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자의 계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자의 계절은 1985년 방영된 MBC 드라마이다. 전운과 김수미를 중심으로 한 미란네 집안, 변희봉, 전양자, 이덕화, 송기윤 등이 등장하는 준태네 집안, 그리고 김진숙의 시댁 관련 인물들을 포함한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1986년 MBC 연기대상에서 김수미가 이 작품으로 연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추적 60분
    《추적 60분》은 KBS에서 다양한 사회 문제와 의혹을 심층적으로 취재, 보도하는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1983년 첫 방송 이후 여러 차례 방송 시간대가 변경되었으며 공정성 및 객관성 논란이 있었다.
  • 1986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이별 그리고 사랑
    김민자, 박근형, 장용, 윤소정, 박길라 등이 출연한 드라마 이별 그리고 사랑은 박근형과 장용이 극의 흐름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고 윤소정이 안방극장에 복귀한 작품이다.
  • 1985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갯마을 (드라마)
    《갯마을》은 1980년대 농촌을 배경으로 김인문, 나문희, 김영옥 등이 출연하여 농촌 공동체, 가족 관계, 사회 경제적 변화 등 시대상을 반영한 드라마이다.
  • 1985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억새풀
    1985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억새풀은 1940년대부터 40여 년간 여인 3대의 삶을 통해 사회의 미덕과 풍습, 선비정신 등을 부각하고자 기획되었으며, 김용림이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과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 이희우 시나리오 작품 - 달빛가족
    1989년 KBS2에서 방영된 드라마 달빛가족은 개성 강한 5형제와 택시기사 고모부 내외가 한 집에 살면서 겪는 유쾌한 이야기를 통해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는 드라마로, 서인석과 이휘향이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하고 김창완 작사/작곡, 김승진이 부른 동명의 주제가가 있다.
  • 이희우 시나리오 작품 - 세 여인
    세 여인은 MBC에서 방영된 주말연속극으로, 최명길, 이혜숙, 김청을 비롯한 여러 배우들이 출연하여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남자의 계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드라마 정보
방송명남자의 계절
장르드라마
방송 시간토, 일 밤 8시 ~ 9시
방송 분량1시간
방송 기간1985년 10월 19일 ~ 1986년 6월 29일
방송 횟수73부작
방송 채널MBC
연출박철
조연출장근수, 김사현
극본이희우
출연자이덕화, 최명길, 전운, 김수미
음성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2. 등장 인물

이 드라마에는 박미란이덕화(김준태)을 중심으로, 각기 다른 가치관을 가진 두 집안과 그 주변 인물들이 등장한다.


  • 미란네 집안: 전통적 가치관을 중시하며 보석상을 운영한다.
  • 준태네 집안: 변희봉(김중한)을 가장으로 하는 가부장적 가치관을 가진 집안이다.
  • 김진숙의 시댁: 충청남도 아산당진 등지에 거주하며, 김무생(송필달), 나영진(송영식) 등이 있다.
  • 그 외 인물: 최상훈(남궁진호), 김애경(금다혜) 등 다양한 인물들이 극에 재미를 더한다.

2. 1. 미란네 집안

최명길(박미란)의 집안은 전통적인 가치관을 중시하며 보석상을 운영하고 있다.

인물관계설명
전운(박구홍)아버지보석상 사장
김수미(장춘자 여사)어머니보석상 여사장
최명길(박미란)장녀김준태 약혼녀, 김준석 제수, 김중한, 이복례 부부 둘째 며느리
김도연(박미야)차녀김준태 처제


2. 2. 준태네 집안

변희봉(김중한)을 가장으로 하는 가부장적인 가치관을 가진 집안으로, 박구홍의 집안과 대조를 이룬다.

인물관계
한은진김중한의 어머니, 김준태와 김준석 형제의 할머니
변희봉(김중한)이복례의 남편, 김준태와 김준석 형제의 아버지, 박미란의 시아버지
전양자(이복례)김중한의 부인, 김준태와 김준석 형제의 어머니, 박미란의 시어머니, 김진숙의 계모
이덕화(김준태)김중한과 이복례의 둘째 아들, 박미란의 약혼남, 박미야의 형부, 박구홍과 장춘자의 사위, 한은진의 둘째 손자, 신발회사 개발부 근무
송기윤(김준석)김준태의 형, 한은진의 큰손자, 오수라의 남편
오미연(오수라)김준석의 부인, 김준태의 형수, 김중한과 이복례의 맏며느리
박원숙(김진숙)송영식의 부인, 송필달의 며느리, 김중한의 잃어버린 딸, 김준태와 김준석 형제의 이복 누나


2. 3. 김진숙의 시댁 관련


  • '''김무생(송필달)''' : 김중한의 친구이자 김진숙의 시아버지로,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 거주한다.
  • '''나영진(송영식)''' : 송필달의 아들이자 김진숙의 남편이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전사이며 다혜를 짝사랑한다.
  • '''박영태(황갑룡)''' : 김중한의 친구이자 송영식의 외숙부로,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 거주한다. 송필달과는 친구이자 동갑내기 손윗처남이다.
  • '''신국(황태룡)''' : 송영식의 막내 외숙부로, 충청남도 홍성 지역에 분가하여 거주한다. 송필달의 두 살 어린 손윗처남이다.
  • '''한상혁(송상달)''' : 송영식의 막내 친숙부이자 김진숙의 시삼촌(남편의 삼촌)으로,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 분가하여 거주한다. 송필달의 네 살 터울 아우이다.

2. 4. 그 외 인물


  • '''최상훈(남궁진호):''' 미란을 짝사랑하던 남자. 부잣집 둘째 자제이다.
  • '''김애경(금다혜):''' 미국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미란의 선배이자 절친이다.
  • '''서갑숙(서영희):''' 진숙의 보육원(고아원) 시절 친구이자 절친이다.
  • '''남영진(장원욱):''' 진호의 국민학교(지금의 초등학교) 동기생이자 절친이다.
  • '''한영숙(한삭호 여사):''' 원욱의 처. 충청북도 청주댁이다.
  • '''김기웅(장기웅):''' 원욱의 첫째 아들. 만 5세.
  • '''문혁(장문혁):''' 원욱의 둘째 아들. 만 4세.
  • '''김성찬(고복배):''' 진호의 국민학교 동기생이자 절친이다.
  • '''국정환(황보순혁):''' 진호의 국민학교 선배이자 절친이다.
  • '''권귀옥(태풍자):''' 순혁의 처. 경상북도 예천댁이며 팔봉의 어머니다.
  • '''양진영(황보팔봉):''' 순혁의 아들. 국민학교 3학년이다.
  • '''문회원(남궁두호):''' 진호의 형. 남궁 서방으로 슬하에 2남(철순, 길순)을 두고 있다.
  • '''이숙(강숙 여사):''' 진호의 형수. 강 여사로 철순과 길순의 어머니다.
  • '''김혜옥(남궁차숙 여사):''' 진호의 누이동생. 선진의 어머니이자 대웅의 처이다.
  • '''김주영(신대웅):''' 진호의 매제. 세덕의 사위이자 선진의 아버지이다.
  • '''김동수(남궁계호):''' 진호의 막냇동생. 중학교 2학년으로, 맏조카(철순)보다 한 살 많은 둘째 삼촌이자 생질녀(선진)보다는 아홉 살 많은 막내 외숙이다.
  • '''우봉식(남궁철순):''' 두호의 첫째 아들. 중학교 1학년이다.
  • '''정명현(남궁길순):''' 두호의 둘째 아들. 국민학교 2학년으로 형(철순)과 다섯 살 터울이다.
  • '''김기현(남궁세덕):''' 진호의 아버지. 철순과 길순의 할아버지이자 부잣집 대주이며, 선진의 외조부이다.
  • '''이수나(정묘수 여사):''' 진호의 어머니. 철순과 길순의 할머니이자 부잣집 어부인이며, 선진의 외조모이다.
  • '''박선희(신선진):''' 진호의 생질녀. 대웅과 차숙의 딸로 만 5세이다.
  • '''송옥숙(신송이):''' 대웅의 누이동생. 차숙의 손아랫시누이자 선진의 고모이다.
  • '''정호근(안희근):''' 대학교 종교학과 4학년 1학기 재학생. 두호의 집안에서 봉급 및 강의 계약기간이 모두 무사히 만료된 철순과 길순의 옛 고용직 가정교사였다.
  • '''최병학(강담인):''' 두호의 장인. 철순과 길순의 외조부이다.
  • '''홍승옥(김태훤 여사):''' 두호의 장모. 철순과 길순의 외조모이다.
  • '''조형기(강시준):''' 두호의 큰처남. 강숙 여사의 친정 동생이다.
  • '''박찬환(강시오):''' 두호의 작은처남. 강숙 여사의 친정 막내 동생이다.
  • '''박영지(송섭재):''' 두호의 처이모부. 강숙 여사의 이모부이다.
  • '''서영애(김태영 여사):''' 두호의 처이모. 태훤의 동생이자 섭재의 부인이다.
  • '''김용선(송지미 여사):''' 섭재의 첫째 딸. 철만의 부인이다.
  • '''맹상훈(맹철만):''' 섭재의 맏사위. 맹 서방으로 지미의 남편이다.
  • '''송영웅(송지석):''' 섭재의 외동아들. 지미의 남동생이다.
  • '''이상숙(송상미):''' 섭재의 막내 딸. 지미의 여동생이다.

3. 수상

1986년 MBC 연기대상에서 김수미가 최우수상을 수상했다.[1]

4. 참고 사항


  • 김수미는 이 드라마에서 《전원일기》의 할머니 이미지를 벗고 도시 여성상을 실감나게 표현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1986년 MBC 연기대상을 수상하였다.[1]
  • 1980년대 중후반과 1990년대 초반을 풍미한 아역 배우 출신 정명현의 데뷔작이기도 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