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코바르 제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코바르 제도는 인도양에 위치한 섬들로, 수천 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다. 덴마크가 식민 지배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869년 영국령 인도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에 점령되었다가, 인도 독립 후 안다만 제도와 함께 인도령이 되었다. 2004년 인도양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 니코바르인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니코바르인과 숌펜족이 거주하고 있다. 주요 산업은 플랜테이션 농업, 어업이며, 코코넛, 판다누스, 바나나 등이 재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군도 - 안다만 제도
    안다만 제도는 벵골 만에 있는 인도의 연방 직할지로, 325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선사시대부터 안다만족이 거주했으나 대영제국 점령 후 인도 본토인들이 다수를 차지하며, 과거 식민지배와 일본군 점령, 그리고 지진 해일 피해를 겪었다.
  • 인도의 섬 - 안다만 제도
    안다만 제도는 벵골 만에 있는 인도의 연방 직할지로, 325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선사시대부터 안다만족이 거주했으나 대영제국 점령 후 인도 본토인들이 다수를 차지하며, 과거 식민지배와 일본군 점령, 그리고 지진 해일 피해를 겪었다.
  • 인도의 섬 - 베트 드와르카
    베트 드와르카는 고대 도시 드바라카의 일부로, 크리슈나의 거처로 묘사되며, 인더스 문명 후기 시대부터 마우리아 제국 시대를 거쳐 현재 구자라트 주 데브부미 드와르카 구에 속하며, 드와르카디쉬 사원 등이 위치한 섬이다.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 아카보어
    아카보어는 1부터 10까지의 수를 리디기, 와시, 에데, 룰라, 쿠무기, 길무게리, 듀마시, 운게르토시, 우나켈라, 차랄리와 같은 고유한 명칭으로 표현하는 언어이다.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 포트블레어
    포트블레어는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수도로, 영국 식민지 시대 감옥,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 점령, 2004년 수마트라 지진 피해를 겪었으나 복구되어 현재는 관광 관문이자 스마트 시티로 개발되고 있다.
니코바르 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인도양에서 니코바르 제도의 위치
인도양에서 니코바르 제도의 위치.
니코바르 제도
니코바르 제도
기본 정보
이름니코바르 제도
위치벵골 만
좌표북위 7도 05분 동경 93도 48분
군도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총 섬 수22
주요 섬카르니코바르 섬, 대니코바르 섬, 소니코바르 섬
면적1,841 km2
최고 고도642 m
최고봉툴리에 산
국가 행정 구역 단위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국가 수도포트블레어 (남안다만 섬)
국가 최대 도시말라카 (카르니코바르 섬)
국가 최대 도시 인구1,637명
인구36,842명
인구 조사 년도2011년
인구 밀도20명/km2
민족 그룹니코바르족
숌펜족
인도인
시간대IST
UTC 오프셋+5:30
DST관찰되지 않음
DST UTC 오프셋+5:30
웹사이트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공식 웹사이트
지리
위치인도양의 동쪽, 벵골 만의 남쪽에 위치
거리수마트라 섬에서 떨어져 있으며, 인도 본토에서 떨어져 있음
언어
언어다양한 니코바르어족 언어와 힌디어가 사용됨

2. 역사

니코바르 제도에는 약 수천 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원주민으로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계통의 니코바르인과 남쪽 대 니코바르 섬에 고립되어 사는 숌펜족 등이 있다.

18세기 중반 덴마크 동인도 회사가 처음으로 식민화를 시도했으나, 말라리아 등 질병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결국 포기했다. 1778년에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원을 받은 윌리엄 볼츠(Wilhelm Bolts)가 잠시 이곳에 거점을 마련하기도 했으나 오래가지 못했다.[18] 1868년 덴마크는 니코바르 제도에 대한 권리를 영국에 매각했고, 1869년부터 영국령 인도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부터 1945년까지는 일본 제국 군대에 의해 점령당했다. 전쟁이 끝난 후 인도가 독립하면서 안다만 제도와 함께 인도 공화국에 편입되었고, 이후 인도 본토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주해왔다. 2004년 12월 26일에는 수마트라섬 해저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2. 1. 선사 시대

니코바르 제도에는 약 수천 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원주민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계통의 니코바르인들로, 이들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니코바르 제도 언어의 6개 언어를 사용한다. 이 어족에는 동남아시아의 몬어, 크메르어, 베트남어와 인도의 문다어가 포함된다. 유전적으로는 Y염색체 해프로그룹 O1b1 계통이 100%를 차지하는 특징을 보인다.[19]

한편, 남쪽의 대 니코바르 섬 남단에 고립되어 살아가는 숌펜족은 니코바르인과는 별개의 민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들은 중석기 시대 동남아시아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8]

2. 2. 명칭의 유래

니코바르 제도라는 이름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스리랑카팔리어 불교 연대기인 『디파팜사』(기원후 3세기 또는 4세기경)와 『마하팜사』(기원후 4세기 또는 5세기경)에 나타난다. 이 연대기에는 스리랑카 왕국의 전설적인 창시자 비자야의 추종자들의 자녀들이 '나가디파'(Nagadipa|나가디파pi, 아이들의 섬)에 상륙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팔리어 '나가'(nagga)는 '벌거벗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9] 또한 7세기 중국 승려 의정(義浄)의 보고에도 니코바르 제도에 대한 기록이 있다.

9세기에는 페르시아 탐험가 아부 자이드 알-시라피(Abū Zayd al-Sīrāfī)가 니코바르 제도를 Lanjabālūs|란자발루스fa라고 불렀다.[10]

현대적인 이름은 1050년 탄자부르(Thanjavur) 비문에 새겨진 촐라 왕조의 섬 이름인 Nakkavaram|낙카바람ta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타밀어로 '열린/벌거벗은 땅'이나 '벌거벗은 남자의 땅'을 의미할 수 있다.[11][12][13] 13세기 마르코 폴로는 이 섬을 Necuverann|네쿠베란it으로 언급했는데, 이 역시 '벌거벗은'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15세기에는 명나라 정화의 항해 기록을 담은 무비지(Wu Bei Zhi)의 마오쿤 지도(Mao Kun map)에 니코바르 섬이 翠蘭嶼|취란섬중국어으로 기록되어 있다.[14]

후대에 방문한 포르투갈 선교사들이 Nicubar|니쿠바르pt라고 발음한 데서 오늘날의 니코바르(Nicobar)라는 이름이 유래했다.

2. 3. 식민지 시대

유럽 세력에 의한 조직적인 식민지화는 1754년 또는 1756년 덴마크 동인도 회사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 시기 니코바르 제도는 '프레데릭스외르네'(Frederiksøerne)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대륙의 덴마크령 인도의 트랑케바르에서 관리되었다. 트랑케바르에 기반을 둔 모라비아 교회 선교사들이 난코리 섬에 정착을 시도했으나, 말라리아와 같은 질병으로 많은 이들이 사망했다.[15] 질병이 계속해서 발생하면서 덴마크는 여러 차례 섬을 포기해야 했고(1784년~1807년/1809년, 1830년~1834년), 결국 1848년부터는 점차 완전히 섬을 버리게 되었다.

덴마크의 영향력이 약해진 틈을 타, 1778년부터 1783년까지 오스트리아 제국의 윌리엄 볼츠(William Bolts)가 니코바르 제도에 식민지를 건설하려 시도했다. 그는 덴마크가 섬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다고 잘못 판단하고 행동했으나,[15] 이 시도는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18]

1864년에서 1865년 사이에는 통일 이탈리아가 덴마크로부터 니코바르 제도를 매입하려 했다. 당시 이탈리아 농업 및 상업부 장관이었던 루이지 토렐리(Luigi Torelli)가 협상을 주도했으나, 그의 임기 종료와 내각 교체로 인해 협상은 중단되었고 성사되지 못했다.[16]

결국 1868년 10월 16일, 덴마크는 니코바르 제도에 대한 모든 권리를 영국에 매각하면서 섬에 대한 영향력을 완전히 상실했다.[15] 영국은 1869년 니코바르 제도를 영국령 인도의 일부로 편입하여 관리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2년에는 일본 제국 군대가 섬을 침공하여 점령했고, 이 점령은 1945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지속되었다(일본군에 의한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점령).

1945년 니코바르 제도 재점령을 위해 파견된 영국군에게 경례하는 일본군

2.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일본 제국 군대가 침공하여 니코바르 제도를 점령했다. 일본의 점령은 1945년까지 이어졌다. 1945년 5월, 영국 해군의 군함 HMS 실론(HMS Ceylon)이 니코바르 제도에 주둔한 일본군 진지를 포격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선언과 9월 2일 정식 조인 이후, 영국은 니코바르 제도를 다시 통치하게 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초우드리 라흐마트 알리(Choudhry Rahmat Ali)는 니코바르 제도(그는 이 제도를 "발루스 제도"라고 불렀다)에 상당한 수의 무슬림이 거주한다는 이유로 파키스탄 자치령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 5. 인도 독립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령 인도로 복귀했다가, 인도 독립과 함께 안다만 제도와 함께 인도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1950년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는 인도의 영토가 되었고, 1956년에는 인도의 연방 직할지로 지정되었다.[17] 인도 본토의 행정권 하에 들어오면서 인도 본토인들이 상당수 이주하여 거주하게 되었다.

2004년 12월 26일,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로 발생한 쓰나미가 니코바르 제도 해안을 덮쳐 큰 피해를 입혔다. 쓰나미의 높이는 10m에서 15m에 달했다. 이 재해로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전체에서 최소 6,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카찰 섬(Katchal Island)에서는 4,600명이 사망했다는 초기 보고도 있었으나, 이는 다른 자료와 상충되어 정확한 수치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부 섬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어 지형이 변하기도 했다. 초기 보고에 따르면 일부 섬이 두세 조각으로 갈라지고 산호초가 수면 위로 솟아올랐다고 한다. 테레사 섬(Teressa Island)은 두 조각으로, 트린켓 섬(Trinkat Island)은 세 조각으로 나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일부 추산에 따르면 지진으로 인해 섬들이 최대 30m 이동하고 기울어졌다고 한다. 인도의 최남단 지점인 인디라포인트는 4.25m가량 침하되었고, 그곳의 등대도 파손되었다.

3. 지리

니코바르 제도는 인도의 연합 영토인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에 속하는 행정 구역이다.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수도는 남 안다만 섬에 위치한 포트 블레어이며, 연합 영토는 북중 안다만 지구, 남 안다만 지구, 니코바르 지구로 나뉜다. 니코바르 제도의 총 면적은 1841km2이며,[2] 201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인구는 36,844명이었다.

니코바르 제도는 지리적으로 크게 세 그룹으로 나뉜다.


  • '''북부 그룹'''
  • '''중앙 그룹'''
  • '''남부 그룹''' (삼벨롱)


그레이트 니코바르 섬에 위치한 인디라포인트는 인도 전체의 최남단 지점으로,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에서 북쪽으로 약 150km 떨어져 있다. 섬들의 해안에는 산호초가 발달해 있으며, 그레이트 니코바르 섬을 제외한 대부분의 섬에는 하천이 없어 주민들은 주로 빗물이나 용천수에 식수를 의존한다.

3. 1. 북부 그룹


  • 카 니코바: 면적 127km2[2]
  • 밭티 말브: 면적 2km2.[2]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며, 국가 지정 야생 보호구역이다.

3. 2. 중앙 그룹

니코바르 제도의 중앙 그룹은 행정상 '''난코리 하위 구역'''에 해당하며, 다음 섬들을 포함한다.

섬 이름다른 이름면적비고
초우라차우라, 사네뇨8km2
테레사루루101km2
봄푸카포아햇13.3km2
카찰174km2
카모르타188km2
난코리67km2
트링켓86km2
라우크"맨 섬"17km2 (두 섬 합계)사람이 살지 않음
틸랑촌사람이 살지 않으며, 야생 보호 구역으로 지정됨


3. 3. 남부 그룹


  • 그레이트 니코바르: 면적 922km2.[2] 니코바르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다. 인도의 최남단 지점인 인디라포인트()가 이 섬에 위치하며,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에서 북쪽으로 약 150km 떨어져 있다.
  • 리틀 니코바르: 면적 157km2.
  • 콘둘: 면적 4km2.
  • 풀로 밀로: 면적 1km2. 필로밀로 또는 밀로 섬이라고도 불린다.
  • 메로에, 트랙(Trak), 트레이스(Treis), 멘찰(Menchal), 카브라(Kabrá), 피전(Pigeon), 메가포드(Megapode): 이 섬들은 모두 사람이 살지 않는 작은 섬이며, 메가포드는 야생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3. 4. 지질

니코바르 제도는 인도-호주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생성된 거대한 열도의 일부이다. 이 충돌은 히말라야 산맥과 인도네시아의 대부분 섬들을 융기시켰다. 또한 미얀마의 아라칸 요마 산맥, 안다만 제도 및 니코바르 제도, 그리고 수마트라 서해안의 섬들(바냐크 제도와 멘타와이 제도 포함)을 포함하는 긴 고지대와 섬들의 호를 형성하였다.[3]

3. 5. 기후

니코바르 제도의 기후는 일 년 내내 고온 다습한 열대 해양성 기후이다. 기온은 22°C에서 30°C 사이이다.[2] 몬순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많아 연간 강수량은 약 3000mm에서 3800mm에 달한다.[2] 겨울철 3개월을 제외하고는 사이클론의 영향을 받는다.

섬의 해안가에는 산호초가 발달해 있다. 대니코바르 섬을 제외한 대부분의 섬에는 하천이 없어 주민들은 주로 빗물이나 용천수에 식수를 의존한다.

3. 6. 생태

니코바르비둘기(Nicobar pigeon). 니코바르 제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말레이 제도(Malay Archipelago)에서도 널리 발견된다.


니코바르 제도는 니코바르 제도 열대우림(Nicobar Islands rain forests)이라는 독립적인 육상 생태계(terrestrial ecoregion)로 인식되며, 많은 고유종(endemic species)이 서식한다.[2]

기후는 온난하고 열대성이며, 기온은 22°C에서 30°C 사이이다. 강우는 몬순의 영향으로 폭우가 내리며, 연 강우량은 3000mm에서 3800mm에 달한다.

니코바르 제도의 식생은 일반적으로 해안의 맹그로브(mangrove) 숲과 내륙의 상록수림 및 낙엽수림인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tropical and subtropical moist broadleaf forests)으로 나뉜다. 또한 여러 섬에는 광대한 내륙 초원(grassland)이 있지만, 이는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2]

빙하기(ice age) 동안 해수면이 낮아짐에 따라 안다만 제도동남아시아 본토와 연결되었지만, 니코바르 제도가 대륙과 육지로 연결되었던 적은 없다고 여겨진다. 해수면이 낮아졌을 때 섬들은 서로 연결되었는데, 큰 니코바르섬(Great Nicobar)과 작은 니코바르섬(Little Nicobar)은 서로 이어졌고, 난코리(Nancowry), 차우라(Chaura), 카찰(Katchall), 트린카(Trinka), 카모르타(Camorta) 및 인근의 작은 섬들도 서로 연결되었다.

3. 7. 보호 지역

보호 지역에는 그레이트 니코바르 섬의 캠벨 베이 국립공원과 갈라테아 국립공원이 있다.

2013년 5월 31일 유네스코는 그랜드 니코바르(Grand Nicobar)를 세계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했다.[4] 그레이트 니코바르 생물권 보전 지역의 총면적은 103870ha이다. 핵심 지역은 53623ha로 캠벨 베이 국립공원과 갈라테아 국립공원을 포함한다. 완충 지역은 34877ha이며 두 공원의 인접 지역과 그 사이의 땅을 아우른다. 또한 10070ha의 전이 지역이 있으며, 이 중 5300ha는 해양 지역이다.[5][2]

4. 인구

역사적 인구 변화[6]
연도인구
19016,511
19118,818
19219,272
193110,240
194112,452
195112,009
196114,563
197121,665
198130,454
199139,208
200142,068
201136,842



2011년 기준으로 이 섬들의 인구는 36,842명이었다.[7] 2001년에는 42,026명이었으며, 인구의 약 65%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계통의 토착 민족이었고 나머지 35%는 인도 본토나 스리랑카에서 온 이주민이었다.

토착 민족으로는 니코바르인과 솜펜족이 있다. 지역 언어로는 솜펜어와 니코바르 제도 언어가 사용된다. 니코바르 원주민들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니코바르 제도 언어를 사용하며, Y염색체 해프로그룹 O1b1 계통이 100%를 차지한다.[19]

5. 교통

니코바르 제도의 주요 교통 수단은 항공과 해상 교통이다. 주요 섬인 카르니코바르와 그레이트니코바르에는 각각 공항과 항만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5. 1. 공항

카르니코바르에는 말라카 근처 남동쪽 해안에 위치한 카르니코바르 공군기지에 약 2717m × 43m 크기의 활주로가 있지만, 상업용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는다. 그레이트니코바르에는 동쪽 해안의 캠벨베이/텐라아에 약 1000m 크기의 작은 활주로가 있다.

5. 2. 항구

그레이트니코바르 동쪽 해안의 캠벨베이(Campbell Bay)에는 최소한 하나의 작은 선적 부두가 있다. 카르니코바르에는 섬 북쪽 끝의 키팅 포인트(Keating Point)와 무스(Mus) 근처에 작은 부두가 있다.

6. 산업

정글을 개간하여 플랜테이션 농업이 이루어진다. 주요 작물인 코코넛, 판다누스, 바나나는 상품으로 판매될 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중요한 식량이기도 하다. 반면, 곡물 재배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외에도 코프라와 같은 목재, 향신료 등이 수출된다.

어업도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주민들은 카누를 타고 2~3일간 조업을 나가지만, 잡은 수산물 대부분은 섬 안에서 소비된다.

가축으로는 멧돼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멧돼지 사료로 코코넛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는 코코넛 수출에 부담을 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of UNESCO’s 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MAB), added the following new sites to the World Network of Biosphere Reserves (WNBR) http://www.unesco.or[...]
[2] 웹사이트 Nicobar Islands https://www.britanni[...]
[3] WWF
[4] 뉴스 Nicobar Islands declared as world biosphere reserve http://timesofindia.[...] 2013-05-31
[5] 웹사이트 Great Nicobar http://www.unesco.or[...] 2021-08-01
[6] 웹사이트 Decadal Variation In Population Since 1901 http://www.censusind[...]
[7] 웹사이트 Demography {{!}} District Nicobar, Government of Andaman and Nicobar {{!}} India https://nicobars.and[...] 2022-11-07
[8] 논문 Molecular insights into the origins of the Shompen, a declining population of the Nicobar archipelago 2006-03
[9] 서적 The Mahavamsa or The Great Chronicle of Ceylon https://web.archive.[...] Pali Text Society 2013-07-08
[10] 서적 Accounts of China and India New York University Press
[11] 서적 Ancient Jaffna Asian Educational Society (reprint)
[12] 서적 India: A History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13]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books.google[...]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11-16
[14] 웹사이트 Wu Bei Zhi Map 17 https://www.loc.gov/[...]
[15] 웹사이트 Chronoly of Danish Colonial Settlements https://web.archive.[...] ColonialVoyage.com 2010-01-03
[16] 서적 Storia Militare della Colonia Eritrea, Vol. I Ministero della Guerra, Ufficio Storico
[17] 서적 Andaman and Nicobar Islands Development Report https://books.google[...] Academic Foundation 2011-03-12
[18] 서적 世界とつながるハプスブルク帝国 海軍・科学・植民地主義の連動 彩流社
[19] 논문 Y-chromosome evidence suggests a common paternal heritage of Austro-Asiatic populations
[20] 웹사이트 Decadal Variation In Population Since 1901 http://www.censusi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