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작머리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납작머리삵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수마트라, 보르네오, 말레이 반도 남부의 저지대 열대 우림에 서식한다. 1827년에 처음 학명이 명명되었으며, 한때 어류고양이와 함께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별도의 종으로 인정받고 있다. 납작한 머리와 짧은 다리,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진 것이 특징이며, 주로 물고기를 먹고 산다. 서식지 파괴, 과도한 어획, 덫 등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으며,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삵속 - 쓰시마삵
쓰시마삵은 쓰시마섬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삵으로, 흰색 귓속 반점을 가지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IUCN 적색 목록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되고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삵속 - 이리오모테삵
이리오모테삵은 일본 이리오모테섬에 서식하는 삵의 아종으로, 짙은 회색 또는 옅은 갈색 털색과 굵은 다리가 특징인 야행성 육식 동물이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일본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1827년 기재된 포유류 - 수마트라오랑우탄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에 서식하며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날씬하고 붉은 털을 가졌으며 과일을 선호하고 도구를 사용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1827년 기재된 포유류 - 오록스
오록스는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인도 아대륙에 서식했던 멸종된 소과 동물이며, 17세기에 멸종되었으나 오록스를 되살리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 보르네오섬의 포유류 - 수마트라코뿔소
수마트라코뿔소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에서 발견된 가장 작은 코뿔소 종으로, 두 개의 뿔과 털이 많으며 멸종 위기에 놓여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보르네오섬의 포유류 - 보르네오구름표범
보르네오구름표범은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는 회색빛 노란색 또는 회색 몸에 구름 모양 얼룩무늬가 있는 고양이과 포유류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납작머리삵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류 | |
속 | 삵속 |
종 | 납작머리삵 (P. planiceps) |
학명 | Prionailurus planiceps |
명명자 | (비고르스 & 호스필드, 1827) |
보전 상태 | |
IUCN | 취약종 |
CITES | 부속서 I |
IUCN 평가 연도 | 2015년 |
IUCN ID | 18148 |
형태 및 크기 | |
몸길이 | 41~50 cm |
꼬리 길이 | 13~15 cm |
몸무게 | 1.5~2.5 kg |
분포 | |
![]() | |
참고 문헌 |
2. 분류
계통 발생 분석은 모든 고양이과 종의 조직 표본에서 추출한 핵 DNA를 통해 이들의 진화적 방산이 미오세에 아시아에서 시작되었음을 밝혀냈다.[8][9] 고양이과 종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따르면 대략 1676만 년 전~646만 년 전에 방산이 일어났다.[10]
두 모델 모두 붉은점박이삵(''P. rubiginosus'')가 ''Prionailurus'' 계통에서 가장 먼저 유전적 분화를 거친 고양이였으며, 그 뒤를 납작머리삵과 고기잡이삵이 따랐다는 데 동의한다.[8][10] 이는 삵(''P. bengalensis'')과 함께 431만 년 전~174만 년 전[8]에서 425만 년 전~2만 년 전 사이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10]
2. 1. 학명 및 명명
니컬러스 에일워드 비고스와 토마스 호스필드는 1827년 수마트라에서 수집된 납작머리삵 표본의 가죽을 처음 묘사하며 학명 ''Felis planiceps''를 제안했다.[12] 1858년 니콜라이 세베르초프는 아시아 원산의 점박이 고양이를 위한 속명으로 ''Prionailurus''를 제안했고, 납작머리삵을 위해 속명 ''Ictailurus''를 제안했다.[3]1951년, 엘러먼과 테렌스 모리슨-스코트는 납작머리삵을 어류고양이(''P. viverrinus'')와 함께 묶어 로우어 시암, 파타니, 말레이시아 연방, 수마트라, 보르네오에 서식한다고 추정했다.[4] 1961년 잉그리드 바이겔은 야생 고양이와 집 고양이의 털 무늬를 비교하여 ''Prionailurus'' 속에 속하게 했다.[5] 1997년 고양이 종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에 대한 연구 이후 ''Ictailurus''로 분류되었으나,[6] 오늘날에는 여전히 ''Prionailurus'' 종으로 간주된다.[2][7]
2. 2. 계통 분류
다음은 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30]{| class="wikitable"
|-
! 고양이과
|-
|
{| class="wikitable"
|-
! 고양이아과
|-
|
{| class="wikitable"
|-
! ''Prionailurus''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납작머리삵은 머리 윗부분이 적갈색이고, 몸은 짙은 적갈색을 띠며 배는 얼룩덜룩한 흰색이다. 얼굴은 몸보다 밝은 색이며, 주둥이와 턱은 흰색이다. 눈 사이 코 양쪽에는 두 줄의 뚜렷한 황갈색 흰색 줄무늬가 있다. 둥근 귀를 가지고 있으며, 눈은 서로 가깝게 붙어 있어 입체시가 향상되었다. 이빨은 잘 발달된 턱 근육과 함께 미끄러운 먹이를 잡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리는 비교적 짧으며, 발톱의 발톱집 크기가 줄어들어 약 3분의 2가 밖으로 드러나 있다.[11] 납작한 두개골은 코를 따라 주둥이 끝까지 뻗어 있으며, 주둥이 측면은 옆으로 넓어져 있다. 머리 자체는 길고 원통형이며, 이빨은 유난히 길다. 몸은 가늘고, 사지는 섬세하고 길다.[12]
납작머리삵의 분포는 태국 최남단,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 보르네오의 저지대 열대 우림으로 제한된다. 주로 해안 및 저지대 지역 근처의 담수 서식지에 서식한다. 기록의 70% 이상이 물에서 3km 이내에서 수집되었다.[15]
납작머리삵은 주로 습지와 저지대 숲의 파괴와 환경 파괴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13] 이러한 서식지 파괴는 정착지, 농장, 농업 및 양식업을 위한 자연 서식지의 전환과 맹그로브의 벌채로 인해 발생한다. 습지에서의 과도한 어획과 야자유 농장의 확장은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된다.[1] 우발적인 덫도 위협이 되는데,[11] 일부 납작머리삵이 가축 가금류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덫에 걸린 것으로 보고되었다.[13] 자동차와의 충돌과 집고양이와의 경쟁 또한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16]
납작머리삵은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다.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서는 사냥과 거래가 금지되어 있으며, 모든 분포 국가에서 국가 법률에 의해 완전히 보호받고 있다.[1]
[1]
간행물
Prionailurus planiceps
2015
|-
| '''납작머리삵'''
|}
|-
| 붉은점박이삵
|}
|}
|-
! ''마눌속''
|-
| 마눌
|}
|-
! 기타 고양이아과 계통
|}
|-
! 표범아과
|}
|}
니컬러스 에일워드 비고스와 토마스 호스필드는 수마트라에서 수집된 납작머리삵 표본의 가죽을 처음 묘사하며 학명 ''Felis planiceps''를 제안했다.[12] 1858년 니콜라이 세베르초프는 아시아 원산의 점박이 고양이를 위한 속명으로 ''Prionailurus''를 제안했고, 납작머리삵을 위해 속명 ''Ictailurus''를 제안했다.[3]
1951년, 엘러먼과 테렌스 모리슨-스코트는 납작머리삵을 고기잡이삵(''P. viverrinus'')과 함께 묶어, 로우어 시암, 파타니, 말레이시아 연방, 수마트라, 보르네오에 서식한다고 추정했다.[4] 1961년 잉그리드 바이겔은 야생 고양이와 집 고양이의 털 무늬를 비교하여 ''Prionailurus'' 속에 속하게 했다.[5] 1997년 고양이 종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에 대한 연구 이후 ''Ictailurus''로 분류되었다.[6] 오늘날, 여전히 ''Prionailurus'' 종으로 간주된다.[2][7]
계통 발생 분석은 모든 고양이과 종의 조직 표본에서 추출한 핵 DNA를 통해 이들의 진화적 방산이 미오세에 아시아에서 시작되었음을 밝혀냈다.[8][9] 고양이과 종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따르면 대략 1676만 년 전~646만 년 전에 방산이 일어났다.[10]
두 모델 모두 붉은점박이삵(''P. rubiginosus'')가 ''Prionailurus'' 계통에서 가장 먼저 유전적 분화를 거친 고양이였으며, 그 뒤를 납작머리삵과 고기잡이삵이 따랐다는 데 동의한다.[8][10] 이는 삵(''P. bengalensis'')과 함께 431만 년 전~174만 년 전[8]에서 425만 년 전~2만 년 전 사이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10]
3. 형태
앞쪽 위쪽 앞어금니는 다른 고양이에 비해 크고 날카롭다. 발의 발가락 사이 물갈퀴는 흙이 많은 환경과 물에서 고양이가 더 나은 견인력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13]
머리에서 몸까지의 길이는 41cm~50cm이고 꼬리는 짧아 13cm~15cm이다.[11] 몸무게는 1.5kg~2.5kg이다.[14]
4. 분포 및 서식지
말레이 반도에서는 2013년 파소 산림 보호구역에서 납작머리삵이 기록되었으며, 야자유 농장에서 1.5km 이내에 있었다.[16] 파소 산림 보호구역에는 주요 강이나 호수가 없고 일반적으로 언덕 딥테로카르푸스림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발견은 납작머리삵의 잠재적 서식지 범위에 대한 새로운 증거를 제공한다. 이 보호구역은 이전에 출판된 종 분포 모델에서 낮은 발생 확률로 평가되었다.[15]
수마트라에서는 2015년에 캄파르 반도에서 처음으로 무인 카메라에 의해 납작머리삵이 기록되었다. 2019년까지 해발 1m에서 7m 사이의 이 이탄 습지림에서 총 11건의 기록이 얻어졌으며, 강이나 운하에서 최대 1.2km 떨어져 있었다.[17]
칼리만탄에서는 사방가우 국립공원 인근 해발 20m 이하의 혼합 습지림과 높은 내륙림에서 납작머리삵이 기록되었다.[18] 사라왁에서는 2013년 말루담 국립공원의 말루담 강둑에서 납작머리삵이 목격되고 사진이 촬영되었다. 울루 세부야우 국립공원에서는 납작머리삵이 사라왁 강에서 80m 이내에서 기록되었다.[19]
5. 생태 및 행동
납작머리삵은 습한 지역의 빽빽한 초목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연구하기가 어렵다. 카메라 트랩 사진은 드물다.[20] 칼리만탄에서 기록된 납작머리삵은 주로 밤에 활동했다.[18] 이들은 아마도 단독 생활을 하며, 냄새 표지를 통해 자신의 활동 영역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육 상태에서 암컷과 수컷 모두 웅크린 자세로 앞으로 걸어가면서 소변을 뿌려 땅에 흔적을 남긴다.[21] 일화적인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이들은 야행성이지만, 한 성체 암컷은 황혼에 활동적이었으며, 08:00~11:30과 18:00~22:00 사이에 가장 활발했다.[11]
말레이시아 강둑에서 사살된 성체의 위 내용물은 오직 물고기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너구리처럼 물건을 씻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살아있는 물고기를 쉽게 잡으며, 머리를 완전히 물에 담그고, 물고기를 최소 2m 떨어진 곳으로 옮겨갔는데, 이는 수생 먹이가 물로 도망가는 것을 막기 위한 먹이 전략을 시사한다. 사육된 개체들은 마른 땅보다 물속의 잠재적 먹이에 훨씬 더 큰 관심을 보이며, 이는 자연 서식지에서 강가의 사냥을 선호한다는 것을 시사한다.[22] 이들의 형태학적 특성은 식단이 주로 물고기로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하지만, 개구리를 사냥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갑각류를 잡는 것으로 생각된다.[11] 또한 쥐와 닭을 잡기도 한다.[13]
납작머리삵 새끼의 발성은 집고양이와 유사했다. 성체의 발성 레퍼토리는 완전히 분석되지 않았지만, 이들은 골골거리고 다른 짧은 거리의 발성을 한다.[23]
임신 기간은 약 56일이다. 사육 상태에서 기록된 세 번의 출산 중 한 번은 두 마리의 새끼로 구성되었고, 다른 두 번은 한 마리였다. 사육된 두 개체는 14년 동안 생존했다.[11][13]
6. 위협 요인
7. 보전 상태
참조
[2]
서적
MSW3
[3]
논문
Notice sur la classification multisériale des Carnivores, spécialement des Félidés, et les études de zoologie générale qui s'y rattachent
https://archive.org/[...]
[4]
서적
Checklist of Palaearctic and Indian mammals 1758 to 1946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5]
논문
Das Fellmuster der wildlebenden Katzenarten und der Hauskatze in vergleichender und stammesgeschichtlicher Hinsicht
[6]
논문
Phylogenetic reconstruction of the Felidae using 16S rRNA and NADH-5 mitochondrial genes
https://zenodo.org/r[...]
[7]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8]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zenodo.org/r[...]
[9]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Oxford University Press
[10]
논문
Phylogenomic evidence for ancient hybridization in the genomes of living cats (Felidae)
[11]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논문
Description of two Species of the genus Felis, in the collection of the Zoological Society
https://archive.org/[...]
[13]
서적
Wild Cat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SSC Cat Specialist Group
[14]
서적
A Photographic Guide to Mammals of South-east Asia including Thailand, Malaysia, Singapore, Myanmar, Laos, Cambodia, Vietnam, Java, Sumatra, Bali and Borneo
New Holland
[15]
논문
Modelling the Species Distribution of Flat-headed Cats (Prionailurus planiceps), an Endangered South-East Asian Small Felid
[16]
논문
First Photographic Evidence of Flat-Headed Cats (Prionailurus planiceps) in Pasoh Forest Reserve, Peninsular Malaysia
[17]
논문
First records of the flat-headed cat Prionailurus planiceps on the Kampar Peninsula, Sumatra, Indonesia
[18]
논문
Small cat surveys: 10 years of data from Central Kalimantan, Indonesian Borneo
[19]
논문
New records of the Flat-headed Cat Prionailurus planiceps (Vigors & Horsfield, 1827) (Mammalia: Carnivora: Felidae) in western Sarawak, Malaysia
[20]
뉴스
Mysterious, at risk, understudied flat-headed cat lacks conservation focus
https://news.mongaba[...]
Mongabay
2024-05-29
[21]
서적
Cat behaviour. The predatory and social behaviour of domestic and wild cats
Garland STPM Press
[22]
논문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observations of Felis planiceps
[23]
논문
Das Schnurren der Katzen
[24]
논문
Time budget and activity patterns during the mating period of Flat-headed Cat Prionailurus planiceps in captivity
https://li01.tci-tha[...]
[25]
서적
MSW3
[26]
저널 인용
Modelling the Species Distribution of Flat-Headed Cats (Prionailurus planiceps), an Endangered South-East Asian Small Felid
[27]
간행물
[28]
서적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29]
웹사이트
Captive Prionailurus planiceps.
http://app.isis.org/[...]
International Species Information System
2011
[30]
저널 인용
The Evolution of CATS
http://sehrg.at.ua/_[...]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