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이버 뉴스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로, 뉴스 스탠드와 뉴스 라이브러리로 구성되어 있다. 뉴스 스탠드는 기존 뉴스캐스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되었지만, 이용률 저조와 사용자 불만족 등의 문제점을 겪고 있다. 뉴스 라이브러리는 1920년부터 1999년까지의 동아일보, 경향신문, 매일경제, 한겨레의 기사를 제공하며,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이버의 서비스 - 네이버페이
네이버페이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및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간편 결제 기능과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삼성페이 연동 등의 주요 기능을 제공하며, 체크카드와 신용카드 출시 및 다양한 이벤트와 제휴를 통해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 네이버의 서비스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는 2003년 시작된 네이버의 블로그 서비스로, 다양한 기능과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며 다른 네이버 서비스와 연계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 뉴스 웹사이트 - 더 사인포스트
"더 사인포스트"는 위키백과 관련 소식을 다루는 뉴스레터이자 정보 제공 매체로, 1999년 마이클 스노우에 의해 창간되었으며, 위키백과의 편집, 기사 개선 프로젝트, 중재 보고서, 위키미디어 재단 관련 보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뉴스 웹사이트 - 온라인 신문
온라인 신문은 인터넷을 통해 뉴스와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로, 1990년대 후반부터 발전하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수익 모델 다변화, 가짜뉴스 문제 등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 - 대한민국의 언론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라는 모토 아래 시민기자 제도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문으로, 시민들이 직접 기사를 쓰고 상근 기자가 편집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진보적인 성향을 띤다. - 대한민국의 언론 - 빅뉴스
빅뉴스는 변희재 등이 창간한 인터넷 신문으로, 초기에는 진보 및 친노무현 성향을 띠었으나 실크세대론을 주창하며 새로운 세대론을 제시했고, 호남 및 서남 지역 뉴스를 운영하며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지역의 기사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네이버 뉴스 | |
---|---|
네이버 뉴스 | |
유형 | 인터넷 신문 |
창립일 | 2000년 4월 1일 |
소유주 | 네이버 |
모기업 | 네이버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웹사이트 | 네이버 뉴스 |
운영 방식 | 뉴스 서비스, 뉴스 콘텐츠 제휴 |
제휴 언론사 | 다수의 언론사 |
주요 특징 | |
서비스 형태 | 뉴스 포털, 뉴스 검색 |
제공 콘텐츠 | 기사, 속보, 사진, 영상 |
사용자 기능 | 뉴스 검색, 댓글, 공유, 구독 |
주요 서비스 | 뉴스 홈 언론사별 뉴스 분야별 뉴스 인물 뉴스 MY뉴스 |
모바일 앱 | 네이버 앱 내 뉴스 서비스 제공 |
기사 제공 방식 | 제휴 언론사 기사 제공, 자체 제작 콘텐츠 |
추가 정보 | |
연간 페이지뷰 | 수십억 건 |
사용자 수 | 수천만 명 |
경쟁 서비스 | 다음 뉴스, 구글 뉴스 등 |
뉴스 편집 정책 | 편집 권한은 네이버 뉴스 편집자가 가짐 |
논란 | 뉴스 편집의 공정성 논란 어뷰징 논란 댓글 정책 논란 |
영향력 | 국내 주요 뉴스 소비 채널 |
사회적 역할 | 공론장, 정보 전달 매체 |
2. 뉴스 스탠드
뉴스 스탠드는 네이버 뉴스가 낚시성 및 선정성 기사를 줄이고자 도입한 서비스이다. 옴부즈맨 카페를 운영하였으나, 2018년부터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 2020년 연예, 스포츠 뉴스 댓글이 잠정 폐지되었으나,[2] 2025년에 다시 열릴 예정이다.
2. 1. 특징
네이버는 기존 뉴스캐스트의 낚시성 및 선정성 기사를 근절하기 위해 뉴스의 대표 메뉴를 개편하였다.[1]뉴스캐스트와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언론사를 직접 선택하여 뉴스를 볼 수 있다. 하지만 기사 복제, '검색어 싸움' 등 여러 문제점이 많다. 2013년 5월 기준, 개편된 뉴스스탠드 이용률은 15%에 불과하고 사용자의 39%가 좋지 않다고 답해, 기존 뉴스캐스트 이용률(68%)에 비해 뉴스스탠드의 개편 효과를 전혀 보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1]
2. 2. 문제점
기사 복제, '검색어 싸움' 등 여러 문제점이 많고, 기존 뉴스캐스트 이용자가 68% 수준이었으나 2013년 5월 기준 개편된 뉴스스탠드 이용률은 15%에 불과하고 사용자의 39%가 좋지 않다고 답해 뉴스스탠드의 개편 효과를 전혀 보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1] 옴부즈맨 까페를 운영하였었으나, 2018년부터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 2020년 연예 및 스포츠 뉴스 댓글이 잠정 폐지되었으나,[2] 2025년에 다시 열릴 예정이다.3. 뉴스 라이브러리
뉴스 라이브러리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과거 신문 기사 디지털화 서비스이다.
3. 1. 개요
2009년 4월 30일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여 2011년 4월 7일 정식 서비스로 전환되었다. 1920년부터 1999년까지의 경향신문, 매일경제, 동아일보, 한겨레 기사를 무료로 제공한다. 초기에는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였다.[3][4][5][6]3. 2. 제공 언론사 및 기간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부터 1999년까지의 기사를 제공하며, 일제강점기 강제 폐간 및 한국 전쟁 등으로 발행이 중단된 기간이 존재한다.[6] 경향신문은 1946년 창간부터 1999년까지의 기사를 제공하며, 한국 전쟁 및 경영 악화 등으로 발행이 중단된 기간이 존재한다.[6] 매일경제는 1966년 창간부터 1999년까지,[6] 한겨레는 1988년 창간부터 1999년까지의 기사를 제공한다.[6] 조선일보는 1920년 창간부터 1999년까지의 기사를 제공하며 일제 강점기에 강제 폐간되었다.[5]언론사 | 발행 기간 | 발행 중지 기간 |
---|---|---|
동아일보 | 1920.4.1 (창간) ~ 1999.12.31 | 1920.9.26 ~ 1921.1.10 (제1차 무기정간) 1926.3.07 ~ 1926.4.20 (제2차 무기정간) 1930.4.17 ~ 1930.9.1 (제3차 무기정간) 1940.8.12 ~ 1945.11.30 (일제의 탄압으로 강제폐간) 1950.6.28 ~ 1950.10.3 (한국 전쟁으로 중단) |
경향신문 | 1946.10.6 (창간) ~ 1999.12.31 | 1950.6.28 ~ 1951.12.31 (한국 전쟁으로 중단) 1959.5.1~1960.4.27 (폐간) |
매일경제 | 1966.3.24 (창간) ~ 1999.12.31 | |
한겨레 | 1988.5.15 (창간) ~ 1999.12.31 | |
조선일보 | 1920.3.5 (창간) ~ 1999.12.31 | 1940.8.12 ~ 1945.11.22 (일제의 탄압으로 강제폐간) |
발행이 중단된 적이 없는 언론사는 매일경제와 한겨레이며, 동아일보는 5회, 경향신문은 2회 간행이 중단되었다.
3. 3. 서비스 연혁
2009년 4월 30일 베타 서비스로 시작하여 2011년 4월 7일 정식 서비스로 오픈하였다. 초기에는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1976년부터 1985년까지의 기사를 제공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제공 기간을 확대하였다.[3][4][5][6]- 초기: 1976년 1월 1일 ~ 1985년 12월 31일
- 1차: 1970년 1월 1일 ~ 1975년 12월 31일[3]
- 2차: 1960년 1월 1일 ~ 1969년 12월 31일 / 1986년 1월 1일 ~ 1991년 12월 31일[4]
- 3차: 1992년 1월 1일 ~ 1995년 12월 31일[5]
- 4차: 1996년 1월 1일 ~ 1999년 12월 31일
- 5차: 1920년 4월 1일 (동아일보), 1946년 10월 6일 (경향신문), 1966년 3월 24일 (매일경제) ~ 1999년 12월 31일[6]
- 6차: 1988년 5월 15일 (한겨레) ~ 1999년 12월 31일
제공되는 언론사별 창간일 및 발행 기간은 다음과 같다.
언론사 | 발행 기간 | 발행 중지 기간 |
---|---|---|
동아일보 | 1920.4.1 (창간) ~ 1999.12.31 | 1920년 9월 26일 ~ 1921년 1월 10일 (제1차 무기정간) 1926년 3월 7일 ~ 1926년 4월 20일 (제2차 무기정간) 1930년 4월 17일 ~ 1930년 9월 1일 (제3차 무기정간) 1940년 8월 12일 ~ 1945년 11월 30일 (일제의 탄압으로 강제폐간) 1950년 6월 28일 ~ 1950년 10월 3일 (한국 전쟁으로 중단) |
경향신문 | 1946.10.6 (창간) ~ 1999.12.31 | 1950년 6월 28일 ~ 1951년 12월 31일 (한국 전쟁으로 중단) 1959년 5월 1일~1960년 4월 27일 (폐간) |
매일경제 | 1966.3.24 (창간) ~ 1999.12.31 | 없음 |
한겨레 | 1988.5.15 (창간) ~ 1999.12.31 | 없음 |
조선일보 | 1920.3.5 (창간) ~ 1999.12.31 | 1940년 8월 12일 ~ 1945년 11월 22일 (일제의 탄압으로 강제폐간) |
발행이 중단된 적이 없는 언론사는 매일경제와 한겨레 2개 사에 불과하며, 동아일보는 5회, 경향신문은 2회에 걸쳐 간행이 중단되었다.
참조
[1]
뉴스
뉴스스탠드 시행 3개월, 그 속내 살펴보니
http://dadoc.or.kr/9[...]
[2]
뉴스
‘혐오의 장’된 포털 댓글 어떻게 할 것인가
http://www.mediatoda[...]
[3]
웹사이트
1차 기간 확대 안내
http://dna.naver.com[...]
2009-08-19
[4]
웹사이트
2차 기간 확대 안내
http://dna.naver.com[...]
2009-12-23
[5]
웹사이트
3차 기간 확대 안내
http://dna.naver.com[...]
2010-04-07
[6]
웹사이트
5차 업데이트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