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겨레는 1988년 5월 15일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해직 언론인들을 중심으로 창간된 대한민국의 진보 성향 일간 신문이다. 한글 전용과 가로쓰기를 한국 언론 최초로 도입했으며, 편집위원장 직선제를 실시했다. 책임, 공정, 소통을 표방하며, 특정 자본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독립 자본금으로 운영된다. 현재 한겨레21, 씨네21, 허핑턴포스트코리아 등 자매지 및 자회사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주의 단체 - 아사히 신문
아사히 신문은 1879년 오사카에서 창간되어 전국적인 신문으로 성장했으며, 일본의 유력 일간지로서 정치·사회 문제에 강점을 보이며 아사히상 제정 및 온라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 한겨레 - 허프포스트
허프포스트는 2005년 설립되어 검색 엔진 최적화 전략으로 성장한 온라인 뉴스 및 의견 플랫폼으로, AOL, 베라이즌 미디어를 거쳐 현재 버즈피드에 인수되었으며,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퓰리처상을 수상하는 등 업계에서 인정받고 진보적 성향으로 여겨진다. - 한겨레 - 송건호
송건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민주화 운동가로, 동아일보 편집국장 해직 후 민주언론운동협의회 결성, 월간 《말》지를 통한 보도지침 폭로, 한겨레신문 창간 및 초대 사장 역임 등 언론 자유와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그의 언론 정신을 기리는 송건호 언론상이 제정되었다. - 1988년 창간 - 전북도민일보
전북도민일보는 1988년 창간된 대한민국의 지역 신문이다. - 1988년 창간 - 아시아경제신문
한겨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한겨레 |
한자 표기 | (한자는 없음) |
로마자 표기 | Han-gyeore Han'gyŏre |
의미 | '큰 겨레' 또는 '한민족' |
창간일 | 1988년 5월 15일 |
유형 | 일간 신문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
발행인 | 최우성 |
편집인 | 김영희 |
웹사이트 | 한겨레 공식 웹사이트 |
발행 법인 | 한겨레신문사 |
간행 주기 | 일간 |
언어 | 한국어 |
가격 | 1부당 1,000원, 1개월 정기 구독 20,000원 |
판형 | 대판 (주중) 타블로이드 (토요일) |
보급 대상 | 지구인 |
정치 성향 | |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좌파 자유주의 진보주의 |
관련 성향 | 진보 |
관련 정보 | |
소유주 | 한겨레 미디어 그룹 |
추가 정보 | |
영어판 | 한겨레 영어판 |
중국어판 | 한겨레 중국어판 |
일본어판 | 한겨레 일본어판 |
좌표 | |
2. 역사
1988년 5월 15일,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해직 언론인들을 중심으로 창간되었다.[108] 창간 당시 제호는 《한겨레신문》이었으나, 1996년 《한겨레》로 바뀌었다.[108] 한글전용과 가로쓰기를 창간 당시부터 도입하였다.[108]
1995년 4월 27일 중앙일보에 이어 대한민국 내 신문사로는 두 번째로 주간지 《한겨레21》로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다. 1996년 1월 1일에 《씨네21》, 1996년 7월 11일 일간지 《한겨레》의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효창목길 6에 있다. 2007년 1월 29일에는 취재 보도 준칙을 제정하였다. 2009년 한국ABC협회 자료에 따르면 하루에 281,814부를 발행하고 있다.
2005년부터 흑자로 돌아섰으며 766억원 매출에 19억원의 경상이익을 냈다. 2004년에는 21억원, 2003년에는 28억원 적자였다. 2007년 회계연도의 매출액은 762억원, 당기순이익 20억원이며 2007년 12월 기준으로 자산 695억원, 부채 445억원, 자본금이 250억원이다.[111]
군정 시대, 민주화를 주장하다 해직된 기자들을 중심으로 설립되었으며,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등을 계기로 반체제 세력의 결속이 강화되면서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발행되었다.
노태우와 김영삼의 보수 정권에는 비판적이었지만, 이후 김대중, 노무현으로 이어지는 개혁·진보 정권에서는 정부에 비교적 우호적이었다. 다만, 2006년부터는 노무현 정권의 부침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2005년 일본, 중국, 한국 연구자들이 편집한 학교 교재 『미래를 여는 역사』의 판을 한겨레신문사에서 발행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한겨레신문사로부터 시험본을 받아 정독하고 출판 기념회에 축하 메시지를 보냈으며, 교육부는 『미래를 여는 역사』를 전국의 중·고등학교 교장에게 증정했다.[91]
문재인 정권 시대에는 정권에 대해 일관되게 지지했으며, 문재인 대통령 자신도 한겨레 창간 이후 창간 발기인, 창간 위원, 부산 지국장 등을 역임했다.[92]
기존에 공식 일본어 사이트가 없어서, 자발적인 일본어 번역 블로그가 있었고,[94][95] 한국어 공식 사이트에서 링크가 걸려 있었으나, 공식 사이트의 일본어판이 개설됨에 따라 2012년 10월 15일부로 한겨레 사란반의 업데이트는 중단되었다. 또한 2014년 2월 28일, 허프포스트와 제휴하여 허프포스트 코리아에 뉴스를 제공하고 있다.[96]
2. 1. 창간 배경 (1987~1988)
1987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서 해직된 언론인들을 중심으로, 군사정권 하의 언론 탄압에 맞서 새로운 언론을 창간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21] 이들은 국민주 모금 방식을 통해 자본금을 모으고, 1988년 5월 15일 《한겨레신문》을 창간하였다.[108] 창간 당시 제호는 《한겨레신문》이었으며, 1996년 《한겨레》로 변경되었다.[108]초대 대표이사 겸 발행인은 송건호 선생이 맡았으며, 한국 언론 사상 최초로 편집위원장을 직선제로 선출하였다.[108] 또한, 종합일간지 최초로 창간 당시부터 한글전용과 가로쓰기를 도입하여, 한글 제호와 가로쓰기 디자인을 선보였다.[108] 이는 당시 주류 신문들이 기업 편향적이고 국가 통일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비판에 대한 대안으로, 애국심과 전통과의 단절을 강조하기 위한 선택이었다.[21]
한겨레는 '책임', '공정', '소통'을 표방하며,[109] 특정 자본으로부터의 제도적 독립을 위해 국민주 방식으로 운영되었다.[84] 창간 당시 한국 정부로부터 압수수색을 받는 등 어려움도 있었지만,[89] 현재는 전국지로 인정받고 있다.[89]
창간 과정의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날짜 | 사건 |
---|---|
1987년 9월 1일 | 창간준비위원회 구성 |
1987년 10월 22일 | 제호를 “한겨레신문”으로 결정 |
1987년 11월 8일 | 한겨레신문 창간 발기인 3342명(후에 3317명으로 수정) 명부 발표, 창간기금 모금 활동 시작 |
1987년 12월 14일 | 한겨레신문 주식회사 창립총회 개최, 대표이사 겸 발행인에 송건호 선임 |
1987년 12월 15일 | 서울민사지방법원에 한겨레신문 주식회사 창립등기 |
1988년 2월 25일 | 창간기금 모금 완료 (2만 7223명이 50억원을 출자) |
1988년 5월 5일 | 한겨레신문 윤리강령 및 윤리강령 실천요강 선언 |
1988년 5월 15일 | 《한겨레신문》 창간호 발행 |
2. 2. 초기 발전 과정 (1989~1995)
1988년 5월 15일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해직 언론 기자들을 중심으로 주식을 공모하여 모금된 자본금으로 창간되었다.[108] 창간 당시 제호(題號)는 《한겨레신문》이었으며, 한국 언론 사상 최초로 편집위원장을 직선제로 선출하였다. 또한 종합일간지 최초로 창간 당시부터 한글전용과 가로쓰기를 도입하였다.[108]1989년 4월 12일에는 이영희 논설고문이 공안합동수사본부에 연행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08] 1990년 6월 1일에는 지면을 8면에서 16면으로 증면하였고, 1992년 9월 1일에는 PC통신을 통해 "한겨레신문 기사 서비스"를 시작하였다.[108] 1993년 9월 1일에는 지면을 16면에서 20면으로 증면하였다.[108]
연도 | 주요 내용 |
---|---|
1989년 | |
1990년 | |
1991년 | |
1992년 | |
1993년 | |
1994년 | |
1995년 |
2. 3. 외형적 성장과 변화 (1996~2007)
1996년 10월 14일, 제호를 《한겨레신문》에서 《한겨레》로 변경하고, 주 6일 28면 발행으로 증면하였다. 1996년 11월 29일에는 한국신문협회에 가입하였다.[108]1995년 4월 27일, 중앙일보에 이어 대한민국 신문사 중 두 번째로 주간지 《한겨레21》의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듬해 1996년 1월 1일에는 영화 전문 잡지 《씨네21》을 창간하였고, 1996년 7월 11일에는 일간지 《한겨레》의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7년 1월 29일에는 취재 보도 준칙을 제정하였다.[111]
1996년부터 2007년까지 《한겨레》의 외형적 성장과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사건 | 내용 |
---|---|
제호 변경 | 1996년 10월 14일, 《한겨레신문》에서 《한겨레》로 변경 |
한국신문협회 가입 | 1996년 11월 29일 가입 |
자매지 창간 및 인터넷 서비스 시작 | |
취재 보도 준칙 제정 | 2007년 1월 29일 제정 |
2. 4. 최근 동향 (2008~현재)
2005년부터 흑자로 전환되었으며, 766억원의 매출과 19억원의 경상이익을 기록했다. 2004년에는 21억원, 2003년에는 28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었다. 2007년 회계연도의 매출액은 762억원, 당기순이익은 20억원이었으며, 2007년 12월 기준으로 자산 695억원, 부채 445억원, 자본금 250억원을 기록했다.[111]역대 사장 및 회장은 다음과 같다.
직책 | 이름 | 재임 기간 |
---|---|---|
초대 대표이사 회장, 대표이사 · 발행인 | 송건호 | 1988.5 ~ 1989.3 |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송건호 | 1989.3 ~ 1989.12 |
대표이사 · 발행인 · 인쇄인 | 송건호 | 1989.12 ~ 1991.4 |
대표이사 | 김명걸 | 1991.4 ~ 1991.7 |
김중배 | 1993.6 ~ 1994.6 | |
대표이사 · 발행인 · 인쇄인 | 김두식 | 1994.6 ~ 1995.3 |
권근술 | 1997.3 ~ 1999.3 | |
최학래 | 1999.3 ~ 2003 | |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인쇄인 | 김명걸 | 1991.8 ~ 1993.6 |
발행인 · 인쇄인 | 김두식 | 1995.3 |
인쇄인 | 김두식 | 1995.3 ~ 1997.3 |
대표이사 | 고희범 | 2003.3 ~ 2005.3 |
정태기 | 2005.3 ~ 2007.3 | |
서형수 | 2007.3 ~ 2008.3 | |
고광헌 | 2008.3 ~ 2011.3 | |
양상우 | 2011.3 ~ 2014.3, 2017.3 ~ 2020.3 | |
정영무 | 2014.3 ~ 2017.3 | |
대표이사 | 김현대 | 2020.3 ~ 2023.3 |
대표이사 | 최우성 | 2023.3 ~ 현재 |
외부 기고자는 다음과 같다.
기고자 | 주요 경력 |
---|---|
구본권 |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 |
강준만 | 전북대학교 신분방송학과 교수 |
권김현영 | 여성학 연구자 |
권도연 | 샌드박스네트워크 크리에이터 파트너십 매니저 |
권영란 | 진주시 단디뉴스 대표 |
김곡 | 영화감독 |
김누리 | 중앙대학교 독문학 교수 |
김동춘 |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 |
김민식 | MBC 드라마 PD |
김병익 | 문학평론가 |
김성경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김성윤 | 문화사회연구소 연구원 |
김원영 | 변호사, 장애학 연구자 |
김우재 | 초파리 유전학자 |
김정헌 | 화가, 416재단 이사장 |
김종철 | 녹색평론 발행인 |
김태권 | 만화가 |
김하수 | |
명인 | 전국청소년노동인권센터 교육활동가 |
미묘 | 아이돌로지 편집장 |
박권일 | 사회비평가 |
박노자 | 오슬로대학교 한국학 교수 |
박주희 | 반갑다 친구야! 사무국장 |
박진 | 다산인권센터 상임활동가 |
서경식 | 도쿄경제대 교수 |
서복경 |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연구원 |
서재정 | 일본 국제기독교대 정치국제관계학 교수 |
손아람 | 작가 |
야마구치 지로 | 호세이대학 법학과 교수 |
유신재 | 코인데스크코리아 편집장 |
은유 | 작가 |
이강국 | 일본 리쓰메이칸대 경제학부 교수 |
이나연 | 켈파트프레스 대표 |
이라영 | 예술사회학 연구자 |
이만열 |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 |
이명석 | 문화비평가 |
이병천 | 칼 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이사장 |
이상헌 | 국제노동기구 고용정책국장 |
이승욱 | 닛부타의 숲 정신분석클리닉 대표 |
이원재 | LAB2050 대표, 경제평론가 |
이은지 | 문학평론가 |
이종석 | 전 통일부 장관 |
장석준 |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기획위원 |
전병유 | 한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전상진 |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전우용 | 역사학자 |
전치형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
정홍수 | 문학평론가 |
정찬 | 소설가 |
조문영 |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
조은 | 동국대학교 사회학자, 명예교수 |
조한욱 |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학 교수 |
조효제 |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 |
존 페퍼 | 미국 외교정책포커스 소장 |
주상영 | 건국대학교 경제학 교수 |
주진형 | 전 한화투자증권 대표이사 |
진징이 | 북경대학교 교수 |
최병두 | 한국도시연구소 이사장 |
탁기형 | 사진가 |
하종강 | 성공회대 노동아카데미 주임교수 |
한채윤 | 성소수자, 인권운동가 |
홍은전 | 작가, 인권기록활동가 |
홍세화 | 장발장은행장, 소박한 자유인 대표 |
황민호 | 옥천신문 편집국장 |
황필규 |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변호사 |
허승규 | 녹색정치 활동가 |
슬라보이 지제크 | 슬로베니아 류블랴나대 교수 |
수신지 | 웹툰작가 |
한겨레는 국민 모금으로 주식을 보유하고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독립을 표방한, 세계적으로 드문 방식으로 설립되었다.[84] 한자를 쓰지 않고 가로쓰기를 채택했으며, 한국 일간지 최초로 전산자동조판(CTS)을 도입하는 등 한글 세대의 입장을 선도했다.[85]
3. 논조 및 특징
군정 시대 해직 기자들이 중심이 되어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등을 계기로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발행되었기에, 박정희, 백선엽 등 전직 군인들을 비판했다.[86][87][88] 창간 당시 정부로부터 압수수색을 당하고, 2000년에는 예비역 군인들에게 본사가 습격당하기도 했지만,[89] 현재는 전국지로 인정받고 있다.
노태우, 김영삼 정부에는 비판적이었으나,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는 비교적 우호적이었다. 그러나 2006년부터는 노무현 정부에 대해 비판적이었고, 민주노동당(현 통합진보당)에 가까워졌다는 평가도 있다.[90] 문재인 정부는 일관되게 지지했으며,[92] 정권에 유리한 보도에 젊은 기자들이 반발하기도 했다.[93]
2005년에는 한국, 중국, 일본 연구자들이 편집한 학교 교재 『미래를 여는 역사』 한국어판을 발행했다. 노무현 대통령이 출판 기념회에 축하 메시지를 보내고, 교육부가 전국 학교에 배포하는 등 정부 지원을 받았는데, 이는 좌파 정권의 한겨레 경영 지원으로 평가받기도 한다.[91]
베트남 전쟁 당시 라이따이한 문제와 한국군 위안부 문제를 다루며 대한민국 국군 예비역 장병회의 반발을 샀다.[97] 이들은 한겨레 신문사에 몰려와 시설을 파괴하는 등 폭력적인 항의를 했지만,[98] 한겨레는 관련 기사를 약 1년간 연재했다.
경향신문, 오마이뉴스 등과 함께 진보 좌파 매체로 분류되며, 좌파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하다. 복지, 평화, 탈핵, 환경, 민주주의, 노동 문제 등도 다룬다. 반공주의를 우선시하고 한자 부활을 주장하는 조선일보와는 정반대 논조이며,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다른 보수 성향 신문과도 대립한다.
3. 1. 정치적 입장
한겨레는 민족주의와 통일 지향적인 성격에 따라 남북 및 동아시아 관련 보도에서 북한과의 대화를 통한 화해, 안정, 평화적 공동 번영을 추구하는 편집 방침을 가지고 있다.[29][30][31]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옹호하는 포럼으로 "한겨레 통일문화재단"을 운영하고 있다.[32][33]
민주주의, 인권, 언론 자유를 옹호하며, 검열과 도청에 반대하고 유통되는 뉴스에 대한 적극적인 논쟁을 장려한다.[44] 2008년 광우병 촛불 시위를 "실질적 민주주의"의 승리로 지지하며, 무역, 공교육 자유화, 의료 민영화, 전국 운하 사업 등 정책 개발에 대한 여론 수렴을 강조한다.[45][46][47][48]
페미니즘에 대해 긍정적이며, LGBT 권리를 지지하고, 소수 민족에 대한 차별에 반대하며 정치적 올바름을 지지한다.[51][52] 더불어민주당에 대해 호의적이지만, LGBT 권리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에는 반대한다.[54]
일본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며, 반일 감정과 반한 감정은 다르다고 주장한다.[22]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한국의 외교 정책적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보도를 한다.[25][26][27][28] 친유럽적인 언론으로, 브렉시트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24]
베트남 전쟁 당시 라이따이한 문제와 한국군 위안부 문제를 다루는 등, 민족주의를 넘어선 진보적인 논조를 보이기도 한다.[97]
3. 2. 사회문화적 입장
초기부터 한국의 강력한 인권 강조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36][37][38] 북한 주민의 인권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42][43] 김선일 사망 영상 보도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하는 등 선정적인 뉴스 콘텐츠 유통에 반대한다.[44]
2008년 광우병 촛불 시위를 "실질적 민주주의"의 승리로 지지하며, 촛불 시위에 대한 보도와 "촛불 정신"에 대한 이해를 장려했다.[45]
페미니즘에 대해 긍정적이며,[51] LGBT 권리를 지지하고 소수 민족 차별에 반대한다.[52] 정치적 올바름을 지지하지만, 일부 사설에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53]
창간 이후 언론 윤리 향상을 위해 노력해왔으며, 1990년대 후반까지 한국 언론계 관행이었던 기자들의 뇌물 수수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49][50]
더불어민주당에 대해 호의적이지만, LGBT 권리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 방식에는 반대한다.[54]
경향신문, 오마이뉴스 등과 함께 진보 좌파 매체로 분류되기도 한다. 한겨레는 좀 더 좌파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하며, 복지, 평화, 탈핵, 환경, 민주주의, 노동 문제 등 기본적인 의제들도 다룬다.
반공주의를 우선시하고 한자 부활을 주장하는 보수·우파 성향 조선일보와는 정반대의 논조를 보이며,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다른 보수 성향 신문과도 대립 구도를 보인다.
3. 3. 경제적 입장
한겨레는 재벌과 대기업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해 왔다.[55] 한국 사회의 심화되는 소득 불평등과 청년실업 문제 등 사회 경제적 문제도 적극적으로 제기한다.[56] 조직 노동조합[57][58]과 소득 재분배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해 왔다.[59]
한겨레는 창간 초기에는 보호무역주의를 지지했지만, 현재는 자유무역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2022년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도널드 트럼프의 정책과 유사한 "경제적 민족주의"라고 비판했다.[60]
3. 4. 환경 문제
한겨레는 기후변화 대응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기후변화&'라는 전담 섹션을 운영하고 있다.[77] 이 섹션에서는 원자력 발전, 환경 및 생태계 파괴, 멸종 위기종 등의 주제를 다룬다.[77] 특히, 안전 문제를 이유로 원자력 발전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며, 후쿠시마 원전 재난으로 인한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에 대해 일본을 비판하는 사설을 여러 차례 게재했다.[78]
한겨레의 연재 기획 "기후 위기와 인권"은 2022년 한국기자협회와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로부터 제11회 인권보도상을 수상했다.[79] 심사위원회는 "기후변화로 삶의 터전을 잃은 사람들의 현장 취재를 통해 기후 위기가 궁극적으로 불평등과 정의의 문제임을 보여주었고, 인권의 관점에서 기후 위기를 풀어낸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80]
4. 비판 및 논란
한겨레는 “국민주 방식”으로 설립되었는데, 이는 국민 모금으로 주식을 보유하고 권력 및 자본으로부터 독립을 표방한 것이다.[84]
군정 시대,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해직된 기자들을 중심으로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등을 계기로 반체제 세력이 결속하여 창간되었다. 박정희, 백선엽 등 전직 군인들을 비판했다.[86][87][88]
창간 당시 압수수색을 당했고, 외국인 소지 시 직무 질문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2000년에는 예비역 군인들에게 본사가 습격당하기도 했다.[89] 현재는 전국지로 인정받고 있다. 노태우, 김영삼 정부에는 비판적이었지만,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는 우호적이었다. 2006년부터는 노무현 정부를 비판하기도 했다. 노무현 정부의 신문법으로 자금 지원을 받았다.[90]
문재인 정부를 일관되게 지지했으며, 문재인 대통령은 창간 발기인, 창간 위원, 부산 지국장 등을 역임했다.[92] 정권에 유리한 보도에 대해 젊은 기자들이 반발하기도 했다.[93]
2005년 일본, 중국, 한국 연구자들이 편집한 학교 교재 『미래를 여는 역사』 한국어판을 발행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출판 기념회에 축하 메시지를 보냈고, 교육부는 전국의 중·고등학교 교장에게 증정했다.[91] 교사들도 자비 구독을 권장받았는데, 이는 좌파 정권의 한겨레 경영 지원으로 평가된다.[91]
4. 1. 과거사 관련
2004년 참여정부 당시 정몽헌 전 현대아산 회장,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남상국 전 대우건설 사장, 박태영 전라남도지사의 자살이 계속되자 "스스로 죽을 용기가 있다면 왜 꿋꿋이 살아 견뎌내지 못하느냐"는 시론을 통해 자살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폈다.[113] 그러나 제16대 대통령 노무현의 서거에 대해서는 언론 책임론을 들면서[114] 자살에 대한 이중잣대를 댔다는 비판이 있다.[115]동아일보는 한겨레의 보도행태가 노무현의 서거 전·후가 다르다고 비판했다. 한겨레신문은 노무현이 서거하기 전까지 '검찰의 입을 빌리는' 기사를 연일 썼으며 노무현의 해명이 맞지 않을 때는 강력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나 노무현의 서거 후에는 노무현의 서거가 '정치 검찰과 보수 신문의 정치적 타살'이라고 주장하면서 노무현 서거 전과 후의 보도가 모순된다는 비판이 있다.[116]
빅뉴스는 노무현의 사망에 대한 책임을 묻는 한겨레의 기사가 왜곡되었다고 비판했다. 한겨레는 "이 사건(노무현 전대통령 서거)에 누가 가장 큰 책임이 큰지에 대해 1순위와 2, 3순위를 복수로 응답하게 한 결과 56.3%는 검찰, 49.1%는 언론을 꼽았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한겨레의 조사 원문에는 가장 큰 책임이 있는 1순위는 노무현으로 27.9%, 검찰 22.7%, 언론 15.5%보다 더 높은 결과가 나왔는데, 한겨레는 응답자들이 1순위로 응답한 노무현의 책임이 가장 크게 나온 결과에 대해 1면에서 배제하며 5면에서 간략히 언급하였고, 책임의 정도에 대해 1, 2, 3순위 등 가중치를 주었으면서도 이를 단순 합산하여 검찰 56.3%, 언론 49.1%로 수치를 높여 노무현 36.7%보다 더 큰 책임이 있는 것처럼 사실상 왜곡 보도하였다고 빅뉴스는 비난하였다.[117]
한겨레는 15대 대선 당시 이회창 후보의 병역비리 의혹을 보도하면서 김대업의 확인되지 않은 일방적인 주장을 아니면 말고 식으로 중계하듯 보도하면서 공정성을 잃었다는 비판이 있다. 이후 법원은 김대업의 모든 병역비리 관련 주장은 허위였다고 판결했다.[118]
2011년 10월 한겨레는 27일자 '반국가, 반민주 맨얼굴 드러낸 한국현대사학회'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한국현대사학회가 대한민국은 3·1 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했다는 내용을 지우자고 요구했다"라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또 "일제강점기 경제성장을 미화하고 친일파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등 식민지 근대화론을 포함시키자고 요구했다"며 "기존 교과서 집필기준에 있던 '대한민국 정부는 3·1 독립정신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계승하였음을 이해한다'는 내용 대신 '대한민국은 유엔의 도움을 받아 건국하고 공산세력으로부터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호하였음을 이해한다'는 내용도 포함시키자고 요청했다"라고 보도했다. 현대사학회는 "그런 내용의 건의서를 낸 적이 없다"며 "정상적인 비판의 수준을 넘었다."라고 비판했다. 학회 차원에서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한 적도 없고 임정의 정통성 부분 일구를 삭제하여 제시한 일이 있으나 이는 임정 법통 계승을 부정한 것이 아닌 8·15 광복 이후 시기 교육과정에 들어가기는 적절치 않다고 봤기 때문이라며, 실제로 국편이 마련한 '고등학교 한국사'에는 8·15 광복 이후 시기 교육과정에 이미 임시정부에 관한 부분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대사학회는 "한겨레신문이 우리 학회를 매도하면서 '나라를 팔아 먹고 독립운동가를 때려잡고 동족을 수탈하고 반인륜 범죄를 저지른 자들이 활개치는 세상을 만들자는 것'이라고 주장한 것은 정상적인 비판을 넘어선 것"이라고 비판했다.[121]
2013년 5월 31일자 한겨레는 교학사 5.16혁명-5.18폭동으로 서술했다며 진보진영과 야당에선 해당 기사의 제목과 내용을 인용해 “교학사 교과서엔 ‘5.16은 혁명, 5.18은 폭동’이라는 내용이 담겼다”며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교학사 교과서엔 이 같은 내용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겨레는 이날 ‘[정정] ‘이승만·박정희 독재 미화’ 뉴라이트, 역사흔들기 본격화 기사 관련’에서 “본지는 2013년 5월 31일자 22시15분 기사에서 ‘뉴라이트 교과서에 “5.16은 혁명, 5.18은 폭동”’이란 제목을 달았습니다. 해당 제목이 사실이 아님을 인지한 후 제목을 바꿨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기사를 읽었습니다. 기사에 언급된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엔 그런 내용이 없음을 알려드리고, 기사에 언급된 관계자들과 해당 기관, 단체에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라고 정정보도를 냈다.[122][123]
4. 2. 특정 표현 및 보도 관련
2010년 6월 11일 '놈현 관장사'라는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해 논란이 일자, 6월 15일 1면에 성한용 편집국장 명의로 공식 사과문을 게재했다. 국민참여당의 유시민은 이를 계기로 한겨레 절독을 선언했다.[119] 생전에 노무현 대통령은 개인 사비로 한겨레 신문을 후원하기도 했다.[120]2017년 3월 27일 광주광역시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자 호남권역 선출대회에서 문재인 후보가 압승한 결과가 발표될 때, 한겨레는 트위터를 통해 경주 세계자동차 박물관 관련 기사를 링크하며 "[https://twitter.com/hanitweet/status/846308417283264513 경주에 시발택시 보러 갈까]"라는 문구를 사용했다. 해당 기사에는 시발택시 사진이 없었으며, 이후 게재된 트위터와 페이스북 압승 보도 기사 제목도 페이스북은 "압도적 승리"라고 한 반면, 트위터는 "대세?"라며 60.2%를 받은 게 대세인가? 라는 뉘앙스를 풍겼다.
4. 3. 내부 문제
2017년 4월 22일 새벽 2시 30분경, 한겨레 문화부 소속 대중문화팀 공연 담당 기자 손준현(53)이 한겨레 편집국 소속 안창현(46) 기자에게 폭행당해 백병원으로 옮겨졌다. 손 기자는 당일 16시 15분에 간장 파열로 사망했다. 양상우 한겨레 사장은 “지금 장례식장 밖에 있는 언론사와 접촉하지 마라. 한겨레가 명백히 진상규명하겠다. 부인이 원하면 한겨레로 취업시켜주겠다”는 제안을 유가족에게 하여 2차 가해를 하였다.[125]한겨레신문사는 화천대유자산관리 실소유주 김만배 씨와 9억원의 금전 거래를 한 것으로 파악된 전 편집국 간부 기자 A씨를 해고한다고 밝혔다. 전날에는 류이근 한겨레 편집국장이 지휘·관리 책임을 지고 보직에서 사퇴했다. 김현대 한겨레 사장 등 경영진도 다음 달 초 대표이사 선거로 차기 사장이 결정되면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혔다.[126]
2019년 9월 한겨레 일선 기자들은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 보도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 한겨레 편집국 간부들을 비판하며 국장단 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조국 후보자 관련 보도는 한겨레 보도의 참사라고 주장했다.[124] 또한 "2017년 문재인 정권이 들어선 뒤 한겨레의 칼날은 한없이 무뎌졌다"며 "인사청문회 검증팀은 문재인 정권 1기 내각 이후 단 한 번도 만들어지지 않았고 취재가 아닌 '감싸기'에만 급급했다."고 폭로했다. 이들은 과거 정부에는 장관이 지명된 이후 태스크포스팀(TF)을 꾸리고 검증에 나섰던 것과 전혀 달랐다고 강조하며, "박용현 국장과 국장단은 스스로 직에서 사퇴하고, 문재인 정부 출범 뒤 검증팀을 꾸리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지 편집국 구성원들 앞에서 상세히 밝혀라"라고 요구했다.[124]
5. 자매지 및 자회사
한겨레는 여러 자매지와 자회사를 두고 있다.
종류 | 이름 |
---|---|
자매지 | 씨네21, 허프포스트코리아(버즈피드의 자회사인 허프포스트 뉴스와의 합작투자), 한겨레21, 이코노미 인사이트, 한겨레:온 |
자회사 | 한겨레출판,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한겨레교육,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코인데스크 코리아, 스팟툰 |
2014년 2월 28일부터 허프포스트와 제휴하여 허프포스트 코리아에 뉴스를 제공하고 있다.[96]
5. 1. 자매지
5. 2. 자회사 및 주요 사업
- 한겨레출판 - 각종 인문사회과학 단행본 등의 서적을 출판한다.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국내외 지속가능경영, 경영전략 등을 연구하고, 자매지 HERI 리뷰를 발행한다.
- 한겨레교육 - 2008년 8월 한겨레에서 분사했으며, 1995년 3월 시작한 <한겨레교육문화센터>와 한겨레신문의 테마뉴스 <함께하는교육>, 청소년교육 <한겨레방과후학교>, <한겨레캠프>, <아하한겨레교육센터>, 온라인 교육 <한겨레e한터> 등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겨레교육문화센터>는 언론, 출판, 영화, PR, 마케팅, 카피라이터, 디자인, 일러스트, 작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양성에 기여하고 있으며, 글쓰기 분야는 일반인부터 소설가, 시인, 드라마 작가, 라디오작가, 번역작가, 자유기고가, 그림책작가 등 작가 양성 과정까지 독보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인문학, 사회, 철학, 교양, 심리, 치유, 음악, 미술, 캘리그라피 등 시민교육 서비스도 제공한다. 한겨레교육은 초중고생을 위한 <아하한겨레교육센터>, <한겨레방과후학교>, <한겨레캠프> 등도 운영하며, 자기주도학습, 학습습관, 진로, 진학, 글쓰기, 토론, 체험학습 등 비교과 영역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통합논술지도사, 방과후학교지도사, 인성독서지도사 등 취업 가능한 지도사 과정도 운영한다. 2015년 3월에는 [카페 틈]을 열었으며, 기업과 정부, 단체 등을 위한 맞춤 교육과 강연 사업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 한겨레통일문화재단(1996년 창립) - 남·북 화해 협력 및 통일을 지향하는 문화 및 학술 단체이다.
- 코인데스크 코리아 (2018년 창립) - 미국 코인데스크와 제휴한 블록체인 전문지이다.
- 스팟툰 (2015년 창립) - 웹툰 유통 플랫폼이다.
6. 참고 사항
참조
[1]
뉴스
한겨레 토요판, 특별한 즐거움으로 채운다
https://www.mediatod[...]
2021-07-21
[2]
서적
The Korean Women's Movement and the State: Bargaining for Chan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1-10
[3]
웹사이트
"단세포적 감정적 대응" 보수-진보 가리지 않고 일제히 대통령실 비판
https://imnews.imbc.[...]
2022-11-11
[4]
웹사이트
"겨레" definition. "Han" can mean either "Korean" or "one," "kyoreh" indicates the "offspring of the same forefather"
http://kr.dictionary[...]
Kr.dictionary.search.yahoo.com
2012-07-11
[5]
서적
Korea Yearbook (2009):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BRILL
[6]
논문
Media framing of stem cell research: a cross-national analysis of political representation of science between the UK and South Korea
https://jcom.sissa.i[...]
2011-07-25
[7]
웹사이트
East Asian press grapples with a nuclear North Korea
https://www.bbc.com/[...]
2016-09-12
[8]
웹사이트
Why Trump is being panned by Korean media, right, left and centre. Except one racist website
https://www.scmp.com[...]
2016-10-10
[9]
웹사이트
South Korea's elections driven by voters' desire for reform
https://www.theguard[...]
2012-12-04
[10]
웹사이트
Media reaction: Power play behind North Korea move
https://www.bbc.com/[...]
2012-07-18
[11]
서적
Democratic Governance in Northeast Asia: A Human-Centered Approach to Evaluating Democrac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9-17
[12]
서적
International News Coverage and the Korean Conflict: The Challenges of Reporting Practi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13]
서적
Japanese Public Sentiment on South Korea: Popular Opinion and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
[14]
서적
Diplomatic and Mediated Arguments in the North Korean Crisis: Engaging the Hermit Kingdom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1
[15]
웹사이트
Shim Jae-hoon: "From Dream to Reality: Hankyoreh Newspaper"
http://www.commrd.nc[...]
2011-10-08
[16]
웹사이트
South Korea- THE MEDIA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1987-06-29
[17]
웹사이트
For ninth consecutive time, journalists name Hankyoreh most trusted news outlet
http://english.hani.[...]
Hankyoreh
2016-08-18
[18]
웹사이트
English Edition: Hankyoreh
http://english.hani.[...]
[19]
웹사이트
韩民族日报中文网
http://china.hani.co[...]
2022-07-22
[20]
웹사이트
hankyoreh japan
http://japan.hani.co[...]
2022-07-22
[21]
웹사이트
Korea's Road to Democracy Paved With Contrary Legacy
https://www.nytimes.[...]
1989-03-13
[22]
웹사이트
일본의 혐한, 한국의 반일
https://www.hani.co.[...]
Hankyoreh
2016-10-07
[23]
웹사이트
한일 공존의 새싹이 자란다
http://legacy.h21.ha[...]
Hankyoreh
2006-08-17
[24]
웹사이트
유럽을 위기로 몰아넣는 영국의 선택
https://www.hani.co.[...]
Hankyoreh
2016-06-24
[25]
웹사이트
Let's Shame Japan on the International Stage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6]
웹사이트
Japan's Shameless Provocation in foreign policy
http://www.hani.co.k[...]
Hani.co.kr
2005-02-25
[27]
웹사이트
Japan Trying to Ruin Relations?
http://www.hani.co.k[...]
Hani.co.kr
2005-02-25
[28]
웹사이트
http://www.ekoreajou[...]
2011-06-14
[29]
웹사이트
Cheongwadae, Office of the President, Republic of Korea
http://16cwd.pa.go.k[...]
16cwd.pa.go.kr
2007-02-26
[30]
웹사이트
New Year in North Korea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31]
웹사이트
Kim Jong-il's growing interest in progress at the six-party talks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32]
웹사이트
Hankyoreh Foundation for Reunification and Culture
http://www.koreahana[...]
Koreahana.net
[33]
웹사이트
Archived
http://seoul.usembas[...]
2011-07-19
[34]
웹사이트
American reporters get "very severe" 12-year sentences designed to scare all foreign journalists
http://www.rsf.org/A[...]
Rsf.org
2009-06-11
[35]
웹사이트
N. Korea's sentencing of two U.S. journalists may signal the possibility of talks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36]
웹사이트
Police's irrational response against civil society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37]
웹사이트
S. Korea's duty to protect the rights of all citizens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38]
웹사이트
Asian human rights organizations criticize S. Korea for violations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39]
웹사이트
Document
https://www.amnesty.[...]
2009-04-28
[40]
웹사이트
World Press Freedom Day
http://www.ajanews.a[...]
2018-04-23
[41]
웹사이트
Forum-Asia
http://www.forum-asi[...]
Forum-Asia
2011-11-20
[42]
웹사이트
The Need to be Productive About NK Human Rights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43]
웹사이트
"NK Human Rights Bill" Has Hidden Dagger
http://www.hani.co.k[...]
Hani.co.kr
2004-09-30
[44]
웹사이트
Video Footage Defames the Deceased
http://www.hani.co.k[...]
Hani.co.kr
2004-06-26
[45]
웹사이트
June Struggle, Candlelight Revolution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46]
웹사이트
Massive candlelight protests draw one million nationwide: National: Home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47]
웹사이트
[Forum] Professors say candlelight vigils mark the entrance of a new social movement in S. Korea: National: Home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48]
웹사이트
Civic groups unite to address broad range of social issues: National: Home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49]
웹사이트
'언론권력' 대해부 침묵 카르텔 깨: 미디어: 사회: 뉴스: 한겨레
http://www.hani.co.k[...]
Hani.co.kr
2008-05-14
[50]
뉴스
"부동산기자 1년 촌지 1000만원" | Daum 미디어다음
http://media.daum.ne[...]
Media.daum.net
2003-10-14
[51]
뉴스
이대남을 화나게 한 '그 페미니즘'
https://www.hani.co.[...]
2021-12-25
[52]
뉴스
흑형, 짱깨…친근함으로 위장된 차별
https://www.hani.co.[...]
2021-11-01
[53]
뉴스
"정체성 정치, 공론장 무너뜨리는 사이비 정치"
https://www.hani.co.[...]
2021-08-20
[54]
웹사이트
'성소수자 혐오' 판 깔아준 민주당
https://www.hani.co.[...]
Hankyoreh
2021-11-25
[55]
웹사이트
Speaking for the chaebol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56]
웹사이트
Take rising poverty seriously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57]
웹사이트
Lee Myung-bak's indifference to the labor community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58]
웹사이트
Government's head-on collision with labor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59]
웹사이트
Tax code must be fixed despite difficulties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60]
웹사이트
트럼프 따라가는 바이든…동맹국 쥐어짜 미국 경제 수혈
https://www.hani.co.[...]
2022-09-05
[61]
웹사이트
Tear-jerking donations
http://www.hani.co.k[...]
Hani.co.kr
2005-06-23
[62]
웹사이트
Country Studies South Korea- THE MEDIA''supra''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1987-06-29
[63]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hani.co.k[...]
Hani.co.kr
2011-11-20
[64]
웹사이트
A new horizon for satire from ". . . ilbo"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65]
웹사이트
A new role for the media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66]
웹사이트
Signs of the conservative media's fall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67]
웹사이트
DongA Ilbo Must Apologize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68]
웹사이트
Papers That Can't See the Logs in Their Eyes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69]
웹사이트
ChoJoongDong's irrational reply to netizens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70]
웹사이트
Chosun and JoongAng have no right to preach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71]
웹사이트
Candlelight protests elevate democratic principles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72]
웹사이트
2 Progressive Dailies Under Fire for Supporting Ad Boycott
http://english.donga[...]
English.donga.com
2011-11-20
[73]
웹사이트
Lee Myung-bak administration presses against freedom of press: National: Home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74]
웹사이트
Scientists protest prosecution's investigation into "PD Notebook": National: Home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75]
웹사이트
CPJ concerned by South Korean pressure on media –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
http://cpj.org/2009/[...]
Cpj.org
2009-05-07
[76]
웹사이트
Violence against the media cloaked as law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11-20
[77]
웹사이트
기후변화 콘텐츠의 모든 것, 여기에 있다 👈
https://www.hani.co.[...]
2022-08-03
[78]
웹사이트
[Editorial] Ocean release of Fukushima water is unacceptable
https://english.hani[...]
2022-08-03
[79]
웹사이트
기후위기와 인권
https://www.hani.co.[...]
[80]
웹사이트
제11회 인권보도상 대상에 한겨레 '기후위기와 인권' - 한국기자협회
http://m.journalist.[...]
2022-08-03
[81]
웹사이트
South Korean webtoons taking aim at US market with Huffington Post as partner
http://www.hani.co.k[...]
[82]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출판사 정보 없음)
[83]
웹사이트
ハンギョレ創刊30年 - デジタルアーカイブ
http://www.hani.co.k[...]
[84]
뉴스
「ハンギョレは時代が作り、国民の努力が成し遂げた結実」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20-05-18
[85]
기타
[86]
뉴스
朴正熙 満州軍官学校 志願の時 "命捧げて忠誠" 血書は事実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09-11-06
[87]
뉴스
民主政府を踏みにじった満州国将校 朴正熙政権 「反歴史性」甚大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2-10-19
[88]
뉴스
“抗日武装軍”を討伐したその手で大韓民国の要職を接収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4-03-10
[89]
뉴스
韓国のベトナムでの蛮行暴いた新聞社 韓国軍OBに襲撃された
https://www.news-pos[...]
NEWSポストセブン
2014-07-17
[90]
뉴스
新聞発展委、報道機関12社に計157億ウォン支援
http://japanese.chos[...]
朝鮮日報
2006-07-05
[91]
뉴스
ソウル発!! 人&風(サラム&パラム) 第18回 日中韓副教材への疑問(その1)
http://www.mainichi-[...]
毎日新聞
2005-07-22
[92]
뉴스
ハンギョレ新聞の株主配当を受け取る文大統領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20-06-11
[93]
뉴스
【コリア実況中継!】韓国の左派系“御用新聞”で若手記者が反旗「編集局が腐った」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09-22
[94]
웹사이트
일본인 ‘블로그 특명’ 진실을 알려야 한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03-13
[95]
웹사이트
日本語訳
http://blog.livedoor[...]
ハンギョレ・サランバン
2009-03-14
[96]
뉴스
“ソウルからアンニョンハセヨ!――ハフポスト・コリアを紹介します
https://www.huffingt[...]
ハフィントンポスト
2014-02-28
[97]
웹사이트
ああ, 震撼の韓国軍! 「ハンギョレ21」
http://www.altasia.o[...]
1999-05-16
[98]
뉴스
고엽제 전우회 2천여명, '한겨레 보도' 항의시위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0-06-27
[99]
서적
Korea Yearbook (2009):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BRILL
[100]
웹사이트
Media framing of stem cell research: a cross-national analysis of political representation of science between the UK and South Korea
https://jcom.sissa.i[...]
Journal of Science Communication
2011-07-25
[101]
웹사이트
East Asian press grapples with a nuclear North Korea
https://www.bbc.com/[...]
2016-09-12
[102]
웹사이트
Why Trump is being panned by Korean media, right, left and centre. Except one racist website
https://www.scmp.com[...]
2016-10-10
[103]
웹사이트
South Korea's elections driven by voters' desire for reform
https://www.theguard[...]
2012-12-04
[104]
웹사이트
[특집] 신문 대신 유튜브 보고, ‘성향 같아야 신뢰’
https://www.sisain.c[...]
2020-10-09
[105]
웹사이트
‘닐슨코리아 뉴스미디어 2017년 보고서’ 한겨레 열독율 3위, 구독률 4위
http://www.hani.co.k[...]
2017-10-18
[106]
뉴스
이달의 기자상 최다 수상 '한겨레'
http://www.journalis[...]
한국기자협회
2015-02-19
[107]
뉴스
‘한겨레’ 지난해 ‘이달의 기자상’ 최다 수상…3년 연속 1위
http://www.hani.co.k[...]
한겨레
2015-02-27
[108]
웹사이트
한겨레 주주광장
http://redirect.hani[...]
[109]
뉴스
한겨레 19주년 창간 기념식
http://www.mediatoda[...]
미디어 오늘
[110]
웹사이트
http://www.mediaus.c[...]
[111]
웹인용
한겨레주주센터 영업실적및 자산상태
https://web.archive.[...]
2008-07-11
[112]
일반
[113]
뉴스
자살만이 유일한 해결책인가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114]
뉴스
[사설] 노 전 대통령 서거 ‘언론 책임론’ 무겁게 여겨야
http://www.hani.co.k[...]
한겨레
[115]
웹사이트
http://www.bignews.c[...]
빅뉴스
[116]
뉴스
한겨레-경향신문, 盧서거 후엔 “정치적 타살” 자가당착 주장
http://www.donga.com[...]
donga.com
[117]
웹사이트
http://www.bignews.c[...]
빅뉴스
[118]
뉴스
좌파 매체들, 지난날 뭐라고 보도했던가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119]
뉴스
한겨레, '놈현' 공식사과문 1면 게재
http://www.mt.co.kr/[...]
[120]
뉴스
노대통령,한겨레 기금 천만원 기탁
http://news.kbs.co.k[...]
KBS뉴스
[121]
뉴스
친일 찬양? 현대사학회 매도 좌파언론 의도는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122]
뉴스
‘이승만·박정희 독재 미화’ 뉴라이트, 역사흔들기 본격화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3-05-31
[123]
뉴스
한겨레 "교학사 교과서에 그런 내용 없다" 정정보도
https://news.naver.c[...]
데일리안
2013-09-16
[124]
뉴스
한겨레 평기자들 "자사 조국 보도 참사…부끄럽게 하지마라"
http://news1.kr/arti[...]
뉴스1
2019-09-06
[125]
웹인용
한겨레 양상우 사장 “장례식장 밖에 있는 언론사와 접촉하지 마라”
http://www.realnews.[...]
2017-11-03
[126]
웹사이트
https://n.news.naver[...]
[127]
일반
[128]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기자가 되고 싶다는 후배에게 [슬기로운 기자생활]
END 구상이 남북 돌파구 될 수 있을까? [9월25일 뉴스뷰리핑]
9월 25일 한겨레 그림판
9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박선영 진화위원장 ‘개인 자격’ 언론중재 9건…장관급 중 유일
‘내란특검 수사’ 허석곤 소방청장 직위 해제
9월19일 궂긴 소식
세종둥절 [그림판]
대체 뭘 어쩌라고? [그림판]
일단 SNS부터… [그림판]
“마음 다해 사랑한 사람”…고 김현대 한겨레 대표이사 영결식
9월 4일 한겨레 그림판
9월 3일 한겨레 그림판
9월 2일 한겨레 그림판
문형배의 ‘최애 예능’은 ‘1호가 될 순 없어’…“‘무한도전’도 엄청 좋아해”
8월 27일 한겨레 그림판
8월 26일 한겨레 그림판
8월 25일 한겨레 그림판
“사안의 맥락 보여주는 것, 언론의 실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