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씬다랑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날씬다랑어는 날렵한 몸체를 가진 물고기로, 영어권에서는 '날씬한 참치'라고 불린다. 다른 다랑어류에 비해 몸이 길쭉하며, 등지느러미가 2개이고 제1 등지느러미가 긴 것이 특징이다. 옆줄이 발달했으며, 등쪽은 푸른색, 배쪽은 흰색을 띤다. 가슴지느러미와 골반지느러미는 보라색을 띠고 기지 근처는 검은색이다. 유어 시기에는 플랑크톤을 먹고, 성어가 되면 멸치, 청어, 꽁치, 정어리와 같은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섭취하는 육식성 어류이다.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남부에 서식하며,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식용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등어과 - 가다랑어
가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몸에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 방추형 어류로, 작은 어류 등을 섭취하고 다른 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지만 수은 오염 문제가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고등어과 - 참다랑어
참다랑어는 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서식하는 대형 온혈 어류로, 굵고 짧은 방추형 몸체와 짙은 감청색 등, 은회색 배를 가지며 높은 경제적 가치로 인해 과도한 어획과 함께 양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고등어목 - 가다랑어
가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몸에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 방추형 어류로, 작은 어류 등을 섭취하고 다른 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지만 수은 오염 문제가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고등어목 - 참다랑어
참다랑어는 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서식하는 대형 온혈 어류로, 굵고 짧은 방추형 몸체와 짙은 감청색 등, 은회색 배를 가지며 높은 경제적 가치로 인해 과도한 어획과 함께 양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날씬다랑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 | |
보존 상태 | LC |
학명 | Allothunnus fallai |
명명자 | Serventy, 1948 |
이명 | Gasterochisma fallai (Serventy, 1948) |
일반 정보 | |
몸길이 | 약 1m |
무게 | 최대 12kg |
서식지 | 남반구의 온대 및 아열대 해역 |
특징 | 몸이 가늘고 길며, 기름 함량이 높음 |
참고 자료 | Slender Tuna – Allothunnus fallai Slender Tuna, Allothunnus fallai Serventy 1948 Slender tuna surfaces with the good oil |
2. 특징
날씬다랑어는 매우 날렵한 몸체를 가진 물고기로서 영어권에서는 '''슬렌더 참치(Slender tuna)'''라고도 불린다. 다른 다랑어류에 비해 더욱 길쭉한 몸을 하고 있으며 등지느러미는 2개가 있는데 제1등지느러미가 매우 긴 것이 특징이다.[1] 옆줄이 매우 발달해 있으며 옆줄을 기점으로 등쪽은 푸른색, 배쪽은 흰색이다.[1] 가슴지느러미와 골반지느러미는 탈반 부위가 보라색이며 기지 근처에서 검은색이 된다.[1] 먹이로는 유어 시기엔 플랑크톤을 먹지만 성어가 되면 멸치, 청어, 꽁치, 정어리와 같은 작은 물고기와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 갑각류를 모두 먹는 육식성 어류에 속한다.
2. 1. 신체적 특징
날씬다랑어는 매우 날렵한 몸체를 가진 물고기로서 영어권에서는 '''슬렌더 참치(Slender tuna)'''라고도 불린다. 다른 다랑어류에 비해 더욱 길쭉한 몸을 하고 있으며 등지느러미는 2개가 있는데 제1등지느러미가 매우 긴 것이 특징이다.[1] 또한 옆줄이 매우 발달해 있으며 옆줄을 기점으로 등쪽은 푸른색, 배쪽은 흰색이다.[1] 가슴지느러미와 골반지느러미는 탈반 부위가 보라색이며 기지 근처에서 검은색이 된다.[1]2. 2. 먹이
날씬다랑어는 유어 시기에는 플랑크톤을 먹지만, 성어로 자라면 멸치, 청어, 꽁치, 정어리와 같은 작은 물고기와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 갑각류를 모두 먹는 육식성 어류이다.3. 서식지 및 어획
날씬다랑어는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의 남부에 주로 서식하며 수심 10~150m에 서식하는 표해수대 어류이다.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식용으로 이용된다.
3. 1. 서식지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남부에 주로 서식하며 수심 10~150m에 서식하는 표해수대 어류이다.3. 2. 어획 및 이용
날씬다랑어는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식용으로 쓰이며, 횟감이나 다양한 요리의 재료로 활용된다.참조
[1]
간행물
Allothunnus fallai
[2]
FishBase
[3]
웹사이트
Slender Tuna – Allothunnus fallai
https://fishingmag.c[...]
fishingmag.co.nz
2017-04-02
[4]
웹사이트
Slender Tuna, Allothunnus fallai Serventy 1948
http://fishesofaustr[...]
Museums Victoria
[5]
웹사이트
Slender tuna surfaces with the good oil
https://www.theage.c[...]
The Age
2002-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