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녕원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녕원군은 평안남도 내륙에 위치한 군으로, 청천강 상류의 산악 지대에 자리 잡고 있다. 고구려 시대에는 내청현으로 불렸으며, 고려 시대에는 영청현, 조선 시대에는 영녕현으로 불리다가 1467년에 녕원군으로 개칭되었다. 1952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흥군이 분리되었고, 1954년 일부 지역을 편입하여 현재의 녕원군이 되었다. 현재는 1읍, 1동, 23리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녕원군 - 묘향산
    묘향산은 청천강 좌안 묘향산맥의 명산으로, 비로봉을 중심으로 아름다운 경관과 불교 유적, 단군 신화 유래, 조선왕조실록 사고,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 지정 등의 특징을 가진 북한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 평안남도의 군 - 양덕군
    양덕군은 평안남도에 위치한 산지가 많은 고원 지대의 군으로, 고려 시대 양덕현을 기원으로 하며 평라선 양덕역과 양덕온천문화휴양지가 있다.
  • 평안남도의 군 - 대동군
    대동군은 평안남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평양직할시 등과 접하고, 일제강점기에 신설되어 행정 구역 변동을 겪었으며, 현재 1읍, 1구, 21리로 구성되고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녕원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이름녕원군
원어 표기 (조선글)녕원군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Nyŏngwŏn-gun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Nyeongwon-gun
위치북한 평안남도
면적1,195 km²
군청 소재지녕원읍
행정 구역
종류
구성1개 읍
1개 동
23개 리
인구 통계
총 인구 (2008년)30,427명
인구 밀도25.46명/km²

2. 지리

녕원군은 평안남도 내륙의 산악 지대에 위치하며, 청천강 상류에 자리 잡고 있다. 묘향산맥과 봉대봉산맥에 둘러싸여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녕원군은 1개 읍, 1개 동, 23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녕원읍옥천동장산리, 중삼리, 창산리, 청산리, 회양리, 마산리, 문곡리, 온양리, 풍전리, 룡대리, 룡성리, 신리, 신대리, 신흥리, 신막리, 송산리, 수하리, 승통리, 순호리, 대성리, 도평리, 도삼리, 영창리



북쪽에 묘향산에서 뻗어 나온 묘향산맥이 솟아 있으며, 계곡과 동굴 등 명승지가 많다. 온양리에는 온천이 있다.[1]

2. 1. 인접 행정 구역

자강도와 가까운 평안남도 내륙 지역에 있는 군이다. 청천강 상류의 산악지대에 위치한다. 동쪽은 대흥군, 남쪽은 맹산군함경남도 요덕군, 서쪽은 덕천시이며, 북쪽으로 묘향산맥을 경계로 자강도 희천시, 동신군과 접한다.[1]

3. 역사

고구려 시대에는 내청현(內淸縣)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인 922년에는 영청현(永淸縣)에 속했고, 조선 시대인 1396년에 영녕현(永寧縣)이 된 후, 1467년에 녕원군으로 개칭·승격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시 녕원군에는 9개 면이 있었다. 1952년 12월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 때 동북부가 대흥군으로 분리되었고, 1954년 10월 일부 지역을 돌려받아 현재의 녕원군 범위가 확정되었다. 현재는 1읍 1동 23리가 속한다.

3. 1. 연표


  • 고구려: 내청현(內淸縣)으로 불림.
  • 922년(고려): 영청현(永淸縣)에 속함.
  • 1396년(조선): 영녕현(永寧縣)이 됨.
  • 1467년: 녕원군으로 개칭·승격.
  • 1914년 4월 1일: 평안남도 녕원군에 읍내면(邑內面)・소백면(小白面)・영청면(永清面)・성룡면(城龍面)・대흥면(大興面)・쾌락면(快樂面)・신창면(新倉面)・금성면(錦城面)・덕화면(德化面)・온화면(溫和面) 설치.(10면)[1]
  • 1929년[1]
  • 신창면(新倉面)・금성면(錦城面) 합병, 신성면(新城面) 발족.
  • 영청면(永清面)・쾌락면(快樂面) 합병, 영락면(永樂面) 발족.
  • 읍내면(邑內面)을 녕원면(寧遠面)으로 개칭.
  • 1943년: 덕천군 태극면(太極面) 편입.(9면)[1]
  • 1945년 8월 15일: 9개 면이 속함.[1]
  • 1952년 12월: 북한 행정구역 개편, 동북부가 대흥군으로 분리. 녕원면(寧遠面)・태극면(太極面)・영락면(永樂面) 및 온화면(溫和面)・덕화면(德化面) 일부로 녕원군 설치. 녕원읍(寧遠邑)・도평리(都坪里)・마산리(馬山里)・문곡리(文谷里)・신막리(新幕里)・신대리(新垈里)・룡성리(龍城里)・장산리(長山里)・내창리(內倉里)・영창리(永昌里)・화순리(和順里)・풍전리(豊田里)・송산리(松山里)・도삼리(都三里)・승통리(勝通里)・중삼리(中三里)・창산리(倉山里)・대성리(大城里)・수하리(水下里) 성립.(1읍 18리)[1]
  • 1953년 12월: 룡성리(龍城里) 일부가 분립, 신리(新里) 발족. 신대리(新垈里) 일부가 룡성리(龍城里)에 편입.(1읍 19리)[1]
  • 1954년 10월: 함경남도 대흥군 룡대리(龍大里)・청산리(青山里)・순호리(淳浩里)・신흥리(新興里)・회양리(茴陽里)・온양리(溫陽里) 편입.(1읍 25리)[1]
  • 1958년: 마산리(馬山里) 일부가 신막리(新幕里)에 편입.(1읍 25리)[1]
  • 1985년: 화순리(和順里)가 내창리(內倉里)에 편입.(1읍 24리)[1]
  • 1985년 말: 내창리(內倉里)가 화순리(和順里)로 개칭.(1읍 24리)[1]
  • 1986년: 화순리(和順里)가 옥천동(玉泉洞)으로 승격.(1동 1읍 23리)[1]

4. 행정 구역

녕원군은 1읍(녕원읍), 1동(옥천동), 23리(대성리, 도삼리, 도평리, 룡대리, 룡성리, 마산리, 문곡리, 송산리, 수하리, 순호리, 승통리, 신대리, 신리, 신막리, 신흥리, 영창리, 온양리, 장산리, 중삼리, 창산리, 청산리, 풍전리, 회양리)로 구성되어 있다.

{| class="wikitable"

|-

! 읍 !! 동 !! 리

|-

| 녕원읍 || 옥천동 ||



|}

참조

[1] 웹사이트 평안남도 영원군 역사 http://www.cybernk.n[...]
[2]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