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르빈덴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르빈덴 전투는 1793년 3월 18일 프랑스 혁명 전쟁 중 일어난 전투로,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오스트리아군에게 패배하며 벨기에에서 철수하게 된 사건이다. 프랑스군은 제마페 전투에서 승리하며 벨기에 대부분을 점령했으나, 네덜란드 침공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오스트리아의 반격을 받았다. 뒤무리에는 네덜란드 침공을 우선시하며 병력 분산, 보급 문제, 정치적 혼란 등으로 인해 전투에서 패배했다.

전투 이후, 뒤무리에는 오스트리아와 협상하여 안전한 철수를 보장받았지만, 프랑스 혁명 정부에 대한 불신과 쿠데타를 계획하다 실패하고 망명했다. 이 사건은 프랑스 혁명 정부에 큰 위기를 초래했으며, 군 내부의 분열을 심화시키고 자코뱅파의 군대 통제를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뒤무리에의 배신은 파견 의원 제도를 통해 군 지휘관에 대한 감시와 통제를 강화하여 공포 정치의 시작을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3년 분쟁 - 방데 전쟁
    방데 전쟁은 프랑스 혁명 전쟁 중 1793년부터 1796년까지 프랑스 서부 방데 지역에서 혁명 정부의 정책에 반발한 농민 반란으로 시작된 내전으로, 혁명 정부의 잔혹한 진압과 대량 학살 논쟁을 야기하며 프랑스 혁명의 폭력성과 종교·정치적 갈등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아있다.
  • 1793년 분쟁 - 프랑스 혁명
    프랑스 혁명은 1789년부터 1799년까지 프랑스에서 앙시앵 레짐의 모순, 재정 위기, 계몽 사상, 민중의 불만 등으로 발생한 사회적, 정치적 격변기로, 자유, 평등, 박애라는 혁명 정신을 유럽에 전파했다.
네르빈덴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전투명네르빈덴 전투
전쟁프랑스 혁명 전쟁
전역플랑드르 전역
시기1793년 3월 18일
장소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네르빈덴 근처
결과연합군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합스부르크 군주국
네덜란드 공화국
교전국 2프랑스 제1공화국
지휘관
연합군 지휘관프리드리히 요시아스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자
프랑스군 지휘관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
병력 규모
연합군39,000–43,000명
프랑스군40,000–47,000명
피해 규모
연합군2,859–3,000명
프랑스군4,000–5,000명
시각 자료
네르빈덴 전투 (1793)
네르빈덴 전투, 요한 네포무크 가이거 작, 19세기

2. 배경

1793년 3월 18일 벌어진 네르빈덴 전투는 프랑스 혁명 전쟁 초기,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가 이끄는 프랑스군과 프리드리히 요시아스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이 이끄는 오스트리아-네덜란드 연합군 사이에 벌어진 중요한 전투였다. 이 전투는 프랑스군의 패배로 끝나면서, 프랑스의 벨기에 점령이 종식되고 연합군의 반격이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1793년 3월 15일, 뷔르셀 방향 마스트리흐트에서 진격해 온 코부르크 공작의 오스트리아군은 티넌에서 급히 소집된 프랑스군과 마주쳐 네르빈덴과 네를란던 사이에 자리를 잡았다. 3월 18일 전초전 후, 코부르크는 리쿠흐와 도말 사이로 후퇴해 전열을 정비하고, 티넌에서 프랑스군에게 포위되는 것을 피했다.[1]

뒤무리에는 병력의 질에서 오스트리아군에게 밀리는 상황에서 평지에서 전투를 벌여야 했다. 훈련이 부족한 프랑스군은 개별적으로는 열정적이었지만, 평야 지대에서는 숙련된 오스트리아군에게 불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승산이 적은 전투를 시도하는 것은 위험했고, 혁명군의 후퇴는 궤멸로 이어질 수 있었다.[2]

결국 네르빈덴 전투는 프랑스군에게 큰 재앙으로 이어졌다. 이 전투는 훈련이 부족한 부대로 18세기 전투 상황에서 불가능한 임무를 수행하려 한 결과였다. 이후 프랑스군은 상 퀼로트를 활용한 새로운 전투 방법을 발전시켰다. 뒤무리에는 전투 이후 연합군 측으로 망명했다.[3]

2. 1. 프랑스의 벨기에 점령

1792년 11월 6일,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제마페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했다. 프랑스군은 보병 4만 명, 기병 3천 명, 대포 100문으로 오스트리아군(보병 11,628명, 기병 2,168명, 대포 56문)에 비해 압도적인 수적 우위를 보였다.[1] 한 달 안에 프랑스군은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오늘날 벨기에) 대부분을 점령했다.

장-밥티스트 시루스 드 발랑스가 이끄는 아르덴 육군은 뫼즈강을 따라 위로 진격했고, 루이-오귀스트 쥐베날 데르생 다르빌 휘하의 부대가 나뮈르를 포위했다. 뒤무리에는 벨기에 육군을 이끌고 리에주를 점령했다.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가 지휘하는 북부 육군은 앤트워프를 포위했고, 아스에서 뢰벤까지 행군한 브누아 게랭 드 베르네론 휘하의 부대가 합류했다.[2]

메헬렌은 1792년 11월 16일 앙리 크리스티앙 미셸 드 스텐겔과 6천 명의 프랑스군에게 항복했고, 오스트리아 뷔르템베르크 보병 연대 제38연대 1개 대대는 자유롭게 떠날 수 있었다. 11월 27일, 스텐겔은 리에주 근처 포루-레-리에르에서 안톤 슈타라이와 오스트리아군 4개 대대를 상대로 승리했다. 앤트워프는 11월 29일 미란다의 보병 17,600명과 기병 1,245명에게 함락되었다. 오스트리아 수비대는 2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을 입은 후 항복했다. 프랑스군은 대포 57문, 3파운드 연대포 50문, 머스킷총 3,150정, 화약 1,523톤을 노획했다.[3] 나뮈르 수비대(2,599명)는 12월 2일 발랑스와 다르빌에게 항복했다. 오스트리아 수비대는 킨스키 보병 연대 제36연대 2개 대대, 비르세 1개 대대, 르 루프 예거 대대 2개 중대, 에스테르하지 후사르 연대 제32연대 1개 반 소대, 포병 90명이었다. 다르빌의 사단은 보병 13,256명, 기병 1,425명, 포병 266명으로 구성되었다.[4]

2. 2. 오스트리아의 반격과 뒤무리에의 네덜란드 침공

1792년 11월 6일,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쥐마프 전투에서 알베르트 카지미르 폰 작센테셴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에게 승리했다. 당시 프랑스군은 보병 4만, 기병 3천, 대포 100문을 보유하여, 보병 11,628, 기병 2,168, 대포 56문의 오스트리아군보다 수적으로 매우 우세했다. 이후 한 달 만에 프랑스군은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현재 벨기에)의 거의 전 지역을 점령했다. 우익에서는 장-바티스트 시르스 드 발랑스가 이끄는 아르덴느 방면군이 마스 강을 따라 위로 진군했고, 도중에 나뮈르를 포위하기 위해 루이-오귀스트 쥐베날 데 우르생 다르빌이 이끄는 군세를 파견했다. 뒤무리에 자신은 벨기에 방면군과 함께 리에주를 점령했으며,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가 이끄는 북방군은 안트베르펜을 포위했다. 브누아 게랭 드 베르네론이 이끄는 부대는 먼저 아토에서 북동쪽의 루뱅으로 진군한 후 미란다와 합류했다.[7]

1792년 11월 16일, 메헬렌은 앙리 크리스티앙 미셸 드 스텐겔이 이끄는 프랑스군 6천 명에게 항복했고, 주둔군인 오스트리아 제38 뷔르템베르크 보병 연대의 1개 대대는 메헬렌에서 철수할 수 있었다. 27일, 스텐겔은 벨기에 방면군에서 보병 8천 명을 이끌고 리에주 근처의 보루-레즈-리에르에서 안톤 스타라이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 4개 대대와 소규모 전투에서 승리했다. 안트베르펜은 미란다의 보병 17,600명과 기병 1,245명을 앞에 두고 11월 29일에 항복했다. 오스트리아 주둔군은 제17 호엔로에 연대의 제1대대, 제59 피어제트 연대의 2개 중대, 뷔르츠부르크 보병 연대의 4개 중대, 그리고 포병 140명이었지만, 전사 2명과 부상 4명의 손실을 입은 후에 항복했다. 프랑스군은 대포 57문, 3파운드 연대포 50문, 머스킷총 3,150정, 화약 1,523핸드레드웨이트를 노획했다. 요한 도미니크 폰 모이텔레가 이끄는 나뮈르 주둔군(제36 킨스키 보병 연대의 2개 대대, 제59 피어제트 보병 연대의 1개 대대, 르 루사수 대대의 2개 중대, 제32 에스테르하지 후사르 연대의 반개 대대, 포병 90명으로 총 2,599명)은 4주 동안 저항한 후 12월 2일에 발랑스와 다르빌에게 항복했다. 다르빌이 이끄는 군세는 보병 13,256명, 기병 1,425명, 포병 266명이었다.[7]

뒤무리에는 오스트리아군을 라인강 서안에서 몰아낼 기회가 있었지만, 자신의 계획인 네덜란드 공화국 침공을 실행하기로 했다. 그는 네덜란드에 선전 포고를 하고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을 중립으로 유지하려 했지만, 프랑스 정부는 1793년 2월 1일에 그레이트브리튼에 선전 포고를 하여 뒤무리에에게 네덜란드 침공을 명령했다. 뒤무리에는 보병 1만 5천 명과 기병 1천 명(후에 증원 받음)으로 침공을 시작했고, 미란다에게 마스트리흐트를 포위하게 한 후, 발랑스와 다르빌 군의 지원을 받아 북진했다. 이 시점에서 북방군은 18,322명, 벨기에 방면군은 30,197명, 아르덴 방면군은 23,479명, 다르빌 군은 12,051명, 홀란트 방면군은 23,244명, 벨기에 주둔군은 15,000명이었다. 합계하면, 저지대 국가에서의 프랑스군은 122,293명이었다. 프랑스군은 자신들이 가는 곳마다 적이 없을 것이라 생각하며 자신감이 넘쳤다. 한편, 본국의 국민 공회에서는 중도의 지롱드파와 급진적인 자코뱅파가 치열한 정쟁을 벌이고 있었다. 그 때문에, 프랑스군의 보급 시스템은 제대로 정비되지 않아 붕괴 직전이었다.[10]

뒤무리에는 1793년 2월 16일에 네덜란드의 국경선을 넘었다. 브레다 요새는 2월 21일부터 24일까지의 짧은 포위로 함락되었고, 보병 2,500명과 용기병 연대를 포함한 네덜란드 주둔군 3,000명은 대포 250문을 남기고 퇴거하는 것을 허용받았다. 또 21일에는 미란다의 군세 1만 명이 마스트리흐트를 포위했다. 주둔군은 카를 빌헬름 게오르크 폰 헤센-다름슈타트 소장이 이끄는 오스트리아와 네덜란드의 수비군 8천 명이었다.[14] 한겨울의 포위는 프랑스 의용병에게 가혹했고, 많은 수가 탈주하여 고향으로 돌아갔다. 대포 150문을 보유한 Geertruidenbergnl 요새는 3월 1일부터 4일까지 포위된 후 항복했고, 네덜란드 주둔군의 보병 2개 대대와 기병 2개 대대는 퇴거했다. 브레다와 헤르트라위덴베르흐의 항복에는 지브롤터 포위전에서 부유 포대를 설계한 Jean Le Michaud d'Arçon영어의 속임수도 영향을 미쳤다. Klundert영어에 있는 작은 요새는 베르네론이 이끄는 4천 명에 의해 3월 4일에 점령되었지만, 클룬데르트의 소수 주둔군은 완강히 저항하여 60명이 전사하고 나머지 73명이 되어서야 항복했다.[11]

홀란스 딥 강의 끝에 도착한 뒤무리에는 먼저 강을 건너 로테르담, 델프트, 헤이그, 레이던으로 진격하여 암스테르담을 점령하는 작전을 세웠다. 미란다도 마스트리흐트를 함락한 후, 네이메헌위트레흐트를 거쳐 뒤무리에와 합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네덜란드와의 전투에 집중한 프랑스군은 오스트리아에게 전력을 회복할 시간을 너무 많이 주었고, 프리드리히 요시아스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는 라인강 서안에 오스트리아군 대군을 배치했다. 카를 마크 폰 라이베리히라는 유능한 장교의 보조도 받았다. 코부르크가 3월 1일의 알덴호벤 전투에서 René Joseph de Lanoue프랑스어의 지원군을 격파하면서, 프랑스군은 3월 3일에 마스트리흐트 포위를 풀었다. 코부르크의 추격은 늦었고, 프랑스군은 9일에 뢰번에서 재집결했다. 뒤무리에는 네덜란드 침공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지만, 본국의 명령으로 벨기에 전역에 집중해야 했다. Louis-Charles de Flers영어를 홀란트 방면군 지휘로 남겨두고, 뒤무리에는 11일에 뢰번에 도착했다.[15]

뒤무리에는 철수하기에는 자군의 사기가 너무 낮다고 생각하여 코부르크의 군대를 향해 진군, 회전을 요구했다. 그러나, 조급하게 진군했기 때문에 다르빌 군과 홀란트 방면군의 증원을 불러들이는 데 실패했다. François Joseph Drouot de Lamarche영어는 Tienen영어에서 쫓겨났지만, 3월 16일에는 프랑스군이 격렬한 전투 끝에 그곳을 다시 점령했다. 티넨을 공격하는 프랑스군은 1만 명이었고 카를 폰 오스트라이히-테셴 대공이 이끄는 수비군은 병사 6천, 대포 6문, 박격포 2문이었다. 프랑스군이 500명의 손실을 입은 반면, 수비군은 사상자와 행방불명자가 합계 800명에 달했다. 코부르크는 군대를 Kleine Getenl까지 물러나게 했다. 수에서 적을 능가한다고 생각한 뒤무리에는 성공을 확신했다. 또한 1세기 전에 같은 장소에서 벌어진 전투에서도 프랑스군이 승리했다.[16]

2. 3. 양측의 병력 상황과 전략

네르빈덴 전투 직전, 프랑스군과 오스트리아-네덜란드 연합군은 병력 규모, 배치, 전략 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프랑스군은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 장군의 지휘 아래 있었다. 뒤무리에는 라인강 서쪽에서 오스트리아군을 몰아낼 기회를 포기하고,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했던 네덜란드 공화국 침공을 추진했다.[1] 그러나 프랑스 정부는 1793년 2월 1일 영국에 선전포고하고 네덜란드 공화국 점령을 명령함으로써 뒤무리에의 선택지를 좁혔다.[2]

프랑스군은 저지대 국가에서 총 122,293명에 달했지만, 과신, 국민 공회 내의 정치적 분열, 보급 시스템 붕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3][4] 뒤무리에는 네덜란드 침공에 15,000명의 보병과 1,000명의 기병을 이끌고 시작했으며, 이후 병력이 보충되었다.[5]

반면, 오스트리아군은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요시아스 공자가 지휘했으며, 유능한 참모 장교 카를 막 폰 라이베리히의 도움을 받았다.[6] 코부르크는 1793년 3월 1일 알덴호벤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하고,[7] 마스트리흐트 포위를 풀게 했다.[8]

코부르크 공작


양측 군대의 병력 규모에 대해서는 자료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 역사가 디그비 스미스는 프랑스군 40,000~45,000명, 연합군 43,000명으로 추산했다.[9]
  • 램지 웨스턴 피프스는 프랑스군 보병 40,000명, 기병 4,500명, 연합군 보병 30,000명, 기병 9,000명으로 보았다.[10]
  • 테오도어 에이로 도지는 프랑스군 보병 42,000명, 기병 5,000명, 연합군 보병 30,000명, 기병 10,000명으로 추정했다.[11]
  • 군터 E. 로텐버그는 뒤무리에의 병력이 41,000명으로, 43,000명의 연합군보다 열세였다고 기록했다.[12]


프랑스군과 오스트리아-네덜란드 연합군의 상세한 부대 편성은 다음과 같다.

프랑스군오스트리아-네덜란드 연합군



전략적으로 뒤무리에는 코부르크가 주력을 우익에 배치할 것이라 판단하고, 코부르크의 좌익을 집중 공격하려 했다. 반면 코부르크는 초기에 프랑스군 좌익의 공격에 병력을 집중했다가, 이후 중앙과 우익으로 병력을 분산 배치했다.

3. 전투 경과

1793년 3월 18일, 네르빈덴 전투는 뒤무리에가 이끄는 프랑스군과 코부르크 공작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 사이에 벌어졌다. 이 전투는 프랑스 혁명 전쟁의 중요한 전투 중 하나였다.

전투는 뒤무리에의 승리로 끝났지만, 이후 연합군의 프랑스 침공이 시작되었다. 3월 15일, 오스트리아군은 마스트리흐트에서 출발하여 티네에서 프랑스군과 조우했고, 네르빈덴과 네르란덴 사이에 위치를 선점했다.

3월 18일의 전초전 후, 코부르크는 리쿠흐와 도말 사이로 후퇴하여 전열을 정비했다. 뒤무리에는 오스트리아군이 우익을 강화할 것이라 판단하여 좌익에 집중 공격을 계획했다. 그러나 이는 오판으로, 오스트리아군은 네르빈덴에서 미텔윈덴 산을 지나 오버윈덴까지 강력한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었다.

오전 7시, 프랑스군은 작은 헤테 강을 건너 공격을 시작했지만, 미텔윈덴 산 점령에는 정오까지 시간이 걸렸다. 프랑스군은 라콜, 오버윈덴, 네르빈덴을 차례로 점령했으나, 오스트리아군의 끈질긴 반격과 기병 돌격에 밀려 결국 이 마을들을 모두 내주어야 했다.[21] [22]

같은 날 아침, 프랑스군 좌익의 미란다가 공격을 개시했지만, 오스트리아군의 반격에 밀려 티넨까지 후퇴해야 했다. 뒤무리에는 3월 19일 아침에 미란다 부대의 궤주 소식을 듣고 철수를 결정했다.[22]

결과적으로, 네르빈덴 전투 자체는 뒤무리에가 승리했지만, 전략적으로는 연합군, 특히 오스트리아군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3. 1. 초기 전투 상황 (3월 15일 ~ 17일)

1793년 3월 15일, 뷔르셀 방향의 마스트리흐트에서 진격해온 코부르크 공작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은 티네에서 급히 소집된 프랑스군과 마주쳤고, 네르빈덴과 네르란덴 사이에 자리를 잡았다.[20]

카를 대공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 선봉대는 우익에, Wenzel Joseph von Colloredode와 페르디난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뷔르템베르크는 중앙에, François Sébastien Charles Joseph de Croix, Count of Clerfayt영어 백작과 예비군은 좌익을 방어했다. 오스트리아군 우측에는 할레 마을, 중앙부 좌측에는 Neerwinden영어 마을이 있었다. 연합군 경보병은 Kleine Getenl 강가의 모든 마을에 배치되었다.[20]

뒤무리에는 8개 종대로 공격을 시도했다. 우익의 발랑스는 3개 종대로 라쿠르(Racour)와 오버윈덴(Oberwinden)을, 샤르트르 공은 중앙에서 2개 종대를 이끌고 Laer를 통과하려 했다. 좌익에서는 미란다가 3개 종대로 할레로 가는 길을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예비군은 최좌익에 배치되어 Zoutleeuw영어를 점령하고 남쪽으로 방향을 바꿔 할레로 진격하기로 했다. 라마르슈의 선봉대는 우익과 함께 움직였다.[16] [20]

3월 18일 전초전 이후, 코부르크는 리쿠흐와 도말 사이로 짧게 후퇴하여 전열을 정비했다. 뒤무리에는 코부르크가 연락선을 지키기 위해 우익을 강화할 것이라 판단, 좌익에 집중 공격을 계획했다. 크루아의 전열은 네르빈덴에서 미텔윈덴 산을 지나 좌측 오버윈덴까지 뻗어 있었다. 뒤무리에는 발랑스에게 1개 종대로 오버윈덴을 측면 공격, 다른 1개 종대로 정면 공격, 3번째 종대로 미텔윈덴 산을 점령하도록 지시했다. 발랑스 왼쪽에서는 샤르트르 공이 네르빈덴 공격을 명령받았다. 오전 7시, 프랑스군은 Kleine Getenl 강을 건넜지만, 미텔윈덴 산 점령은 정오까지 걸렸다. 프랑스군은 라콜, 오버윈덴, 네르빈덴을 차례로 점령했다.[21] [22]

연합군은 이 마을들을 반복 공격했지만 프랑스군은 방어를 굳건히 했다. 오스트리아군 기병 돌격은 집락 사이 평원에서 효과적이었다. 오버윈덴과 라콜이 반복적으로 재점령되는 격전 끝에 크루아는 3개 집락을 모두 탈환했다. 오스트리아군 기병은 프랑스군을 더욱 압박했다. 뒤무리에는 우익 전군으로 공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프랑스군 기병이 보병 철수를 지원하는 동안, 샤르트르 공과 발랑스는 Kleine Getenl 강을 따라 진지를 유지했다.[21] [22]

같은 날 아침, 미란다가 공격하자 코부르크는 중앙 군세 대부분을 우익 보강에 투입하려 했다. 카를 대공의 군세는 처음에는 도르스멜(Dorsmael)로 밀려났지만 버텼다. 프랑스 예비군은 조트레 점령에 성공, 할레를 위협했지만 곧 격퇴되었다. 주요 전투는 15시부터 18시까지 벌어졌는데, 미아친스키의 종대가 도르스멜을 점령했지만 연합군 반격에 격퇴되었다. 다른 공격도 연합군 방어에 막혔다. 카를 대공은 기회를 틈타 기병에게 지친 프랑스군에 대한 돌격을 명령했다. 프랑스군 좌익은 궤주했고, 미란다는 Tienen영어까지 후퇴한 후에야 재편성이 가능했다. 뒤무리에는 3월 19일 아침에 미란다의 궤주를 알고 철수를 명령했다.[21] [22]

3. 2. 네르빈덴 전투 (3월 18일)

3월 18일, 전초전이 벌어진 후에 코부르크는 리쿠흐와 도말 사이로 짧은 거리를 후퇴해서 전열을 정비했다. 티네에서 프랑스군에 의한 포위를 피하는 작전을 시작했다. 뒤무리에는 결과적으로 평형하게 싸울 수 밖에 없었다. 비록 마을에서 개별적이고 열정적인 프랑스 군인이 부족한 훈련을 보충을 했지만 전선의 더 넓은 부분이 평야지였고, 이곳에서는 병력의 질이 뛰어난 오스트리아 베테랑이 우수했다.[20] 이런 상황 속에서 승산이 떨어지는 제2차 저마프 전투에서 이기려는 시도는 재앙이 될 수도 있었다. 그리고 혁명군의 후퇴 신호는 궤멸의 전조였다.

카를 대공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 선봉대는 우익에 배치되었고, Wenzel Joseph von Colloredode와 페르디난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뷔르템베르크는 중앙부에 배치되었으며, François Sébastien Charles Joseph de Croix, Count of Clerfayt영어 백작과 예비군은 좌익을 방어했다. 전열의 우측에는 할레 마을이 있었고, 중앙부 좌측에는 Neerwinden영어 마을이 있었다. 연합군 경보병은 Kleine Getenl 연안의 모든 마을에 배치되었다. 뒤무리에(Dumouriez)는 8개 종대로 공격을 시도했다. 우익의 발랑스는 3개 종대로 라쿠르(Racour)와 오버윈덴(Oberwinden)을 탈취하려 했고, 샤르트르 공은 중앙에서 2개 종대를 이끌고 Laer를 통과하려 했다. 또한 좌익에서는 미란다가 3개 종대로 할레로 향하는 길을 진격하라고 명령했다. 예비군은 최좌익에 배치되어 먼저 Zoutleeuw영어를 점령하고, 이어서 남쪽으로 방향을 바꿔 할레로 진격하기로 했다.[20] 라마르슈의 선봉대는 우익과 함께 행동했다.[16]

뒤무리에는 코부르크가 연락선을 지키기 위해 우익을 중점적으로 방어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좌익에 집중하여 공격하려 했다. 크루아의 전열은 네르빈덴에서 미텔윈덴 산(Mittelwinden)을 지나 좌측 오버윈덴(Oberwinden)까지 뻗어 있었다. 뒤무리에(Dumouriez)는 발랑스에게 1개 종대로 오버윈덴을 측면에서 공격하고, 또 다른 1개 종대로 정면에서 공격하고, 3번째 종대로 미텔윈덴 산을 탈취하도록 명령했다. 발랑스의 왼쪽에서는 샤르트르 공이 네르빈덴 공격을 명령받았다. 오전 7시, 프랑스군은 소헤테 강을 건넜지만, 미텔윈덴 산 점령은 정오까지 걸렸다.[21] 프랑스군은 라콜, 오버윈덴, 이어서 네르빈덴을 탈취했다.[22]

연합군은 이 마을들을 반복적으로 공격했지만 프랑스군은 방어를 굳건히 했다. 한편, 오스트리아군의 기병 돌격은 집락 사이의 평원에서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오버윈덴과 라콜이 반복적으로 재점령되는 격전 끝에 크루아는 3개의 집락을 모두 탈환했다.[22] 오스트리아군의 기병 돌격은 프랑스군을 더욱 밀어붙였다. 뒤무리에(Dumouriez)는 우익의 전 군대로 공격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21] 프랑스군 기병이 보병의 철수를 지원하는 한편, 샤르트르 공과 발랑스는 소헤테 강을 따라 진지를 유지했다.[22]

같은 날 아침, 미란다가 공격하자 코부르크는 먼저 중앙의 군세 대부분을 우익 보강에 투입하려 했다. 카를 대공의 군세는 처음에는 도르스멜(Dorsmael)로 밀려났지만 거기서 버텼다. 프랑스 예비군은 조트레 점령에 성공하여 할레를 위협했지만 곧 격퇴되었다.[22] 주요 전투는 15시부터 18시까지, 미아친스키의 종대가 도르스멜을 탈취했을 때 일어났지만, 연합군의 반격으로 격퇴되었다. 그 외의 공격은 연합군의 견고한 방어에 막혀 실패했다.[21] 카를 대공은 기회를 틈타 기병에게 지친 프랑스군에 대한 돌격을 명령했다. 프랑스군 좌익은 궤주했고, 미란다가 재편성을 할 수 있었던 것은 Tienen영어까지 후퇴한 이후였다. 뒤무리에(Dumouriez)가 19일 아침에 미란다의 궤주를 알게 되자, 철수를 명령할 수밖에 없었다.[22]

3. 3. 프랑스군의 패배와 퇴각

1793년 3월 18일 벌어진 네르빈덴 전투는 뒤무리에가 이끄는 프랑스군에게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비록 프랑스군 병사 개개인은 열정적이었으나, 훈련 부족으로 인해 18세기 전투 방식에 적응하지 못했다. 특히 넓은 평야 지형에서는 오스트리아군의 숙련된 병사들에게 밀릴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승리를 추구하는 것은 오히려 프랑스군에게 큰 피해를 가져올 수 있었다.

뒤무리에는 적의 주력이 우익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좌익을 집중 공격하려 했으나, 이는 오판이었다. 오스트리아군은 네르빈덴에서 미텔윈덴 산을 거쳐 오버윈덴까지 뻗어 있는 강력한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었다. 프랑스군은 오전에 작은 헤테 강을 건너 라콜, 오버윈덴, 네르빈덴을 차례로 점령했지만, 오스트리아군의 끈질긴 반격에 밀려 결국 이 마을들을 모두 내주어야 했다.[22] 오스트리아 기병대의 돌격 또한 프랑스군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21]

한편, 프랑스군 좌익의 미란다가 이끄는 부대는 도르스멜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지만, 오스트리아군의 반격에 밀려 티넨까지 후퇴해야 했다.[22] 뒤무리에는 미란다 부대의 궤주 소식을 듣고 결국 철수를 결정했다.[22]

4. 전투의 결과 및 영향

네르빈덴 전투는 프랑스 혁명 전쟁 초기, 프랑스군과 오스트리아군 사이에 벌어진 주요 전투 중 하나였다. 이 전투의 결과는 양측 모두에게, 그리고 유럽 정세 전반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 전투의 직접적 결과:


  • 프랑스군의 패배와 사기 저하: 프랑스군은 4,000명의 사상자와 부상자, 1,000명의 포로, 30문의 대포를 잃는 등 큰 피해를 보았다.[18] 이 패배로 약 6,000명의 프랑스 자원병이 탈영했고, 뒤무리에 군대는 20,000명으로 줄어들었다.[18][22]
  • 오스트리아군의 승리와 사기 고양: 오스트리아-네덜란드 연합군은 상대적으로 적은 피해(장교 97명, 사병 2,762명, 말 779마리 손실)[18]를 보고 승리하여 사기가 높아졌다.
  • 프랑스군의 벨기에 철수: 네르빈덴 전투 패배 이후 프랑스군은 브뤼셀을 거쳐 벨기에에서 철수해야 했다.

2. 단기적 영향:

  • 뒤무리에의 배신과 망명: 뒤무리에는 군주주의자로서 루이 16세의 처형에 절망하고 파리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과 급진파의 군 지휘관 방해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그는 오스트리아와 협상하여 군대를 이끌고 파리로 진격해 국민 공회를 전복하고 1791년 프랑스 헌법을 복원하려 했다.[26] 그러나 이 계획은 실패하고, 뒤무리에는 1793년 4월 5일 오스트리아로 망명했다.[24]
  • 프랑스 혁명 정부의 위기: 뒤무리에의 배신은 프랑스 혁명 정부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했다.
  • 자코뱅파의 군 장악: 뒤무리에의 배신은 역설적으로 자코뱅파에게 군 장악의 기회를 제공했다. 네르빈덴 전투 이전에는 군대가 지휘관에게 복종했지만, 이후에는 파견 의원에게 군 지휘관에 대한 특별 권한이 주어졌다.[29]

3. 장기적 영향:

  • 프랑스 혁명 전쟁의 확전: 네르빈덴 전투 이후, 코부르크는 프랑스 침공을 준비했다.[27] 이는 프랑스 혁명 전쟁이 더욱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 정치적 통제의 강화: 네르빈덴 전투 이후, 파견 의원 제도가 강화되어 군대에 대한 정치적 통제가 강화되었다. 장군들은 패배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었고, 실질적인 권한은 정치적 요원에게 있었다.[29] 이는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가 실각하고 처형된 후에도 유지되었다.[29]

4. 1. 프랑스군의 벨기에 철수와 뒤무리에의 망명

네르빈덴 전투에서 패배한 후, 프랑스군은 벨기에에서 철수해야 했다. 3월 24일, 프랑스군은 브뤼셀을 통과하여 후퇴했다. 뒤무리에는 분견대들을 다시 불러모으기 시작했다.[23] 이 시점에서 뒤무리에는 오스트리아와 협상을 시작하여, 방해받지 않고 후퇴할 수 있다면 벨기에에서 철수하겠다고 제안했다. 이 조건은 받아들여졌고, 프랑스군은 국경 뒤의 진영으로 물러났다. ''홀란트군''은 릴 근처에, ''아르덴군''은 몰드에, ''북부군''은 브뤼에생아망에, ''벨기에군''은 콩데쉬르레스코와 발랑시엔에 배치되었다.[25] 헤르트루이덴베르흐는 4월 2일에,[13] 브레다는 4월 3일에 철수했다.[12]

뒤무리에는 군주주의자였으며, 프랑스의 루이 16세가 1793년 1월 21일에 단두대에서 처형되자 절망했다. 그는 파리의 정치 상황이 혼란스럽다고 느꼈고, 급진주의자들이 군 지휘관을 방해하는 것에 경악했다. 이미 적과 협상한 뒤무리에는 협상을 제안했고, 오스트리아는 3월 25일에 카를 마크를 보냈다. 프랑스 지휘관은 군대를 이끌고 파리로 진격하여 국민 공회를 전복하고, 자코뱅을 분쇄하고, 1791년 프랑스 헌법을 복원할 것을 제안했다.[26] 오스트리아는 쿠데타를 수행하는 동안 진격을 중단하겠다고 약속했다.[27] 그러나 뒤무리에는 너무 느리게 움직였다. 4월 1일, 4명의 위원과 전쟁 장관 피에르 드 르엘, 베르농빌 후작이 그의 본부에 도착하여 지휘관에게 파리에서 해명을 요구했다. 그들은 체포되어 오스트리아군에게 넘겨졌다.[24]

뒤무리에는 변경 요새를 자신의 추종자들의 손에 넘기려 했지만 실패했다.[24] 미아친스키는 을 점령하려다 실패했고 나중에 처형되었다.[28] 뒤무리에는 정규 보병과 기병 연대를 통제할 수 있다고 믿었지만, 자원병과 포병은 국민 공회에 헌신했다. 한 사건에서 뒤무리에는 루이-니콜라 다부의 자원병 대대에 의해 총격을 받았고 거의 체포될 뻔했다. 그는 오스트리아 호위병과 함께 있는 모습이 목격되는 실수를 저질렀고, 포병들은 그에게 복종하기를 거부하는 선두에 섰다. 그의 음모가 무너진 것을 본 뒤무리에는 1793년 4월 5일 오스트리아로 망명했다. 그는 샤르트르 공작, 발랑스, 몇몇 장군들과 기병대와 함께했다.[24] 이전 협정에 더 이상 얽매이지 않은 코부르크는 프랑스 침공을 준비했다.[27]

4. 2. 프랑스 혁명 정부의 위기

네르빈덴 전투에서의 패배는 프랑스 혁명 정부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했다. 연합군 측에서는 카를 마크에게 승리의 공로가 돌아갔지만[23], 프랑스군은 4,000명의 사상자와 부상자, 1,000명의 포로와 30문의 포를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18] 이로 인해 약 6,000명의 프랑스 자원병이 탈영했고, 뒤무리에 군대는 20,000명으로 줄어들었다.[18][22]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는 패배의 책임을 지고 미란다를 모함하려 했지만[24], 실제로는 군주주의자였기 때문에 루이 16세의 처형에 절망하고 파리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과 급진파의 군 지휘관 방해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그는 오스트리아와 협상하여 군대를 이끌고 파리로 진격해 국민 공회를 전복하고 1791년 프랑스 헌법을 복원하려 했다.[26] 그러나 이 계획은 실패하고, 뒤무리에는 1793년 4월 5일 오스트리아로 망명했다.[24]

뒤무리에의 배신은 역설적으로 자코뱅파에게 군 장악의 기회를 제공했다. 네르빈덴 전투 이전에는 군대가 지휘관에게 복종했지만, 이후에는 파견 의원에게 군 지휘관에 대한 특별 권한이 주어졌다.[29] 장군들은 패배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었고, 실질적인 권한은 정치적 요원에게 있었다. 새로운 전쟁 장관은 장군들을 감시하는 요원을 파견했고, 이들은 장교에 대한 불만을 신속하게 보고하여 불명예나 처형을 초래할 수 있었다.[29] 이러한 시스템은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가 실각하고 처형된 후에도 유지되었다.[29]

4. 3. 국제 관계의 변화

네르빈덴 전투 이후, 연합군 측에서는 카를 마크에게 승리의 공이 돌아갔다.[23] 패배의 책임을 진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는 뒤무리에를 모함하기 위해 파리로 갔다.[24] 오스트리아-네덜란드 측은 장교 97명, 사병 2,762명, 말 779마리의 손실을 보고했다. 프랑스군은 4,000명의 사상자와 부상자, 1,000명의 포로와 30문의 대포를 잃었다. 여단장 조르주 기스카르 드 바르가 사망했고 4명의 장군이 부상을 입었다.[18] 다른 자료에서는 오스트리아군의 사상자를 사망자와 부상자 2,600명, 실종자 400명으로, 프랑스군은 사망자와 부상자 3,000명, 실종자 또는 포로 1,000명으로 추산했다.[19] 전투 직후 약 6,000명의 프랑스 자원병이 탈영하여 집으로 돌아갔다.[18] 사흘 후, 뒤무리에 군대는 수백 명의 병사들이 탈영하면서 약 20,000명으로 줄었다.[22]

카를 마크


3월 23일, 펠렌베르크에서 코부르크는 38,000명의 병력으로 뒤무리에의 22,000명 군대를 격파했다. 오스트리아군은 900명의 사상자를 냈고, 프랑스군은 2,000명의 사상자를 냈다.[18] 3월 24일, 프랑스군은 브뤼셀을 통해 후퇴했다. 뒤무리에는 하르빌 부대와 같은 분견대를 불러들이기 시작했다.[23] 이 시점에서 뒤무리에는 오스트리아와 협상을 시작했다. 그는 자신의 군대가 방해받지 않고 후퇴할 수 있다면 벨기에에서 철수하겠다고 제안했다. 조건이 받아들여졌고 프랑스군은 국경 뒤의 진영으로 물러났다. ''홀란트군''은 적군을 통과하여 릴 근처에 주둔했다. ''아르덴군''은 몰드에, ''북부군''은 브루이유-생-아망에, ''벨기에군''은 콩데-쉬르-로스코와 발랑시엔에 배치되었다.[25] 헤르트뤼이덴베르흐는 4월 2일에,[13] 브레다는 4월 3일에 철수했다.[12]

뒤무리에는 군주주의자였으며, 1793년 1월 21일에 루이 16세가 단두대로 처형되자 절망했다. 그는 파리의 정치 상황이 혼란스럽다고 생각했고, 급진주의자들이 군 지휘관을 방해하는 경향에 경악했다. 이미 적과 협상한 뒤무리에가 협상을 제안했고, 오스트리아는 3월 25일에 마크를 보냈다. 프랑스 지휘관은 군대를 이끌고 파리로 진격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국민공회를 전복하고, 자코뱅을 분쇄하며, 1791년 프랑스 헌법을 복원하려 했다.[26] 오스트리아는 쿠데타를 수행하는 동안 진격을 중단하겠다고 약속했다.[27] 그러나 뒤무리에는 너무 느리게 움직였다. 4월 1일, 4명의 위원과 전쟁 장관 베르농빌 후작이 그의 본부에 도착하여 지휘관에게 파리에서 해명을 요구했다. 그들은 체포되어 오스트리아군에게 넘겨졌다.[24]

뒤무리에는 변경 요새를 자신의 추종자들의 손에 넘기려 했지만 실패했다.[24] 미아친스키는 을 점령하려다 실패했고, 나중에 처형되었다.[28] 뒤무리에는 정규 보병과 기병 연대를 통제할 수 있다고 믿었다. 반면에 자원병과 포병은 국민공회에 헌신했다. 한 사건에서 뒤무리에는 루이-니콜라 다부의 자원병 대대에게 총격을 받았고, 거의 체포될 뻔했다. 그는 오스트리아 호위병과 함께 있는 모습이 목격되는 실수를 저질렀고, 포병들은 그에게 복종하기를 거부하는 선두에 섰다. 그의 음모가 무너진 것을 본 뒤무리에는 1793년 4월 5일 오스트리아로 망명했다. 그는 샤르트르 공작, 발랑스, 몇몇 장군들과 기병대와 함께했다.[24] 이전 협정에 더 이상 얽매이지 않은 코부르크는 프랑스 침공을 준비했다.[27]

뒤무리에의 배신은 자코뱅에게 군대를 장악할 기회를 제공했다. 네르빈덴 전투 이전에는 군대가 지휘관에게 복종했다. 그 후, 파견 위원에게 군 지휘관에 대한 특별 권한이 주어졌다. 장군들은 패배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었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정치적 요원에게 있었다. 한편, 새로운 전쟁 장관은 장군들을 염탐하기 위해 요원을 파견했다. 이들은 장교에 대한 불만을 신속하게 보고하여 불명예나 처형을 초래할 수 있었다. 이 시스템의 요소는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가 전복되어 단두대에서 처형된 후에도 효력을 유지했다.[29]

5. 주요 참전 인물

네르빈덴 전투에는 양측 모두 다양한 지휘관들이 참전했다.

프랑스군은 총사령관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를 필두로, 우익은 발랑스가, 중앙은 샤르트르 공작 루이 필리프가, 좌익은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가 이끌었으며, 예비대는 장 네스터 드 샹셀이 지휘했다.[18]

오스트리아-네덜란드 연합군은 코부르크 공작이 총사령관이었으나, 실제 전투 지휘는 카를 대공이 담당했다. 카를 대공은 선봉대를, 페르디난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뷔르템베르크는 중앙군을, 크루아 백작은 예비군을 지휘했다.[18] 네덜란드 공화국에서도 6개 보병 대대가 참전했다.[18]

각 지휘관은 보병과 기병으로 구성된 부대를 이끌며 전투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고, 이들의 전술은 전투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다.

5. 1.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는 네르빈덴 전투 당시 프랑스군 총사령관이었다. 그는 본래 군주주의자였으나, 프랑스 혁명 발발 이후 혁명군에 가담하여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다. 1793년 1월, 루이 16세가 처형되자 뒤무리에는 큰 절망감을 느꼈다.[26] 그는 파리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과 급진파들이 군 지휘관에게 간섭하는 것에 염증을 느꼈다.[26]

네르빈덴 전투에서 패배한 후, 뒤무리에는 오스트리아와 비밀 협상을 시작했다.[26] 그는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파리로 진격하여 국민공회를 전복하고 1791년 프랑스 헌법을 복원할 계획을 세웠다.[26] 오스트리아는 그의 쿠데타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27]

그러나 뒤무리에의 계획은 발각되었고, 1793년 4월 1일, 4명의 위원과 전쟁 장관 피에르 드 르엘, 베르농빌 후작이 그를 체포하기 위해 도착했다.[24] 뒤무리에는 이들을 체포하여 오스트리아군에게 넘겨주었다.[24] 그는 휘하 부대에 파리로 진격할 것을 명령했지만, 병사들은 그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 루이-니콜라 다부가 지휘하는 의용병 부대는 뒤무리에에게 총격을 가하기도 했다.[24]

결국 뒤무리에는 자신의 계획이 실패했음을 깨닫고 1793년 4월 5일, 소수의 부하들과 함께 오스트리아로 망명했다.[24] 그의 배신은 프랑스 혁명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자코뱅파가 군대를 장악하는 계기가 되었다.[29]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뒤무리에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가진 인물이었지만, 기회주의적인 성향과 권력욕으로 인해 혁명을 배반한 인물로 평가된다. 그의 망명은 프랑스 혁명에 대한 배신 행위로, 군사적 재능에도 불구하고 비판받아 마땅하다.

5. 2. 카를 대공

카를 대공은 네르빈덴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 총사령관을 맡았다. 그는 군대를 우익의 선봉대, 중앙의 페르디난트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뷔르템베르크, 좌익의 백작과 예비군으로 나누어 배치했다. 각 부대는 보병과 기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여러 지휘관들이 세부 부대를 이끌었다.[18]

전투 초반, 카를 대공의 군대는 프랑스군에게 밀려 도르스멜까지 후퇴했지만, 그곳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버텼다. 이후 프랑스군이 지친 틈을 타 기병에게 돌격을 명령하여 프랑스군 좌익을 무너뜨리는 데 성공했다. 이 승리로 카를 대공은 전략적 역량을 보여주었다.[21],[22]

5. 3.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

검은 눈썹에 묶어 뒤로 넘긴 흰머리를 가진 남자의 그림. 그는 어두운 파란색 군복을 입고 있으며 나폴레옹 스타일로 단추 사이에 오른손을 넣고 있다.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는 네르빈덴 전투에서 프랑스군 좌익을 지휘했다. 전투 당일 아침, 미란다는 공격을 개시하여 카를 대공의 군대를 도르스멜까지 밀어냈지만, 그곳에서 오스트리아군은 저항했다. 프랑스 예비군이 조트레우를 점령하며 할레를 위협했지만 곧 격퇴되었다.[22]

주요 전투는 오후 3시부터 6시 사이에 벌어졌는데, 미아친스키의 부대가 도르스멜을 점령했지만 연합군의 반격으로 다시 빼앗겼다. 다른 공격들도 연합군의 견고한 방어에 막혀 실패했다. 카를 대공은 이 틈을 타 기병에게 지친 프랑스군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프랑스군 좌익은 무너졌고, 미란다는 티넨까지 후퇴한 후에야 재편성에 성공할 수 있었다.[22]

패배의 책임을 지게 된 미란다는 파리로 돌아가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를 모함했다.[24]

6. 역사적 평가 및 의의

네르빈덴 전투는 군사 및 정치적 측면에서 프랑스 혁명에 큰 영향을 끼쳤다. 군사적으로는 연합군의 승리로 프랑스 혁명군의 사기가 저하되었고,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 장군의 배신으로 이어졌다. 이는 파견 의원 제도의 도입과 군에 대한 정치적 통제 강화로 이어져,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의 공포 정치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29][24]

6. 1. 군사적 관점

카를 마크 폰 라이베리히는 연합군 측 승리의 공로자로 평가받았다[23]。 반면, 프랑스군 측 지휘관 미란다는 패배의 책임을 지고 파리로 돌아가 뒤무리에를 음모했다[24]

이 전투에서 양측의 피해는 다음과 같다.

구분연합군프랑스군
장교47명-
병사2,762명4,000명
군마779마리-
포로-1,000명
대포-30문
전사조르주 기스카르 드 발 준장-
부상-4명의 장군



다른 기록에는 오스트리아군이 사상자 2,600명과 실종자 400명, 프랑스군이 사상자 3,000명, 실종 및 포로 합계 1,000명으로 기록되었다[19]。 전투 직후, 약 6천 명의 프랑스 의용병이 탈주했다[18]。 이로 인해 뒤무리에의 군대는 3일 후 약 2만 명으로 줄었다[22]。 3월 23일 페렌베르크에서 벌어진 재전투에서 코부르크가 이끄는 3만 8천 명의 군대가 뒤무리에의 2만 2천 명에게 승리하며, 프랑스군에 2천 명의 손실을 입혔다[18]

네르빈덴 전투의 패배와 뒤이은 뒤무리에의 배신은 프랑스 혁명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전까지 군대는 장교가 지배하고 지휘했지만, 이후에는 파견 의원이 지휘관보다 더 강력한 권한을 부여받았다. 새 전쟁 장관은 장군들을 감시하기 위해 스파이를 풀었고, 이들의 보고는 제재나 처형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29]。 이는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가 처형되고 공포 정치가 끝난 후에도 완전히 철폐되지 않은 제도였다[29]

이러한 변화는 군의 사기와 효율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프랑스 혁명 전쟁의 진행 과정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6. 2. 정치적 관점

네르빈덴 전투는 프랑스 혁명에 대한 반동 세력의 공세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이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패배했고, 이는 혁명의 급진화와 이후 공포 정치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24][18][19]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 장군은 혁명 초기에는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점차 왕당파적 성향을 드러내며 혁명 정부와 갈등을 빚었다. 루이 16세의 처형 이후, 뒤무리에는 1791년 헌법을 회복하고 자코뱅파국민공회를 전복하려는 쿠데타를 계획했다.[26] 그는 오스트리아군과 협상을 통해 자신의 계획을 실행하려 했으나, 결국 실패하고 오스트리아군에 투항했다.[24]

뒤무리에의 배신은 프랑스 혁명 정부, 특히 자코뱅파에게 군을 장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전까지 군대는 장교의 지휘를 따랐지만, 네르빈덴 전투 이후 파견 의원이 지휘관보다 더 강력한 권한을 가지게 되었다.[29] 이는 군에 대한 정치적 통제를 강화하고, 혁명 이념에 대한 충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였다.

새로운 전쟁 장관은 장군들을 감시하기 위해 스파이를 활용했고, 이는 장교들에 대한 불신과 숙청으로 이어졌다.[29] 이러한 상황은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의 공포 정치 기간 동안 더욱 심화되었으며, 혁명은 더욱 급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참조

[1] 문서 Smith & Kudrna
[2] 문서 Dodge
[3] 서적 The Napoleonic Wars Data Book Greenhill
[4] 서적 The Armies of the First French Republic: Volume I The Armée du Nord Pickle Partners Publishing
[5] 문서 Smith
[6] 문서 Smith
[7] 문서 Phipps
[8] 문서 Phipps
[9] 문서 Phipps
[10] 서적 The Art of War in the Age of Napoleon Indiana University Press
[11] 문서 Phipps
[12] 문서 Smith
[13] 문서 Smith
[14] 웹사이트 Biographical Dictionary of all Austrian General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ary and Napoleonic Wars, 1792–1815: Hessen-Darmstadt, Karl Wilhelm Georg Landgraf zu http://www.napoleon-[...] napoleon-series.org 2014-09-04
[15] 문서 Phipps
[16] 문서 Phipps
[17] 서적 Warfare in the Age of Napoleon: The Revolutionary Wars Against the First Coalition in Northern Europe and the Italian Campaign, 1789–1797 Leonaur Ltd
[18] 문서 Smith
[19] 문서 Rothenberg
[20] 문서 Dodge
[21] 웹사이트 Battle of Neerwinden, 18 March 1793 http://www.historyof[...] historyofwar.org 2014-09-01
[22] 문서 Dodge
[23] 문서 Phipps
[24] 문서 Phipps
[25] 문서 Phipps
[26] 문서 Phipps
[27] 문서 Phipps
[28] 문서 Phipps
[29] 문서 Phipp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