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티비쿠테스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가티비쿠테스강은 3개의 목, 4개의 과, 32개의 속으로 구성된 세균 분류군이다. 16S rRNA 유전자 서열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 이전 분류 체계가 수정되었으며, 현재는 분자 마커와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통해 분류가 이루어진다. 이 강은 바실로타 내의 독립적인 강으로 간주되며, 클로스트리디아가 가장 가까운 계통발생학적 이웃으로 여겨진다. 분류는 LPSN과 NCBI를 기반으로 하며, 16S rRNA와 단일 복사 마커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계통 발생 정보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테오박테리아 -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는 해양 환경에서 철을 산화시키며 독특한 형태를 형성하고 미생물 매트 형성에 기여하는 등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프로테오박테리아 강이다. - 프로테오박테리아 - 철산화 세균
철 산화 세균은 철을 산화시켜 에너지를 얻는 다양한 미생물로, 여러 환경에서 발견되며, 무산소 광합성, 철(II) 산화, 질산염 의존성 산화 등의 대사 방식을 통해 철을 산화시키고, 지구 초기 생명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기후 변화와 수자원 기반 시설에도 영향을 주고 철 이온이나 망가니즈 이온 제거에도 활용된다. - 그람 음성균 - 살모넬라
살모넬라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그람음성 간균 속으로, 두 종과 2,500개 이상의 혈청형이 존재하며, 오염된 식품 섭취를 통해 식중독 및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식품 가열 조리 및 위생 관리, 장티푸스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항생제 내성 문제도 존재한다. - 그람 음성균 - 리케차
리케차는 사람에게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의 한 종류이며, 혈관 내피 세포에 침투하여 손상을 입히고,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항생제로 치료하며, 로키산 홍반열 등을 연구하다 사망한 하워드 테일러 리케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네가티비쿠테스강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문 분야 | 세균학 |
도메인 | 세균 |
문 | 후벽균문 |
아칭 오타와 | 오렌, 파르테 & 가리티 2016 |
Selenobacteria | 카발리에-스미스 1992 스타트. 노브. 카발리에-스미스 2006 |
학술적 분류 | |
강 | 네가티비쿠테스강 |
명명자 | Marchandin et al. 2010 |
하위 분류 계급 | 목 및 과 |
하위 분류 | 셀레노모나스목 셀레노모나스과 스포로무사과 아키다미노코쿠스목 아키다미노코쿠스과 베이요넬라목 베이요넬라과 |
2. 분류
현재 네가티비쿠테스강은 3개의 목과 4개의 과에 걸쳐 32개의 유효한 속으로 구성되어 있다.[6][7] Veillonellales목과 Acidaminococcales목은 각각 Veillonellaceae과와 Acidaminococcaceae과를 포함하고 있으며, Selenomonadales목은 Selenomonadaceae과와 Sporomusaceae과를 포함하고 있다.[7]
과거 네가티비쿠테스강은 16S rRNA 유전자 서열 유사성을 기반으로 셀레노모나달레스목, 베일로넬라과, 아시도아미노코카과의 두 과로 구성되었다.[8][5] 그러나 이러한 분류에는 두 과 바깥쪽으로 분지하는 네가티비쿠테스강의 여러 구성원이 포함되지 않았다. 현재의 분류학적 관점은 수정된 셀레노모나달레스목 내에서 셀레노모나다과와 스포로무스과에 유효하게 할당된 이러한 구성원을 포함한다.[7] 보존된 시그니처 인델(CSI)과 단백질 (CSP) 형태의 분자 마커는 현재의 분류학적 구분을 뒷받침한다. 이러한 분자 마커는 각 분류학적 계급에서 발견되며, 그 분포는 관찰된 계통발생 분지와 일치한다.[9][10]
현재 네가티비쿠테스강은 3개의 목과 4개의 과에 걸쳐 32개의 유효한 속으로 구성되어 있다.[6][7] 베일로넬라목과 아시도아미노코칼레스목은 각각 베일로넬라과와 아시도아미노코카세아과를 포함하고 있으며, 셀레노모나달레스목은 셀레노모나스과와 스포로무사과를 포함하고 있다.[7]
3. 분자적 특징
많은 연구에서 네가티비쿠테스강이 근접한 계통발생 분기, 네가티비쿠테스강의 세균 포자 형성 구성원이 클로스트리디아와 유사한 포자 형성 유전자를 공유하고 둘 다 그람 음성으로 염색된다는 관찰을 기반으로 클로스트리디아강 내의 목으로 재분류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9][10] 그러나 네가티비쿠테스강 내 구성원의 이질성, 그리고 분자 시그니처의 분포는 네가티비쿠테스강이 실제로 바실로타 내의 독립적인 강이며 클로스트리디아가 가장 가까운 계통발생학적 이웃이라는 견해를 지지한다.[5][10][11][12] 또한, 네가티비쿠테스강 전체에서 고유하게 공유되는 여러 CSI와 CSP가 발견되었지만, 네가티비쿠테스강과 클로스트리디아에서 모두 공유되는 CSI는 발견되지 않았다.[7]
4. 계통 발생
과거 네가티비쿠테스강은 16S rRNA 유전자 서열 유사성을 기반으로 셀레노모나달레스목, 베일로넬라과, 아시도아미노코카과로 구성되었다.[8][5] 그러나 이 분류에는 셀레노모나스과와 스포로무사과에 속하는 구성원들이 포함되지 않았다. 현재는 수정된 셀레노모나달레스목에 이들을 포함한다.[7] 보존된 시그니처 인델(CSI)과 단백질(CSP) 형태의 분자 마커는 이러한 분류를 뒷받침하며, 각 분류군에서 발견되는 분포는 계통발생 분지와 일치한다.[9][10]
네가티비쿠테스강이 클로스트리디아강 내의 목으로 재분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다. 이는 네가티비쿠테스강과 클로스트리디아의 계통발생학적 근접성, 세균 포자 형성 유전자 공유, 그람 음성 염색 등의 특징을 근거로 한다.[9][10] 그러나 네가티비쿠테스강 구성원의 이질성과 분자 시그니처 분포는 네가티비쿠테스강이 독립적인 강이며, 클로스트리디아가 가장 가까운 계통발생학적 이웃이라는 견해를 지지한다.[5][10][11][12] 네가티비쿠테스강에서 공유되는 CSI와 CSP는 발견되었지만, 네가티비쿠테스강과 클로스트리디아에서 모두 공유되는 CSI는 발견되지 않았다.[7]
4. 1. 계통수
명명법에 따른 원핵생물 이름 목록(LPSN)[13]과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14]에 기반한 분류는 다음과 같다.
16S rRNA 기반 LTP_08_2023[15][16][17] | 120개의 단일 복사 마커 단백질 기반 GTDB 08-RS214[18][19][20] |
---|---|
style="vertical-align:top| |
참조
[1]
논문
A phylum level perspective on bacterial cell envelope architecture
https://www.scienced[...]
[2]
논문
Origin of diderm (Gram-negative) bacteria: antibiotic selection pressure rather than endosymbiosis likely led to the evolution of bacterial cells with two membranes
[3]
논문
Comparative proteome analysis of Acidaminococcus intestini supports a relationship between outer membrane biogenesis in Negativicutes and Proteobacteria
https://nrl.northumb[...]
[4]
논문
Peptidoglycan remodeling and conversion of an inner membrane into an outer membrane during sporulation
[5]
논문
"Negativicoccus succinicivorans gen. nov., sp. nov., isolated from human clinical samples, emended description of the family Veillonellaceae and description of Negativicutes classis nov., Selenomonadales ord. nov. and Acidaminococcaceae fam. nov. in the bacterial phylum Firmicutes"
[6]
웹사이트
Negativicutes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taxonomy database"
2013-03-20
[7]
논문
Genome-based taxonomic framework for the class Negativicutes: division of the class Negativicutes into the orders Selenomonadales emend., Acidaminococcales ord. nov. and Veillonellales ord. nov.
[8]
서적
Revised road map to the phylum Firmicutes
"Springer-: New York"
[9]
논문
A genomic update on clostridial phylogeny: Gram-negative spore formers and other misplaced clostridia
[10]
논문
Veillonella, Firmicutes: Microbes disguised as Gram negatives
[11]
서적
The family Veillonellaceae
"Springer-: Berlin, Heidelberg"
[12]
논문
The SILVA and "All-species Living Tree Project (LTP)" taxonomic frameworks
[13]
웹사이트
Negativicutes
https://lpsn.dsmz.de[...]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2022-09-09
[14]
웹사이트
Negativicutes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taxonomy database"
2022-09-09
[15]
웹사이트
The LTP
https://imedea.uib-c[...]
2023-11-20
[16]
웹사이트
LTP_all tree in newick format
https://imedea.uib-c[...]
2023-11-20
[17]
웹사이트
LTP_08_2023 Release Notes
https://imedea.uib-c[...]
2023-11-20
[18]
웹사이트
GTDB release 08-RS214
https://gtdb.ecogeno[...]
2023-05-10
[19]
웹사이트
bac120_r214.sp_label
https://data.gtdb.ec[...]
2023-05-10
[20]
웹사이트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3-05-10
[21]
논문
Negativicoccus succinicivorans gen. Nov., sp. Nov., isolated from human clinical samples, emended description of the family Veillonellaceae and description of Negativicutes classis nov., Selenomonadales ord. Nov. And Acidaminococcaceae fam. Nov. In the bacterial phylum Firmicutes
[22]
문서
"クロストリジウム綱はかなりの数のグラム陰性菌を含むが、グラム陰性菌であってもハラナエロビウム目を除き外膜を持たない"
[23]
논문
A phylum level perspective on bacterial cell envelope architecture
http://www.sciencedi[...]
[24]
논문
Comparative proteome analysis of Acidaminococcus intestini supports a relationship between outer membrane biogenesis in Negativicutes and Proteobacteria
https://link.springe[...]
[25]
논문
Origin of diderm (Gram-negative) bacteria: antibiotic selection pressure rather than endosymbiosis likely led to the evolution of bacterial cells with two membranes
[26]
논문
Phylogenomic analysis supports the ancestral presence of LPS-outer membranes in the Firmicutes.
[27]
논문
Leaving negative ancestors behind
[28]
논문
A phylum level perspective on bacterial cell envelope architecture
https://www.scienced[...]
[29]
논문
Origin of diderm (Gram-negative) bacteria: antibiotic selection pressure rather than endosymbiosis likely led to the evolution of bacterial cells with two membranes
[30]
논문
Comparative proteome analysis of Acidaminococcus intestini supports a relationship between outer membrane biogenesis in Negativicutes and Proteobacteria
https://nrl.northumb[...]
[31]
논문
Peptidoglycan remodeling and conversion of an inner membrane into an outer membrane during sporul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