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오코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오코로스는 고대 그리스어로 '신전을 쓰는 사람'을 의미하며, 신전 관리인을 뜻한다. 고전기 그리스에서는 사제 계급 또는 보조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하위 계층을 지칭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도시가 수호신 또는 황제 숭배를 위해 사용되는 칭호로 확장되었다. 동방의 그리스 도시들은 황제 숭배 사원 건설을 기념하여 로마 원로원으로부터 이 칭호를 받았고, 도시들은 이를 얻기 위해 경쟁했다. 이 칭호는 도시 주화에 나타났으며, 세베루스 왕조 시기에 널리 사용되다가 갈리에누스 황제 통치 이후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의 관직과 칭호 - 에포로스
    에포로스는 고대 스파르타에서 왕을 견제하며 행정, 사법, 군사적 권한을 행사한 5인 집정관직으로, 국민회의에서 매년 선출되어 법률 제정, 사법 재판, 외교, 군사 원정 감독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스파르타 정치 체제의 핵심 요소였다.
  • 고대 그리스의 관직과 칭호 - 호플리테스
    호플리테스는 고대 그리스의 중장보병을 일컫는 말로, 팔랑크스 대형을 이루어 전투를 벌였으며, 시민의 의무로서 갑옷, 방패, 창, 검 등의 장비를 갖추고 싸웠다.
네오코로스
기본 정보
그리스어Νεωκόρος
로마자 표기Neōkoros
복수형네오코로이 (νεωκόροι)
로마자 표기 (복수형)Neōkoroi
의미
기본 의미신전 관리인, 사찰지기
추가 의미특정 신전의 숭배를 장려하는 도시
역사적 맥락
역할신전의 재산을 관리하고 보호함
신전의 제물을 감독함
신전의 정결을 유지함
정치적 중요성도시의 정치적, 종교적 위상을 나타냄
로마 제국 시대에 특히 중요해짐
관련 용어몬온 아파손 테트라키 네오코론 (ΜΟΝΩΝ ΑΠΑΣΩΝ ΤΕΤΡΑΚΙ ΝΕΩΚΟΡΩΝ) - "모든 아시아의 네 번의 네오코로스"

2. 어원

'네오코로스'(νεωκόρος|네오코로스grc)라는 말은 '네오스'(νεώς|네오스grc, 신전) + '코로스'(κορέω|코로스grc, 닦다, 쓸다)에서 비롯했을 것이며, 글자 그대로는 신전을 쓰는 사람을 뜻한다.[3] ναοκόρος|나오코로스grc, νακόρος|나코로스grc, ναυκόρος|나우코로스grc, νεοκόρος|네오코로스grc, νηοκόρος|네오코로스grc, νειοκόρος|네이오코로스grc 등 많은 변형 형태가 확인되었다. 이 용어는 성당지기와 유사한 사원의 관리인을 의미하였다. 네오코로스 대신에 사용된 유사한 용어들에는 ζάκορος|자코로스grc, ναοφύλαξ|나오필락스grc, νηοπόλος|네오폴로스grc 등이 있다.

3. 신전 관리인

고전기 그리스 때, 네오코로스는 사제 계급이었지만, 일반적인 경우 그들의 임무에 상응하는 낮은 지위를 가졌다. 알려진 대부분의 경우 이들은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했지만, 오로포스나 코스와 같은 몇몇 지역에서는 실제 사원 사제를 대신할 수 있었고, 신성한 섬인 델로스에서는 네오코라테가 행정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1] 여성도 네오코로스 직위를 맡을 수 있었다.[2] 네오코로스의 임기는 장소마다 달랐는데, 델포이에서는 네오코로스가 종신으로 임명되었고, 델로스에서는 최소 37번이나 네오코로스를 역임한 사람이 적어도 한 명 있었다.[2]

시간이 지나면서,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네오코로스는 지역 유력자들이 이를 맡게 되면서 더욱 중요해졌다. 그 직함을 가진 사람들은 사원에 기부하고 그들의 임기를 기념하려 했다. 네오코로스들은 κράτιστος|크라티스토스|가장 숭고한grc라는 칭호를 얻었고, 동시에 최고 네오코로스 직위(ἀρχινεωκόρος|아르케크라티스토스grc)라는 한층 더 고위층임을 구분하기 위한 칭호도 생겨났다.[1]

4. 도시들의 경칭

로마 시대 리코스의 라오디케이아의 민간 주화. 카라칼라 황제의 흉상과 함께 '네오코로스의 라오디케이아인들'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


초기 로마 제국 시대에, 네오코로스 칭호는 도시들이 자신들의 수호신에게 사용하기 시작했다. 에페소스아르테미스를 수호신으로 삼았는데, 이는 드문 경우였고 주로 로마 황제 숭배와 관련하여 이 칭호가 사용되었다. 동방의 그리스 도시들은 황제 숭배 신전을 건설한 것에 대한 표시로 로마 원로원으로부터 네오코로스 칭호를 받았다. 이 칭호는 매우 권위가 있었기 때문에 도시들은 서로 경쟁했고, 부유한 도시들은 여러 황제에게 신전을 봉헌하며 여러 차례 칭호를 받기도 했다. 에페소스는 네 번이나 네오코로스 칭호를 받았다.

이 칭호는 도시 주화에 종종 사원의 모습과 함께 새겨졌다. 네오코로스 칭호를 받은 도시는 대략 30개 정도였으며, 아시아 속주에 주로 있었지만 소아시아, 레반트, 남부 발칸 반도의 다른 속주에도 있었다.

세베루스 왕조 시대에는 칭호 수여가 매우 흔해졌지만, 갈리에누스 황제 (260년-268년) 이후로는 중단되었다.

4. 1. 로마 황제 숭배와의 관계



초기 로마 제국 시대에 네오코로스는 도시들이 자신들의 수호신에게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에페소스의 경우에는 아르테미스였다.[4] 그렇지만 에페소스는 드문 경우였고, 주로 로마의 황제 숭배와 연관되어 있었다.[4] 동방의 그리스 도시들은 속주 전체적으로 그 유명세를 인정받은 황제 숭배 신전을 지은 것에 대한 표시로, 로마 황제의 인가를 받아 로마 원로원으로부터 네오코로스라는 칭호를 부여받았다. 네오코로스는 대단히 저명한 칭호로서, 도시들은 이를 얻기 위해 경쟁하였고, 많이 부유한 도시들은 각기 다른 황제들에게 신전을 봉헌하며 여러 차례 이 칭호를 얻으려 하였고 받아내었다.[4] 에페소스는 네 차례 네오코로스를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4]

이 칭호는 종종 문제의 사원의 표현과 함께 민간 주화들에 등장하였다.[4] 네오코로스를 지닌 대략 30개 도시들이 있으며, 아시아 속주에 주로 집중되어 있으나, 인접한 소아시아, 레반트, 발칸반도 남부의 속주들에도 있었다.[4]

세베루스 왕조 시기에 이 칭호는 아주 흔한 것이 되었고, 갈리에누스 재위 (260년-268년) 이후로는 수여가 중단되었다.[4]

4. 2. 칭호 획득 경쟁

초기 로마 제국 시대에, 네오코로스는 도시들이 자신들의 수호신에게 부여하기 시작한 칭호였다. 에페소스의 경우 아르테미스가 수호신이었다.[4] 그러나 에페소스는 드문 경우였고, 주로 로마 황제 숭배와 관련이 있었다.[4] 동방의 그리스 도시들은 속주 전체적으로 유명한 황제 숭배 신전을 지은 것에 대한 표시로, 로마 황제의 인가를 받아 로마 원로원으로부터 네오코로스 칭호를 받았다. 네오코로스는 매우 저명한 칭호였기 때문에, 도시들은 이를 얻기 위해 경쟁했고, 부유한 도시들은 각기 다른 황제에게 신전을 봉헌하며 여러 차례 칭호를 획득했다.[4] 에페소스는 네 차례 네오코로스 칭호를 받은 기록이 있다.[4]

이 칭호는 종종 해당 사원의 모습과 함께 민간 주화에 등장했다.[4] 네오코로스 칭호를 지닌 도시는 대략 30개 정도였으며, 아시아 속주에 주로 집중되었으나, 인접한 소아시아, 레반트, 발칸반도 남부의 속주에도 존재했다.[4]

세베루스 왕조 시대에 이 칭호는 매우 흔해졌고, 갈리에누스 재위 (260년-268년) 이후로는 수여가 중단되었다.[4]

참조

[1]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2] 간행물
[3]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4]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