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은 지대석, 기단부, 탑신부, 옥개석, 상륜부를 갖춘 조선 초기 양식의 석조 부도이다. 건립 연대가 분명하고, 각 부에 새겨진 문양이 우수하며, 정혜옹주를 추모하기 위해 승탑 형식으로 제작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기단부는 2개의 팔각돌을 올린 형태이며, 탑신석에는 구름과 용이 조각되어 있다. 옥개석에는 1439년에 제작되었으며 태종의 딸 정혜옹주를 기리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상륜부에는 노반 위에 복발과 보주 등이 남아있다. 조선 초기 왕실의 불교 신앙과 조형 경향을 보여주는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39년 작품 - 합천 악견산성
    합천 악견산성은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악견산 정상부에 축조된 산성으로, 축조 시기는 미상이지만 삼국시대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자연석 성벽 일부가 붕괴되었으나 합천 지역 방어적 요충지로서 현재는 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등산객들에게도 알려진 명소이다.
  • 사리탑 -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된 높이 4.1m의 석탑으로, 2중 기단 위에 세워진 3층 석탑이며, 각 면 기둥 형태 조각과 1층 탑신 문비 조각이 특징이고 통일신라 후기 석탑 양식을 보여주는 보물이다.
  • 사리탑 - 울산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
    울산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은 9세기경 통일신라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리탑으로, 바닥돌 안상과 몸돌 윗부분의 십이지신상이 특징이며 능묘 의례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 남양주시의 문화유산 - 홍유릉
    홍유릉은 대한제국 고종과 명성황후의 홍릉, 순종과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의 유릉을 포함하며, 황실 묘역에는 의민황태자 이은, 회은 황태손 이구, 의친왕 이강 등의 묘가 있다.
  • 남양주시의 문화유산 -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은 고려 시대 팔각석탑 전통을 계승하여 조선 시대에 건립된 석탑으로, 왕실 발원으로 1493년 이전에 세워져 1628년에 중수되었으며, 불상대좌, 목조건축, 팔작기와지붕 양식을 갖춘 조선 시대 유일의 팔각오층석탑이다.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이름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한자 표기南楊州 水鐘寺 舍利塔
지정 종류보물
지정 번호2013
지정일2019년 1월 25일
주소경기도 남양주시 북한강로433번길 186 (조안면, 수종사)
시대조선시대 (1439년)
관리대한불교조계종 수종사
참고 사항재료/형식 : 화강암 / 팔각원당형탑
면적4m2
수량1기 / 2.3m
꼬리표남양주 수종사
기타 정보
문화재청 ID12,20130000,31
남양주 수종사 부도 (지정 해제)
지정 종류 (과거)유형문화재
지정 번호 (과거)157
지정일 (과거)1995년 8월 7일
해제일 (과거)2019년 1월 25일
문화재청 ID (과거)21,01570000,31

2. 역사

2. 1. 건립 배경

2. 2. 발견 및 보존

3. 구조 및 특징

3. 1. 기단부

3. 2. 탑신부

3. 3. 옥개석 및 상륜부

4. 가치 및 의의

수종사 사리탑은 지대석, 기단부, 탑신부, 옥개석, 상륜부를 완전히 갖춘 조선 초기 양식의 석조 부도이다. 건립 연대가 분명하고, 각 부에 새겨진 문양이 우수하며, 정혜옹주를 추모하기 위해 승탑 형식으로 제작되었다는 특이성이 있다.

기단부는 상, 중, 하 3단이 아닌 지대석 위에 2개의 팔각돌을 간략하게 올린 형태이다. 하층 기단석 모서리에는 동자주와 두꺼비 형태의 동물이 새겨져 있고, 상층 기단은 직사각형 액 안에 문양이 새겨져 있다. 탑신석은 둥근 구형으로 표면에 구름과 용이 조각되어 있으며, 옥개석 하면에 조립하기 위해 상부를 돌출시킨 특색을 지닌다. 옥개석 낙수면에는 "太宗 太后 / 貞惠 翁主 / 舍利 造塔 / 施主 文化 柳氏 / 錦城 大君 正統 / 四年 己未 十月日"(태종 태후 / 정혜 옹주 / 사리 조탑 / 시주 문화 류씨 / 금성 대군 정통 / 사년 기미 십월일)이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어, 조선 세종 21년(1439) 왕실 발원으로 제작되었으며 주인공은 태종의 딸 정혜옹주임을 알 수 있다. 상륜부는 옥개석과 한 돌로 조성된 노반[2] 위에 복발[3]과 보주[4] 등이 잘 남아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조선 초기 왕실의 불교 신앙과 새로운 조형 경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높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로 승격, 지정되었다.

참조

[1]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9-7호(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19-01-25
[2] 문서 노반(露盤)
[3] 문서 복발(覆鉢)
[4] 문서 보주(寶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