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쟁이매너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쟁이매너티는 현존하는 바다소목류 중 가장 작은 종으로, 몸길이 약 130cm, 몸무게 약 60kg이며, 몸 전체는 검은색에 가깝고 배 쪽에 흰 반점이 있다. 난쟁이매너티는 미성숙한 아마존매너티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DNA 증거에 따르면 실제로 미성숙한 아마존매너티일 뿐이라는 주장도 있다. 난쟁이매너티에 대한 연구 결과는 네이처에 게재되지 못하고, 2015년 '생물다양성 저널'에 실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너티과 - 아프리카매너티
아프리카매너티는 서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최대 4.5m에 달하는 해우류로, 수생 식물과 조개류 등을 섭취하는 잡식성이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는 취약종이다. - 매너티과 - 서인도제도매너티
서인도제도매너티는 카리브해 연안에 서식하는 대형 해양 포유류로, 앤틸레스매너티와 플로리다매너티 두 아종으로 나뉘며, 유선형 몸체, 감각모, 해초를 주식으로 하는 특징을 가지지만, 서식지 손실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 2015년 기재된 포유류 - 흰뺨마카크
흰뺨마카크는 2015년에 발견된 마카크의 일종으로, 흰색 수염과 두꺼운 목 털 등의 특징을 가지며, 인도 아루나찰프라데시 등 해발 1395m에서 2700m 사이의 숲에서 소규모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 2015년 기재된 포유류 - 쏭가리원반코박쥐
쏭가리원반코박쥐는 태국 남부 나라티왓 주의 발라 숲에서 발견되는 박쥐의 일종이다.
난쟁이매너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상태 | CITES 부록 I |
상태 시스템 | CITES |
상태 참고 자료 | CITES |
속 | 매너티 |
종 | 난쟁이매너티 |
학명 | Trichechus pygmaeus |
학명 명명자 | 판 로스말렌, 2015 |
몸길이 | 130 센티미터 |
몸무게 | 60 킬로그램 |
2. 특징
난쟁이매너티는 현존하는 바다소목류 중에서 가장 작으며, 아마존매너티와 매우 유사하지만 크기와 털 색깔에서 차이를 보인다. mtDNA 연구 결과 이 둘은 매우 가까운 종이며, 분기 시기는 48만 5천 년 전 이내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DNA 증거를 바탕으로 난쟁이매너티가 미성숙한 아마존매너티일 뿐이라고 주장한다.[10][11]
2. 1. 크기 및 외형
난쟁이매너티는 일반적으로 몸길이가 약 130cm, 몸무게가 약 60kg으로 현존하는 바다소목류 중에서 가장 작다. 전체적으로 아주 진하고 거의 검은색을 띠며, 배 쪽에 흰 반점이 있다. 난쟁이매너티는 미성숙한 아마존매너티의 일종일 수 있지만, 크기 비율과 털 색깔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mtDNA는 이 둘의 차이를 밝히지 못할 정도로, 난쟁이매너티가 최소한 아마존매너티와 아주 가까운 종임을 보여준다. 매너티의 돌연변이율에 따르면, 난쟁이매너티를 별개의 종으로 볼 경우 분기된 시기는 48만 5천 년 전 이내로 나타난다. 스미스소니언 연구소 연구원이자 매너티 진화에 관한 세계적인 전문가인 대릴 돔닝(Daryl Domning)은 DNA 증거에 따르면 난쟁이매너티가 실제로는 단지 미성숙한 아마존매너티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10][11]2. 2. 아마존매너티와의 관계
난쟁이매너티는 일반적으로 몸길이가 약 130cm, 몸무게가 약 60kg으로, 현존하는 바다소목류 중에서 가장 작다. 전체적으로 아주 진하고 거의 검으며 배 쪽에 흰 반점이 있다. 난쟁이매너티는 미성숙한 아마존매너티의 일종일 수 있지만, 크기 비율과 털 색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mtDNA는 이 둘의 차이를 밝히지 못할 정도로, 최소한 아주 가까운 종이다. 매너티의 돌연변이율에 따르면 - 난쟁이매너티를 별개로 할 경우에 - 분기된 시기가 48만 5천년 전 이내로 나타난다. 스미스소니언 연구소 연구원이자 매너티 진화에 관한 가장 세계적인 전문가인 대릴 돔닝(Daryl Domning)은 DNA 증거에 따르면 난쟁이매너티는 실제로는 단지 미성숙한 아마존매너티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10][11]3. 분류학
난쟁이매너티에 대한 최초 설명은 네이처에 제출되었으나 거절되었고,[7] 2015년 '생물다양성 저널'(Biodiversity Journal)에 게재되었다.[12]
3. 1. 학술적 발표 과정
네이처에 논문 게재가 거절되었고,[7] 결국 2015년 '생물다양성 저널'(Biodiversity Journal)에 출판되었다.[12]참조
[1]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2]
인터뷰
Interview with Marc van Roosmalen.
http://www.aquaticco[...]
2008
[3]
웹사이트
IUCN Red List
http://www.iucnredli[...]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08
[4]
웹사이트
How Manatees Evolved.
http://www.manateebr[...]
2008-07-27
[5]
웹사이트
Trials of a Primatologist.
https://www.smithson[...]
2008-07-27
[6]
논문
Hotspot of new megafauna found in the Central Amazon: the lower Rio Aripuanã Basin
http://www.biodivers[...]
[7]
인터뷰
Interview with Marc van Roosmalen.
http://www.aquaticco[...]
2008
[8]
블로그
(Multiple new species of large, living mammal (part II))
http://scienceblogs.[...]
Tetrapodzoology
[9]
웹사이트
IUCN Red List
http://www.iucnredli[...]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08
[10]
웹사이트
How Manatees Evolved.
http://www.manateebr[...]
2008-07-27
[11]
웹사이트
Trials of a Primatologist.
https://www.smithson[...]
2008-07-27
[12]
저널
Hotspot of new megafauna found in the Central Amazon: the lower Rio Aripuanã Basin
http://www.biodivers[...]
2018-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