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운은 1957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1959년 부산문화방송 성우로 활동을 시작했다. 1962년 서울중앙방송 탤런트로 이적하여 텔레비전 연기, 영화 배우로 활동했으며, 연극 배우 정욱과 서라벌예술대학교 동기이기도 하다. 한국방송문화원 원장을 지냈으며, 1970년 동아연극상, 1971년 한국일보 TV 연기대상, 1986년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연기자상을 수상했다. 2005년 3월 68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 - 권성덕
권성덕은 대한민국의 배우로, 드라마, 영화,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최우수 예술인상 등을 수상했다. -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 - 김동훈 (배우)
김동훈은 서울 출신으로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실험극장'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배우로서 주목받았으며, 연극 「아들을 위하여」, 「포기와 베스」, 「다리에서의 조망」, 「안도라」, 「무익조」, 「세일즈맨의 죽음」,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오뚝이」, 「심판」, 「에쿠우스」, 「햄릿」, 「피가로의 결혼」 등에 출연하고 「오셀로」와 「피가로의 결혼」 등을 연출한 다재다능한 배우이자 연출가이다. - 담양 전씨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담양 전씨 - 전병헌
전병헌은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비서관 및 실장을 지내고 17·18·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현재 새로운미래 당대표를 맡고 있다.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 - 이성민 (배우)
이성민은 1968년 경상북도 봉화 출생으로 연극 무대에서 시작하여 영화와 드라마 조연을 거쳐 주연 배우로 활동하며,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 - 송재호
송재호는 1959년 데뷔하여 60년 이상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 전성기를 누리며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했고, 특히 영화 《영자의 전성시대》에서 아버지 역할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연기력과 공로를 인정받아 다수의 연기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전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전덕 |
출생일 | 1938년 11월 3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부산부 (지금의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
사망일 | 2005년 3월 26일 (향년 66세)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직업 | 배우, 성우 |
활동 기간 | 1957년~2002년 |
학력 | 서라벌예술대학 연극영화학과 전문학사 |
자녀 | 2남 1녀 (장남 전현철, 딸 전준희, 차남 전학진) |
친척 | 박현숙(장자부) 전보미(손녀) 박수정(사돈) |
수상 | 1970년 동아연극상 1971년 한국일보주최 TV 연기대상 1986년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연기자상 |
웹사이트 | 연극배우 겸 성우 전운 |
2. 생애
1957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였고, 2년 후 1959년 부산문화방송 공채 1기 라디오 성우로 정식 데뷔하였다. 당시 성우 동기로는 문미봉, 유명순 등이 있었다.[2] 1962년에는 서울중앙방송(현재 KBS 한국방송공사) 공채 2기 탤런트로 이적하여 TV 드라마에도 출연하였으며, 이후 텔레비전 연기자, 영화배우로도 활동하였다.[2] 당시 탤런트 동기로는 이묵원, 강부자 등이 있었다. 연극 단체 극단 '산하'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1957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였고, 1959년 부산문화방송 공채 1기 라디오 성우로 정식 데뷔하였다. 당시 성우 동기로는 문미봉, 유명순 등이 있었다.[2] 1962년 서울중앙방송(현재 KBS 한국방송공사) 공채 2기 탤런트로 이적하여(당시 탤런트 동기 이묵원, 강부자 등[2]) TV 드라마에도 출연하였다. 이후 텔레비전 연기자, 영화배우로도 활동하였으며, 극단 '산하'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서라벌예술대학교 동기인 연극배우 정욱과는 동기이기도 하다. 한국방송문화원 원장을 지내기도 했던 그는 대장암 투병 중 2005년 3월 26일 향년 68세로 별세하였다.
3. 연기 활동
정욱과는 서라벌예술대학교 동기이다. 한국방송문화원 원장을 지내기도 한 그는 대장암 투병 중 2005년 3월 26일 향년 68세로 별세하였다.
3. 1. 텔레비전 드라마
방영 연도 | 제목 | 배역 | 방송사 |
---|---|---|---|
2001 | 여인천하 | 장순손 역 | SBS |
2000 | 천둥소리 | 허엽 역 | KBS |
1999 | 해뜨고 달뜨고 | KBS | |
1999 | 유정 | KBS | |
1999 | 약속 | SBS | |
1998 | 홍길동 | 홍길동 아버지 역 | SBS |
1998 | 사랑 | MBC | |
1997 | 화이트 크리스마스 | SBS | |
1997 | 열애 | KBS | |
1997 | 간이역 | 주덕기 역 | MBC |
1997 | 신데렐라 | MBC | |
1996 | 달콤한 인생 | MBC | |
1996 | 첫사랑 | 강석진, 석희 아버지 역 | KBS |
1995 | 코리아게이트 | 백낙준 역 | SBS |
1995 | 행복 | 최인철 역 | MBC |
1995 | 모래시계 | SBS | |
1994 | 딸부잣집 | 권치덕 역 | KBS |
1994 | 지붕 위의 남자 | KBS2 | |
1993 | 파일럿 | MBC | |
1993 | 오박사네 사람들 | SBS | |
1992 | 두려움 없는 사랑 | 신석훈 역 | SBS |
1991 | 여명의 눈동자 | 황 대장 역 | MBC |
1990 | 반민특위 | 신익희 역 | MBC |
1990 | 대원군 | 좌종당 역 | MBC |
1990 | 꽃 피고 새 울면 | KBS | |
1989 | 제2공화국 | 백낙준 역 | MBC |
1989 | 천사의 선택 | 도계 광업 근로자 전담 병원 이사장 역 | MBC |
1989 | 수난2대 | MBC | |
1989 | 조선 왕조 오백년 - 파문 | 이부만 역 | MBC |
1989 | 철새 | MBC | |
1989 | 추억 만들기 | MBC | |
1988 | 한지붕 세가족 | MBC | |
1988 | 내일이 오면 | MBC | |
1987 | 불새 | MBC | |
1987 | 도시의 얼굴 | 박형섭 역 | MBC |
1986 | 조선 왕조 오백년 - 남한산성 | 김류 역 | MBC |
1986 | 남자의 계절 | MBC | |
1985 | 내일뉴스 | 사장 역 | MBC |
1984 | 조선 왕조 오백년 - 설중매 | 김종서 역 | MBC |
1983 | 3840 유격대 | MBC | |
1981 | 제1공화국 | 신익희 역 | MBC |
1980 | 전원일기 | 각종 단역 | MBC |
1979 | 최후의 증인 | MBC | |
1979 | 하얀 민들레 | MBC | |
1978 | 주인 | MBC | |
1977 | 빨간 능금이 열릴때까지 | MBC | |
1977 | 별 하나 나 하나 | MBC | |
1975 | 효자문 | MBC | |
1973 | 113 수사본부 | 본부장 역 | MBC |
1972 | 대원군 | 흥선대원군 이하응 역 | MBC |
1971 | 수사반장 | 각종 단역 | MBC |
1967 | 수양대군 | 박팽년 역 | KBS |
3. 2. 영화
- 러브 스토리 (1996)
- 가진것 없소이다 (1992)
- 너에게로 또다시 (1991)
- 코리안 커넥션 (1990)
-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1989)
- 청춘시대 (1988)
- 학창보고서 (1987)
- 깊고 깊은 그곳에 (1985)
- 영원한 유산 (1980)
- 고교 꺼꾸리군 장다리군 (1977)
- 어둠속의 목격자 (1974)
3. 3. 라디오 드라마
TBC에서 1971년에 방영된 《특별수사본부》가 있다.3. 4. 연극
1970년에 상연된 전운 작가의 창작 희곡 작품은 《진흙 속의 고양이》이다.4. 연기 외 활동
1957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였고, 1959년 부산문화방송 공채 1기 라디오 성우로 정식 데뷔하였다. 문미봉, 유명순 등이 당시 성우 동기였다. 1962년 서울중앙방송(현재 KBS 한국방송공사) 공채 2기 탤런트로 이적하여 이묵원, 강부자 등과 동기로 활동하였다.[2] TV 드라마뿐만 아니라 영화배우로도 활동했으며, 연극 단체 극단 산하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정욱과는 서라벌예술대학교 동기이다. 한국방송문화원 원장을 지내기도 한 그는 대장암 투병 중 2005년 3월 26일 향년 68세로 별세하였다.
4. 1. CF 광고
연도 | 광고 |
---|---|
1979년 ~ 1980년 | 바이엘코리아 탈시드 |
1982년 | 대일화학 대일 네오파스 |
1983년 ~ 1988년 | 동아제약 하노백 |
1986년 | 현대자동차 포니 엑셀 / 프레스토 (Feat. 변희봉) |
1991년 ~ 1992년 | 삼립식품 삼립 중화 라면 |
1992년 | 주식회사 한냉(육류 전문 회사) |
1998년 | 녹십초 키토산 |
5. 가족 관계
6.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작품 |
---|---|---|
1986년 |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연기자상 | 초승에서 그믐까지 |
1971년 | 한국일보 주최 TV 연기대상 | 대원군 |
1970년 | 동아연극상 | 왕교수의 직업 |
참조
[1]
뉴스
貰房에살아도有志 田雲군에대접푸짐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신문
2021-10-05
[2]
웹사이트
보도 매스컴 자료
http://star.mt.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