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날아라! 호빵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날아라! 호빵맨'은 야나세 타카시의 원작을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으로, 빵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선과 악의 대립을 그린다. 주인공 호빵맨은 잼 아저씨가 만든 정의로운 용사로, 굶주린 이들에게 자신의 얼굴을 나눠주는 따뜻한 마음을 가졌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호빵맨과 함께하는 식빵맨, 카레빵맨, 잼 아저씨, 버터 누나, 세균맨, 짤랑이 등이 있으며, 다양한 빵 친구들과 세균별 친구들이 등장한다. 1993년 MBC에서 처음 방영되었으며, 현재까지 다양한 채널에서 방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빵맨 - 호빵맨 (등장인물)
    호빵맨은 잼 아저씨가 만든 팥빵에 생명의 별이 깃들어 탄생한 날아라! 호빵맨의 주인공으로, 배고픈 사람에게 자신의 얼굴을 떼어 주고 앙팡 펀치를 사용하여 세균맨으로부터 사람들을 지킨다.
  • 호빵맨 - 고베 호빵맨 어린이 박물관 & 몰
    대중교통(한신 고베 본선, JR 고베선, 고베 시 교통국 버스, 미나토 관광 버스)과 자가용(한신 고속도로)으로 접근 가능한 고베 호빵맨 어린이 박물관 & 몰은 과거 JR 시코쿠 버스가 운행했으나 2015년 중단되었다.
  • 요미우리 TV의 애니메이션 - 타이거 마스크
    타이거 마스크는 1968년 만화로 시작하여 애니메이션, 실사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고아원 출신 프로레슬러의 활약을 그리며, 프로레슬링 캐릭터로 활용되고 기부 활동에 영감을 주기도 한다.
  • 요미우리 TV의 애니메이션 - 마법기사 레이어스
    클램프의 만화 《마법기사 레이어스》는 세 명의 여중생이 세피로라는 이세계로 소환되어 마법기사가 되어 에메랄드 공주를 구출하고 세피로의 붕괴를 막는 이야기로, 애니메이션, OVA,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인기를 얻었으며, 독창적인 세계관과 매력적인 등장인물들이 특징이다.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연기된 애니메이션 - 사자에상
    하세가와 마치코가 1946년부터 1974년까지 연재한 만화 사자에상은 전후 일본 사회를 배경으로 이소노 가족의 일상을 그린 작품이자, 장기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최장수 애니메이션 TV 시리즈"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될 정도로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연기된 애니메이션 - 마루코는 아홉살
    마루코는 아홉살은 1970년대 시즈오카현을 배경으로 초등학교 3학년 소녀 사쿠라 모모코의 일상을 그린 사쿠라 모모코 원작의 만화 및 애니메이션이다.
날아라! 호빵맨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카마쓰역에 설치된 호빵맨 기념 촬영 보드 (가가와현 다카마쓰시)
다카마쓰역에 설치된 호빵맨 기념 촬영 보드 (가가와현 다카마쓰시)
장르판타지
코미디
모험
액션
유아용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정보
원작야나세 다카시
감독나가오카 아키노리
각본요네무라 쇼지
캐릭터 디자인야마다 미치시로, 마에다 미노루
음악이즈미 타쿠, 곤도 히로아키
애니메이션 제작톰스 엔터테인먼트
제작일본 텔레비전 (기획・제작)
톰스 엔터테인먼트
방송국니혼테레비 외
방송 시작1988년 10월 3일
방송 종료현재
총화수1627
기타자막 방송 (1996년 4월 1일 - )
해설 방송 (2008년 4월 4일 - )
하이비전 제작 (2010년 4월 2일 - )
기획니혼테레비, 다케이 히데히코, 오쿠다 세이지
한국어 더빙 정보
방송 기간대한민국: 1996년 3월 ~ 현재
방송 채널KBS 2TV, MBC, 투니버스, 대교방송, 애니맥스, 재능TV, 대원방송
여는 곡호빵맨의 행진곡

2. 등장인물



성우는 일본판 성우와 MBC, 투니버스, 애니맥스, 대원방송(애니원) 한국어판 성우로 분류했다. 캐릭터명은 한국판 명칭/ 일본 원작명별로 분류했다.


  • 호빵맨(アンパンマン)

: 성우: 토다 케이코 / 이향숙(MBC), 이선주(투니버스, 애니맥스, 대원방송), 강미형(대교방송)

: 주인공으로 하늘에서 내려진 생명의 별의 힘을 얻어 잼 아저씨가 직접 만들어 탄생하게 된 귀여운 용사이다. 착하고 순한 이들을 도와주는 다정한 캐릭터이며,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성격으로 악행을 저지르는 이를 보면 응징을 하고, 굶주린 이들을 발견하면 자신의 얼굴을 떼어서 먹이기도 한다. 빨간 옷을 입고 노란 부츠, 장갑을 끼고 다니며 갈색 망토를 두르고 있다.

  • 식빵맨(しょくぱんまん)

: 성우: 코시카와 스미 / 서문석(MBC), 최재호(투니버스, 대원방송), 엄상현(애니맥스), 손원일(대교방송)

: 식빵으로 만들어진 캐릭터로 호빵맨과 함께 행동한다. 침착하지만 싸움을 싫어하는 편이나 불의 앞에서는 호빵맨과 함께 응징하기도 한다. 평소에 식빵 배달일을 하고 다니며, 하얀 옷과 망토, 빨간 장갑, 부츠를 끼고 다닌다.

  • 카레빵맨(カレーパンマン)

: 성우: 야니기사와 미치요 / 이선주(MBC, 대교방송), 한채언(투니버스), 조현정(애니맥스), 김도영(대원방송), 이영주(대교방송)

: 둥근 모양의 카레빵으로 만들어진 캐릭터로 속에는 뜨겁고 매운 카레가 들어있다. 카레를 뿜으며 공격을 하지만 카레가 소진되면 힘이 없어지게 된다는 약점이 있다. 싸움을 좋아하고 성질이 급한 편이지만 불의 앞에서는 호빵맨, 식빵맨 못지않게 이들과 함께 악을 물리친다. 카레를 상징하는 노란옷을 입고 장갑, 망토, 부츠를 착용하고 다닌다.

  • 잼 아저씨(ジャムおじさん)

: 성우: 마스오카 히로시 / 故 황원(MBC, 투니버스, 애니맥스, 대원방송), 조동희(대교방송), 유해무(대원방송)

: 호빵맨을 탄생시킨 제빵기술자이자 요리사. 제빵기술에 능하며, 하늘에서 내려진 별빛의 힘을 받아 호빵맨, 카레빵맨, 메론빵소녀, 롤빵소녀를 탄생시키는데 기여하기도 했다. 다정다감하고 온화하며 지식에도 능하다.

  • 버터 누나(バタコさん)

: 성우: 사쿠마 레이 / 이선(MBC, 대교방송), 이자명(투니버스, 애니맥스), 송하림(대원방송)

: 잼 아저씨의 소녀 조수로 잼 아저씨와 함께 제빵 기술을 익히고 있으며 마음씨가 곱고 다정한 성격이다. 잼 아저씨처럼 기본적으로 항상 요리모자를 쓰고 있지만 말과 행동에 따라서 약간 다를 때도 있다. 버터누나라는 이름은 버터에서 유래되었다. 호빵맨이 위기에 처할 때마다 잼 아저씨와 함께 돕곤 한다. 바느질과 제빵에 능통하며 호빵맨을 포함한 빵전사들의 망토를 만든다. 빵전사들의 망토가 찢어졌을 땐 망토를 고쳐 준다. 생일은 4월 3일이다. 가정적인 성격의 누나이며 청소나 빨래하는 것도 좋아한다. 좋아하는 음식은 솜사탕.

  • 치즈(チーズ)

: 성우: 야마데라 코이치 / 차명화(MBC), 이용신(투니버스) & 박리나(투니버스 [3기부터]), 서유리(애니맥스), 김보나(대원방송), ???(대교방송)

: 잼 아저씨의 애완견으로 원래는 이름없는 떠돌이 강아지였으나 호빵맨에 의해 발견되어 잼 아저씨네 애완견으로 길러지게 되었다. '치즈'라는 이름은 버터 누나가 지었다.

  • 세균맨(バイキンマン)

: 성우: 타케오 토모하루 / 김준(MBC), 김정호(투니버스[1~2기], 대원방송), 김기흥(투니버스[3기부터], 애니맥스), 故 최병상(대교방송)

: 세균별에서 파견된 캐릭터로 세상을 오염시키고 파괴하려는 악당. 자신을 방해하는 호빵맨을 없애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나 오히려 호빵맨에게 당하기만 한다. 호빵맨을 없애기 위해 여러 발명품을 만들어내나 이 역시 호빵맨 때문에 실패하기도 한다. 세상을 세균으로 물들이고 오염시키기 위해 악한 짓을 일삼으려 하지만 호빵맨의 방해로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 짤랑이(ドキンちゃん)

: 성우: 故 츠루 히로미 / 차명화(MBC), 김선혜(투니버스), 김현지(애니맥스), 장미(대원방송), 이진화(대교방송)

: 세균맨과 함께 세균별에서 파견된 특사. 천방지축에 말썽이 잦으며 식빵맨에 대해 호감을 갖고있어 식빵맨을 보고 '식빵맨 님' 이라 부르기도 한다. 자신을 세상에서 가장 예쁘다고 자찬하기도 한다. 세균맨과 같이 행동하는 때도 있지만 실패하면 세균맨을 미워하기도 한다.

  • 메론빵소녀(メロンパンナちゃん)

: 성우: 카나이 미카 / 홍영란(MBC), 정유미(투니버스), 배주영(애니맥스), 강은애(대원방송)

: 호빵맨과 롤빵소녀의 여동생. 200화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최초의 여자 빵 캐릭터. 잼 아저씨가 별똥별을 보고 '''모두가 행복하게 살아가는 데에는 용기만큼이나 다정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계기로 만들어졌다. 이마와 옷에는 알파벳 M이 표시되어 있다. 녹색 옷을 입고 연두색 망토를 두르고 있으며 연두색 장갑을 끼고 발에는 연두색 부츠를 신었다. 얼굴에서 나오는 멜론쥬스는 흑화한 롤빵소녀의 착한 마음을 되찾는 효과가 있을 뿐더러 세균이나 곰팡이, 나쁜 마음을 정화하는 힘이 있다.

  • 롤빵소녀(ロールパンナちゃん)

: 성우: 토미나가 미나 / 성유진(MBC), 한신정 & 김새해(투니버스), 서유리(애니맥스), 김도영(대원방송)

: 호빵맨의 여자친구이자 메론빵소녀의 언니로 잼 아저씨가 만든 빵전사. 자제력이 있고 정의롭고 따뜻한 성격이지만, 세균맨이 세균꽃즙을 넣었기 때문에 정의의 마음과 악의 마음이 동시에 생겼다. 옷에는 두 개의 하트가 표시되어 있는데 빨간 하트는 정의의 마음이고 파란 하트는 악의 마음이다. 얼굴이 롤빵으로 되어 있다. 남색 옷을 입고 얼굴에 두르고 있는 천과 같은 흰색 장갑을 끼고 발에는 흰색 부츠를 신었다. 항상 리본을 가지고 다닌다. 메론빵소녀의 목소리를 들으면 흑화한 상태라도 곧 마음이 움직여 착한 마음이 돌아온다. 세균꽃즙 때문에 기본적으로 잼 아저씨 빵공장에 있지 않고 흑화해서 어둠 속 계곡과 높은 바위산이 곳곳에 있는 땅에 있는 경우가 많다. 파란 하트가 빛나 흑화하여 블랙 롤빵이 되면 메론빵소녀나 다른 인물들에게 해를 끼치기 때문에 빵공장에서는 지내지 않고 황무지에서 지낸다.

  • 크림판다(クリームパンダ)

: 성우: 나가사와 미키 / 김영은(투니버스), 김필진(애니맥스), 이다은(대원방송)

: 카스타드 국에서 잼 아저씨가 불러온 크림빵 남자 아이로 얼굴이 크림빵처럼 되어있다. 아직 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 망토가 찢어지는 게 대다수이지만 점점 익숙해진다. 호빵맨을 동경하고 있으며 이름을 그냥 '판다'라고 불리는 것을 싫어한다. 노란 옷을 입고 있고, 다홍색 망토를 두르고 있으며 노란 부츠, 장갑을 끼고 있다. 필살기는 묵찌빠펀치다.

  • 딸랑이(コキンちゃん)

: 성우: 히라노 야야 / 김보나(대원방송), 임은정(극장판)

: 짤랑이의 여동생. 세균별에서 먼 친척 마냥 가끔씩 찾아온다. 완전히 악한 마음을 가지고 있지 않아 세균맨 일당, 호빵맨 일당끼리 두루 사이좋게 지내는 편이다. 다만 제멋대로인 성격과 식빵맨을 좋아하는 것은 언니인 짤랑이를 닮았다. 누군가 무엇을 거절하거나 속상하게 했을 때 거짓울음을 시도하며 이 눈물에 닿으면 강제로 펑펑 울게 된다. 그치만 이 눈물이 오염된 꽃밭, 호수 등 자연을 정화시키는 기능도 있다. 평소에 파란 UFO를 타고 다닌다.

  • 베이비맨(あかちゃんまん)

: 성우: 치하 라에리코 / 성유진(MBC), 여민정(투니버스), 조현정(애니맥스) 김도영(대원방송)

: 곰 모양 두건을 쓰고 분홍 망토를 입고 날아다니는 아기 캐릭터로 어린 아기임에도 불구하고 겁이 없으며 힘도 세다. 아직 아기인지라 배가 고프거나 졸리면 힘이 빠지기도 하지만, 우유를 먹으면 다시 기운을 낼 수 있다. 언제나 다정하고 친절하며 호빵맨의 든든한 친구이다. 참고로 '베이비맨이'라는 캐릭터는 야나세 타가시의 또 다른 작품에 주인공으로 나온 적이 있다.

다양한 등장인물이 많은 것도 이 작품의 특징 중 하나이며, 단 한 편의 에피소드를 위해서만 등장하는 캐릭터도 많다. 그 수는 1000체를 넘으며, 2009년 6월 24일 「등장인물이 가장 많은 애니메이션 시리즈」로서 기네스 기록에 인정받았다.

2. 1. 주요 등장인물



성우는 일본판 성우와 MBC, 투니버스, 애니맥스, 대원방송(애니원) 한국어판 성우로 분류했다. 캐릭터명은 한국판 명칭/ 일본 원작명별로 분류했다.

  • 호빵맨(アンパンマン)

: 성우: 토다 케이코 / 이향숙(MBC), 이선주(투니버스, 애니맥스, 대원방송), 강미형(대교방송)

: 주인공으로 하늘에서 내려진 생명의 별의 힘을 얻어 잼 아저씨가 직접 만들어 탄생하게 된 귀여운 용사이다. 착하고 순한 이들을 도와주는 다정한 캐릭터이며,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성격으로 악행을 저지르는 이를 보면 응징을 하고, 굶주린 이들을 발견하면 자신의 얼굴을 떼어서 먹이기도 한다. 빨간 옷을 입고 노란 부츠, 장갑을 끼고 다니며 갈색 망토를 두르고 있다.

  • 식빵맨(しょくぱんまん)

: 성우: 코시카와 스미 / 서문석(MBC), 최재호(투니버스, 대원방송), 엄상현(애니맥스), 손원일(대교방송)

: 식빵으로 만들어진 캐릭터로 호빵맨과 함께 행동한다. 침착하지만 싸움을 싫어하는 편이나 불의 앞에서는 호빵맨과 함께 응징하기도 한다. 평소에 식빵 배달일을 하고 다니며, 하얀 옷과 망토, 빨간 장갑, 부츠를 끼고 다닌다.

  • 카레빵맨(カレーパンマン)

: 성우: 야니기사와 미치요 / 이선주(MBC, 대교방송), 한채언(투니버스), 조현정(애니맥스), 김도영(대원방송), 이영주(대교방송)

: 둥근 모양의 카레빵으로 만들어진 캐릭터로 속에는 뜨겁고 매운 카레가 들어있다. 카레를 뿜으며 공격을 하지만 카레가 소진되면 힘이 없어지게 된다는 약점이 있다. 싸움을 좋아하고 성질이 급한 편이지만 불의 앞에서는 호빵맨, 식빵맨 못지않게 이들과 함께 악을 물리친다. 카레를 상징하는 노란옷을 입고 장갑, 망토, 부츠를 착용하고 다닌다.

  • 잼 아저씨(ジャムおじさん)

: 성우: 마스오카 히로시 / 故 황원(MBC, 투니버스, 애니맥스, 대원방송), 조동희(대교방송), 유해무(대원방송)

: 호빵맨을 탄생시킨 제빵기술자이자 요리사. 제빵기술에 능하며, 하늘에서 내려진 별빛의 힘을 받아 호빵맨, 카레빵맨, 메론빵소녀, 롤빵소녀를 탄생시키는데 기여하기도 했다. 다정다감하고 온화하며 지식에도 능하다.

  • 버터 누나(バタコさん)

: 성우: 사쿠마 레이 / 이선(MBC, 대교방송), 이자명(투니버스, 애니맥스), 송하림(대원방송)

: 잼 아저씨의 소녀 조수로 잼 아저씨와 함께 제빵 기술을 익히고 있으며 마음씨가 곱고 다정한 성격이다. 잼 아저씨처럼 기본적으로 항상 요리모자를 쓰고 있지만 말과 행동에 따라서 약간 다를 때도 있다. 버터누나라는 이름은 버터에서 유래되었다. 호빵맨이 위기에 처할 때마다 잼 아저씨와 함께 돕곤 한다. 바느질과 제빵에 능통하며 호빵맨을 포함한 빵전사들의 망토를 만든다. 빵전사들의 망토가 찢어졌을 땐 망토를 고쳐 준다. 생일은 4월 3일이다. 가정적인 성격의 누나이며 청소나 빨래하는 것도 좋아한다. 좋아하는 음식은 솜사탕.

  • 치즈(チーズ)

: 성우: 야마데라 코이치 / 차명화(MBC), 이용신(투니버스) & 박리나(투니버스 [3기부터]), 서유리(애니맥스), 김보나(대원방송), ???(대교방송)

: 잼 아저씨의 애완견으로 원래는 이름없는 떠돌이 강아지였으나 호빵맨에 의해 발견되어 잼 아저씨네 애완견으로 길러지게 되었다. '치즈'라는 이름은 버터 누나가 지었다.

  • 세균맨(バイキンマン)

: 성우: 타케오 토모하루 / 김준(MBC), 김정호(투니버스[1~2기], 대원방송), 김기흥(투니버스[3기부터], 애니맥스), 故 최병상(대교방송)

: 세균별에서 파견된 캐릭터로 세상을 오염시키고 파괴하려는 악당. 자신을 방해하는 호빵맨을 없애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나 오히려 호빵맨에게 당하기만 한다. 호빵맨을 없애기 위해 여러 발명품을 만들어내나 이 역시 호빵맨 때문에 실패하기도 한다. 세상을 세균으로 물들이고 오염시키기 위해 악한 짓을 일삼으려 하지만 호빵맨의 방해로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 짤랑이(ドキンちゃん)

: 성우: 故 츠루 히로미 / 차명화(MBC), 김선혜(투니버스), 김현지(애니맥스), 장미(대원방송), 이진화(대교방송)

: 세균맨과 함께 세균별에서 파견된 특사. 천방지축에 말썽이 잦으며 식빵맨에 대해 호감을 갖고있어 식빵맨을 보고 '식빵맨 님' 이라 부르기도 한다. 자신을 세상에서 가장 예쁘다고 자찬하기도 한다. 세균맨과 같이 행동하는 때도 있지만 실패하면 세균맨을 미워하기도 한다.

  • 메론빵소녀(メロンパンナちゃん)

: 성우: 카나이 미카 / 홍영란(MBC), 정유미(투니버스), 배주영(애니맥스), 강은애(대원방송)

: 호빵맨과 롤빵소녀의 여동생. 200화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최초의 여자 빵 캐릭터. 잼 아저씨가 별똥별을 보고 '''모두가 행복하게 살아가는 데에는 용기만큼이나 다정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계기로 만들어졌다. 이마와 옷에는 알파벳 M이 표시되어 있다. 녹색 옷을 입고 연두색 망토를 두르고 있으며 연두색 장갑을 끼고 발에는 연두색 부츠를 신었다. 얼굴에서 나오는 멜론쥬스는 흑화한 롤빵소녀의 착한 마음을 되찾는 효과가 있을 뿐더러 세균이나 곰팡이, 나쁜 마음을 정화하는 힘이 있다.

  • 롤빵소녀(ロールパンナちゃん)

: 성우: 토미나가 미나 / 성유진(MBC), 한신정 & 김새해(투니버스), 서유리(애니맥스), 김도영(대원방송)

: 호빵맨의 여자친구이자 메론빵소녀의 언니로 잼 아저씨가 만든 빵전사. 자제력이 있고 정의롭고 따뜻한 성격이지만, 세균맨이 세균꽃즙을 넣었기 때문에 정의의 마음과 악의 마음이 동시에 생겼다. 옷에는 두 개의 하트가 표시되어 있는데 빨간 하트는 정의의 마음이고 파란 하트는 악의 마음이다. 얼굴이 롤빵으로 되어 있다. 남색 옷을 입고 얼굴에 두르고 있는 천과 같은 흰색 장갑을 끼고 발에는 흰색 부츠를 신었다. 항상 리본을 가지고 다닌다. 메론빵소녀의 목소리를 들으면 흑화한 상태라도 곧 마음이 움직여 착한 마음이 돌아온다. 세균꽃즙 때문에 기본적으로 잼 아저씨 빵공장에 있지 않고 흑화해서 어둠 속 계곡과 높은 바위산이 곳곳에 있는 땅에 있는 경우가 많다. 파란 하트가 빛나 흑화하여 블랙 롤빵이 되면 메론빵소녀나 다른 인물들에게 해를 끼치기 때문에 빵공장에서는 지내지 않고 황무지에서 지낸다.

  • 크림판다(クリームパンダ)

: 성우: 나가사와 미키 / 김영은(투니버스), 김필진(애니맥스), 이다은(대원방송)

: 카스타드 국에서 잼 아저씨가 불러온 크림빵 남자 아이로 얼굴이 크림빵처럼 되어있다. 아직 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 망토가 찢어지는 게 대다수이지만 점점 익숙해진다. 호빵맨을 동경하고 있으며 이름을 그냥 '판다'라고 불리는 것을 싫어한다. 노란 옷을 입고 있고, 다홍색 망토를 두르고 있으며 노란 부츠, 장갑을 끼고 있다. 필살기는 묵찌빠펀치다.

  • 딸랑이(コキンちゃん)

: 성우: 히라노 야야 / 김보나(대원방송), 임은정(극장판)

: 짤랑이의 여동생. 세균별에서 먼 친척 마냥 가끔씩 찾아온다. 완전히 악한 마음을 가지고 있지 않아 세균맨 일당, 호빵맨 일당끼리 두루 사이좋게 지내는 편이다. 다만 제멋대로인 성격과 식빵맨을 좋아하는 것은 언니인 짤랑이를 닮았다. 누군가 무엇을 거절하거나 속상하게 했을 때 거짓울음을 시도하며 이 눈물에 닿으면 강제로 펑펑 울게 된다. 그치만 이 눈물이 오염된 꽃밭, 호수 등 자연을 정화시키는 기능도 있다. 평소에 파란 UFO를 타고 다닌다.

  • 베이비맨(あかちゃんまん)

: 성우: 치하 라에리코 / 성유진(MBC), 여민정(투니버스), 조현정(애니맥스) 김도영(대원방송)

: 곰 모양 두건을 쓰고 분홍 망토를 입고 날아다니는 아기 캐릭터로 어린 아기임에도 불구하고 겁이 없으며 힘도 세다. 아직 아기인지라 배가 고프거나 졸리면 힘이 빠지기도 하지만, 우유를 먹으면 다시 기운을 낼 수 있다. 언제나 다정하고 친절하며 호빵맨의 든든한 친구이다. 참고로 '베이비맨이'라는 캐릭터는 야나세 타가시의 또 다른 작품에 주인공으로 나온 적이 있다.

다양한 등장인물이 많은 것도 이 작품의 특징 중 하나이며, 단 한 편의 에피소드를 위해서만 등장하는 캐릭터도 많다. 그 수는 1000체를 넘으며, 2009년 6월 24일 「등장인물이 가장 많은 애니메이션 시리즈」로서 기네스 기록에 인정받았다.

2. 2. 빵 친구들



빵 친구들은 잼 아저씨가 만든 캐릭터들이다. 호빵맨은 주인공으로 하늘에서 내려진 생명의 별의 힘을 얻어 잼 아저씨가 직접 만들어 탄생하게 된 귀여운 용사이다.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성격으로 악행을 저지르는 이를 보면 응징을 하며 굶주린 이들을 발견하면 자신의 얼굴을 떼어서 먹이기도 한다. 식빵맨은 식빵으로 만들어진 캐릭터로 호빵맨과 함께 행동을 같이하고 있다. 침착하지만 싸움을 싫어하는 편이나 불의 앞에서는 호빵맨과 함께 응징을 하기도 한다. 카레빵맨은 둥근 모양의 카레빵으로 만들어진 캐릭터로 속에는 뜨겁고 매운 카레가 들어있다. 카레를 뿜으며 공격을 하지만 카레가 소진되면 힘이 없어지게 된다는 약점이 있다.

메론빵소녀는 호빵맨과 롤빵소녀의 여동생이다. 200화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최초의 여자 빵 캐릭터로, 잼아저씨가 별똥별을 보고 모두가 행복하게 살아가는 데에는 용기만큼이나 다정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계기로 만들어졌다. 롤빵소녀는 호빵맨의 여자친구이자 메론빵소녀의 언니로 잼 아저씨가 만든 빵전사이다. 자제력이 있고 정의롭고 따뜻한 성격이지만, 세균맨이 세균꽃즙을 넣었기 때문에 정의의 마음과 악의 마음이 동시에 생겼다. 크림판다는 카스타드 국에서 잼 아저씨가 불러온 크림빵 남자 아이로 얼굴이 크림빵처럼 되어있다. 아직 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 망토가 찢어지는 게 대다수이지만 점점 익숙해진다.

잼 아저씨는 호빵맨을 탄생시킨 제빵기술자이자 요리사이다. 제빵기술에 능한 편이며 하늘에서 내려진 별빛의 힘을 받아 호빵맨, 카레빵맨, 메론빵소녀, 롤빵소녀를 탄생시키는데 기여하기도 했다. 버터 누나는 잼 아저씨의 소녀 조수로 잼아저씨와 함께 제빵 기술을 익히고 있으며 마음씨가 곱고 다정한 성격이다. 잼 아저씨처럼 기본적으로 항상 요리모자를 쓰고 있지만 말과 행동에 따라서 약간 다를 때도 있다. 치즈는 잼 아저씨의 애완견으로 원래는 이름없는 떠돌이 강아지였으나 호빵맨에 의해 발견되어 잼 아저씨네 애완견으로 길러지게 되었다.

짤랑이의 여동생인 딸랑이는 세균별에서 먼 친척 마냥 가끔씩 찾아온다. 완전히 악한 마음을 가지고 있지 않아 세균맨 일당, 호빵맨 일당끼리 두루 사이좋게 지내는 편이다. 베이비맨은 곰 모양 두건을 쓰고 분홍 망토를 입고 날아다니는 아기 캐릭터로 어린 아기임에도 불구하고 겁이 없으며 힘도 세다. 아직 아기인지라 배가 고프거나 졸리면 힘이 빠지기도 하지만, 우유를 먹으면 다시 기운을 낼 수 있다.

다양한 등장인물이 많은 것도 이 작품의 특징 중 하나이며, 단 한 편의 에피소드를 위해서만 등장하는 캐릭터도 많다. 그 수는 1000체를 넘으며, 2009년 6월 24일 등장인물이 가장 많은 애니메이션 시리즈로서 기네스 기록에 인정받았다.

2. 3. 세균별 친구들

세균별에서 파견된 세균맨은 세상을 오염시키고 파괴하려는 악당으로, 자신을 방해하는 호빵맨을 없애기 위해 여러 발명품을 만들어내나 실패한다. 짤랑이는 세균맨과 함께 세균별에서 온 특사로, 천방지축에 말썽이 잦지만 식빵맨에게 호감을 갖고 있다.

딸랑이는 짤랑이의 여동생으로 세균별에서 가끔씩 찾아온다. 완전히 악한 마음을 가지고 있지 않아 세균맨 일당, 호빵맨 일당과 두루 사이좋게 지내지만, 제멋대로인 성격과 식빵맨을 좋아하는 점은 언니인 짤랑이와 닮았다. 거짓울음으로 사람들을 강제로 울게 만들지만, 이 눈물은 오염된 자연을 정화하는 기능도 있다. 평소에 파란 UFO를 타고 다닌다.

2. 4. 그 외 등장인물



성우는 일본판 성우와 MBC, 투니버스, 애니맥스, 대원방송(애니원) 한국어판 성우로 분류했다. 캐릭터명은 한국판 명칭/ 일본 원작명별로 분류.

  • '''호빵맨(アンパンマン)'''

: 성우: 토다 케이코 / 이향숙(MBC), 이선주(투니버스, 애니맥스, 대원방송), 강미형(대교방송)

: 주인공으로 잼 아저씨가 만든 귀여운 용사.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고, 굶주린 이들에게 자신의 얼굴을 떼어준다.

  • '''식빵맨(しょくぱんまん)'''

: 성우: 코시카와 스미 / 서문석(MBC), 최재호(투니버스, 대원방송), 엄상현(애니맥스), 손원일(대교방송)

: 호빵맨과 함께 행동하는 캐릭터. 평소에는 식빵 배달을 한다.

  • '''카레빵맨(カレーパンマン)'''

: 성우: 야니기사와 미치요 / 이선주(MBC, 대교방송), 한채언(투니버스), 조현정(애니맥스), 김도영(대원방송), 이영주(대교방송)

: 뜨겁고 매운 카레가 들어있는 빵 캐릭터. 카레를 뿜어 공격하지만, 카레가 소진되면 힘이 없어진다.

  • '''잼 아저씨(ジャムおじさん)'''

: 성우: 마스오카 히로시 / 故 황원(MBC, 투니버스, 애니맥스, 대원방송), 조동희(대교방송), 유해무(대원방송)

: 호빵맨을 탄생시킨 제빵기술자이자 요리사.

  • '''버터 누나(バタコさん)'''

: 성우: 사쿠마 레이 / 이선(MBC, 대교방송), 이자명(투니버스, 애니맥스), 송하림(대원방송)

: 잼 아저씨의 소녀 조수. 호빵맨이 위기에 처할 때마다 잼 아저씨와 함께 돕는다. 바느질과 제빵에 능통하며 호빵맨을 포함한 빵전사들의 망토를 만든다.

  • '''치즈(チーズ)'''

: 성우: 야마데라 코이치 / 차명화(MBC), 이용신(투니버스) & 박리나(투니버스 [3기부터]), 서유리(애니맥스), 김보나(대원방송), ???(대교방송)

: 잼 아저씨의 애완견.

  • '''세균맨(バイキンマン)'''

: 성우: 타케오 토모하루 / 김준(MBC), 김정호(투니버스[1~2기], 대원방송), 김기흥(투니버스[3기부터], 애니맥스), 故 최병상(대교방송)

: 세균별에서 파견된 악당. 세상을 오염시키고 파괴하려 하지만, 호빵맨에게 저지당한다.

  • '''짤랑이(ドキンちゃん)'''

: 성우: 故 츠루 히로미 / 차명화(MBC), 김선혜(투니버스), 김현지(애니맥스), 장미(대원방송), 이진화(대교방송)

: 세균맨과 함께 세균별에서 파견된 특사. 식빵맨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다.

  • '''메론빵소녀(メロンパンナちゃん)'''

: 성우: 카나이 미카 / 홍영란(MBC), 정유미(투니버스), 배주영(애니맥스), 강은애(대원방송)

: 호빵맨과 롤빵소녀의 여동생. 잼아저씨가 별똥별을 보고 모두가 행복하게 살아가는 데에는 용기만큼이나 다정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계기로 만들어졌다. 멜론쥬스는 나쁜 마음을 정화하는 힘이 있다.

  • '''롤빵소녀(ロールパンナちゃん)'''

: 성우: 토미나가 미나 / 성유진(MBC), 한신정 & 김새해(투니버스), 서유리(애니맥스), 김도영(대원방송)

: 호빵맨의 여자친구이자 메론빵소녀의 언니. 정의의 마음과 악의 마음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멜론빵소녀의 목소리를 들으면 착한 마음이 돌아온다.

  • '''크림판다(クリームパンダ)'''

: 성우: 나가사와 미키 / 김영은(투니버스), 김필진(애니맥스), 이다은(대원방송)

: 잼 아저씨가 카스타드 국에서 불러온 크림빵 남자 아이. 호빵맨을 동경한다. 필살기는 묵찌빠펀치다.

  • '''딸랑이(コキンちゃん)'''

: 성우: 히라노 야야 / 김보나(대원방송), 임은정(극장판)

: 짤랑이의 여동생. 거짓울음으로 다른 사람들을 울게 만들지만, 이 눈물은 오염된 자연을 정화시키기도 한다.

  • '''베이비맨(あかちゃんまん)'''

: 성우: 치하 라에리코 / 성유진(MBC), 여민정(투니버스), 조현정(애니맥스) 김도영(대원방송)

: 곰 모양 두건을 쓴 아기 캐릭터. 힘이 세고 겁이 없으며, 우유를 먹으면 기운을 낸다.

다양한 등장인물이 많은 것도 이 작품의 특징 중 하나이며, 단 한 편의 에피소드를 위해서만 등장하는 캐릭터도 많다. 그 수는 1000체를 넘으며, 2009년 6월 24일 「등장인물이 가장 많은 애니메이션 시리즈」로서 기네스 기록에 인정받았다.

3. 제작진

야나세 타카시가 원작자이며(프뢰벨관 간), 베이비북, 메바에에 연재되었다. 기획은 무카이 히데히코, 오쿠다 세이지, 후지모토 스즈코, 스가누마 나오키, 후나코시 마사후미, 이노우에 켄, 타쇼 히로시, 시노미야 히로시, 시모무라 타다후미, 쿠와하라 요시코, 사토 타카히로가 담당하였다. 총괄 프로듀서는 후지모토 스즈코였다. 프로듀서는 일본 텔레비전의 이토 히비키, 나카타니 토시오, 야마시타 요, 오노 리에코, 마타노 나오로, 키리모토 아츠시, 다카하시 유이치, 우메자와 히로카즈, 이마이 란센과 도쿄무비신사/쿄쿠이치/톰스의 야나이 카즈히코, 오자키 온쓰, 쿠보 유스케, 이와사키 카즈요시가 담당하였다.

음악은 이즈미 타쿠와 콘도 히로아키가 담당하였고, 주제가는 미키 타카시가 담당하였다. 캐릭터 디자인은 야마다 미치시로와 마에다 미노루가 담당하였으며, 총작화감독은 마에다 미노루였다. 미술감독은 요코야마 유키히로, 이케가미 미도리, 이시가키 츠토무, 미쓰모토 히로유키가 담당하였고, 미술 설정은 요코야마 유키히로가 담당하였다.

촬영감독은 카나이 히로시, 카와다 토시히로, 쿠마이 유지가 담당하였다. 음악감독은 스즈키 세이지, 음향감독은 야마다 에쓰지와 야마다 토모아키가 담당하였다. 문예 담당은 오노다 히로유키, 이이자와 요코, 우에다 나호코였다.

제작 담당은 마쓰모토 마사시, 오자와 토코, 미조카미 타케시, 하시모토 코지, 이즈미 타케오, 쿠보 유스케, 이와사키 카즈요시, 타케모토 마사야스, 마쓰다 타쿠야, 히로타 케이스케였다. 편집은 타카하시 와코, 츠루부치 마사토시, 츠루부치 와코, 코타카 타카시가 담당하였다.

조감독은 야노 히로유키, 감독은 나가오카 아키노리였다. 기획・제작은 일본텔레비전이 담당하였고, 제작저작은 도쿄무비신사, 쿄쿠이치 도쿄무비, 톰스 엔터테인먼트가 담당하였다. 극본은 미무라 마사지, 후지타 신조, 토모나가 코리에, 쿠즈하라 슈지, 요네야마 코우, 아오키 유카, 카미자와 미호, 사다 케이토, 카메자와 시마, 후지요시 토모코가 담당하였다.

작화감독은 마에다 미노루, 호시나 야스오, 쇼부 타카히코, 카와고에 준, 카사하라 아키라, 스즈키 토시미, 아베 쓰카사, 이토 에미, 남운 고메이, 아카기 유타카, 토쿠다 에츠로, 히요키 마사시, 노다 나오미치, 와다 요시즈미, 미우라 코지가 담당하였다. 캐릭터 설정은 호시나 야스오와 카와고에 준이 담당하였다. 미술감독 보조는 미츠모토 히로유키와 코야마다 유키였다.

색채설계는 카나이 테루미와 야마가미 아이코가 담당하였고, 특수효과는 하야시 요시미가 담당하였다. 디지털 촬영은 톰스・포토(T.D.F.)와 라이트풋이 담당하였다. 음향효과는 미야타 음향, 이토가와 사치요, 하시모토 마사아키가 담당하였다. 녹음 기술은 오시로 히사노리, 시바타 노부히로, 야마모토 히사시가 담당하였다.

음향 제작 데스크는 쓰치야 에호, 음악 프로듀서는 야마다 신야, 히라카와 사토시, 타카야 카에데가 담당하였다. 오프닝・엔딩 애니메이션은 마에다 미노루, 카와고에 준, 오오미치 히로마사, 호시나 야스오가 담당하였다. 비디오 편집→HD 편집은 코야케 타카후미, 톰스・포토(T.D.B.), 타카하시 토시, 와타나베 미유가 담당하였다. 편집은 츠루부치 편집실에서 담당하였다.

제작 데스크는 자이젠 유코, 사토 유키, 시마다 교코, 코바야시 미키코, 신도우 유우히로, 나카야니 유키후미, 타무라 유리가 담당하였다. 문예 진행은 사카이 유이치, 우에다 나호코, 스즈키 미레이, 요네야마 코우, 스가와라 소우키가 담당하였다. 설정 제작은 이시야마 카츠이치가 담당하였다. 제작 진행은 나가야마 나츠호, 아세치 하나, 츠츠미 사사코, 오시마 카린, 타구치 아쓰미, 타니오카 안나, 카도와키 리에, 코하라 히라리, 이토 나오, 코즈카 이쿠, 야마모토 키요시가 담당하였다. 제작 협력은 마루가 파크토리, 에크라 아리말이 담당하였다.

4. 주제가

# 야나세 다카시 작사, 이즈미 타쿠 작곡, 콘도 히로아키 편곡. 노래는 드리밍.

#* 〈용기의 꽃이 피어날 때〉

#* 〈태양이 반짝반짝〉

#** 2017년 극장판 제29작 《불불의 보물찾기 대모험!》의 주제가로도 사용됨.

#* 〈숲은 마르더라도〉

#** 1990년 극장판 제2작 《바이킹맨의 역습》에서는 2절과 3절이 사용되었으며,[20] 1995년 방송된 《멜론빵나와 기쿠짱》에서는 1절이 사용되었다.[21]

#* 〈징글벨〉

#** 작사 - 미국 민요 / 일본어 번역 - 미야자와 쇼지 / 작곡 - 제임스 피어폰트 / 노래 - 드리밍

#** 크리스마스 특집 마지막 장면에 자주 사용됨. 아웃트로에 〈안녕 자두야〉의 한 소절이 사용됨.

#* 〈징징징〉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미셸 카마 / 노래 - 드리밍

#** 2005년 크리스마스 특집 《안녕 자두야의 징징징 징글벨》 등에서 사용됨.

#* 〈무지개의 실〉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미셸 카마 / 편곡 - 콘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 2009년 크리스마스 특집 《힘내라 크림빵다! 크리스마스의 모험》에서 사용됨.

#* 〈별에게 기도하다〉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콘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 크리스마스 특집에서 사용되는 삽입곡. 작품 속에서는 첼로히키 씨가 작곡했다는 설정임.

#** 극장판 제30작 《빛나라! 쿠룬과 생명의 별》의 주제가로도 사용됨.

#* 〈힘내라! 안녕 자두야호 드리밍 버전〉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콘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 〈생명 있는 것〉

#** 작사 - 야마가미 미치오 / 작곡 - 사에키 히로시 / 편곡 - 오타니 사치 / 노래 - 드리밍

#** 《시튼 동물기》의 오프닝 테마로 사용되었던 곡이지만, 1997년 10월 3일 방송된 《바타코 씨와 하늘 나는 머플러》에서 삽입곡으로 사용되었고, 드리밍의 베스트 앨범에도 수록되어 있다.

#* 〈케이크를 만드는 노래〉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콘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 〈해피 생일〉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콘도 히로아키 / 노래: 토다 에이코(안녕 자두야) / 코러스: 극단 와카쿠사

#* 『용기의 룬다』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토다 에이코(호빵맨) / 코러스 - 안빵맨 키즈

#** 2010년 3월까지 제공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던 곡이다.

#* 『무엇을 위해 나는가』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츠지 아키라 / 노래 - 토다 에이코(호빵맨)

#* 『안빵맨 그림 그리기 노래』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이즈미 타쿠 / 노래 - 토다 에이코(호빵맨) / 코러스 - 드리밍

#* 『간다! 바이킨맨』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나카오 류세이(바이킨맨)

#* 『털썩! 바이킨맨』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나카오 류세이(바이킨맨)

#* 『하행으로 웃는 바이킨맨』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미야자키 나오시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나카오 류세이(바이킨맨)

#* 『하히후헤 바이킨맨』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요네무라 쇼지 / 작곡 - 곤도 히로아키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사토 유리 / 노래 - 나카오 류세이(바이킨맨), 츠루 히로미(도킨짱), 히라노 아야(코킨짱)

#* 『살아있는 빵을 만들자』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마스오카 히로시(잼 아저씨), 사쿠마 레이(버터누나)

#** 2010년 3월까지 제공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던 곡이다.

#* 『바타코 씨의 기다리는 노래』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MICHEL KAMA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사쿠마 레이(버터누나)

#* 『나는 도킨짱이다』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 『도킨 도킨 도킨짱』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 『도킨의 자장가』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YORI / 편곡 - 스기모토 요스케 / 노래 - 츠루 히로미(도킨짱)

#* 『잘 알려진 쇼쿠판맨』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시마모토 스미(식빵맨) / 코러스 - 드리밍

#* 『날아라! 카레 판맨』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 『판나의 펀치』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타카하시 히로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카나이 미카(멜론빵나)

#** 2010년 3월까지 제공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던 곡이다.

#*『누가 날아오는가?』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사카이 타이마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두 개의 마음』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호토시마 카즈야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토미나가 미나(롤빵나)

#* 『나는 크림판다』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센자와 진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나가사와 미키(크림판다)

#** 2010년 3월까지 제공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던 곡이다.

#* 『푸른 눈물』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MICHEL KAMA, 칩 코히로이시 / 편곡 - 칩 코히로이시 / 노래 - 오토바(코킨짱)

#* 『푸른 눈물 - 코킨의 노래 -』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MICHEL KAMA, 칩 코히로이시 / 편곡 - 칩 코히로이시, 쿠보타 쿠니오 / 노래 - 히라노 아야(코킨짱)

#* 『호러맨 메차쿠차차』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곤도 히로아키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키모츠케 켄타(호러맨) / 코러스 - 드리밍

#* 『호러맨 메차쿠차차 2018』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곤도 히로아키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야오 카즈키(호러맨) / 코러스 - 드리밍

#* 『텐돈맨 자랑 노래』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사카모토 치나츠(튀김덮밥맨)

#* 『DO YOU KNOW 캇츠돈?』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미츠야 유지(돈까스덮밥맨)

#* 『산골 출신 카마메시돈』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야마데라 코이치(가마메시동)

#* 『나아가라! 돈부리맨 트리오』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사카모토 치나츠(튀김덮밥맨), 미츠야 유지(돈까스덮밥맨), 야마데라 코이치(가마메시동)

#* 『돈부리맨 트리오 신나는 노래』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마루야마 타케히코 / 노래 - 사카모토 치나츠(튀김덮밥맨), 미츠야 유지(돈까스덮밥맨), 야마데라 코이치(가마메시동)

#* 『룰루 옴스비 인의』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야나기 시노(주먹밥맨)

#* 『코무스비맨 기운찬 여행』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하야시바라 메구미(꼬마주먹밥맨)

#* 『아카짱맨의 모험』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 『철화의 마키짱』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카츠세 마사코(텟카노마키짱)

#* 『달려라! SL맨』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마루야마 타케히코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 『야키소바 판맨 유랑의 노래』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코스기 주로타(야키소바빵맨)

#** 2010년 3월까지 제공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던 곡이다.

#* 『나가네기 플라멩코』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오츠카 아키오(나가네기맨) / 코러스 - 프뢰벨 소년합창단

#* 『하얀 것은… 〜시라타마 씨의 테마〜』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후지타 신조 / 작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이쿠라 카즈에(시라타마 씨)

#* 『사비타로 자장가』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시노하라 에미(사비타로) / 코러스 - 모리노키 아동합창단

#* 『캇츠부시맨 유랑의 노래』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MICHEL KAMA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이노우에 카즈히코(가츠부시맨) / 코러스 - 오와다 리츠코, 오카자키 유미

#* 『무(大根) 배우』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MICHEL KAMA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사카구치 테츠오(무 배우) / 코러스 - 오와다 리츠코, 오카자키 유미

#* 『탱고 오뎅 삼자매』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오와다 리츠코, 오카자키 유미, 시노자키 히토미(오뎅 삼자매)

#* 『탄탄 타누키 오니』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야마데라 코이치(타누키오니)

#* 『민들레 아가씨의 노래』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 『도레미가 좋아! 도레미 공주』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TSUKASA, 스에야마 준 / 노래 - 드리밍

#* 『바나나 댄스』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이즈미 타쿠와 그의 가족

#* 『미미 선생님 좋아해요』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MICHEL KAMA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타키자와 로코(미미 선생님) / 코러스 - 오와다 리츠코, 오카자키 유미

#* 『우리는 히어로』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토다 에이코(호빵맨), 야나기사와 미치요(카레빵맨), 시마모토 스미(식빵맨)

#* 『나아가라! 안빵맨호』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토다 에이코(호빵맨), 나카오 류세이(바이킨맨), 마스오카 히로시(잼 아저씨), 사쿠마 레이(버터누나), 야마데라 코이치(명견 치즈, 가마메시동), 츠루 히로미(도킨짱), 시마모토 스미(식빵맨), 야나기사와 미치요(카레빵맨), 카나이 미카(멜론빵나), 사카모토 치나츠(튀김덮밥맨), 미츠야 유지(돈까스덮밥맨), 키모츠케 켄타(호러맨)

#* 『안빵맨 엔도 89』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 코러스 - 안빵맨 합창단

#* 『안빵맨 엔도 99』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이즈미 타쿠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토다 에이코(호빵맨), 야마데라 코이치(가마메시동), 후지이 츠네히사

#* 『안빵맨 댄스』

#** 작사 - 야나세 다카시 / 작곡 - MICHEL KAMA / 편곡 - 곤도 히로아키 / 노래 - 드리밍, 나카오 류세이(바이킨맨)


  • 오프닝 테마 - 『햇살 체조』 , 『アンパンマン의 행진』(드리밍)
  • 엔딩 테마 - 『アンパンマン 체조』(드리밍)

4. 1. 오프닝 테마

야나세 다카시 작사, 미키 타카시 작곡, 오타니 카즈오 편곡으로, 드리밍이 불렀다.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2절의 가사가 사용되고 있다. 극장판의 경우 제1작에서는 1절, 제2작 이후는 텔레비전과 마찬가지로 2절의 가사가 사용되었다. 1994년 9월 19일 방송된 호빵맨 방송 300회 기념 스페셜에서는 4대째 오프닝 애니메이션을 배경으로 1절부터 불렀다.

4. 2. 엔딩 테마

용기 린린/勇気りんりん일본어은 1988년 10월 3일부터 사용된 엔딩 테마이다. 작사는 야나세 다카시, 작곡은 미키 타카시, 편곡은 오타니 카즈오가 맡았으며, 노래는 드리밍이 불렀다. 노랫말은 안녕맨과 친구들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TV 애니메이션에서는 1절과 3절이 사용되지만, 1절은 후렴구가 단축되어 있다. 극장판에서는 1편과 2편은 풀 코러스로, 3편부터는 TV 사이즈로 사용되었다. 단, 25편은 주제가인 『희망의 손수건』을 채용했다. 안녕맨 등 레귤러 캐릭터가 부르는 버전도 있다(15편과 30편). 어떤 애니메이션에서도 "눈알 반짝반짝" 가사에서 바이킨맨의 눈알이 강조된다. 유일하게 방송 초기부터 현재까지 일관되게 사용되고 있는 엔딩이다. 『용기 린린』의 일부는 『오후는 ○○○ 옴니키리 TV』의 코너 『조금 들어봐! 옴니키리 생전화』의 타이틀 로고시에 유용되기도 했다.

크리스마스의 계곡/クリスマスの谷일본어은 1989년 12월 25일(제63화 『안녕맨과 크리스마스의 계곡』)에 사용된 곡이다. 작사는 야나세 다카시, 작곡은 이즈미 타쿠, 편곡은 곤도 히로아키, 노래는 드리밍이 불렀다. 크리스마스 특별편에서 삽입곡으로 자주 사용된다.

안녕맨 체조/アンパンマンたいそう일본어는 1991년 9월 2일, 1991년 12월 23일부터 1993년 2월 1일까지 사용된 엔딩 테마이다. 작사는 야나세 다카시와 우오즈미 벤, 작곡 및 편곡은 마카이노 코우지, 노래는 CHA-CHA가 불렀다. 『도킨짱의 두근두근 캘린더』와 『안녕맨과 즐거운 친구들』에서도 엔딩으로 사용되었다. 1991년 9월 2일 방송분에서는 『도킨짱의 두근두근 캘린더』의 것을 단축한 것이 사용되었다. CHA-CHA가 1992년 1월에 해산하고, 멜론빵나 등장 후에도 1993년 2월 1일까지 사용되었다(단, 변경은 없음). 캐릭터송 등을 제외하고, 드리밍 이외의 가수가 담당한 유일한 곡이다.

안녕맨 체조 드리밍 버전/アンパンマンたいそう ドリーミングバージョン일본어은 1993년 2월부터 2010년 3월, 2011년 4월부터 사용된 엔딩 테마이다. 작사는 야나세 다카시와 우오즈미 벤, 작곡은 마카이노 코우지, 편곡은 곤도 히로아키, 노래는 드리밍이 불렀다. 2010년 3월까지 사용된 엔딩 애니메이션은 캐릭터 작화의 대부분은 전술한 CHA-CHA판의 것을 이용하고 있지만, 배경이 마이너 체인지된 것 외에, 인트로 부분은 곡의 형태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안무와 함께 새로운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멜론빵나가 새롭게 인트로와 라스트 부분에 추가되었다(라스트는 CHA-CHA판에 등장한 고양이 미와 교체됨). 2011년 4월에 엔딩 애니메이션이 마이너 체인지되어, 롤빵나, 크림판다, 나가네기맨, 시라타마 씨, 코킨짱, 폽포짱, 텟카노코마키짱 등 1993년 이후에 등장한 캐릭터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안녕맨 체조 드리밍 버전』은 2010년 3월까지 10년 이상 셀화의 논테롭 영상을 디지털 리마스터한 후 사용되었다.

산산 체조/サンサンたいそう일본어는 1995년 7월부터 2010년 3월, 2012년 10월부터 사용된 엔딩 테마이다. 작사는 야나세 다카시, 작곡은 곤도 히로아키, 노래는 드리밍이 불렀다. 노랫말은 2절과 4절이 사용되고 있다. 2012년 10월에 재방송되면서 엔딩 애니메이션이 마이너 체인지되어, 크림판다와 코킨짱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셀화 시대의 애니메이션은 풀 사이즈도 제작되었다. 『산산 체조』는 2010년 3월까지 10년 이상 셀화의 논테롭 영상을 디지털 리마스터한 후 사용되었다.

간다! 바이킨맨/いくぞ!ばいきんまん일본어은 2000년 2월 18일에 사용된 특별 엔딩 테마이다. 작사는 야나세 다카시, 작곡은 이즈미 타쿠, 편곡은 곤도 히로아키, 노래는 나카오 류세이(바이킨맨)가 불렀다. 방송 횟수 555회 돌파를 기념한 특별 엔딩이지만, 재방송 및 소프트웨어에서는 『용기 린린』으로 교체되었다. 노랫말은 1절과 3절이, 영상은 바이킨맨을 메인으로 한 과거의 본편 영상이 사용되었다.

도레미파 안녕맨/ドレミファアンパンマン일본어은 2007년 4월 6일부터 2010년 3월, 2012년 1월부터 사용된 엔딩 테마이다. 작사는 야나세 다카시, 작곡은 TSUKASA, 편곡은 TSUKASA&토야 준, 노래는 드리밍이 불렀다. 영화「괴걸 나가네기맨과 도레미 공주」의 주제가 『도레미가 좋아! 도레미 공주』와 가사가 다르지만, 아웃트로 부분의 어레인지만 새롭게 변경이 추가되었다. 제885화A 『노래하자! 도레미파 안녕맨』에서 삽입곡으로 첫 공개된 후 엔딩곡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010년 3월 하이비전 제작 개시에 따라 일단 휴지되었다가, 2012년 1월에 재개되었다. 하이비전화 후의 영상은 유일하게 신규가 아닌, 하이비전화 전의 영상을 16:9로 늘리고, 디지털 리마스터한 후 사용되었다.

산타가 마을에 온다/サンタが町にやってくる일본어는 2012년 12월 21일 (크리스마스 특별편 『도레미파 섬의 크리스마스』)에 사용된 곡이다. 작사는 헤븐 길레스피, 일본어 번역은 고베 타카오, 작곡은 프레드 쿠츠, 노래는 드리밍, 가와스미 아야코(도레미 공주) 외.가 불렀다.

푸른 눈물-코킨의 노래-/青い涙-コキンのうた-일본어는 2014년 7월·8월에 사용된 엔딩 테마이다. 작사는 야나세 다카시, 작곡은 MICHEL KAMA, 칩 히로이시, 편곡은 칩 히로이시, 쿠보타 쿠니오, 노래는 히라노 아야(코킨짱)가 불렀다. 2014년에 공개된 영화 제26편 동시 상영 작품 『즐겁게 놀자 엄마가 된 코킨짱!?』의 공개에 맞춰 사용되었다. 영상은 영화의 댄스 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유일하게 안녕맨이 등장하지 않는 엔딩이기도 하다. 이에 맞춰, CD 음원에 비해 약간 템포가 느려졌다.

고요한 밤 거룩한 밤/きよしこの夜일본어은 2017년 12월 22일 (크리스마스 특별편 『코킨짱과 크리스마스의 선물』)에 사용된 곡이다. 작사는 요제프 몰, 일본어 번역은 유키 코우, 작곡은 프란츠 크사버 그루버, 노래는 시마모토 스미(식빵맨), 사쿠마 레이(도킨짱) 외.가 불렀다.

2010년 3월까지는 『용기 린린』, 『안녕맨 체조 드리밍 버전』, 『산산 체조』, 『도레미파 안녕맨』이 주별로 방송되고 있었다. 애니메이션의 하이비전화에 따라, 2010년 4월부터 2011년 3월까지는 엔딩은 『용기 린린』만 사용되었고, 2011년 4월부터는 하이비전 영상이 된 『안녕맨 체조 드리밍 버전』과 주별로, 더욱 2012년 1월부터는 『도레미파 안녕맨』, 2012년 10월부터는 『산산 체조』가 재방송되었다. 2014년 7월 - 8월은 『푸른 눈물-코킨의 노래-』의 사용에 따라, 『용기 린린』을 포함한 종래의 엔딩이 모두 사용 중지되었지만, 같은 해 9월부터 재개되었다.

크리스마스 특별편의 경우, 크리스마스 사양의 프레임이 표시되며, 회에 따라서는 종래의 엔딩 영상을 휴지하고 다이제스트를 내보내거나, 본편 도중에 스태프롤을 내보내는 경우도 있다. 곡은 『용기 린린』 또는 크리스마스송이 흘러 나온다.

안녕맨의 행진』과 『안녕맨 체조』의 논테롭 버전은 전국의 슈퍼마켓 과자 매장에서 방영되고 있다(프로그램 스폰서로 타이업 제품의 과자를 제조하는 불리야에 의한 것으로, 틈틈이 안녕맨 관련 제품 CM도 방영된다).

5. 방영 목록

'날아라! 호빵맨'은 매 에피소드마다 새로운 캐릭터가 등장하거나, 기존 캐릭터들의 새로운 이야기가 전개된다. 에피소드 제목은 주로 '호빵맨과 OO맨' 형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초기 에피소드는 "호빵맨과 세균맨", "호빵맨과 카레빵맨", "호빵맨과 양치맨", "호빵맨과 식빵맨" 등과 같은 제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에도 "호빵맨과 낙서쟁이", "호빵맨과 불똥이", "호빵맨과 문이빵맨", "호빵맨과 혹부리맨"등 다양한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1995년부터 2010년까지는 크리스마스 시즌에 방송 시간을 1시간으로 확대한 스페셜 방송이 방송되었고, 2011년 이후에도 매년 크리스마스 에피소드가 방송되고 있다. 2007년까지는 골든위크나 여름방학, 프로그램 개편기에 1시간 스페셜로 방송된 적이 있다.

또한, 매년 1회 극장판이 제작되어 지상파에서도 공개되고 있다.

본편 및 다음 회 예고는 호빵맨(성우: 토다 에이코)이 담당한다.

6. 한국 방영

한국에서는 1993년 MBC에서 처음 방영되었다.[47] 이후 투니버스, 애니맥스 등 케이블 채널에서도 방영되었다.[47] 더빙 연출은 MBC, 투니버스, 대원방송에서 각각 다르게 진행되었으며, 성우진도 일부 변경되었다.

7. 논란 및 비판

7. 1. 폭력성

7. 2. 외모지상주의

7. 3. 기타

8. 기타

톰스 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안빵맨을 비롯한 대부분의 캐릭터가 애니메이션 제작자들이 어려워하는 둥근 디자인이기 때문에, 본 작품의 작화를 시청에 견딜 만한 수준으로 제작하려면 상당한 기술력이 필요하다고 애니메이터를 지도하는 서적에서 밝히고 있다.[48] 매주 방송되는 원화 담당자는 1~2명이 원화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48] 총 작화감독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화의 작화감독이나 일부 원화 담당자의 개성이 강하게 드러나며,[48] 작화 담당자에 따라 그림체와 움직임이 크게 다르다. 작화감독이 없는 회차도 드물지 않으며, 1993년에 마에다 미노루가 다른 작품의 일을 그만두고 본 작품에 집중하기 시작한 이후 2001년경까지 각 화의 작화감독이 기본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던 적도 있었다.

현재 알려진 제1화의 내용은 안빵맨과 바이킹맨이 탄생하고, 텐돈맨과의 만남을 통해 두 사람의 대결이 시작된다는 내용이지만, 원작자인 야나세가 제출한 제1화의 내용은 안빵맨, 식빵맨, 카레빵맨의 만남이라는 완성된 작품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현재의 내용이 된 것은 제1화의 각본을 담당하고 초기의 메인 라이터를 맡았던 오누키 타에코가 각본 제작을 위해 원작 그림책을 읽던 중, 게스트 캐릭터 중 한 명이었던 텐돈맨을 좋아하게 되어 현재의 내용을 제출했고, 방송 작품에서는 오누키가 제출한 내용이 채택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49]

현재 유통되고 있는 영상 소프트웨어에서는 거의 모든 작품을 시청할 수 있지만, 101화, 102화가 결번되어 있다 (재방송은 하고 있다).

안빵맨과 바이킹맨, 잼 아저씨와 바타코 씨, 멍멍이 치즈의 5명은 제1화 방송부터 모두 등장하고 있다. 일부 바이킹맨이 필요 없는 이야기도 있지만, 등장하고 있다 (반대로 안빵맨들이 이야기에 관계없는 이야기도 있다).

녹음은 방송 개시 당시(1988년) 8월부터 매주 월요일 10시 - 15시에 캐스트 전원이 진행한다. 토다에 따르면, 1회 녹음 시 많을 때는, 일반 방송분, 완구, CM, 캐릭터 쇼의 녹음을 묶어서 진행한다고 하며, 그 때문에, 예전에는 목소리를 과도하게 사용했던 바이킹맨 역의 나카오가 녹음 중에 지쳐버리는 일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여름 영화 공개 전에는 예고 부분에서 영화 안내도 방송된다. 단, 아오모리 방송 등 일부 지방 방송국에서는 해당 부분이 일반 예고로 교체된다(사실상의 뒤늦은 송출). 또한, 일본TV에서는 B파트 종료 직전에 초상화 모집처 안내 자막이 흐른다.

방송 개시 1년 전인 1987년 시점에는 파일럿 필름이 제작되었지만, 안빵맨은 현재와 조형이 달라 키가 크고 얼굴이 매우 커서 잼 아저씨를 머리에 태우고 날아다닐 수도 있었다. 이 디자인에 대해 원작자인 야나세도 비판적인 의견을 제기했기 때문에, 보류되었다. 참고로, 이 파일럿 필름을 제작한 곳은 도쿄 무비가 아니라 아시아도(본편에서도 그림 외주 등으로 참여)였으며, 안빵맨의 목소리를 담당한 사람은 야마다 후시기였다[50]。 텔레비전에서는, 2008년 7월 29일에 방송된 『스카이!!』의 특집에서 공개되었다[51]

안빵맨이 새로운 얼굴로 바뀔 때의 배경 음악은, NHK판 안빵맨의 주제가 「괴걸 안빵맨」의 편곡이다.

안빵맨이 바이킹맨을 "안빵 주먹"으로 해치우는 것이 정례화되어 있지만, 제1화에서는 안빵 주먹이 아니라 세탁기를 사용해서 해치운다는 전개였다[52]. 안빵 주먹을 처음 사용한 것은 제2화 B "안빵맨과 카레빵맨"이다.

다른 애니메이션 작품에 본 작품의 캐릭터가 출연( 협업)한 적은 없지만 후지이 츠네히사에 따르면 원작자인 야나세의 "'''안빵맨의 세계에 실존 인물을 등장시켜서는 안 된다'''"는 방침이 이유라고 한다.[53] 단,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의상을 입고 출연한 적은 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이외에는, 2008년부터 2009년에 걸쳐 일본TV에서 방송된 개국 55주년 기념 캠페인 협찬 CM에서 안빵맨, 바이킹맨, 도킨짱, 바타코 씨, 카레빵맨, 식빵맨, 멜론빵나, 호러맨이 『'''안빵맨 밴드'''』로서 출연한 적이 있다[54][55]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서 개최되는 『하카타 돈타쿠』의 개최 중에 운행되는 꽃 수레의 소재로서, 1989년1997년2008년의 3회에 걸쳐 본 작품이 채택되고 있다[56]. 채택된 횟수는, 애니메이션 작품 중에서는 최다이다. 참고로, 2008년에는 운행 중에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57]. 또한, 2014년은 꽃 수레로서, 본 작품을 채택했다.

일본TV판의 기획이 시작되기 조금 전에 NHK 종합 텔레비전 금요일 19시대 후반의 枠에서의 방송이 제기되었지만 『애니메이션 삼총사』와 경쟁하여 패배했다고 한다[58].

안빵맨이 새로운 얼굴로 바뀔 때의 배경 음악은, NHK판 안빵맨의 주제가 「괴걸 안빵맨」의 편곡이다.

영화 제1화부터 장편만 텔레비전 방영되고 있다.

9. 각주

참조

[1] 서적 テレビアニメ魂 講談社
[2] 잡지 ユリイカ
[3] 웹사이트 アンパンマンシリーズ|商品紹介 https://www.fujipan.[...] 2023-03-08
[4] 뉴스 山崎製パンが不二家を連結子会社に、持ち株比率51% https://jp.reuters.c[...] ロイター通信 2008-11-07
[5] 웹사이트 ケーキ・洋菓子商品紹介|アンパンマン https://www.fujiya-p[...] 2023-03-08
[6] 웹사이트 お菓子商品紹介|アンパンマン https://www.fujiya-p[...] 2023-03-08
[7] 서적 アンパンマン大研究 フレーベル館
[8] 서적 人生なんて夢だけど フレーベル館
[9] 뉴스 アンパンマン : やなせさん死去でテレビアニメの継続は「白紙」 来年の劇場版は製作 https://mantan-web.j[...]
[10] 뉴스 アンパンマン : テレビアニメ継続決定 戸田恵子「1本でも多く続ける」 https://mantan-web.j[...]
[11] 뉴스 「アンパンマン」放送1000回 28日 日テレ系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09-08-12
[12] 문서 10月3日は「アンパンマンの日」 https://web.archive.[...] トムス・エンタテインメント 2016-09-21
[13] 블로그 せんごひゃっかい! https://ameblo.jp/to[...]
[14] 블로그 ぷろ。 https://ameblo.jp/to[...]
[15] 뉴스 それいけ!アンパンマン:新型コロナの影響でアフレコ中止 再開未定 https://mantan--web-[...]
[16] 블로그 りすたーと! https://ameblo.jp/to[...]
[17] 웹사이트 浪川大輔、アンパンマン担当キャラが違う声に 関智一も古谷徹も「俺も!」/デイリースポーツ online https://www.daily.co[...] 2022-07-27
[18] 뉴스 マスオ&ジャムおじさん声優・増岡弘が卒業 高齢で本人から申し出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19-08-05
[19] 뉴스 急死の鶴ひろみさん ドキンちゃんは来年1月放送分まで収録済み https://www.sponichi[...]
[20] 에피소드 それいけ!アンパンマン ばいきんまんの逆襲
[21] 에피소드 メロンパンナとのぎくちゃん
[22] 웹사이트 アニメ「それいけ!アンパンマン」30周年で10月からオープニングが特別バージョンに https://news.nifty.c[...] ニフティニュース 2018-09-28
[23] 웹사이트 「それいけ!アンパンマン」が新オープニング映像に、地上波放送に先がけ公開 https://natalie.mu/c[...] コミックナタリー 2019-10-03
[24] 웹사이트 アンパンマン放送30周年! 「まあ1年続けば……」と言われたアニメが人気爆発したワケ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18-10-03
[25] 웹사이트 放送局情報 https://www.anpanman[...]
[26] 뉴스 それいけ!アンパンマン:初の午前10時台へ放送時間がお引越し 「PON!」 は月~木に https://mantan-web.j[...] 毎日新聞デジタル 2016-02-22
[27] 트윗 アナBAR https://twitter.com/[...] 2018-03-28
[28] 신문 陸奥新報 1991-09-17
[29] 잡지 TV STATION NETWORK 学習研究社
[30] 잡지 TV STATION NETWORK 学習研究社
[31] 신문 富山新聞
[32] 신문 北日本新聞 2022-04-17, 2022-04-24
[33] 신문 北國新聞 1990-09-02
[34] 신문 北國新聞 1989-04-19
[35] 잡지 テレビ局ネットワーク 学研
[36] 뉴스 四国新聞 1992年2月13日付朝刊テレビ欄 四国新聞 1992-02-13
[37] 뉴스 四国新聞 1993年8月12日付朝刊テレビ欄 四国新聞 1993-08-12
[38] 뉴스 四国新聞 1995年5月26日付朝刊テレビ欄 四国新聞 1995-05-26
[39] 뉴스 四国新聞 1996年12月6日付朝刊テレビ欄 四国新聞 1996-12-06
[40] 간행물 TV STATION NETWORK アニメディア 2003-06
[41] 간행물 TV STATION NETWORK アニメディア 2001-08
[42] 간행물 テレビ局ネットワーク 学研 1998-01
[43] 논문 テレビ局ネットワーク 学研ホールディングス 1991-01
[44] 뉴스 朝日新聞 2019年5月24日日付朝刊テレビ欄 朝日新聞 2019-05-24
[45] 웹사이트 声優・石丸博也さんご勇退 -解説放送とのあゆみ https://www.ax-on.co[...] 日テレ アックスオン 2023-03-29
[46] 뉴스 ダイスケ、BS日テレ新番組のレギュラー https://news.ntv.co.[...] 日本テレビ 2016-03-08
[47] 웹사이트 ラマダン中はアンパンマンにモザイク?イラン人の庶民の生活とは? https://web.archive.[...]
[48] 서적 名作に学ぶアニメのつくり方 玄光社MOOK 2014-07-17
[49] 서적 アンパンマンVSアンパンマン
[50] 간행물 声優100人に聞きました'95 メディアックス 1994
[51] 웹사이트 アンパンマン 20年前の秘蔵映像 初公開! https://jiyuzine.com[...] 2008-07-31
[52] 방송 スッキリ!! 2010-07-29
[53] 웹사이트 取材を受けた藤井が証言 https://www.nikkansp[...]
[54] 웹사이트 それいけ!アンパンマン http://www.ntv.co.jp[...]
[55] 웹사이트 プレスリリース https://www.ntv.co.j[...]
[56] 웹사이트 過去の花電車・花自動車|西鉄花自動車|くらしのサービス https://www.nishitet[...] にしてつグループ
[57] 뉴스 「アンパンマン」号から白煙……火事だ 博多どんたく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08-05-04
[58] 방송 知るを楽しむ 人生の歩き方 NHK教育テレビ 20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