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은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에서 창원시 의창구 동읍을 잇는 고속도로이다. 1973년 남해고속도로의 일부로 개통되었으며, 이후 마산외곽고속도로를 거쳐 2008년 현재의 노선으로 분리되었다. 총 연장 17.88km이며, 전 구간 왕복 4차로로 운영된다. 제한 속도는 최고 100km/h, 최저 50km/h이다. 산인 분기점, 내서 분기점, 서마산 나들목, 동마산 나들목, 창원 분기점 등이 주요 시설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동마산 나들목
    동마산 나들목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암동에 위치하며, 1973년 남해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통행을 시작하여 3.15 대로와 연결된다.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서마산 나들목
    서마산 나들목은 1973년 개통된 남해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성동에 위치하며 북성로와 삼호로를 연결한다.
  • 함안군의 도로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함안군의 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는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경기도 양평군을 잇는 총 연장 301.7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며, 1976년 대구-마산고속도로로 지정되어 2001년 현재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함안군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함안군의 교통 - 군북역
    군북역은 경전선에 위치한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에 있는 철도역으로, 1923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97년 새 역사 준공, 2005년 화물 취급 중단, 2012년 역사 이전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국 가대한민국
노선 종류고속국도
노선 번호102
다른 이름남해고속도로 제1지선
총 연장17.88 km
개통1973년 11월 14일
대체 노선해당 없음
서쪽 종점산인 JC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파일:Korea Expressway No.10.svg|20px]] 남해고속도로
분기점 수4
동쪽 종점창원 JC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파일:Korea Expressway No.10.svg|20px]] 남해고속도로
노선 명칭 (한국어)
한글남해고속도로 제1지선
한자南海高速道路第一支線
로마자 표기Namhae Gosok Doro Jeil Jiseon
지도 정보
102 남해 지선
102 남해 지선
주요 경유지
주요 교차 도로

2. 역사

1973년 11월 14일, 남해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으로 처음 개통되었다.[1] 2001년 8월 25일에는 마산외곽고속도로 산인 ~ 창원 구간이 개통되었고,[1] 2008년 11월 17일 이 구간이 남해고속도로로 편입되면서 기존 산인 분기점 ~ 창원 분기점 구간은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으로 분리되었다.[1]

이후 도로 선형 개량 공사가 진행되었다. 2009년 12월 31일 2012년까지 경상남도 마산시 구간 선형 개량을 위해 마산시 합성동 1.8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고,[6] 2012년 6월 29일 2013년까지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간 선형 개량을 위해 마산회원구 합성동 1.3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8]

2010년 12월 28일 도로명주소에 산인 분기점부터 창원 분기점까지 16.15km 구간을 '''남해1지선고속도로'''로 고시하였으며,[7]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종점을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용강리'로 명시하였다.[9]

2. 1. 개통 초기

1972년 1월 남해고속도로 서순천 나들목 ~ 덕천 나들목 구간에 포함되어 착공하여 1973년 11월 14일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에는 왕복 2차로 고속도로였다.[1]

날짜내용
1973년 11월 14일남해고속도로의 일부로 개통[1]
2001년 8월 25일마산외곽고속도로 사린 ~ 창원 구간 개통[1]
2008년 11월 17일남해고속도로제1지선으로 명명, 마산외곽고속도로는 남해고속도로로 명칭 변경[1]


2. 2. 왕복 4차로 확장

교통량 증가로 인해 1978년 5월 부마고속도로, 현재의 창원 분기점 ~ 냉정 분기점과 함께 동마산 나들목에서 현재의 창원 분기점[1]까지 왕복 4차로 확장공사를 착공하여 1981년 9월 4일 개통되었다. 이후 1982년 10월 내서 분기점 ~ 동마산 나들목 확장 공사를 착공하여 1983년 12월 29일 왕복 4차로로 확장 개통되었다. 1986년 10월에는 진주 나들목 ~ 현재의 산인 분기점 구간과 함께 이 구간의 산인 분기점 ~ 내서 분기점 구간의 확장 공사를 착공하여 1989년 9월 7일 왕복 4차로로 확장 개통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 3. 마산외곽고속도로 개통과 지선 분리

2001년 8월 25일에는 기존 남해고속도로 구간과 함께 고속국도의 노선번호를 제6호에서 제10호로 변경하였다.[2]

1996년 착공한 고속국도 제6의3호 마산외곽고속도로(산인 분기점 ~ 북창원 ~ 창원 분기점 구간)가 2001년 11월 8일에 개통되었다. 이때 마산외곽고속도로의 노선번호가 제6의3호에서 제102호로 변경되었으며, 창원 시가지, 마산을 경유하지 않고 부산과 진주를 잇게 되었다.

2001년 말에는 동마산 나들목 구간의 선형을 개량하였다.

2008년 11월 17일에는 마산외곽고속도로가 남해고속도로로 편입됨과 동시에 기존의 남해고속도로 산인 분기점 ~ 창원 분기점 구간이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으로 독립하였고, 노선번호는 102번을 사용하게 되었다.[3]

3. 구성

전 구간 왕복 4차로, 총 연장 17.88km이며, 최고 제한 속도는 100km/h이다.

3. 1. 차로수

전 구간 4차로이다.

3. 2. 총 연장

17.88km

3. 3. 제한 속도

100km/h

4. 나들목 · 분기점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노선도

4. 1. 목록

거리누적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10호선 남해고속도로 직결1산인 분기점Sanin JC-0.0010호선 남해고속도로경상남도함안군함안방향의 경우 남해고속도로(부산방향) 진출 불가능TG산인 요금소Sanin TG본선요금소2내서 분기점Naeseo JC4.28km4.28km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
국도 제5호선 (경남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함마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함마대로)
지방도 제1004호선 (함마대로)
광려천서로·유통단지로창원시창원방향의 경우 중부내륙고속도로(양평방향) 진출 불가능
나들목 역할 병행
나들목의 경우 창원방향 진입, 함안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3서마산W.Masan5.4km9.68km국도 제5호선 (경남대로)
국도 제14호선 (3·15 대로)
국도 제79호선 (3·15 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북성로·삼호로)
호원로4동마산E.Masan3.72km13.4km국도 제14호선 (3·15 대로)
국도 제79호선 (3·15 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3·15 대로)
팔용로TG마산 요금소Masan TG본선요금소5창원 분기점Changwon JC3.55km16.95km10호선 남해고속도로창원방향의 경우 남해고속도로(순천방향) 진출 불가능창원종점0.93km17.88km10호선 남해고속도로 직결



5. 주요 통과지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 두척동 - 회성동 - 합성동 - 구암동) - 창원시 의창구 (소계동 - 동정동 - 소답동 - 동읍)

참조

[1] 문서
[2] 법률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8-25
[3] 법률 대통령령 제21123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4] 법률 대통령령 제1546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7-08-27
[5] 법률 대통령령 제21123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6]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295호 http://gwanbo.mois.g[...] 2009-12-31
[7]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http://gwanbo.mois.g[...] 2010-12-28
[8]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344호 http://gwanbo.mois.g[...] 2012-06-29
[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