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산회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산회원구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의 구이다. 1282년 '회원현'으로 지명이 사용되었으며, 1990년 마산시 회원출장소가 구로 승격되었다가 2000년 폐지되었다. 이후 2010년 창원시, 진해시와 통합하면서 '마산회원구'로 신설되었다. 행정 구역은 1읍 12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산자유무역지역, 창원NC파크, 3·15아트센터 등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구 - 의창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는 1읍 2면 4동으로 구성된 행정구역으로, 경남 행정 및 창원시 교통의 중심지이며 주요 교육 및 문화시설이 위치하고, 2021년 7월 기준 인구는 21만 8,589명이다.
  • 경상남도의 구 - 마산합포구
    창원시 마산합포구는 마산시 인구 증가로 설치, 폐지되었다가 창원시 통합 과정에서 재신설되었으며, 옛 지명 '합포'를 포함한 명칭으로 구산면, 진동면 등 일부 지역을 관할하고 마산어시장, 마산가고파국화축제, 경남 마산로봇랜드와 경남대학교를 포함한 교육 기관이 위치한다.
  • 창원시의 구 - 의창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는 1읍 2면 4동으로 구성된 행정구역으로, 경남 행정 및 창원시 교통의 중심지이며 주요 교육 및 문화시설이 위치하고, 2021년 7월 기준 인구는 21만 8,589명이다.
  • 창원시의 구 - 마산합포구
    창원시 마산합포구는 마산시 인구 증가로 설치, 폐지되었다가 창원시 통합 과정에서 재신설되었으며, 옛 지명 '합포'를 포함한 명칭으로 구산면, 진동면 등 일부 지역을 관할하고 마산어시장, 마산가고파국화축제, 경남 마산로봇랜드와 경남대학교를 포함한 교육 기관이 위치한다.
  • 마산회원구 - 중리역
    중리역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리에 있는 경전선 역으로, 1923년 영업을 시작하여 1998년 역사가 신축되었으며, 현재는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 마산회원구 - 마산역
    마산역은 1905년 월포동에 처음 설치된 후 1977년 석전동으로 이전, 2010년 KTX 운행과 함께 개축되었으며, 현재는 경전선 상의 지상역으로 KTX, SRT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경상남도에서 가장 넓은 역 구내를 갖추고 있다.
마산회원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행정 구역 명칭마산회원구
한글 표기마산회원구
한자 표기馬山會原區
로마자 표기Masanhoewon-gu
면적90.58
통계 연도2023
총 인구179,818
남자 인구89,659
여자 인구90,159
상위 자치 단체창원시
하위 행정 구역11동 1읍
공식 웹사이트마산회원구청 공식 웹사이트
행정 정보
구청장제종남
국회의원윤한홍(국민의힘,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청 소재지마산회원구 삼호로 63 (양덕동 477)
1
행정동11
법정동8

2. 역사

고려 1282년에 '회원현'(檜原縣)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회원'이 지명으로 사용되었으며, 1378년에 지금의 구암동 일대에 합포성이 축조되었다.[1] 비슷한 시기 현재의 마산합포구 자산동 몽고정 부근에 회원현을 중심으로 한 토성이 축조되었다.[1] 조선 태종 때인 1408년에 창원부 서면으로 편입되었고, 1910년 10월 1일 창원부가 마산부로 개칭되었으며,[1] 1949년 8월 15일에 마산시가 설치되었다.[1]

1990년 7월 1일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회원구(會原區)'가 신설되었다.[4] 1995년 1월 1일 창원군이 해체되어 마산시와 통합하면서 창원군내서면이 회원구에 편입되었고, 같은 해 3월 내서읍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인근의 계획도시인 창원시로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어 2000년에 구가 폐지되었다.[5]

2010년 마산시, 창원시, 진해시가 통합하면서, 통합시 명칭을 창원시로 확정하고 국회의원 선거구를 따라 5개 구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구 명칭 공모에서 '회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6] '마산'이라는 지명이 행정구역에서 사라진다는 정서적 위화감 때문에, '마산회원구'라는 구 이름이 최종 결정되었다.[7][8] 2010년 7월 1일 마산시, 창원시, 진해시가 통합하여 창원시 '''마산회원구'''(馬山會原區)가 신설되었다.[9]

2. 1. 1989년 이전

고려 1282년에 '회원현'(檜原縣)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회원'이 지명으로 사용되었으며, 1378년에 지금의 구암동 일대에 합포성이 축조되었다.[1] 비슷한 시기 현재의 마산합포구 자산동 몽고정 부근에 회원현을 중심으로 한 토성이 축조되었다.[1] 조선 태종 때인 1408년에 창원부 서면으로 편입되었고, 1910년 10월 1일 창원부가 마산부로 개칭되었으며,[1] 1949년 8월 15일에 마산시가 설치되었다.[1]

2. 2. 마산시 회원구 (1990-2000)

1990년 7월 1일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회원구(會原區)'가 신설되었다.[4] 1995년 1월 1일 창원군이 해체되어 마산시와 통합하면서 창원군내서면이 회원구에 편입되었고, 같은 해 3월 내서읍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인근의 계획도시인 창원시로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어 1995년 도농통합 직전에는 마산시 인구가 35만 명까지 줄었고, 1997년 창원시가 인구 50만 명을 넘은 후에도 구제를 실시하지 않자, 인구 40만 명의 마산시에 구제를 유지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잇따라 2000년에 구가 폐지되었다.[5]

2. 3. 창원시 마산회원구 (2010-현재)

2010년 창원시와 진해구가 통합하면서, 같은 해 2월 17일 통합시 명칭을 창원시로 확정하고 국회의원 선거구를 따라 5개 구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4월 17일부터 4월 21일까지 실시된 구 명칭 공모에서 당시 마산시 을 선거구에 해당하던 이 지역은 '회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그러나 마산시에 2개 구가 설치되면서 '마산'이라는 지명이 행정구역에서 사라진다는 정서적 위화감 때문에, 2010년 5월 6일 통합준비위원회 제13차 회의에서 '마산'이 포함된 '마산회원구'라는 구 이름이 최종 결정되었다.[7][8] 2010년 7월 1일 마산시, 창원시, 진해시가 통합하여 창원시 '''마산회원구'''(馬山會原區)가 신설되었으며, 이날 마산회원구청에서 개청식이 있었다.[9]

3. 행정 구역

마산회원구는 1개 읍, 12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1개 법정리, 256개 통, 2,141개 반을 포함한다. 2016년 4월 30일 기준으로 면적은 90.58km2이며, 인구 및 세대 현황은 다음과 같다.[10]

행정동한자면적인구세대
내서읍內西邑55.84km271,63324,693
회원1동檜原洞0.73km212,1325,474
회원2동檜原洞3.36km213,2305,712
석전동石田洞0.8km216,1236,993
회성동檜城洞9.55km27,6343,417
양덕1동陽德洞0.77km212,8855,606
양덕2동陽德洞1.73km230,02112,021
합성1동合城洞5.78km27,7483,670
합성2동合城洞1.93km210,0544,887
구암1동龜岩洞2.38km211,0684,728
구암2동龜岩洞0.74km211,2404,479
봉암동鳳岩洞6.16km24,2382,090
합계90.58km2212,00683,770



마산회원구 행정구역도


각 행정동 및 읍의 관할 법정동 및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행정동·읍법정동·법정리
회원1동, 회원2동회원동
석전동석전동
회성동회성동, 두척동
양덕1동양덕동
양덕2동양덕동, 봉암동
합성1동, 합성2동합성동
구암1동, 구암2동구암동
봉암동봉암동, 양덕동
내서읍감천리, 삼계리, 상곡리, 신감리, 안성리, 용담리, 원계리, 중리, 평성리, 호계리


3. 1. 내서읍

내서읍은 마산회원구의 읍 중 하나로, 면적은 55.84km2이다. 2016년 4월 30일 기준으로 인구는 71,633명, 세대는 24,693 세대이다.[10] 내서읍은 감천리, 삼계리, 상곡리, 신감리, 안성리, 용담리, 원계리, 중리, 평성리, 호계리의 10개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3. 2. 행정동

마산회원구는 1개 읍, 12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6년 4월 30일을 기준으로 마산회원구의 면적은 90.58 km2이며, 인구와 세대는 다음과 같다.[10]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내서읍內西邑55.8471,63324,693
회원1동檜原洞0.7312,1325,474
회원2동檜原洞3.3613,2305,712
석전동石田洞0.8016,1236,993
회성동檜城洞9.557,6343,417
양덕1동陽德洞0.7712,8855,606
양덕2동陽德洞1.7330,02112,021
합성1동合城洞5.787,7483,670
합성2동合城洞1.9310,0544,887
구암1동龜岩洞2.3811,0684,728
구암2동龜岩洞0.7411,2404,479
봉암동鳳岩洞6.164,2382,090
마산회원구90.58212,00683,770



각 행정동·읍별 관할 법정동·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행정동·읍법정동·법정리
회원1동회원동
회원2동회원동
석전동석전동
회성동회성동, 두척동
양덕1동양덕동
양덕2동양덕동, 봉암동
합성1동합성동
합성2동합성동
구암1동구암동
구암2동구암동
봉암동봉암동, 양덕동
내서읍감천리, 삼계리, 상곡리, 신감리, 안성리, 용담리, 원계리, 중리, 평성리, 호계리


4. 인구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해당하는 영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11]

연도총인구
2010년227,450명
2015년211,791명
2020년193,975명


5. 주요 시설

마산회원구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설들이 있다.

5. 1. 생활 편의 시설

5. 2. 교통

5. 3. 산업

5. 4. 문화 및 여가 시설

5. 5. 언론

5. 6. 교육

6. 자매 결연 도시


  • Maryland|메릴랜드영어
  • Stavanger|스타방에르no
  • 안양시
  • 豊岡市|도요오카 시일본어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간행물 마산시조례 제1590호 1990-06-09
[5] 간행물 마산시조례 제360호 1999-03-17
[6] 뉴스 통합 창원시 구명칭, '의창-성산-합포-회원-진해구' 유력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10-04-22
[7] 뉴스 창원시 5개 구청 명칭·위치 월말 결정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10-04-09
[8] 뉴스 통합창원시 구청이름 결정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05-07
[9] 뉴스 통합창원시, 마산회원구청 개청식으로 마산시 거듭 태어나... http://www.hg-times.[...] 한강타임즈 2010-07-01
[10] 웹사이트 월별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stat.changwon[...] 2012-07-11
[11] 웹사이트 창원시 정보통계시스템 http://stat.changw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