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코 시스템 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코 시스템 2는 1987년에 출시된 남코의 아케이드 게임 기판으로, 메인보드, 비디오 보드, V56 비디오 보드, 오브젝트 보드 등으로 구성된다. 모토로라 68000, M6809, 히타치 HD63705, 남코 C68 등의 CPU를 사용하며, 야마하 YM2151과 남코 커스텀 C140 사운드 칩을 탑재하여 FM 음원과 PCM 음원을 지원한다. 다양한 해상도와 색상, 그래픽 플레인, 스프라이트 기능을 제공하며, 여러 게임에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케이드 시스템 - 트라이포스
트라이포스는 젤다의 전설 시리즈에서 힘, 지혜, 용기의 세 조각으로 이루어진 전능한 황금 삼각형으로, 하이랄 왕가의 문장이자 게임의 핵심 요소이며, 균형 있는 자만이 온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아케이드 시스템 - 닌텐도 VS. 시스템
닌텐도 VS. 시스템은 패밀리 컴퓨터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닌텐도가 1984년 북미 아케이드 시장에 출시한 아케이드 컨버전 시스템으로, 저렴한 가격과 간편한 게임 변환을 통해 북미 시장에서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NES) 출시의 발판이 되었다.
남코 시스템 2 | |
---|---|
개요 | |
![]() | |
종류 | 아케이드 기판 |
제조사 | 남코 |
출시 | 1988년 |
CPU | 모토로라 68000 @ 12.288 MHz |
사운드 칩 | 남코 커스텀 8채널 웨이브 테이블 PSG |
해상도 | 288x224 |
팔레트 색상 | 65,536 |
기술 사양 | |
메인 프로세서 | 모토로라 68000 @ 12.288 MHz |
사운드 프로세서 | 커스텀 8채널 웨이브 테이블 PSG |
메모리 | 512KB 메인 RAM 256KB 비디오 RAM |
디스플레이 | 288x224 해상도, 65,536 색상 팔레트 |
게임 목록 | |
1988년 | 악마의 기사 미스터 드릴러 파이널 랩 |
1989년 | 윈드재머 랠리-X 바운스 하우스 블래스트 오프 패밀리 서킷 메탈 호크 베라보 맨 |
1990년 | 슈퍼 시스템 II 스타 블레이드 스플래터하우스 |
1991년 | 알피나 니코니코니 파이널 랩 2 |
1992년 | 코스모 갱 더 비디오 드래곤 볼 |
1993년 | 파이널 랩 3 |
1994년 | 니코니코니 2 |
연도 미상 | 에어 컴뱃 앱스 |
2. 사양
남코 시스템 2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5]
'''기판 구성'''
'''메인 프로세서'''
- 메인 CPU: 모토로라 68000 @ 12.288MHz (16비트/32비트 명령어)[6][7]
- 서브 CPU: 모토로라 68000 @ 12.288MHz (16/32비트 명령어)[7]
- 사운드 CPU: 모토로라 M6809 @ 2.048MHz (8비트 명령어)[7]
- MCU:
- 히타치 HD63705 @ 2.048MHz (8비트 명령어)[8]
- 남코 C68 (미쓰비시 M37450) @ 8.192MHz (8비트 명령어)[5][9]
'''비디오'''
- GPU: Namco Custom chipset[10]
- C45 Land Generator
- C102 ROZ Memory Access Controller
- C106 OBJ X-Axis Zoom Controller
- C107 Land Line Buffer
- C116 Screen Waveform Generator
- C123 GFX Tile Memory Decoder
- C134 Object Memory Address Generator
- C135 OBJ Line Matching
- C145 Tile Screen Memory Access Controller
- C146 OBJ Line Buffer Steering
- C156 Pixel Stream Combo
- 비디오 해상도:[5]
- 해상도: 288×224 (횡) or 224×288 (종) 픽셀
- 오버스캔 해상도: 384×264 (횡) or 264×384 (종) 픽셀 (264 스캔라인)
- 화면 재생 빈도: 60.606Hz (60.606 FPS)[5]
- 색:[5][11]
- 컬러 팔레트: 16,777,216 (24비트 RGB)
- 화면 발색수: 16,384 (64KB 팔레트 RAM) ~ 32,768 (그림자 포함)
- 그래픽 플레인:
- Variable-sized display window
- 3 스크롤링 512×512 타일맵 layers (64×64 characters)
- 1 scrolling 512×256 tilemap layer (64×32 characters)
- 2 fixed 288×224 tilemap layers (36×28 characters)
- 1 fixed rotate/zoom tilemap layer
- 1 sprite layer
- Roadway generator (driving games only)
- 스프라이트 성능: 확대/축소 및 회전,[5] 라인 버퍼링[10]
- 화면상 스프라이트 수: 128개[11]
- RAM 내 스프라이트 수: 2048개 (16개 뱅크, 각 뱅크당 128개 스프라이트)[5]
- 스프라이트 크기: 8×8[5] ~ 64×64 픽셀
- 스프라이트 당 색상: 256 (8컬러)[5]
- 텍셀: 33.3MHz 비디오 클럭 사이클,[5] 프레임당 549,450 텍셀 (초당 60.606 프레임), 스캔라인당 2081 텍셀 (264 스캔라인), 스캔라인당 128 스프라이트
'''사운드'''
- 사운드 칩:
- 야마하 YM2151 @ 3.57958MHz: 8 FM 음원 채널
- 남코 커스텀 C140 @ 21.39kHz: 24 스테레오 PCM 채널 @ 21.39kHz 샘플링
- PCB는 볼륨, 트레블, 베이스, 가변저항 음성 조율을 지원함[5]
이미지 출력은 하드웨어에서 비트맵 이미지의 확대, 축소, 회전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게임이 많이 개발되었다. 기판은 메인 보드 위에 비디오 보드(서브 보드)나, 필요에 따라 오브젝트 보드를 겹쳐서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게임 ROM은 메인 보드, 비디오 보드 각각의 ROM 소켓에 장착한다.
2. 1. 메인보드
기판 구성은 다음과 같다.[5]메인 프로세서는 다음과 같다.
- 메인 CPU: 모토로라 68000 @ 12.288MHz[6] (16/32비트 명령어 @ 2.1504 MIPS[7])
- 서브 CPU: 모토로라 68000 @ 12.288MHz (16/32비트 명령어 @ 2.1504 MIPS[7])
- 사운드 CPU: 모토로라 M6809 @ 2.048MHz (8비트 명령어 @ 0.86016 MIPS[7])
- MCU:
- * 히타치 HD63705 @ 2.048MHz (8비트 명령어 @ 2.048 MIPS[8])
- * 남코 C68 (미쓰비시 M37450) @ 8.192MHz[5] (8비트 명령어 @ 1.024 MIPS[9])
비디오 사양은 다음과 같다.
- GPU: Namco Custom chipset[10]
- * C45 Land Generator
- * C102 ROZ Memory Access Controller
- * C106 OBJ X-Axis Zoom Controller
- * C107 Land Line Buffer
- * C116 Screen Waveform Generator
- * C123 GFX Tile Memory Decoder
- * C134 Object Memory Address Generator
- * C135 OBJ Line Matching
- * C145 Tile Screen Memory Access Controller
- * C146 OBJ Line Buffer Steering
- * C156 Pixel Stream Combo
- 비디오 해상도:[5]
- * 해상도: 288×224 (횡) or 224×288 (종) 픽셀
- * 오버스캔 해상도: 384×264 (횡) or 264×384 (종) 픽셀 (264 스캔라인)
- 화면 재생 빈도: 60.606Hz[5] (60.606 FPS)
- 색:
- * 컬러 팔레트: 16,777,216 (24비트 RGB)[11]
- * 화면 발색수: 16,384 (64 KB 팔레트 RAM[5]) ~ 32,768 (그림자 포함[5])
- 그래픽 플레인:
- * Variable-sized display window
- * 3 스크롤링 512×512 타일맵 layers (64×64 characters)
- * 1 scrolling 512×256 tilemap layer (64×32 characters)
- * 2 fixed 288×224 tilemap layers (36×28 characters)
- * 1 fixed rotate/zoom tilemap layer
- * 1 sprite layer
- * Roadway generator (driving games only)
- 스프라이트 성능: 확대/축소 및 회전,[5] 라인 버퍼링[10]
- * Sprites on screen: 128[11] displayed at once
- * Sprites in RAM: 2048 (16 banks with 128 sprites each)[5]
- * Sprite sizes: Variable, from 8×8[5] to 64×64 pixels
- * Colors per sprite: 256 (8컬러)[5]
- * Sprite pixels/texels: 33.3MHz video clock cycles,[5] 549,450 texels per frame (60.606 frames per second), 2081 texels per scanline (264 scanlines), 128 sprites per scanline
사운드 사양은 다음과 같다.
- 사운드 칩:
- * 야마하 YM2151 @ 3.57958MHz: 8 FM 음원 채널
- * 남코 커스텀 C140 @ 21.39kHz: 24 스테레오 PCM 채널 @ 21.39kHz 샘플링
- PCB는 볼륨, 트레블, 베이스, 가변저항 음성 조율을 지원함
메인 프로그램, 음원 제어, 이미지 합성, 각종 입출력 기능을 가지고 있다. 초기형과 2세대가 있으며, 통신 제어 CPU가 히타치(Hitachi) 사(C65)에서 미쓰비시(Mitsubishi) 사(C68)로 변경된 외에 약간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메인 보드에는 메인 프로그램(MPR0~1), 서브 프로그램(SPR0~1), 문자 캐릭터 ROM(CHR0~7), 데이터 ROM(DATA0~3), 사운드 ROM(SND0~1), PCM 데이터 ROM(VOICE0~2), SHAPE(불명)이 탑재되어 있다.
구분 | 초기형 | 2세대 |
---|---|---|
기판 모델 번호 | 8618963200 | 8618963905 |
실크 모델 번호 | 8618961200 | 8618961805 |
CPU | 메인 프로그램: MC68000 서브 프로그램: MC68000 | |
사운드 | ![]() | |
입출력 | JAMMA 준수 조이스틱, 버튼 입력 단자류 아날로그 입력: 8ch(=8축) | |
통신 기능 | C68 |
2. 2. 비디오 보드
남코 시스템 2의 비디오 보드는 이미지 효과 기능을 담당한다. 게임에 따라 표준 타입과 전용 타입이 있으며, 다음은 표준 타입에 대한 설명이다.[5]비디오 보드에는 배경 등의 확대/축소/회전을 위한 데이터 ROM (ROZ0~7), 스프라이트 캐릭터 등의 오브젝트 ROM (OBJ0~7)이 탑재되어 있다.[5]
'''그래픽 처리 장치(GPU)''': Namco Custom chipset[10]
칩 이름 | 기능 |
---|---|
C45 | Land Generator |
C102 | ROZ Memory Access Controller |
C106 | OBJ X-Axis Zoom Controller |
C107 | Land Line Buffer |
C116 | Screen Waveform Generator |
C123 | GFX Tile Memory Decoder |
C134 | Object Memory Address Generator |
C135 | OBJ Line Matching |
C145 | Tile Screen Memory Access Controller |
C146 | OBJ Line Buffer Steering |
C156 | Pixel Stream Combo |
항목 | 상세 |
---|---|
해상도 | 288×224 (횡) 또는 224×288 (종) 픽셀 |
오버스캔 해상도 | 384×264 (횡) 또는 264×384 (종) 픽셀 (264 스캔라인) |
화면 재생 빈도 | 60.606 Hz (60.606 FPS) |
컬러 팔레트 | 16,777,216 (24비트 RGB)[11] |
화면 발색수 | 16,384 (64 KB 팔레트 RAM[5]) ~ 32,768 (그림자 포함[5]) |
그래픽 플레인 | |
스프라이트 성능 | 확대/축소 및 회전,[5] 라인 버퍼링[10] |
화면상 스프라이트 수 | 128개[11] |
RAM 내 스프라이트 수 | 2048개 (16개 뱅크, 각 뱅크당 128개 스프라이트)[5] |
스프라이트 크기 | 8×8[5] ~ 64×64 픽셀 |
스프라이트 당 색상 | 256 (8컬러)[5] |
텍셀 | 33.3 MHz 비디오 클럭 사이클,[5] 프레임당 549,450 텍셀 (초당 60.606 프레임), 스캔라인당 2081 텍셀 (264 스캔라인), 스캔라인당 128 스프라이트 |
2. 3. V56 비디오 보드
V56 비디오 보드는 래스터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커스텀 칩 "C107"을 탑재하고 있으며, 이 기능을 필요로 하는 파이널 랩 시리즈 등에 사용되었다.[5] 확대, 회전, 축소 기능은 없다. 이 보드에는 스프라이트 캐릭터의 오브젝트 ROM으로 4Mbit 4개를 실장할 수 있도록 IC 소켓이 설치되어 있지만, 파이널 랩에서는 이 IC 소켓은 사용되지 않았고, 후술할 오브젝트 보드상에 실장되어 있다. 커스텀 칩 "C107"은 썬더 세이버에서 하이퍼 웨이를 표시하기 위해 2개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해당 칩의 유용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구성
항목 | 내용 |
---|---|
기판 형식 | 2272961200 |
실크 형식 | 2272963100 |
64K 비트 OTPROM, 70ns | LH5762-70 × 1 |
64K 비트 SRAM, 100ns | TMM2063P-10 × 2 |
16K 비트 SRAM, 25ns | TMM2018AP-25 × 4 |
16K 비트 SRAM, 45ns | TMM2018AP-45 × 2 |
256K 비트 DRAM(4비트(니블) 구성), 120ns | HM50464P-12 × 4 |
커스텀 칩 | C45, C106, C107, C134, C135, C137, C146 |
PAL | FL1-1, FL1-2, FL1-3 |
2. 4. 오브젝트 보드
남코 시스템 2에서 게임 내용에 따라 비디오 보드에 구현할 수 없고, 대용량 ROM 칩을 사용하는 것이 비용 면에서 불리한 경우, 별도의 기판에 객체 ROM을 구현할 때 사용된다. 스프라이트 캐릭터의 객체 ROM(OBJ0~3)을 구현할 수 있다.[5]- 기판 모델명: 2294963201 (예: 파이널 랩 3)
- 실크 모델명: 2294961301 (예: 파이널 랩 3)
2. 5. 사운드
- 사운드 칩:
- * 야마하 YM2151 @ 3.57958 MHz: 8 FM 음원 채널
- * 남코 커스텀 C140 @ 21.39 kHz: 24 스테레오 PCM 채널 @ 21.39 kHz 샘플링
- PCB는 볼륨, 트레블, 베이스, 가변저항 음성 조율을 지원함[5]
- 사운드 제어: 68B09[5]
- FM 음원: YM2151(OPM)
- FM 음원용 D/A 컨버터: YM3012 (스테레오 출력)
- PCM 음원: C140 (커스텀 칩 24채널)
- PCM 음원용 D/A 컨버터: LC7880 또는 LC7881
남코 시스템 II 개발 당시 ENSONIQ(엔소닉)에서 남코에 음원 판매 제안이 있었다. 이 음원을 본 하드웨어 개발진은 "이 정도면 우리도 만들 수 있다"라며 자체적으로 샘플링 음원 칩 C140을 제작했다. C140이 24채널 발성인 것은 ENSONIQ에서 판매 제안을 받은 음원이 24채널이었기 때문이다[4]。
또한 FM 음원의 라이트 속도가 느려서 칩에 지시를 내린 후 실행되기까지의 랙(지연)을 해소하기 위해, FIFO용 전용 커스텀 IC와 듀얼 포트 RAM을 이 목적만을 위해 보드에 탑재했다. 버퍼에서 CPU가 직접 데이터를 가져가는 방식으로 랙을 해소했다[4]。
3. 게임 목록
남코 시스템 2의 게임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작품명 | 비고 | 각주 |
---|---|
어설트, 어설트 플러스 | 시스템 II 제1탄 |
오다인 | 시스템 II 제2탄 |
미래 닌자 | 시스템 II 제3탄 |
페리오스 | 시스템 II 제4탄 |
발키리의 전설 | 시스템 II 제5탄 |
파이니스트 아워 | 시스템 II 제6탄 |
버닝 포스 | 시스템 II 제7탄 |
마블 랜드 | 시스템 II 제8탄 |
구계도중기 | 시스템 II 제9탄 |
드래곤 세이버 | 시스템 II 제10탄 [1] |
롤링 썬더 2 | 1991년 4월 가동 시스템 II 제11탄 [2] |
슈퍼 월드 스타디움 | 1991년 9월 가동 월드 스타디움의 버전 업판 시스템 II 제12탄 [3] |
코스모 갱 더 비디오 | 시스템 II 제13탄 |
슈퍼 월드 스타디움 '92 | 시스템 II 제14탄 |
슈퍼 월드 스타디움 '92 격투판 | 시스템 II 제15탄 |
슈퍼 월드 스타디움 '93 격투판 | 시스템 II 제16탄 |
작품명 | 비고 |
---|---|
파이널 랩 | |
메탈 호크 | |
더트 폭스 | |
포트랙스 | |
파이널 랩 2 | |
골리! 고스트! | |
스틸 거너 | 시스템 II 2장 사용 |
스틸 거너 2 | 시스템 II 2장 사용 |
코카콜라 스즈카 에이트 아워즈 | |
파이널 랩 3 | |
럭키 & 와일드 | |
스즈카 에이트 아워즈 2 |
4. 기타
하드웨어에서 비트맵 이미지의 확대, 축소, 회전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이를 활용한 게임이 많이 개발되었다. 기판은 메인 보드 위에 비디오 보드나 오브젝트 보드를 겹쳐서 연결하는 구성이었다. 게임 ROM은 메인 보드와 비디오 보드 각각의 ROM 소켓에 장착했다. 교체는 일자 드라이버로도 가능했지만, 안전을 위해 ROM 제거용 도구가 필요했기 때문에, 기판을 잘 다루는 작업자가 교체해야 했다.[1]
시스템 2는 유연한 확장성과 인지도를 가졌지만, 타사의 동시기 시스템 기판보다 작품 수가 적다. 이는 1990년대 초에 기판 제조를 담당했던 기업이 도산했기 때문에, 남코가 신작 게임 개발 플랫폼을 다른 시스템 기판으로 옮겼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조사 수리가 이루어지던 시기에도, 고장 종류에 따라서는 경미한 경우라도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었다. 제조사 수리 대응은 이미 종료되었다.[1]
남코가 이후에 개발한 후속 시스템 기판으로는, 도트 그림과 스프라이트에 의한 2D와 擬似 3D를 특기로 한 NA-1과, 주로 3D 폴리곤을 특기로 한 대형 전용 케이스용 SYSTEM21이 있다.[1]
참조
[1]
뉴스
話題のマシン
https://onitama.tv/g[...]
1990-12-15
[2]
뉴스
話題のマシン
https://onitama.tv/g[...]
アミューズメント通信社
1992-04-01
[3]
뉴스
話題のマシン
https://onitama.tv/g[...]
アミューズメント通信社
1991-09-15
[4]
기타
OBS(おにたま放送局)「FM音源ドライバーズサミット2」[[細江慎治]]のコメントより。
[5]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github.com/m[...]
[6]
서적
Assault Operator's Manual with Illustrated Parts Lists and Schematics
http://www.arcade-mu[...]
Atari Games Corporation
1988
[7]
웹인용
Lud's Open Source Corner
http://www.drolez.co[...]
null
[8]
웹인용
HD63705V0 ... - Datasheet Search Engine Download
http://www.datasheet[...]
null
[9]
웹인용
Mitsubishi Microcomputers M37450M2 : Description
http://datasheets.ch[...]
[10]
웹인용
mame/namcoic.h at master · mamedev/mame · GitHub
https://github.com/m[...]
null
[11]
웹인용
Namco System 2 Hardware (Namco)
http://www.system16.[...]
System 16
2016-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