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의 계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자의 계절은 1985년 방영된 MBC 드라마이다. 전운과 김수미를 중심으로 한 미란네 집안, 변희봉, 전양자, 이덕화, 송기윤 등이 등장하는 준태네 집안, 그리고 김진숙의 시댁 관련 인물들을 포함한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1986년 MBC 연기대상에서 김수미가 이 작품으로 연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추적 60분
《추적 60분》은 KBS에서 다양한 사회 문제와 의혹을 심층적으로 취재, 보도하는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1983년 첫 방송 이후 여러 차례 방송 시간대가 변경되었으며 공정성 및 객관성 논란이 있었다. - 1986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이별 그리고 사랑
김민자, 박근형, 장용, 윤소정, 박길라 등이 출연한 드라마 이별 그리고 사랑은 박근형과 장용이 극의 흐름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고 윤소정이 안방극장에 복귀한 작품이다. - 1985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갯마을 (드라마)
《갯마을》은 1980년대 농촌을 배경으로 김인문, 나문희, 김영옥 등이 출연하여 농촌 공동체, 가족 관계, 사회 경제적 변화 등 시대상을 반영한 드라마이다. - 1985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억새풀
1985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억새풀은 1940년대부터 40여 년간 여인 3대의 삶을 통해 사회의 미덕과 풍습, 선비정신 등을 부각하고자 기획되었으며, 김용림이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과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 이희우 시나리오 작품 - 달빛가족
1989년 KBS2에서 방영된 드라마 달빛가족은 개성 강한 5형제와 택시기사 고모부 내외가 한 집에 살면서 겪는 유쾌한 이야기를 통해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는 드라마로, 서인석과 이휘향이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하고 김창완 작사/작곡, 김승진이 부른 동명의 주제가가 있다. - 이희우 시나리오 작품 - 세 여인
세 여인은 MBC에서 방영된 주말연속극으로, 최명길, 이혜숙, 김청을 비롯한 여러 배우들이 출연하여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남자의 계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드라마 정보 | |
방송명 | 남자의 계절 |
장르 | 드라마 |
방송 시간 | 토, 일 밤 8시 ~ 9시 |
방송 분량 | 1시간 |
방송 기간 | 1985년 10월 19일 ~ 1986년 6월 29일 |
방송 횟수 | 73부작 |
방송 채널 | MBC |
연출 | 박철 |
조연출 | 장근수, 김사현 |
극본 | 이희우 |
출연자 | 이덕화, 최명길, 전운, 김수미 외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
2. 등장 인물
이 드라마에는 박미란과 이덕화(김준태)을 중심으로, 각기 다른 가치관을 가진 두 집안과 그 주변 인물들이 등장한다.
- 미란네 집안: 전통적 가치관을 중시하며 보석상을 운영한다.
- 준태네 집안: 변희봉(김중한)을 가장으로 하는 가부장적 가치관을 가진 집안이다.
- 김진숙의 시댁: 충청남도 아산과 당진 등지에 거주하며, 김무생(송필달), 나영진(송영식) 등이 있다.
- 그 외 인물: 최상훈(남궁진호), 김애경(금다혜) 등 다양한 인물들이 극에 재미를 더한다.
2. 1. 미란네 집안
최명길(박미란)의 집안은 전통적인 가치관을 중시하며 보석상을 운영하고 있다.인물 | 관계 | 설명 |
---|---|---|
전운(박구홍) | 아버지 | 보석상 사장 |
김수미(장춘자 여사) | 어머니 | 보석상 여사장 |
최명길(박미란) | 장녀 | 김준태 약혼녀, 김준석 제수, 김중한, 이복례 부부 둘째 며느리 |
김도연(박미야) | 차녀 | 김준태 처제 |
2. 2. 준태네 집안
변희봉(김중한)을 가장으로 하는 가부장적인 가치관을 가진 집안으로, 박구홍의 집안과 대조를 이룬다.인물 | 관계 |
---|---|
한은진 | 김중한의 어머니, 김준태와 김준석 형제의 할머니 |
변희봉(김중한) | 이복례의 남편, 김준태와 김준석 형제의 아버지, 박미란의 시아버지 |
전양자(이복례) | 김중한의 부인, 김준태와 김준석 형제의 어머니, 박미란의 시어머니, 김진숙의 계모 |
이덕화(김준태) | 김중한과 이복례의 둘째 아들, 박미란의 약혼남, 박미야의 형부, 박구홍과 장춘자의 사위, 한은진의 둘째 손자, 신발회사 개발부 근무 |
송기윤(김준석) | 김준태의 형, 한은진의 큰손자, 오수라의 남편 |
오미연(오수라) | 김준석의 부인, 김준태의 형수, 김중한과 이복례의 맏며느리 |
박원숙(김진숙) | 송영식의 부인, 송필달의 며느리, 김중한의 잃어버린 딸, 김준태와 김준석 형제의 이복 누나 |
2. 3. 김진숙의 시댁 관련
- '''김무생(송필달)''' : 김중한의 친구이자 김진숙의 시아버지로,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 거주한다.
- '''나영진(송영식)''' : 송필달의 아들이자 김진숙의 남편이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전사이며 다혜를 짝사랑한다.
- '''박영태(황갑룡)''' : 김중한의 친구이자 송영식의 외숙부로,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 거주한다. 송필달과는 친구이자 동갑내기 손윗처남이다.
- '''신국(황태룡)''' : 송영식의 막내 외숙부로, 충청남도 홍성 지역에 분가하여 거주한다. 송필달의 두 살 어린 손윗처남이다.
- '''한상혁(송상달)''' : 송영식의 막내 친숙부이자 김진숙의 시삼촌(남편의 삼촌)으로,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 분가하여 거주한다. 송필달의 네 살 터울 아우이다.
2. 4. 그 외 인물
- '''최상훈(남궁진호):''' 미란을 짝사랑하던 남자. 부잣집 둘째 자제이다.
- '''김애경(금다혜):''' 미국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미란의 선배이자 절친이다.
- '''서갑숙(서영희):''' 진숙의 보육원(고아원) 시절 친구이자 절친이다.
- '''남영진(장원욱):''' 진호의 국민학교(지금의 초등학교) 동기생이자 절친이다.
- '''한영숙(한삭호 여사):''' 원욱의 처. 충청북도 청주댁이다.
- '''김기웅(장기웅):''' 원욱의 첫째 아들. 만 5세.
- '''문혁(장문혁):''' 원욱의 둘째 아들. 만 4세.
- '''김성찬(고복배):''' 진호의 국민학교 동기생이자 절친이다.
- '''국정환(황보순혁):''' 진호의 국민학교 선배이자 절친이다.
- '''권귀옥(태풍자):''' 순혁의 처. 경상북도 예천댁이며 팔봉의 어머니다.
- '''양진영(황보팔봉):''' 순혁의 아들. 국민학교 3학년이다.
- '''문회원(남궁두호):''' 진호의 형. 남궁 서방으로 슬하에 2남(철순, 길순)을 두고 있다.
- '''이숙(강숙 여사):''' 진호의 형수. 강 여사로 철순과 길순의 어머니다.
- '''김혜옥(남궁차숙 여사):''' 진호의 누이동생. 선진의 어머니이자 대웅의 처이다.
- '''김주영(신대웅):''' 진호의 매제. 세덕의 사위이자 선진의 아버지이다.
- '''김동수(남궁계호):''' 진호의 막냇동생. 중학교 2학년으로, 맏조카(철순)보다 한 살 많은 둘째 삼촌이자 생질녀(선진)보다는 아홉 살 많은 막내 외숙이다.
- '''우봉식(남궁철순):''' 두호의 첫째 아들. 중학교 1학년이다.
- '''정명현(남궁길순):''' 두호의 둘째 아들. 국민학교 2학년으로 형(철순)과 다섯 살 터울이다.
- '''김기현(남궁세덕):''' 진호의 아버지. 철순과 길순의 할아버지이자 부잣집 대주이며, 선진의 외조부이다.
- '''이수나(정묘수 여사):''' 진호의 어머니. 철순과 길순의 할머니이자 부잣집 어부인이며, 선진의 외조모이다.
- '''박선희(신선진):''' 진호의 생질녀. 대웅과 차숙의 딸로 만 5세이다.
- '''송옥숙(신송이):''' 대웅의 누이동생. 차숙의 손아랫시누이자 선진의 고모이다.
- '''정호근(안희근):''' 대학교 종교학과 4학년 1학기 재학생. 두호의 집안에서 봉급 및 강의 계약기간이 모두 무사히 만료된 철순과 길순의 옛 고용직 가정교사였다.
- '''최병학(강담인):''' 두호의 장인. 철순과 길순의 외조부이다.
- '''홍승옥(김태훤 여사):''' 두호의 장모. 철순과 길순의 외조모이다.
- '''조형기(강시준):''' 두호의 큰처남. 강숙 여사의 친정 동생이다.
- '''박찬환(강시오):''' 두호의 작은처남. 강숙 여사의 친정 막내 동생이다.
- '''박영지(송섭재):''' 두호의 처이모부. 강숙 여사의 이모부이다.
- '''서영애(김태영 여사):''' 두호의 처이모. 태훤의 동생이자 섭재의 부인이다.
- '''김용선(송지미 여사):''' 섭재의 첫째 딸. 철만의 부인이다.
- '''맹상훈(맹철만):''' 섭재의 맏사위. 맹 서방으로 지미의 남편이다.
- '''송영웅(송지석):''' 섭재의 외동아들. 지미의 남동생이다.
- '''이상숙(송상미):''' 섭재의 막내 딸. 지미의 여동생이다.
3. 수상
4. 참고 사항
- 김수미는 이 드라마에서 《전원일기》의 할머니 이미지를 벗고 도시 여성상을 실감나게 표현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1986년 MBC 연기대상을 수상하였다.[1]
- 1980년대 중후반과 1990년대 초반을 풍미한 아역 배우 출신 정명현의 데뷔작이기도 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