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은 1900년부터 현재까지 여러 선수들에 의해 갱신되어 왔다. 1900년 맥시 롱이 47초 8y로 최초 기록을 세운 이후, 1968년 리 에번스가 43초 86을 기록하며 44초 벽을 깼다. 1977년부터 전자 계시가 도입된 가운데, 부치 레이놀즈가 1988년 43초 29를 기록했고, 마이클 존슨이 1999년 43초 18로 기록을 경신했다. 2016년에는 웨이드 판 니케르크가 43초 03으로 현재까지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00미터 달리기 - 여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여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은 수동 계시에서 자동 전자 계시로 측정 방식이 변화하며 여러 선수가 기록을 경신, 특히 이레나 키르셴스테인의 50초 벽 돌파와 마리타 코흐의 47.60초 세계 기록 수립이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며 코흐의 기록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 육상 경기 세계 기록 추이 - 여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여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는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여자 육상 100m 달리기 세계 기록의 변천사를 다루며, 1988년 플로렌스 그리피스 조이너가 세운 기록은 도핑 문제와 기록의 진정성에 대한 논란을 야기했다. - 육상 경기 세계 기록 추이 - 남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남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은 1912년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10초 6을 최초 공인한 이후 여러 선수들에 의해 경신되었으며, 2009년 우사인 볼트가 9초 58의 기록으로 현재까지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카이트서핑
카이트서핑은 연과 보드를 사용하여 바람의 힘으로 물 위를 활강하는 수상 스포츠로,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남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 |
---|---|
남자 400미터 세계 기록 추이 | |
![]() | |
공식 기록 | |
종목 | 남자 400미터 |
기록 | 43.03초 |
선수 | 바데 판 니케르크 |
날짜 | 2016년 8월 14일 |
장소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기록 추이 | |
47.8초 | 맥시 롱 (미국) |
날짜 | 1900년 7월 4일 |
장소 | 프랑스, 파리 |
47.0초 | 찰스 길리 (미국) |
날짜 | 1904년 5월 27일 |
장소 | 미국, 필라델피아 |
46.8초 | 테드 메레디스 (미국) |
날짜 | 1916년 5월 27일 |
장소 | 미국, 필라델피아 |
46.4초 | 에릭 리델 (영국) |
날짜 | 1924년 7월 11일 |
장소 | 프랑스, 파리 |
46.2초 | 벤 이스트먼 (미국) |
날짜 | 1932년 7월 9일 |
장소 | 미국, 필라델피아 |
46.1초 | 빌 카 (미국) |
날짜 | 1932년 8월 6일 |
장소 | 미국, 로스앤젤레스 |
46.0초 | 아치 윌리엄스 (캐나다) |
날짜 | 1936년 8월 5일 |
장소 | 독일, 베를린 |
45.8초 | 제프 우드러프 (미국) |
날짜 | 1937년 8월 7일 |
장소 | 스웨덴, 스톡홀름 |
45.4초 | 루돌프 하르비히 (독일) |
날짜 | 1939년 8월 12일 |
장소 | 독일, 프랑크푸르트 |
45.4초 | 그로버 클레머 (미국) |
날짜 | 1941년 6월 28일 |
장소 | 미국, 필라델피아 |
45.4초 | 허버트 매킨리 (자메이카) |
날짜 | 1948년 8월 6일 |
장소 | 영국, 런던 |
45.2초 | 조 루더퍼드 (미국) |
날짜 | 1948년 9월 4일 |
장소 | 미국, 밀워키 |
45.2초 | 아서 위нт (자메이카) |
날짜 | 1951년 8월 25일 |
장소 | 영국, 런던 |
45.2초 | 조 루더퍼드 (미국) |
날짜 | 1952년 7월 26일 |
장소 | 핀란드, 헬싱키 |
45.2초 | 아서 위нт (자메이카) |
날짜 | 1952년 7월 26일 |
장소 | 핀란드, 헬싱키 |
45.2초 | 조 루더퍼드 (미국) |
날짜 | 1952년 7월 27일 |
장소 | 핀란드, 헬싱키 |
45.2초 | 아서 위нт (자메이카) |
날짜 | 1952년 7월 27일 |
장소 | 핀란드, 헬싱키 |
45.2초 | 루 죤스 (미국) |
날짜 | 1955년 6월 22일 |
장소 | 미국, 로스앤젤레스 |
45.2초 | 찰리 젠킨스 (미국) |
날짜 | 1956년 5월 25일 |
장소 | 미국, 필라델피아 |
45.2초 | 톰 코트니 (미국) |
날짜 | 1956년 7월 28일 |
장소 | 미국, 로스앤젤레스 |
44.9초 | 찰리 젠킨스 (미국) |
날짜 | 1956년 9월 6일 |
장소 | 이탈리아, 멜버른 |
44.9초 | 글렌 데이비스 (미국) |
날짜 | 1958년 8월 16일 |
장소 | 독일, 베를린 |
44.9초 | 오티스 데이비스 (미국) |
날짜 | 1960년 9월 6일 |
장소 | 이탈리아, 로마 |
44.5초 | 마이크 라라비 (미국) |
날짜 | 1964년 9월 12일 |
장소 | 이탈리아, 로마 |
43.86초 | 리 에번스 (미국) |
날짜 | 1968년 10월 18일 |
장소 | 멕시코, 멕시코시티 |
43.29초 | 부치 레이놀즈 (미국) |
날짜 | 1988년 8월 17일 |
장소 | 스위스, 취리히 |
43.18초 | 마이클 존슨 (육상 선수) (미국) |
날짜 | 1999년 8월 26일 |
장소 | 스페인, 세비야 |
43.03초 | 바데 판 니케르크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날짜 | 2016년 8월 14일 |
장소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2. 1900년 – 1976년 기록
1975년까지는 전자 계시 기록과 수동 계시 기록이 모두 인정되었으나, 1976년부터는 전자 계시 기록만 공식 기록으로 인정되었다.[8]
선수 | 기록 | 날짜 | 대회명 및 개최지 |
---|---|---|---|
맥시 롱 | 47초 8y | 1900년 9월 29일 | 뉴욕 체육 클럽 선수권 대회 (미국 뉴욕) |
찰스 리드패스 | 48초 2 | 1912년 7월 13일 | 스웨덴 스톡홀름 |
테드 메데리스 | 47초 4y | 1916년 5월 27일 | 미국 케임브리지 |
맥스웰 롱 | 47초 0 | 1928년 5월 12일 | 미국 팰러앨토 |
벤 이스트먼 | 46초 4y | 1932년 3월 26일 | 미국 팰러앨토 |
윌리엄 카 | 46초 2 (46.28) | 1932년 8월 5일 | 제10회 하계 올림픽 (미국 로스앤젤레스) |
아치 윌리엄스 | 46초 1 | 1936년 6월 19일 | 미국 시카고 |
루돌프 하르비크 | 46초 0 | 1939년 8월 12일 | 독일 프랑크푸르트 |
그로버 클레머 | 46초 0 | 1941년 6월 6일 | 미국 필라델피아 |
허브 매킨리 | 46초 0y | 1948년 6월 5일 | 미국 버클리 |
45초 9(46.00) | 1948년 7월 2일 | 미국 밀워키 | |
앤드루 스탠필드 | 45초 8 | 1950년 8월 22일 | 스웨덴 에스킬스투나 |
루 존스 | 45초 4 (45.68) | 1955년 3월 18일 | 멕시코 멕시코 시 |
45초 2 | 1956년 6월 30일 | 미국 로스앤젤레스 | |
오티스 데이비스 | |||
아돌프 플루머 | 44초 9y | 1963년 5월 25일 | 미국 템페 |
마이클 래러비 | 44초 9 | 1964년 9월 12일 | 미국 로스앤젤레스 |
토미 스미스 | 44초 5+ | 1967년 5월 20일 | 미국 새너제이 |
래리 제임스 | 44초 1 (44.19) | 1968년 9월 14일 | 미국 에코서밋 |
리 에번스 | 43초 8(43.86) | 1968년 10월 18일 | 제19회 하계 올림픽 (멕시코 멕시코 시) |
- y 표시는 440야드 달리기 기록이지만, 400m 달리기 기록으로 인정된 것이다.
- + 표시는 더 긴 거리 중 해당 거리에 걸린 시간을 나타낸다.
2. 1. 1900년 – 1976년 (수동 계시)
1900년부터 1976년까지 남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은 주로 미국 선수들이 경신했다. 맥시 롱이 1900년 47초 8로 처음 공인된 기록을 세웠으며, 찰스 리드패스(1912년), 테드 메데리스(1916년)가 차례로 기록을 단축했다. 1930년대에는 벤 이스트먼이 46초 4, 윌리엄 카가 46초 2, 아치 윌리엄스가 46초 1을 기록하며 46초 벽을 허물기 위한 경쟁을 벌였다.선수 | 기록 | 날짜 | 대회명 및 개최지 |
---|---|---|---|
맥시 롱 | 47초 8 | 1900년 9월 29일 | 뉴욕 체육 클럽 선수권 대회 (미국 뉴욕) |
찰스 리드패스 | 48초 2 | 1912년 7월 13일 | 스웨덴 스톡홀름 |
테드 메데리스 | 47초 4 | 1916년 5월 27일 | 미국 케임브리지 |
맥스웰 롱 | 47초 0 | 1928년 5월 12일 | 미국 팰러앨토 |
벤 이스트먼 | 46초 4 | 1932년 3월 26일 | 미국 팰러앨토 |
윌리엄 카 | 46초 2 | 1932년 8월 5일 | 제10회 하계 올림픽 (미국 로스앤젤레스) |
아치 윌리엄스 | 46초 1 | 1936년 6월 19일 | 미국 시카고 |
루돌프 하르비크 | 46초 0 | 1939년 8월 12일 | 독일 프랑크푸르트 |
그로버 클레머 | 46초 0 | 1941년 6월 6일 | 미국 필라델피아 |
허브 매킨리 | 46초 0 | 1948년 6월 5일 | 미국 버클리 |
45초 9 | 1948년 7월 2일 | 미국 밀워키 | |
앤드루 스탠필드 | 45초 8 | 1950년 8월 22일 | 스웨덴 에스킬스투나 |
루 존스 | 45초 4 | 1955년 3월 18일 | 멕시코 멕시코 시 |
45초 2 | 1956년 6월 30일 | 미국 로스앤젤레스 | |
오티스 데이비스 | |||
아돌프 플루머 | 44초 9 | 1963년 5월 25일 | 미국 템페 |
마이클 래러비 | 44초 9 | 1964년 9월 12일 | 미국 로스앤젤레스 |
토미 스미스 | 44초 5 | 1967년 5월 20일 | 미국 새너제이 |
래리 제임스 | 44초 1 | 1968년 9월 14일 | 미국 에코서밋 |
리 에번스 | 43초 8 | 1968년 10월 18일 | 제19회 하계 올림픽 (멕시코 멕시코 시) |
2. 2. 1939년 (특별 기록)
1939년 8월 12일, 나치 독일의 루돌프 하르비크가 프랑크푸르트에서 46초 0의 기록을 세웠다.[8] 이는 당시 남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이었다.2. 3. 1948년 – 1960년 (자메이카의 등장)
1948년, 자메이카의 허브 매킨리가 46초 0y의 기록으로 남자 400m 달리기 세계 기록 경쟁에 불을 붙였다.[8] 같은 해 7월 2일, 매킨리는 밀워키에서 열린 대회에서 45초 9(46초 00)를 기록하며 자신의 기록을 경신했다.[8]1950년 8월 22일, 조지 로든이 아닌, 앤드루 스탠필드가 오기입되어 수정함.-> 자메이카의 앤드루 스탠필드가 스웨덴 에스킬스투나에서 45초 8을 기록하며 새로운 세계 기록을 수립했다.[8]
2. 4. 1955년 – 1968년 (미국의 재도약)
1955년, 미국의 루 존스가 45.4초(45.68)의 기록으로 다시 세계 기록을 탈환했다.[8] 이후 1956년 6월 30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대회에서 45.2초로 자신의 기록을 다시 경신했다.[8]1960년 제17회 하계 올림픽 남자 400m 결선에서 오티스 데이비스(미국)와 칼 카우프만(독일)은 동시에 44.9초(각각 45.07, 45.08)로 결승선을 통과하며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8]
이후 아돌프 플루머(미국)가 1963년 5월 25일 44.9초y, 마이클 래러비(미국)가 1964년 9월 12일 44.9초로 타이를 이루었다. 1967년 5월 20일, 토미 스미스(미국)가 44.5초로 다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8]
래리 제임스(미국)는 1968년 9월 14일 44.1초(44.19)의 기록을 세웠고,[8] 같은 해 제19회 하계 올림픽에서 리 에번스(미국)가 43.8초(43.86)로 세계 기록을 0.3초 단축했다.[8]
선수 | 나라 | 기록 | 날짜 | 장소 |
---|---|---|---|---|
루 존스 | 45.4초 (45.68) | 1955. 3. 18 | 멕시코 시 | |
루 존스 | 45.2초 | 1956. 6. 30 | 로스앤젤레스 | |
오티스 데이비스 | 44.9초 (45.07) | 1960. 9. 6 | 로마 | |
칼 카우프만 | 44.9초 (45.08) | 1960. 9. 6 | 로마 | |
아돌프 플루머 | 44.9초y | 1963. 5. 25 | 템페 | |
마이클 래러비 | 44.9초 | 1964. 09. 12 | 로스앤젤레스 | |
토미 스미스 | 44.5초 | 1967. 05. 20 | 새너제이 | |
래리 제임스 | 44.1초 (44.19) | 1968. 09. 14 | 에코서밋 | |
리 에번스 | 43.8초 (43.86) | 1968. 10. 18 | 멕시코 시 |
1975년부터 세계 육상 경기 연맹은 400m 종목까지 전자 자동 계시를 시작했다. 1977년 1월 1일부터는 1/100초까지 완전 자동 계시를 요구했다.[8]
3. 1976년 이후 기록 (전자 계시)
리 에번스가 1968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기록한 43초 86이 당시 최고 기록이었다. 이후 부치 레놀드, 마이클 존슨을 거쳐, 웨이드 판 니케르크가 2016년 올림픽에서 43초 03을 기록하며 현재까지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기록 차이 선수 나라 날짜 대회명 개최지 경기장 주석 및 기타 동영상 43초 86 리 에번스 1968. 10. 18 제19회 하계 올림픽 멕시코 시 [8] 43초 29 - 0.57초 부치 레놀드 1988. 07. 17 벨트클라세 취리히 취리히 [8] 43초 18 - 0.11초 마이클 존슨 1999. 8. 26 제7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세비야 에스타디오 데 라 카르투하 [8] 43초 03 - 0.15초 웨이드 판 니케르크 2016. 8. 14 2016년 하계 올림픽 리우데자네이루
3. 1. 1968년 – 1988년 (리 에번스의 시대)
리 에번스가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기록한 43초 86이 당시 최고 기록이었다.[8]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비고 |
---|---|---|---|---|---|---|---|
43초 86 | 리 에번스 | 1968. 10. 18 | 제19회 하계 올림픽 | 멕시코 시 | [8] | ||
43초 29 | - 0.57초 | 부치 레놀드 | 1988. 07. 17 | 벨트클라세 취리히 | 취리히 | [8] |
3. 2. 1988년 – 1999년 (부치 레이놀즈와 마이클 존슨)
부치 레이놀즈가 1988년 7월 17일 벨트클라세 취리히에서 43초 29를 기록하며 리 에번스의 종전 기록(43초 86)을 경신했다.[8] 이후 마이클 존슨이 1999년 8월 26일 제7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43초 18을 기록하였다.[8]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
43초 86 | 리 에번스 | 1968. 10. 18 | 제19회 하계 올림픽 | 멕시코시티 | |||
43초 29 | - 0.57초 | 부치 레이놀즈 | 1988. 07. 17 | 벨트클라세 취리히 | 취리히 | ||
43초 18 | - 0.11초 | 마이클 존슨 | 1999. 8. 26 | 제7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세비야 | 에스타디오 데 라 카르투하 |
3. 3. 2016년 – 현재 (웨이드 판 니케르크)
웨이드 판 니케르크((Wayde van Niekerk영어)는 2016년 8월 14일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자 400m 결승에서 43초 03을 기록하며 17년 만에 세계 신기록을 경신했다.[8] 이전 기록은 마이클 존슨이 1999년 8월 26일 제7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기록한 43초 18이었다.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
43초 03 | - 0.15초 | 웨이드 판 니케르크 | 2016. 8. 14 | 2016년 하계 올림픽 | 리우데자네이루 |
참조
[1]
웹사이트
12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Berlin 2009.
http://www.iaaf.org/[...]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08-02
[2]
간행물
The Official Report of the Games of the 8th Olympiade
null
Paris, FR
1924
[3]
문서
[4]
웹사이트
IAAF World Records Progression
http://iaaf-ebooks.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2018-04-30
[5]
웹사이트
HD Stock Video Footage - Track and Field events at Franklin Field in Philadelphia
http://www.criticalp[...]
[6]
웹사이트
Men's 400m Results
https://smsprio2016-[...]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6-08-14
[7]
웹사이트
Men's 400m Results
https://smsprio2016-[...]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6-08-14
[8]
웹인용
12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Berlin 2009.
http://www.iaaf.org/[...]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