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버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버후드는 1996년 출시된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게임이다. 점토로 제작된 독특한 비주얼과 캐릭터의 행동을 통해 퍼즐을 풀어나가는 게임플레이가 특징이다. 플레이어는 주인공 클레이맨을 조작하여 네버후드를 탐험하며, 윌리의 이야기를 담은 디스크를 수집한다. 게임은 높은 난이도와 독특한 분위기로 호평을 받았으나, 퍼즐의 난이도와 느린 전개는 단점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네버후드의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후속작 및 관련 작품이 제작되었으며, 팬들에 의해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게임 - 더 롱잉
《더 롱잉》은 늙은 왕을 깨우기 위해 400일 동안 기다려야 하는 셰이드를 조작하며, 동굴 탐험, 집 꾸미기, 고전 문학 읽기 등의 활동을 통해 타이머 진행 속도를 높이는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게임이다. -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게임 - 이 세상의 끝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소녀 YU-NO
《이 세상의 끝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소녀 YU-NO》는 주인공이 '리플렉터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평행 세계를 탐험하며 비밀을 밝혀나가는 SF 판타지 어드벤처 게임으로, 'A.D.M.S'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루트와 엔딩을 제공하며 비주얼 노벨 장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1996년 비디오 게임 - 포켓몬스터 레드·그린
1996년 닌텐도에서 발매된 게임보이용 롤플레잉 게임 《포켓몬스터 레드·그린》은 151종의 포켓몬을 수집, 육성, 교환, 대전하는 게임으로,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첫 작품이자 게임 업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 1996년 비디오 게임 - 이 세상의 끝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소녀 YU-NO
《이 세상의 끝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소녀 YU-NO》는 주인공이 '리플렉터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평행 세계를 탐험하며 비밀을 밝혀나가는 SF 판타지 어드벤처 게임으로, 'A.D.M.S'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루트와 엔딩을 제공하며 비주얼 노벨 장르에 큰 영향을 주었다.
네버후드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The Neverhood |
다른 이름 | The Neverhood Chronicles (더 네버후드 크로니클스) |
게임 정보 | |
장르 |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플랫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플레이스테이션 |
엔진 | 네버후드(The Neverhood, Inc.) |
개발 및 출시 | |
개발사 | 네버후드(The Neverhood, Inc.) 리버힐소프트 (플레이스테이션) |
유통사 | 데인저 클로스 게임스 리버힐소프트 (플레이스테이션) |
디자이너 | 더그 테냅펠 마크 로렌젠 |
아티스트 | 마이크 다이츠 에드 스코필드 마크 로렌젠 스티븐 크로우 |
작가 | 데일 로렌스 마크 로렌젠 더그 테냅펠 |
작곡가 | 테리 스콧 테일러 |
출시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1996년 10월 31일 플레이스테이션: 1998년 4월 23일 |
2. 게임플레이
네버후드는 소지품(인벤토리) 사용 대신 캐릭터의 행동을 통해 퍼즐을 풀어나가는 데 초점을 맞춘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어드벤처 게임이다.[45][2] 게임 진행을 위해서는 주변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며, 일반적인 소지품 시스템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2]
2. 1. 조작 방식
''네버후드''는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게임으로, 일반적인 어드벤처 게임과 달리 소지품(인벤토리) 사용보다는 캐릭터의 행동과 주변 환경을 활용하여 퍼즐을 푸는 데 초점을 맞춘다.[45][2] 주인공 클레이맨은 게임 진행을 위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해야 하며, 일반적인 소지품 시스템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2] 플레이어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게임 오버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전 저장 지점에서 이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게임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2]2. 2. 난이도
플레이어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게임 오버가 발생할 수 있다. 게임 오버 시 이전 저장 지점에서 복원이 불가능하여 게임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2] 이로 인해 게임의 난이도가 높게 평가되기도 하며, 신중한 플레이가 요구된다.3. 줄거리
네버후드는 건물과 생명체의 흔적이 드문드문 보이는, 끝없는 공허 위에 떠 있는 초현실적인 세계이다. 이곳은 대체로 황량하며, 주인공 클레이맨과 그의 조력자 윌리 트롬본, 적대자 클로그, 그리고 몇몇 동물들만이 살고 있다. 게임의 자세한 배경 이야기는 '기록의 전당'이라는 매우 긴 공간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호보그 왕이 자신의 힘으로 창조한 이 세계에서, 클레이맨은 호보그를 잠들게 한 클로그를 물리치기 위해 깨어난다.
3. 1. 등장인물
; 클레이맨: 이 게임의 주인공이자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캐릭터이다. 어딘가 얼빠진 면이 있으며, 비명 소리를 제외하면 게임 내에서 거의 말을 하지 않는다.[1] 윌리 트롬본이 심은 생명의 씨앗에서 태어났으며, 네버후드를 탐험하며 카세트 디스크를 모아 네버후드의 숨겨진 이야기를 알아내고 클로그를 막는 임무를 수행한다.
; 윌리 트롬본
: 클레이맨의 여정을 돕는 어리숙한 조력자이다. 클레이맨이 클로그를 물리칠 영웅이 될 것이라 믿고 호보그의 씨앗을 훔쳐 안전한 곳에 심었으며, 이것이 클레이맨으로 자라났다. 게임 곳곳에서 나타나 클레이맨을 돕거나 카세트 디스크를 통해 네버후드의 과거 이야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빅 로봇 빌과 함께 호보그의 형제인 오토보그가 만든 존재이다.
; 호보그 왕
: 네버후드를 창조한 신과 같은 존재이다. 외로움을 느껴 동반자를 만들기 위해 씨앗을 심어 클로그를 만들었지만, 클로그의 질투심으로 인해 자신의 힘의 원천인 왕관을 빼앗기고 깊은 잠에 빠진다. 게임의 마지막에 클레이맨의 선택에 따라 다시 깨어날 수 있다.
; 클로그
: 게임의 주요 적대자이다. 호보그가 처음으로 창조한 존재이지만, 호보그의 왕관을 탐내 빼앗고 그 힘으로 사악하게 변모한다. 호보그가 잠들면서 네버후드의 발전은 멈추게 되었다. 클레이맨과 유사하지만 뒤틀린 외형을 가지고 있다.
; 빅 로봇 빌
: 윌리 트롬본의 친구이자 거대한 자동인형 로봇이다. 클레이맨과 윌리를 태우고 클로그의 성으로 향하는 것을 돕는다. 성 앞에서 클로그의 수호자인 태엽 도마뱀과 싸워 이기지만, 클로그의 대포 공격으로 심각한 부상을 입고 윌리와 함께 공허 속으로 떨어진다. 곰 인형을 소중히 여기며, 스위치를 통해 선과 악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선한 편이다. 윌리와 마찬가지로 오토보그가 만들었다.
; 태엽 도마뱀
: 클로그의 부하이자 수호자 역할을 하는 시계 태엽 형태의 짐승이다. 빅 로봇 빌의 적으로 등장하며, 클로그의 성 앞에서 빌과 격돌한다. 클로그에게 조종당해 빌의 곰 인형을 부수기도 한다.
3. 2. 이야기
네버후드는 끝없는 공허 위에 떠 있는 초현실적인 풍경으로, 건물과 생명의 흔적이 드문드문 존재한다. 이곳은 황량하며, 주요 거주자는 주인공인 클레이맨, 그의 여정을 돕는 윌리 트롬본, 게임의 악당인 클로그, 그리고 다양한 동물들뿐이다. 게임의 배경 이야기는 주로 '기록의 전당'이라는 긴 복도에 전시된 기록들을 통해 알 수 있다.게임은 클레이맨이 한 방에서 깨어나 네버후드를 탐험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는 곳곳에 흩어진 디스크를 수집하는데, 이 디스크에는 윌리 트롬본이 내레이션하는 네버후드의 조각난 이야기가 담겨 있다. 클레이맨은 여행 도중 윌리와 만나 도움을 받게 되며, 클로그는 멀리서 이들을 지켜본다. 클레이맨의 여정은 결국 클로그의 성으로 이어지고, 그는 윌리의 친구이자 거대한 자동인형인 '빅 로봇 빌'의 도움을 받는다.
빌에 탑승한 클레이맨과 윌리가 클로그의 성으로 향하자, 클로그는 자신의 수호자인 '시계 태엽 짐승'을 보내 앞을 막는다. 격렬한 싸움 끝에 빌이 승리하지만, 성문을 열어 클레이맨을 들여보내려는 순간 클로그가 쏜 대포에 맞아 심각한 부상을 입는다. 클레이맨은 간신히 성 안으로 들어가지만, 빌은 균형을 잃고 윌리와 함께 공허 속으로 떨어진다.
홀로 클로그의 성에 남겨진 클레이맨은 윌리의 마지막 디스크를 발견하고 네버후드의 전체 이야기를 알게 된다. 네버후드는 본래 호보그라는 신과 같은 존재가 자신의 행복을 위해 창조한 세계였다. 하지만 외로움을 느낀 호보그는 동반자를 만들기 위해 땅에 씨앗을 심었고, 그 씨앗에서 클로그가 태어났다. 호보그는 클로그를 환영했지만, 클로그는 질투심에 호보그의 왕관을 빼앗으려 했다. 결국 클로그는 왕관을 훔치는 데 성공했고, 이 과정에서 호보그는 힘을 잃고 잠들게 되었으며 왕관의 힘은 클로그를 뒤틀린 모습으로 변화시켰다. 호보그가 생명력을 잃자 네버후드의 발전도 멈추었다. 이 모든 것을 지켜본 윌리(그와 빌은 호보그의 형제인 오토보그가 만들었다)는 호보그가 또 다른 씨앗을 심으려 한다는 것을 알고, 그 씨앗을 클로그에게서 멀리 떨어진 곳에 심었다. 윌리는 이 씨앗에서 태어날 존재가 클로그를 물리치기를 바랐는데, 그 존재가 바로 클레이맨이었던 것이다.
이야기의 끝에서 윌리는 제4의 벽을 넘어 터미널 화면을 통해 클레이맨에게 왕좌실 열쇠를 건네며, 클로그와 대면했을 때 올바른 선택을 하기를 희망한다. 왕좌실에 들어선 클레이맨 앞에는 클로그와 움직이지 않는 호보그가 기다리고 있다. 클로그는 호보그의 왕관을 보여주며 클레이맨을 유혹하여 호보그를 부활시키지 못하게 하려 한다.
여기서 플레이어는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 만약 플레이어가 왕관을 차지하기로 선택하면(배드 엔딩), 클로그는 승리를 기뻐하지만, 왕관을 쓴 클레이맨은 클로그와 비슷하게 변형되어 즉시 그를 제압하고 스스로 네버후드의 새로운 지배자가 된다.
- 만약 플레이어가 호보그를 부활시키기로 선택하면(굿 엔딩), 클레이맨은 클로그의 주의를 돌린 뒤 왕관을 호보그의 머리에 씌워 그를 부활시킨다. 호보그가 클레이맨에게 감사하는 사이, 클로그는 기습을 시도하지만 실수로 자신의 대포를 발사해 성 밖으로 날아가 공허 속으로 떨어진다. 호보그는 클레이맨과 함께 처음 시작했던 건물로 돌아와 네버후드를 계속해서 채워나가고 축제를 명령한다. 하지만 클레이맨은 윌리와 빌을 잃은 슬픔에 잠겨 있고, 이를 본 호보그는 자신의 힘으로 윌리와 빌을 구해주며 클레이맨을 기쁘게 한다. 게임은 호보그가 클레이맨에게 "이봐, 모든 게 좋아"라고 말하며 마무리된다.
4. 개발
더그 텐네이플은 1988년에 점토 세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처음 구상하여 약 17개의 구조물을 만들었다.[3] 이후 데이비드 페리가 운영하는 샤이니 엔터테인먼트의 방식에 불만을 느껴 1995년 회사를 떠났다. 퇴사 2주 후, 그는 E3에서 자신의 회사인 The Neverhood, Inc.를 설립했다고 발표했는데, 이 회사에는 ''Earthworm Jim''과 그 속편 개발에 참여했던 여러 인물들이 합류했다.[4]
당시 막 설립된 스티븐 스필버그의 드림웍스 인터랙티브는 새롭고 독특한 프로젝트를 찾고 있었고, 텐네이플은 스필버그에게 클레이 애니메이션 게임 아이디어를 제안하여 출판 승낙을 받았다.[3] The Neverhood, Inc.는 드림웍스 인터랙티브 및 마이크로소프트와 계약을 맺고 본격적인 게임 개발에 착수했다. 개발 과정에서 캐릭터와 배경을 만드는 데 3ton 이상의 점토가 사용되었으며,[2] 5만 프레임 이상의 스톱 모션 촬영이 이루어졌다.
''The Neverhood''는 E3 1996에서 ''The Neverhood: A Curious Wad of Klay Finds His Soul''이라는 제목으로 처음 공개되었으며,[5] 약 1년간의 개발 기간을 거쳐 1996년에 출시되었다.[6] 게임 요소 촬영에는 베타 버전의 미놀타 RD-175 카메라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소비형 디지털 카메라를 전문적으로 활용한 최초의 스톱 모션 작품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4. 1. 사운드트랙
이 게임의 사운드트랙은 다니엘 아모스의 리더인 테리 스콧 테일러가 작곡하고 연주했으며, ''GMR'' 잡지에서 "올해 최고의 게임 음악" 상을 수상했다. 톰 클랜시 비디오 게임 시리즈의 작곡가로 알려진 빌 브라운은 ''네버후드'' 사운드트랙을 "최고의 비디오 게임 사운드트랙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7]5. 평가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따르면, ''네버후드''는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지만 상업적으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15] 1997년 초에는 판매 부진으로 대형 매장에서 찾아보기 어려웠으며,[14] 이는 당시 비디오 게임 소매업체들이 대형 할인점과의 경쟁으로 어려움을 겪던 상황과 맞물렸다.[14] 1999년 4월까지 미국 내 판매량은 약 41,000여 장에 그쳤다.[16] 다만, OEM 방식으로 컴퓨터에 사전 설치된 수십만 개의 사본이 유통되었고,[17] 불법 복제 등으로 인해 러시아, 이란 등 해외에서 예상치 못한 인기를 얻기도 했다.[18]
게임 평가는 클레이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독특한 시각적 스타일과 캐릭터 개성에 대한 호평과, 퍼즐의 난이도 및 느린 진행 속도에 대한 비판으로 나뉘었다. ''컴퓨터 게임 전략 플러스'',[51] ''엔터테인먼트 위클리'',[52] ''게임프로''[49] 등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반면, ''넥스트 제너레이션'',[53][26] ''게임스팟'',[21] ''PC 게이머''[48][50] 등은 퍼즐의 난해함과 느린 전개를 지적했다.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은 주간 패미통으로부터 40점 만점에 29점을 받았다.[46][28]
이러한 엇갈린 평가 속에서도 ''네버후드''는 여러 매체로부터 1996년 최고의 어드벤처 게임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29][30] 특히 예술적 성취를 인정받아 관련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31] 애니메이션 매거진의 영화제에서는 1997년 "게임 플랫폼을 위해 제작된 최고의 애니메이션" 상을 받았다.[34]
2011년, 어드벤처 게이머스는 ''네버후드''를 역대 최고의 어드벤처 게임 35위로 선정하며 그 가치를 재조명했다.[35]
5. 1. 수상 내역
- 컴퓨터 게임스 스트래티지 플러스: 올해의 어드벤처[55]
- CNET: 최고의 어드벤처 게임[56]
- Computer Gaming World: 예술적 성취 특별상[57]
- 컴퓨터 게임 개발자 회의: 최고의 애니메이션 (결선 진출)[58][59]
6. 기타
(내용 없음)
6. 1. 이식 및 후속작
게임의 플레이스테이션 이식판인 ''클레이맨 클레이맨: 네버후드의 미스터리''(クレイマン・クレイマン ~ネバーフッドの謎~일본어)가 제작되어 일본에서만 출시되었다.[28] 이 버전은 원작 PC 버전과 비교하여 방 사이의 로딩 시간이 더 길고, 게임 내 기록 보관소 구역이 제거되는 등 약간의 변경점이 있었다.[8]1998년에는 플레이스테이션용으로 ''스컬몽키즈''라는 후속작이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전작과 같은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방식이 아닌 플랫폼 게임 장르였다. 스컬몽키즈의 일본판은 ''클레이맨 클레이맨 2''(クレイマン・クレイマン2 ~スカルモンキーのぎゃくしゅう~일본어)라는 제목으로 출시되었다.[9]
이후 네버후드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또 다른 일본 플레이스테이션 게임인 ''클레이맨 건-하키''(クレイマン ガンホッケー일본어)가 제작되었다. 이는 일본 시장 전용의 스포츠 액션 게임으로, 네버후드의 캐릭터를 사용했지만 원작 게임의 디자이너들이 참여하지 않았고, 클레이메이션 디자인 기법도 사용되지 않았다. 게임 방식은 에어 하키와 유사하나, 말렛 대신 총을 사용한다. 이 게임은 네버후드 시리즈의 일본 배급사였던 리버힐소프트가 개발하고 배급했다.
주인공 클레이맨은 The Neverhood, Inc.에서 개발한 플레이스테이션 게임 ''붐봇''에서 숨겨진 격투 캐릭터로 등장하기도 했다.
2011년 6월, ''네버후드''의 일부 원 개발자들은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통해 아이폰, 아이팟 터치,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및 태블릿, 윈도우 폰과 같은 최신 플랫폼으로 게임을 이식하기 위한 독점권을 협상 중이라고 발표했다.[10][11] 하지만 공식적인 지원 중단으로 인해 최신 운영체제 및 하드웨어에 대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자, 팬들이 2013년 '네버후드 복원 프로젝트(Neverhood Restoration Project)'를 통해 새로운 호환성 수정 패치를 제작했다.[12]
2014년 7월 21일에는 ScummVM 프로젝트에서 버전 1.7.0을 출시하며 ''네버후드''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리눅스, OS X, 윈도우, 안드로이드 등 ScummVM이 지원하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게임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13]
한편, 2013년 3월 12일, 원작자 더그 테네펠은 ''어스웜 짐''과 ''네버후드'' 작업에 참여했던 에드 스코필드, 마이크 디츠와 협력하여 새로운 클레이 스톱 모션 어드벤처 게임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36][37] 테네펠은 이 게임이 ''네버후드''의 직접적인 속편은 아니지만, 자신만의 독특한 예술 스타일과 유머, 그리고 테리 스콧 테일러의 음악을 특징으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게임은 ''아미크로그''라는 제목으로 2015년 9월 30일에 출시되었다.[38][39]
6. 2. 팬 프로젝트
공식적인 지원 중단으로 인해 최신 운영체제(OS)나 하드웨어에 대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자, 팬들은 자체적으로 해결책을 모색했다. 2013년, 한 팬 그룹은 "네버후드 복원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호환성 수정 패치를 만들어 배포했다.[12]이후 2014년 7월 21일에는 ScummVM 프로젝트가 버전 1.7.0을 출시하면서 ''네버후드''를 공식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리눅스, OS X, 윈도우, 안드로이드 OS 등 다수의 지원 플랫폼에서 게임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13]
6. 3. 관련 작품
2012년에, 오리지널 ''네버후드''의 작가들은 뮤지컬 소설 ''리턴 투 더 네버후드''(Return to the Neverhood)를 발매했다. 이야기는 테리 스콧 테일러가 쓰고, 사운드트랙과 삽화는 더그 테네이플이 그렸다.[40][41]6. 4. 영화화
2007년 6월 25일, 버라이어티는 프레데이터 필름스의 첫 번째 프로젝트 중 하나로 ''네버후드''를 기반으로 한 클레이메이션 장편 영화 각색이 진행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원작 비디오 게임의 제작자인 더그 텐네이플이 영화의 각본과 감독을 맡기로 계약했다.[42] 그러나 이 영화 제작 계획은 자금 부족으로 인해 취소되었다.[43]6. 5. 정신적 후속작
2013년 3월 12일, 네버후드의 제작자 더그 테넨펠은 전 ''네버후드''와 ''어스웜 짐''의 아티스트 및 애니메이터였던 에드 스코필드, 마이크 디츠와 협력하여 새로운 게임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36][37] 이 게임은 클레이와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장르로 기획되었다. 테넨펠은 이 게임이 ''네버후드''의 직접적인 속편은 아니지만, 자신 특유의 예술 스타일과 유머 감각을 담고, 테리 스콧 테일러가 작곡한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을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미크로그''라는 제목으로 개발된 이 정신적 후속작은 2015년 9월 30일에 출시되었다.[38][39]참조
[1]
웹사이트
Online Gaming Review
http://www.ogr.com/n[...]
2023-04-16
[2]
간행물
The Neverhood: A Curious Wad of Klay Finds his Soul
International Data Group
1996-09
[3]
웹사이트
Review of The Neverhood Chronicles
http://www.gamerevol[...]
Game Revolution
2004-06-05
[4]
웹사이트
Welcome To The Neverhood
http://www.awn.com/m[...]
Awn.com
2012-10-14
[5]
웹사이트
E3 Adventure & Role Playing Games
http://www.cdmag.com[...]
1996-06-01
[6]
웹사이트
GameSpot:Video Games PC Xbox 360 PS3 Wii PSP DS PS2 PlayStation 2 GameCube GBA PlayStation 3
http://www.gamespot.[...]
Replay.waybackmachine.org
2012-10-14
[7]
웹사이트
Terry Scott Taylor
http://www.danielamo[...]
Daniel Amos
[8]
웹사이트
The Neverhood
http://www.hardcoreg[...]
2024-05-22
[9]
웹사이트
Skullmonkeys
http://www.hardcoreg[...]
2024-05-22
[10]
웹사이트
Neverhood Mobile - Résumé
http://www.facebook.[...]
Facebook
2012-10-14
[11]
웹사이트
Klaymen (@NeverhoodMobile) op Twitter
https://twitter.com/[...]
Twitter.com
2012-10-14
[12]
웹사이트
Neverhood restoration project
http://theneverhood.[...]
2015-08
[13]
웹사이트
ScummVM 1.7.0 "The Neverrelease" is out!
http://scummvm.org/n[...]
ScummVM
2014-07-21
[14]
뉴스
"Myst" Opportunities: Game Makers Narrow Their Focus to Search for the Next Blockbuster
https://www.latimes.[...]
1997-03-03
[15]
뉴스
Have CD-ROMances Run Their Course?
https://www.latimes.[...]
1997-08-18
[16]
웹사이트
The Top 10 Games That No One Bought
http://www.gamecente[...]
1999-06-04
[17]
웹사이트
"Exclusive – The ''Neverhood''#REDIRECT \n\n{{Redirect category shell|\n{{R from move}}\n}}s Mike Dietz 'The Industry Is Stuck In A Rut'"
http://www.igameresp[...]
2013-06-18
[18]
웹사이트
Funny Interview with Doug Tennapel! Armikrog on Kickstarter!
https://www.youtube.[...]
WelovegamesTV
2013-10-06
[19]
간행물
Klay Time
1996-12
[20]
간행물
Pastic
http://www.pcgamer.c[...]
[21]
웹사이트
The Neverhood Review
http://www.gamespot.[...]
GameSpot
2013-09-02
[22]
간행물
Reviews; The Neverhood Chronicles
1996-12
[23]
웹사이트
"The Neverhood"
http://www.cdmag.com[...]
1996
[24]
간행물
PC Game Review: 'The Neverhood'
http://www.ew.com/ew[...]
2013-09-02
[25]
간행물
Looking for Adventure?
1997-02-04
[26]
간행물
The Neverhood
Imagine Media
1996-12
[27]
간행물
PC GamePro Review Win 95: The Neverhoo
International Data Group
1996-12
[28]
웹사이트
クレイマン・クレイマン 〜ネバーフッドの謎〜 [PS] /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2018-11-04
[29]
웹사이트
"Computer Games Strategy Plus" announces 1996 Awards
http://www.cdmag.com[...]
1997-03-25
[30]
웹사이트
The Gamecenter Awards for 96
http://www.gamecente[...]
[31]
간행물
The "Computer Gaming World" 1997 Premier Awards
1997-05
[32]
웹사이트
And the Nominees Are...
http://www.next-gene[...]
1997-04-15
[33]
간행물
Spotlight Awards Winners Announced for Best Computer Games of 1996
http://www.gamechoic[...]
Game Developers Conference
1997-04-28
[34]
웹사이트
WAC Awards for 1997
https://www.imdb.com[...]
[35]
웹사이트
Top 100 All-Time Adventure Games
http://www.adventure[...]
2011-12-30
[36]
웹사이트
The Official Neverhood Facebook Page
https://www.facebook[...]
Facebook.com
2013-03-12
[37]
웹사이트
The Neverhood Game Will Get a Worthy Successor
http://www.mountspac[...]
Mountspace.net
2013-03-22
[38]
웹사이트
The Neverhood creator working on a new claymation point-and-click adventure
http://www.eurogamer[...]
Eurogamer.net
2013-03-15
[39]
웹사이트
Neverhood creator developing a full, stop-motion animated adventure game
http://www.pcgamer.c[...]
PCgamer.com
2013-03-14
[40]
문서
Return to the Neverhood - Daniel Amos
http://www.danielamo[...]
[41]
Youtube
Return To Neverhood - Promo video
https://www.youtube.[...]
[42]
뉴스
Toon trio starts Frederator
https://variety.com/[...]
2018-10-25
[43]
웹사이트
Some sad news
https://www.tapatalk[...]
2024-08-02
[44]
웹사이트
クレイアニメを活用したアドベンチャーゲーム「Armikrog」がリリース。ローンチトレイラーが公開
https://www.4gamer.n[...]
2020-03-26
[45]
잡지
The Neverhood: A Curious Wad of Klay Finds his Soul
인터내셔널 데이터 그룹
1996-09
[46]
웹인용
クレイマン・クレイマン 〜ネバーフッドの謎〜 [PS] /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2018-11-04
[47]
저널
Klay Time
1996-12
[48]
저널
Pastic
http://www.pcgamer.c[...]
[49]
잡지
"PC GamePro'' Review; ''The Neverhood''"
International Data Group
1996-12
[50]
저널
Reviews; The Neverhood Chronicles
1996-12
[51]
웹인용
The Neverhood
http://www.cdmag.com[...]
1996
[52]
웹인용
PC Game Review: 'The Neverhood'
http://www.ew.com/ew[...]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2013-09-02
[53]
잡지
The Neverhood
Imagine Media
1996-12
[54]
저널
Looking for Adventure?
1997-02-04
[55]
웹인용
"Computer Games Strategy Plus'' announces 1996 Awards"
http://www.cdmag.com[...]
1997-03-25
[56]
웹인용
The Gamecenter Awards for 96
http://www.gamecente[...]
[57]
저널
The "Computer Gaming World'' 1997 Premier Awards
1997-05
[58]
웹인용
And the Nominees Are...
http://www.next-gene[...]
1997-04-15
[59]
보도자료
Spotlight Awards Winners Announced for Best Computer Games of 1996
http://www.gamechoic[...]
Game Developers Conference
1997-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