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망둑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날망둑속은 망둑어과에 속하는 어류의 한 속으로, 현재 16종이 알려져 있다. 이 속에는 날망둑, 살망둑, 왜꾹저구, 얼룩망둑, 꾹저구 등 다양한 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한국에는 이 속의 모든 16종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날망둑속 - 꾹저구
몸길이 13cm 정도의 큰 망둑어인 꾹저구는 흑갈색 반점이 있는 황갈색 몸체를 가지며 북서태평양 연안에 분포하고 갑각류나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 육식 어종으로, 산란기에는 수컷의 몸 색깔이 검게 변한다. - 시어도어 길이 명명한 분류군 - 가시두더지
가시두더지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섬에 서식하며 가시로 덮인 몸, 긴 주둥이, 발톱을 가진 단공류 포유류로, 알을 낳고 개미 등을 먹으며, 위협 시 몸을 둥글게 말거나 땅에 숨는 특징을 지닌다. - 시어도어 길이 명명한 분류군 - 쥐가오리과
쥐가오리과는 날개 모양 가슴지느러미와 머리지느러미를 가진 연골어류로, 여과 섭식을 하며,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매가오리과에서 독립된 과로 인정받았고, 쥐가오리속을 유일한 현존 속으로 가지며 암초대왕쥐가오리, 대왕쥐가오리 등을 포함하고, 멸종된 화석 속인 아르키아오만타도 알려져 있다.
날망둑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Gymnogobius |
명명자 | T. N. Gill, 1863 |
모식종 | Gobius macrognathos |
모식종 명명자 | Bleeker, 1860 |
이명 | Chloea D. S. Jordan & Snyder, 1901 Chloeichthys Whitley, 1940 Lindbergiana Pinchuk, 1978 Paleatogobius Takagi, 1957 Rhodoniichthys Takagi, 1966 Taranetziola Shedko & Chereshnev, 2005 |
2. 하위 종
학명 | 우리말 명칭 |
---|---|
Gymnogobius breunigii (Steindachner, 1879) | 검은날망둑 |
Gymnogobius castaneus (O'Shaughnessy, 1875) | 날망둑 |
Gymnogobius cylindricus (Tomiyama, 1936) | 참날망둑 |
Gymnogobius heptacanthus (Hilgendorf, 1879) | 살망둑 |
Gymnogobius isaza (S. Tanaka (I), 1916) | 이사자날망둑 |
Gymnogobius macrognathos (Bleeker, 1860) | 왜꾹저구 |
Gymnogobius mororanus (D. S. Jordan & Snyder, 1901) | 얼룩망둑 |
Gymnogobius nigrimembranis (H. W. Wu & Ki. Fu. Wang, 1931) | 검은막날망둑 |
Gymnogobius opperiens D. E. Stevenson, 2002 | 오페리엔스날망둑 |
Gymnogobius petschiliensis (Rendahl, 1924) | 페체일렌시스날망둑 |
Gymnogobius scrobiculatus (Takagi, 1957) | 굴곡날망둑 |
Gymnogobius taranetzi (Pinchuk, 1978) | 타라네치날망둑 |
Gymnogobius transversefasciatus (H. L. Wu & Z. M. Zhou, 1990) | 가로줄날망둑 |
Gymnogobius uchidai (Takagi, 1957) | 우치다날망둑 |
Gymnogobius urotaenia (Hilgendorf, 1879) | 꾹저구 |
Gymnogobius zhoushanensis S. L. Zhao, H. L. Wu & J. S. Zhong, 2007 | 저우산날망둑 |
2. 1. 한국 서식 종
현재 날망둑속에는 16종이 알려져 있다.[1][2]한국어 명칭 | 학명 |
---|---|
날망둑 | Gymnogobius castaneus (O'Shaughnessy, 1875) |
살망둑 | Gymnogobius heptacanthus (Hilgendorf, 1879) |
왜꾹저구 | Gymnogobius macrognathos (Bleeker, 1860) |
얼룩망둑 | Gymnogobius mororanus (D. S. Jordan & Snyder, 1901) |
꾹저구 | Gymnogobius urotaenia (Hilgendorf, 1879) |
검은날망둑 | Gymnogobius breunigii (Steindachner, 1879) |
참날망둑 | Gymnogobius cylindricus (Tomiyama, 1936) |
이사자날망둑 | Gymnogobius isaza (S. Tanaka (I), 1916) |
큰턱날망둑 | Gymnogobius macrognathos (Bleeker, 1860) |
모로라날망둑 | Gymnogobius mororanus (D. S. Jordan & Snyder, 1901) |
검은막날망둑 | Gymnogobius nigrimembranis (H. W. Wu & Ki. Fu. Wang, 1931) |
오페리엔스날망둑 | Gymnogobius opperiens D. E. Stevenson, 2002 |
페체일렌시스날망둑 | Gymnogobius petschiliensis (Rendahl, 1924) |
굴곡날망둑 | Gymnogobius scrobiculatus (Takagi, 1957) |
타라네치날망둑 | Gymnogobius taranetzi (Pinchuk, 1978) |
가로줄날망둑 | Gymnogobius transversefasciatus (H. L. Wu & Z. M. Zhou, 1990) |
우치다날망둑 | Gymnogobius uchidai (Takagi, 1957) |
띠날망둑 | Gymnogobius urotaenia (Hilgendorf, 1879) |
저우산날망둑 | Gymnogobius zhoushanensis S. L. Zhao, H. L. Wu & J. S. Zhong, 2007 |
참조
[1]
FishBase
[2]
Fish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