전국 2 병력알 수 없음
사상자 및 피해
총 사상자4,500명 ~ 6,500명 사망
교전국 1 사상자알 수 없음
교전국 2 사상자3,781명 사망, 6,787명 부상

2. 배경

캠프 전쟁의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으로 인한 팔레스타인 난민의 레바논 유입, 1969년 카이로 협정으로 인한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의 레바논 내 활동 증가는 주요 배경이었다.

1982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레바논 내 세력을 약화시켰고, 이는 시아파 알라위파 출신 시리아 대통령 하페즈 알 아사드가 레바논 내 영향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2. 1. 팔레스타인 난민의 유입과 PLO의 성장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과 그 이후 팔레스타인의 나크바로 인해 수십만 명의 팔레스타인 난민이 남부 레바논으로 도망쳤다.[2] 기술과 자본을 가진 소수의 팔레스타인인들은 도시에 거주하는 것이 허용되었지만, 대부분은 레바논 경제에 숙련되지 않은 노동력만을 제공할 수 있는 가난한 농민이었고, 주요 도시 근처의 열악한 난민 캠프에서 살았다. 남부 레바논에 도착한 직후, 현지인들은 그들의 비참한 상황에 공감했고, 많은 사람들이 당국이 상황을 처리할 때까지 압둘 후세인 샤라프 앗-딘의 ''알-자파리야'' 학교에 수용되었다. 샤라프 앗-딘은 또한 팔레스타인 학생들이 팔레스타인에서 시작한 것을 끝낼 수 있도록 "대학교 입학"으로 알려진 팔레스타인 커리큘럼을 도입했다.[4]

1964년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PLO)가 설립되기 전에도 레바논 및 기타 아랍 국가에 거주하는 망명 팔레스타인 지식인들은 1950년대 후반에 은밀한 준군사 단체를 결성하기 시작했다. 1969년 카이로 협정 이전에, PLO 의장 아흐마드 슈케이리 (1964–1967)는 카프 둔닌 남부 마을에 PLO 훈련 캠프를 세웠다. 따라서 일부 레바논인, 특히 시아파들 사이에서는 친팔레스타인 정서가 높았다.[4] 그러나 이러한 무조건적인 지원은 1969년 4월 팔레스타인인과 레바논군 간의 충돌로 인해 중단되었다. 팔레스타인 작전에 대한 이스라엘의 보복은 주로 지역 민간인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1970년에는 5만 명 이상이 남부에서 이주하게 되었다.

2. 2. 1982년 이스라엘 침공과 시리아의 개입

1982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으로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 의장 야세르 아라파트와 그의 지휘 아래 있던 수천 명의 팔레스타인 전사들은 남부 레바논과 서부 베이루트에서 쫓겨났다. 국제사회의 후원으로 PLO군은 북부 레바논의 트리폴리로 이동하여 재정착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시리아 대통령 하페즈 알 아사드는 아라파트와 그와 동맹한 팔레스타인 분파들을 레바논에서 추방했다. 이스라엘은 1982년 침공을 계기로 남부 레바논의 얕은 변두리(10~15km)를 국경 보안 구역으로 설정하고 20년 동안 점령했으며, 남 레바논군과 동맹을 맺었다. 한편, 시리아의 허가를 받은 이란은 혁명수비대를 레바논에 파견하여 헤즈볼라를 결성하도록 했다.

아사드는 PLO와 레바논을 모두 통제하려 했다. 그는 팔레스타인 게릴라 활동이 또 다른 이스라엘 침공을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처음에는 시리아 정부가 선호하는 팔레스타인 단체들이 영향력을 놓고 경쟁하도록 장려했지만, 시리아군이 통제하는 베카 계곡과 같은 지역에서만 강세를 보였다. 시리아의 통제를 벗어난 지역에서는 파타, PFLP 및 DFLP와 같은 팔레스타인 조직이 훨씬 더 강력한 지원을 받았다.

아사드는 사이드 알-무라가를 영입하여 아라파트와 그의 전사들을 레바논에서 몰아냈다. 1983년 11월, 무사의 파타 알-인티파다 분파는 트리폴리에서 한 달 동안 아라파트주의 파타와 싸웠고, 아라파트는 12월에 다시 튀니지로 떠났다. 그러나 아라파트의 파타군은 2년 동안 레바논으로 돌아와 베이루트와 남부의 난민 캠프에 자리 잡았다.

더 많은 팔레스타인인들이 남부에서 재결집하면서, 아사드는 이스라엘에게 또 다른 침공의 구실을 주고 싶지 않아 아말 운동의 시아파 민병대를 나비 베리의 지휘 아래 영입하여 아라파트의 전사들을 몰아냈다. 아말은 이 동맹을 통해 레바논 문제에 더 큰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었고, 시아파 인구가 밀집된 레바논 지역에 대한 추가적인 통제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1985년 중반까지 아말은 드루즈 진보 사회당 (PSP)과도 갈등을 겪었다. 아말-PSP 관계가 악화되면서, 드루즈 PSP와의 팔레스타인 동맹이 재건되었다. 레바논 공산주의 행동 기구 (OCAL)는 시리아의 아라파트를 몰아내려는 시도에 협력하기를 거부했고, 1987년부터 지하에서 활동하도록 강요받았다.[2]

3. 전개 과정

캠프 전쟁은 1985년부터 1987년까지 베이루트와 남부 레바논의 팔레스타인 난민촌을 중심으로 벌어진 일련의 무력 충돌이다. 시아파 아말 운동시리아의 지원을 받아 난민촌을 장악하려 했고,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는 이에 맞서 격렬하게 저항했다.[9]

수치상으로는 시아파가 팔레스타인인보다 5:1로 많았고, 아말은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지원을 받은 반면, PLO는 외부의 큰 지원을 받지 못했다. 군사 장비 면에서도 아말이 PLO보다 우위에 있었다.[9]

1985년 5월, 베이루트의 사브라, 샤틸라, 부르지 알-바라즈네 난민촌에서 전투가 시작되었다. 아말은 레바논 육군의 지원을 받았다.[8][5] 6월, 다마스쿠스에서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9월에 충돌이 재발했다.

1986년에는 티레의 라시디에 난민촌 주변에서 전투가 벌어져 남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14] 아말은 난민촌을 포위, 봉쇄했고, 이 과정에서 많은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피해를 입었다.[14][15] 같은 해, 시돈 동쪽 언덕의 마그두셰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이스라엘 공군이 팔레스타인 진지를 공습하기도 했다.[16] 12월, 휴전이 협상되었지만, 아라파트파타는 이를 거부했다.

1987년, 국제 언론의 관심과 UNRWA(유엔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기구)의 인도적 지원 노력에도 불구하고, 난민촌의 상황은 매우 열악했다.[19][20] 헤즈볼라 지지자 사망 사건으로 이란시리아에 압력을 가했고, 시리아군은 난민촌 주변 진지를 점령하고 의약품 반입을 허용했다.[25][26][27]

3. 1. 1985년: 베이루트 난민촌 전투

1985년 5월 19일, 레바논 내전 당시 베이루트의 사브라, 샤틸라, 부르지 알-바라즈네 난민촌을 장악하기 위한 아말 운동과 팔레스타인 민병대 간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8][5] 아말은 레바논 육군의 제6여단(주로 시아파)과[8] 미셸 아운 장군에게 충성하는 제8여단(주로 마론파 기독교도)의 지원을 받았다.[5]

단순히 수치로만 보면 시아파가 팔레스타인인보다 5:1로 많았다. 아말은 시리아의 지원을 받았고, 이스라엘의 간접적인 지원도 받은 반면, PLO는 외부의 큰 지원을 받지 못했다. 아말은 군사 장비, 특히 포병과 장갑차 면에서도 PLO보다 우위에 있었다.[9]

1985년 5월 30일, 사브라의 대부분이 공격자들에게 넘어갔다. 아랍과 소련이 시리아에 정치적 압력을 가했고, 6월 8일 아랍 연맹 외무 장관 긴급 회의가 예정되자, 아말은 다음 날 일방적인 휴전을 선언했다. 그럼에도 소규모 전투는 계속되었다. 샤틸라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은 모스크를 중심으로 한 난민촌의 일부만 유지했다. 부르지 알-바라즈네는 아말이 물자 출입을 막고 주민들의 탈출을 막으면서 포위 상태로 남았다.

사망자 수는 불확실하지만,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국제적 압력으로 1985년 6월 17일 다마스쿠스에서 아말과 팔레스타인 민족구원전선 간의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산발적인 충돌은 1985년 9월에 다시 발생했다.

3. 2. 1986년: 시돈과 티레 지역 전투

1986년 9월 29일, 티레의 라시디에 난민촌 주변에서 아말과 현지 PLO 단체 간에 교전이 벌어졌다. 이로써 시아파가 다수인 지역에 팔레스타인 게릴라가 주둔하면서 발생한 잦은 충돌로 인한 긴장이 남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14] 아말은 난민촌을 포위하고 봉쇄했지만, 일부 물품은 해상으로 도착했다. 이 과정에서 모든 소규모 팔레스타인 난민촌이 파괴되었고 수백 채의 집이 불탔으며, 1,000명의 팔레스타인 남성이 납치되었다.[14] 12월까지 7,500명의 팔레스타인 민간인이 아말의 통제를 받지 않는 시돈으로 피난했고, 수천 명이 내륙으로 피난했다. 약 7,000명의 비전투원이 난민촌에 남아 있었다.[15]

티레에서 전투가 발발한 지 한 달 후, 아말은 베이루트의 난민촌을 포위했다. 11월 24일, 시돈에 있는 대부분의 팔레스타인 파벌로 구성된 병력이 라시디에로 가는 길을 다시 열기 위해 시돈 동쪽 언덕에 있는 기독교 도시인 마그두셰에 있는 아말 진지를 공격했다.[16] 일주일간의 전투에서 그들은 도시 대부분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17] 이 공세 과정에서 이스라엘 공군(IAF)은 시돈 주변의 팔레스타인 진지를 여러 차례 공습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아랍 연맹은 양측에 전투 중단을 압박했다. 12월 1일 사우디아라비아의 파흐드 국왕은 난민촌 공격이 "모든 아랍을 상처 입혔다"고 말했다.[18] 1986년 12월 15일, 아말과 친 시리아 팔레스타인 단체 간에 휴전이 협상되었지만, 아라파트의 파타는 이를 거부하고 난민촌에 물품을 제공하는 대가로 일부 진지를 알-무라비툰 민병대에 넘겨 상황을 진정시키려 했다.

3. 3. 1987년: 국제사회의 개입과 휴전

1987년 1월, 테리 웨이트가 실종된 후 베이루트의 상황이 변했다. 국제 언론이 다시 도시에 모여들면서 부르즈 엘-바라즈네와 샤틸라 포위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19] 부르즈 엘-바라즈네에 있던 영국인 의사 포린 커팅은 무선 전화를 통해 수용소의 참혹한 상황을 생생하게 묘사했다.[20] UNRWA(유엔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기구)의 인도적 지원은 아말 민병대의 봉쇄로 인해 심각하게 제한되었고, 많은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의료 서비스와 물품 부족으로 고통받았다.[20] 8주 동안 신선한 음식이나 의약품 반입이 금지되었다. 2월 13일, 두 대의 보급 트럭이 부르즈 엘-바라즈네에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었지만, 도착 즉시 포격을 받아 6명이 사망하고 24명이 부상당했다.[21]

한편, 서베이루트에서는 드루즈계 PSP/PLA와 아말 사이에 "깃발 전쟁"으로 불리는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PSP/PLA 전투원이 무사이트베, 베이루트의 탈레 엘-카얏 구역에 있는 채널 7 TV 방송국 건물에 게양된 레바논 국기를 드루즈 깃발로 교체하면서 시작된 이 분쟁은[22] 아말 민병대에게 도발로 받아들여졌다.[23] 격렬한 전투 끝에 아말군은 서베이루트의 상당 부분을 빼앗겼다.

2월 21~22일, 가지 카난 소장이 지휘하는 7,000명의 시리아 방위대 부대가 레바논 내부 치안군(ISF) 헌병의 지원을 받아 서베이루트에 도착하면서 일주일간의 전투가 끝났다.[24] 이들은 민병대 "사무실"을 폐쇄하고 무기 소지를 금지했으며, 민병대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체포하고 무허가 무기를 소지한 사람을 처형했다.[24]

2월 24일, 파탈라 병영에서 20명 이상의 헤즈볼라 지지자가 사망한 사건은 이란이 시리아에 압력을 가하는 계기가 되었고, 시리아군은 시아파 주민 거주 지역으로의 진격을 중단했다.[25][26] 이후 시리아군은 난민촌 주변의 진지를 점령하고 의약품 반입을 허용했다. 여성은 음식을 구하러 나갈 수 있었지만, 남성은 허용되지 않았다.[27][28] 샤틸라에는 약 200명, 부르즈 엘-바라즈네에는 700명의 PLO 전투원이 남아 있었고, 비전투원은 약 2만 명이었다. 마지막 전투 과정에서 약 240명이 사망하고 1,400명이 부상당했으며, 많은 사상자가 슈프에서 포격을 받은 시아파 지역에서 발생했다.[29]

4. 주요 세력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이후 레바논으로 피난 온 팔레스타인 난민을 기반으로 하는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와 레바논 시아파를 대표하는 아말 운동이 주요 세력이었다. 아말 운동은 시리아의 지원을 받았으며, 레바논군 일부도 아말을 지원했다. PLO는 파타 등 다양한 팔레스타인 파벌로 구성되었으며, 일부 레바논 좌파 세력의 지원을 받았다.

4. 1. 아말 운동과 시리아

아말 운동레바논시아파를 대표하는 주요 세력 중 하나였다. 시리아는 아말 운동을 지원하여 레바논 내 팔레스타인 난민촌을 장악하려 했다.[2] 시리아는 아말 운동을 통해 레바논 내에서 자신들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PLO)를 견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4. 2.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 레바논 좌파 세력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는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이후 레바논으로 피난 온 팔레스타인 난민들을 기반으로 1964년에 설립되었다. PLO는 파타, 팔레스타인 해방 인민 전선(PFLP), 팔레스타인 해방 민주 전선(DFLP) 등 여러 팔레스타인 파벌들로 구성되었으며,[5] 시리아의 지원을 받는 아말 운동에 맞서 난민촌을 방어하기 위해 싸웠다.[5]

PLO를 지지한 주요 레바논 좌파 세력으로는 레바논 공산당(LCP), 왈리드 주블라트가 이끄는 진보사회당(PSP), 레바논 공산주의 행동 기구(OCAL) 등이 있었다.[5] 특히, 드루즈파의 진보사회당(PSP)은 슈프 지역에서 아말과 갈등을 겪으면서 팔레스타인과의 동맹을 재건했다.[5]

5. 결과 및 영향

레바논 국민 운동 소속 무슬림/좌익 진영 내 분쟁은 이전에도 있었지만, 난민촌 전쟁처럼 대규모로 발생한 적은 없었다. 이 전쟁은 많은 무슬림 민병대에 큰 타격을 주었고, 그들의 단결을 약화시켰다. 레바논의 주요 수니파 민병대였던 알-무라비툰은 궤멸되었고, 지도자 이브라힘 쿨라일라트는 망명길에 올랐다.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가 일부 난민촌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면서 피해를 일부 완화할 수 있었다.

레바논 정부의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아말과 팔레스타인 간 전투로 3,781명이 사망하고 6,787명이 부상당했다. 친 시리아 단체와 친 아라파트 단체 간 충돌로 약 2,000명의 팔레스타인인이 추가로 사망했다. 그러나 실제 사망자 수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천 명의 팔레스타인인이 레바논에 등록되지 않았고, 봉쇄로 인해 공무원들이 난민촌에 접근할 수 없어 정확한 사상자 집계가 불가능했기 때문이다.[30]

5. 1. 인명 피해와 난민촌 파괴

레바논 내전 기간 중 1985년 5월부터 1987년 2월까지 벌어진 난민촌 전쟁으로 인해 수천 명의 팔레스타인 난민과 레바논 민간인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 레바논 정부의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아말과 팔레스타인 간의 전투로 총 3,781명이 사망하고 6,787명이 부상당했다.[30] 친 시리아 단체와 친 아라파트 단체 간의 충돌로 약 2,000명의 팔레스타인인이 추가로 사망했다.[30] 실제 사망자 수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수천 명의 팔레스타인인이 레바논에 등록되지 않았고, 봉쇄로 인해 공무원들이 난민촌에 접근할 수 없어 모든 사상자를 집계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30]

사브라, 샤틸라, 부르지 알-바라즈네 난민촌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8] 1986년 12월까지 7,500명의 팔레스타인 민간인이 아말의 통제를 받지 않는 시돈으로 피난했고, 수천 명이 내륙으로 피난했다.[14] 약 7,000명의 비전투원이 난민촌에 남아 있었다.[15]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기구(UNRWA)의 인도적 지원은 아말 민병대의 지속적인 봉쇄로 인해 난민촌으로의 전달이 심각하게 제한되어, 많은 팔레스타인 난민이 필요한 의료 서비스와 물품 부족으로 고통을 겪었다.[20]

5. 2. 레바논 내 시아파 분열

레바논 내전의 일환으로 벌어진 난민촌 전쟁 이후, 레바논 내 시아파는 종교적 성향이 강한 헤즈볼라와 세속적 성향의 아말 운동으로 분열되었다. 레바논 정부의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난민촌 전쟁에서 아말과 팔레스타인 간 전투로 사망 3,781명, 부상 6,787명이 발생했다. 친 시리아 단체와 친 아라파트 단체 간 충돌로 인한 팔레스타인인 사망자도 약 2,000명에 달했다.[30] 이 두 조직은 레바논 남부와 베이루트 남부 교외 지역에서 시아파 주민 통제권을 두고 충돌하기 시작했다.

참조

[1] 간행물 The Lebanese Civil War, 1975–1990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1-09
[2] 학술지 Ahmad H. Sadi and Lila Abu-Lughod, editors. Nakba: Palestine, 1948, and the Claims of Memory. :Nakba: Palestine, 1948, and the Claims of Memory. (Cultures of History.) http://www.jstor.org[...] 2007-10
[3] 서적 Goodbye Lebanon. Israel's First Defeat. Rimal Publication 2010
[4] 학위논문 Political awareness of the Shi'ites in Lebanon: the role of Sayyid 'Abd al-Husain Sharaf al-Din and Sayyid Musa al-Sadr http://etheses.dur.a[...] Centre for Middle Eastern and Islamic Studies, University of Durham
[5] 뉴스 The War of the Camps, The War of the Hostages https://www.jstor.or[...] MERIP Reports 1985-06
[6] 뉴스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7-01-09
[7] 뉴스 Lebanon: A Country's Slow Death Time 1985-04-29
[8] 서적 Civil War in Lebanon 1998
[9] 서적 30 years of Military Vehicles in Lebanon 2003
[10] 뉴스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6-04-04
[11] 간행물 Bataille d'Artillerie 1989
[12] 서적 30 years of Military Vehicles in Lebanon 2003
[13] 서적 Civil War in Lebanon 1998
[14] 뉴스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7-01-09
[15] 뉴스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6-12-19
[16] 서적 Maghdouche http://www.mnofal.ps[...] مواطن، المؤسسة الفلسطينية لدراسة الديمقراطية، 2006
[17] 뉴스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6-12-05
[18] 뉴스 Middle East International
[19] 뉴스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7-02-20
[20] 서적 Life lived in relief : humanitarian predicaments and Palestinian refugee politics https://www.worldcat[...] 2018
[21] 뉴스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7-02-06
[22] 서적 Goodbye Lebanon. Israel's First Defeat. Rimal Publication 2010
[23] 서적 Modern Conflicts 2 – The Lebanese Civil War, From 1975 to 1991 and Beyond 2021
[24] 뉴스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7-03-04
[25] 뉴스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7-03-20
[26] 문서
[27] 뉴스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7-03-04
[28] 뉴스 Saving a City from Itself TIME Magazine 1987-03-09
[29] 뉴스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7-04-17
[30] 웹사이트 THE HISTORIOGRAPHY AND THE MEMORY OF THE LEBANESE CIVIL WAR https://www.sciences[...] 2011-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