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날도마뱀붙이는 쿨(Heinrich Kuhl)을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으며, 피부막을 이용하여 짧은 거리를 활공할 수 있는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약 18-19cm이며, 발바닥의 미세한 털과 몸 양쪽의 피부 덮개, 납작한 꼬리를 통해 활공에 적합한 형태를 갖는다. 열대 우림의 숲에서 주로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곤충류를 먹고, 난생으로 번식한다. 동남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남아시아의 동물상 - 보르네오구름표범
보르네오구름표범은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는 회색빛 노란색 또는 회색 몸에 구름 모양 얼룩무늬가 있는 고양이과 포유류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활공동물 - 날치과
날치과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하여 물 밖으로 튀어 올라 활공하는 특징을 가진 물고기 분류군으로, 식용 어업 대상종이자 바베이도스의 국가 상징으로서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활공동물 - 날다람쥐족
날다람쥐족은 다람쥐과에 속하며 피막과 꼬리를 이용해 활공하는 설치류로, 작은 연골 손목뼈로 활공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며, 서식지 파괴와 환경오염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는 전 세계 약 45종의 동물이다.
날도마뱀붙이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Gekko kuhli |
명명자 | 스테이네거, 1902 |
이명 | Lacerta homalocephala Creveldt, 1809 (선취명) Platydactylus homalocephalus A.M.C. 뒤메릴 & 비브롱, 1836 Ptychozoon kuhli Stejneger, 1902 (신칭명) Gekko (Ptychozoon) kuhli Wood et al., 2019 |
한국어 이름 | 쿨트비야모리 파라슈트야모리 |
영어 이름 | Kuhl's flying gecko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뱀목 |
아목 | 도마뱀아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과 | 도마뱀붙이과 |
아과 | 도마뱀붙이아과 |
속 | 날도마뱀붙이속 |
종 | 날도마뱀붙이 |
보존 상태 | |
IUCN | LC |
참고 | https://dx.doi.org/10.2305/IUCN.UK.2021-3.RLTS.T101950722A101950724.en |
기타 정보 | |
![]() |
2. 어원
종명 *kuhli*는 독일의 동물학자 하인리히 쿨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7][3]
날도마뱀붙이는 네 다리와 옆구리에서 늘어난 피부막, 납작한 발바닥과 꼬리 덕분에 짧은 거리를 활강할 수 있으며, 뛰어난 위장술을 가지고 있다. 옆구리에 난 피부막은 나무 껍질 위에서 포식자의 눈에 띄지 않도록 하며, 숨어있을 때는 보통 눈 말고는 좀체 알아보기 어렵다.
3. 특징
다른 대부분의 도마뱀붙이류처럼 발바닥 빨판의 미세모에서 생겨나는 접착력으로 유리 등의 거의 모든 표면에 달라붙을 수 있다.
3. 1. 형태
날도마뱀붙이는 네 다리와 옆구리에서 늘어난 피부막, 납작한 발바닥과 꼬리 덕분에 짧은 거리를 활강할 수 있다. 몸 양쪽에 있는 피부 덮개와 물갈퀴가 있는 발, 납작한 꼬리는 활공에 적합하도록 발달하였다.[4] 최대 비행 거리는 약 60cm 정도이다. 꼬리에는 반원형의 얇은 막이 무수히 늘어서 있어 공기 저항을 크게 하는 역할을 한다. 사지와 발가락 사이에도 얇은 막이 있어, 이 막을 펼쳐 공기 저항을 크게 하여 낙하 충격을 줄임으로써 높은 나무에서 낮은 나무로 활공하여 이동한다.
이 종은 뛰어난 위장술을 가졌다. 옆구리에 난 피부의 막은 나무 껍질 위에서 포식자의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막들은 윤곽을 흐리게 하고, 몸의 무늬와 함께 나무 껍질에 대한 의태에도 도움이 된다. 이렇게 숨어있을 때는 보통 눈 말고는 좀체 알아볼 수 없다. 날도마뱀붙이는 위장을 위해 증가된 자외선 노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다른 적응이 필요하게 했다. 야행성이지만, 낮 동안 휴식을 취하는 동안 받는 햇빛 노출이 길기 때문에 헬리오서믹(heliothermic)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증가된 자외선 노출은 도마뱀의 더 중요한 기관을 자외선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색소가 침착된 내부 기관의 적응으로 이어졌다.[4]
날도마뱀붙이는 다른 대부분의 도마뱀붙이류처럼 발바닥의 빨판의 미세모에서 생겨나는 접착력으로 유리 등의 거의 모든 표면에 달라붙을 수 있다.
전체 몸길이는 18-19cm이다. 꼬리는 자절할 수 있지만, 재생된 꼬리에는 막이 없다.
3. 2. 생태
열대 우림에 서식하며[1] 수목 생활을 한다.[1] 나무 사이를 날아다니며, 지상에서 생활하는 일은 거의 없다.[1] 외적에게 습격당하면 꼬리를 둥글게 말아 흔들며 꼬리에 주의를 끄는 위협 행동을 한다. 주로 밤에 활동한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곤충류, 절지동물 등을 먹는다.
번식 형태는 난생으로, 한 번에 2개씩의 알을 여러 번에 걸쳐 낳는다.
4. 분포
캄보디아 북동부(몬둘키리, 라타나키리, 스퉁트렝), 태국 남동부(나콘시탐마랏, 사툰, 파타니)와 남부, 미얀마, 인도 북동부, 말레이시아 반도(티오만섬, 풀라우베사르섬), 니코바르 제도, 인도네시아(수마트라섬, 자바섬, 보르네오섬, 시말루섬(Simalur)),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1][2] 미얀마와 니코바르 제도(인도)에서의 서식은 확인되지 않았다.[1]
5. 사육
날도마뱀붙이는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사육 시에는 57–76 리터(20 갤런) 이상의 테라리움이 필요하며, 가로보다는 세로로 긴 형태가 좋다. 피부가 손상되기 쉬우므로, 가능한 한 핸들링을 자제해야 한다.[5][8]
주로 귀뚜라미, 밀웜, 슈퍼밀웜, 왁스웜 등의 곤충을 먹이로 한다.[8] 야생 개체가 주로 유통되므로, 구입 시 건강 상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건강한 개체는 벽면에 잘 붙어 있다. 상태가 안정되면 사육이 어렵지 않고, 구석에 숨는 일도 별로 없다.
참조
[1]
간행물
"''Gekko kuhli ''"
2022-03-01
[2]
웹사이트
2022-03-01
[3]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
논문
Distinct patterns of pigment development underlie convergent hyperpigmentation between nocturnal and diurnal geckos (Squamata: Gekkota)
2020
[5]
웹사이트
Flying Geckos - Facts
http://www.cheappets[...]
2011-01-14
[6]
간행물
Gekko kuhli
https://dx.doi.org/1[...]
2024-01-11
[7]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Flying Geckos - Facts
http://www.cheappets[...]
2011-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