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함경남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함경남도는 북한의 도(道)로, 북쪽으로 량강도, 동쪽으로 동해, 서쪽으로 평안남도 등과 접한다. 마천령산맥, 부전령산맥, 개마고원 등 산지가 많고, 동해 연안에는 공업 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함흥, 신포, 단천 등 3개의 시와 16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산 자원과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일제강점기에는 중공업이 발달했으며, 한국 전쟁 이후 구 소련 등의 지원으로 복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경남도 - 북청사자놀음
    북청사자놀음은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유래되어 정월 대보름에 공연되던 탈놀이로, 사자 탈을 쓴 마을 사람들이 집집마다 방문하여 악귀를 쫓고 복을 빌어주는 내용이며, 한국 전쟁 이후 월남한 사람들에 의해 명맥이 이어져 1967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함경남도 - 관남 지방
    함경남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관남 지방은 마천령산맥의 남쪽에 위치하여 '함남'이라고도 불린다.
  • 1896년 설치 - 충청북도
    충청북도는 대한민국의 내륙도로, 경상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기도 및 강원도와 접하며, 삼국 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경계 지역이었고, 현재는 3개의 시와 8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청 소재지는 청주시이다.
  • 1896년 설치 - 충청남도
    충청남도는 삼국 시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역사적 변천을 겪었으며, 현재는 8개의 시와 7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 수산업,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여 해양관광 및 생태관광이 활성화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함경남도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
로마자 표기Hamgyeongnam-do
McCune-Reischauer 표기Hamgyŏngnam-do
별칭함남()
방언함경도
지리
위치관남
면적18,970 km²
인구 통계
총 인구 (2008년)3,066,013 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행정
수도함흥시
하위 행정 구역3개 시, 15개 군
당위원회 위원장김철삼
인민위원회 위원장김용식
정치
지배 정당WPK
시간대
시간대평양 시간
UTC 오프셋+9

2. 지리

함경남도는 북쪽으로 량강도, 북동쪽으로 함경북도, 남쪽으로 강원도, 서쪽으로 평안남도와 접하며, 동쪽으로는 동해가 있다.

마천령산맥, 부전령산맥, 개마고원 등 높은 산들이 솟아 있으며, 원시림도 많다. 수산 자원이 풍부하며, 신포시 등에서는 어업이 활발하다. 함경남도 쪽의 개마고원에는 일제강점기압록강의 지류를 막아 건설된 장진호, 부전호라는 댐호가 있으며, 수력 발전을 하고 있다. 단천시마그네사이트 등 지하 자원도 풍부하며, 동해 연안에는 화학 공업과 기계 공업이 중심인 공업 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2. 1. 산지

함경남도 지역은 동해 연안을 따라 길게 놓여 있으며, 여러 산맥들로 둘러싸여 있다. 평균 해발은 742m로 북한 육지의 평균 해발보다 약 300m 더 높다. 해발 200m 이상의 산지가 전체 면적의 77.6%이며, 해발 1,000m가 넘는 산지만 해도 33.6%나 된다. 산지가 많으므로 고도 차이가 크고, 급경사 지역이 많다.

백두대산맥에 속해 있는 부전령산맥이 해안선에 거의 평행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그 남쪽으로 마천령산맥, 검덕산맥, 백운산맥, 만풍산맥 등이 차례로 놓여 있고, 북쪽으로는 낭림산맥, 련화산맥, 북수백산맥이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개마고원 등 높은 산들이 솟아 있으며, 원시림도 많다.

2. 1. 1. 주요 산

함경남도 지역은 동해 연안을 따라 길게 놓여 있으며, 여러 산맥들로 둘러싸여 있다. 평균 해발은 742m로 북한 육지의 평균 해발보다 약 300m 더 높다. 해발 200m 이상의 산지가 전체 면적의 77.6%이며, 해발 1,000m가 넘는 산지만 해도 33.6%나 된다. 산지가 많으므로 고도 차이가 크고, 급경사 지역이 많다. 백두대산맥에 속해 있는 부전령산맥이 해안선에 거의 평행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그 남쪽으로 마천령산맥, 검덕산맥, 백운산맥, 만풍산맥 등이 차례로 놓여 있고, 북쪽으로는 낭림산맥, 련화산맥, 북수백산맥이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다. 함경남도에서 가장 긴 산맥은 북부에서 량강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부전령산맥이다. 이 산맥은 장진고원, 부전고원과 그 앞산지대를 분리하는 등마루산맥이다. 대표적인 산으로는 두류산, 련화산, 대암산, 낭림산, 동백산 등이 있다.

2. 2. 평야

함경남도의 벌판은 주로 강 하천의 하류 연안과 해변에 있다. 함흥벌, 금야벌, 신상벌, 신창벌 등이 대표적인 벌판이다. 도에서 가장 큰 벌판은 함흥벌인데, 흔히 함주백리벌이라고 한다.

2. 2. 1. 주요 평야

함경남도의 벌판은 주로 강 하천의 하류 연안과 해변에 있다. 대표적인 벌판으로는 함흥벌, 금야벌, 신상벌, 신창벌 등이 있다. 도에서 가장 큰 벌판은 함흥벌인데, 흔히 함주백리벌이라고 한다. 함흥벌은 성천강 하류와 광포강 유역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자리하고 있다.

2. 3. 해안

함경남도는 동쪽으로 동해와 맞닿아 있으며, 해안에는 여러 만과 섬들이 있다.

2. 3. 1. 해안 지형

함경남도에는 함흥만, 홍원만, 양화만, 리원만 등 여러 개의 만이 있고, 앞바다에는 수십 개의 섬이 분포한다. 대표적인 섬으로는 마양도, 대제도, 소제도, 전초도, 묘도, 솔섬, 대섬 등이 있다. 해안 지형은 주로 북부에서 해안선이 비교적 단조롭고 침식 해안과 퇴적 해안이 거의 비슷하게 발달되어 있다.

3. 역사

고구려발해, 요나라, 금나라의 옛 땅이었다. 조선 초기 잠시 동북면이 되었다가 함경도로 되었다. 1896년(건양 1) 13도제(道制) 실시에 따라 함경남도가 되었다.

1952년부터 2023년까지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이 있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954년: 량강도자강도로 일부 지역 이관, 평안남도에서 대흥군 편입.
  • 1960년: 함흥시흥남시, 퇴조군이 함흥직할시로 분리, 신포군 시 승격.
  • 1965년: 량강도 부전군 함경남도로 편입.
  • 1970년: 함흥직할시 일반시로 격하, 퇴조구역과 덕산구역 군으로 개편.
  • 1974년: 흥상군, 신상군, 덕산군, 광천군, 신창군, 인흥군, 수동군 폐지.
  • 1982년: 단천군 시 승격, 1990년 수동구 설치.
  • 1995년: 신포시 일부 금호지구로 분리.
  • 2020년: 수동구 군으로 개편.
  • 2023년: 고원군과 수동군 통합, 금호지구 군으로 개편.


일본 패전 이후 북한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 공습으로 도시가 파괴되었으나, 소련동구권의 지원을 받아 복구되었다. 2021년 8월 1일에는 집중 호우로 인해 하천 제방이 붕괴되고 주택 1,000호 이상이 파괴,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다.[5]

3. 1. 고대 ~ 조선 시대

고구려발해의 옛 땅이었으며, 이후 여진족과 고려 사이에서 항쟁이 벌어졌다. 요나라금나라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이성계의 출생지인 영흥이 이 지역에 있다. 조선 시대에는 조선 팔도의 함경도가 설치되었다.

3. 2. 일제강점기

1896년 함경도가 남북으로 분할되어 함경남도라는 행정 단위가 형성되었고, 한일 병합 후에도 그 틀이 유지되었다. 당시 함경남도는 현재 원산시 주변과 량강도 일부를 포함했다. 1930년대 이후 닛치쓰 콘체른은 고원 지대에 수력 발전용 댐을 건설하고, 풍부한 전력을 바탕으로 함흥·흥남을 중심으로 화학 공업 등 중공업이 발달했다.[5]

3. 3. 해방 이후 ~ 현재

1896년(건양 1) 13도제(道制) 실시에 따라 함경남도가 되었다.

1952년에는 보천군, 신파군, 랑림군, 부전군, 덕성군, 신창군, 광천군, 신포군, 퇴조군, 수동군, 풍서군, 허천군, 오로군, 요덕군이 생겼다. 1954년에는 혜산군, 보천군, 갑산군, 삼수군, 신파군, 풍산군, 풍서군, 부전군이 량강도로 넘어갔으며(이 지역의 역사는 량강도를 참조) 랑림군이 자강도로 넘어가고 평안남도에서 대흥군이 넘어왔다. 신상군과 흥상군이 생겼다.

1960년에는 함흥시흥남시, 퇴조군이 함흥직할시로 개편하여 분리되었다. 신포군을 시로 개편하였다. 1965년에는 량강도 부전군이 함경남도로 넘어왔다.

1970년에는 함흥직할시가 일반시로 격하하여 함남에 속하게 되었으며 함흥시 퇴조구역과 덕산구역은 군으로 개편하였다. 1974년에는 흥상군, 신상군, 덕산군, 광천군, 신창군, 인흥군, 수동군을 폐지하였다.

1982년에는 단천군을 시로 개편하였으며 1990년에 수동구를 내왔다. 1995년에는 신포시 일부를 떼어 금호지구를 내왔다.

2020년에는 수동구는 군으로 개편하였다. 2023년에 고원군과 수동군이 고원군으로 통합하였다. 이듬해 금호지구는 군으로 개편하였다.

1896년에 함경도가 남북으로 분할되어 함경남도라는 행정 단위가 형성되었고, 한일 병합 후에도 그 틀이 유지되었다. 당시의 함경남도는 현재의 원산시 주변과 량강도의 일부를 포함했다. 1930년대 이후 닛치쓰 콘체른은 고원 지대에 수력 발전용 댐을 건설하고, 풍부한 전력을 바탕으로 함흥·흥남을 중심으로 화학 공업 등 중공업이 발달했다.

일본의 패전 이후 북한의 영역에 들어갔다. 한국 전쟁에서는 공습을 받아 도시부가 파괴되었지만, 전쟁 후 구 소련·동구권의 지원으로 복구되었다.

2021년 8월 1일에도 집중 호우로 인한 재해가 발생했다. 하천의 제방이 붕괴되어 주택 1,000호 이상이 파괴,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다[5].

4. 행정 구역

함경남도의 행정구역


함경남도는 3개 시, 2개 구 (1개 "구"와 1개 "지구"), 15개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4] 이들은 , 로 세분화되며, 각 군은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는 읍을 하나씩 가진다. 일부 시는 시 아래 행정 구역인 "구역"으로 나뉘기도 한다.

4. 1. 시 (市)

함경남도 시 목록
이름인구
단천시345,875명
신포시152,759명
함흥시768,551명



함경남도는 3개의 시, 2개의 구(1개의 "구"와 1개의 "지구") 및 15개의 군으로 나뉜다.[4]

4. 2. 구 (區)

함경남도는 3개의 시, 2개의 구(1개의 "구"와 1개의 "지구"), 15개의 군으로 나뉜다.[4]

일부 시는 시 아래의 행정 구역인 "구역"으로 나뉘는데, 함경남도에는 2개의 구가 있다.

4. 3. 군 (郡)

2008년 북한 인구조사에 따르면, 함경남도에는 15개의 군이 있다.[4]

군 이름인구
고원군94,963명
금야군211,140명
금호군37,430명
덕성군97,617명
락원군60,700명
리원군117,320명
부전군48,351명
북청군161,886명
신흥군104,002명
영광군103,532명
요덕군40,839명
장진군64,681명
정평군179,114명
함주군133,896명
허천군147,191명
홍원군142,910명



각 군은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는 읍을 하나씩 가지고 있으며, 으로 세분화된다.[4]

5. 경제

수산 자원이 풍부하고 신포시 등에서는 어업도 활발하다. 함경남도측의 개마고원에는 일제강점기압록강의 지류를 막아서 건설된 장진호, 부전호와 같은 댐 호수가 있어 수력 발전을 실시하고 있다. 단천시의 마그네사이트 등 지하자원도 풍부하고 동해 연안에는 화학 공업이나 기계 공업이 중심인 공업 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6. 역대 도지사 및 도당 책임비서

함경남도 역대 도지사로는 1910년에 신응희가 함경남도 장관을 역임하였고,[1] 1918년에는 이규완이 함경남도 장관,[2] 1924년에는 김관현이 함경남도 도지사를 역임하였다.[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도 인민위원장으로는 류현식이 있다.

6. 1. 일제강점기

1910년에 신응희가 함경남도 장관을 역임하였다.[1] 1918년에는 이규완이 함경남도 장관이 되었다.[2] 1924년에는 김관현이 함경남도 도지사가 되었다.[3]

6.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역대 함경남도 행정지도자는 다음과 같다. 도 인민위원장은 도정의 최고 책임자이며, 도당 책임비서는 조선로동당 함경남도당의 최고 책임자이다. 역대 도 인민위원장으로는 류현식이 있다.

6. 2. 1. 도 인민위원장

류현식

6. 2. 2. 도당 책임비서

이름재임 기간
홍성남2003년 9월 ~ 2009년 3월
태종수2009년 4월 ~ 2010년 6월
곽범기2010년 6월 ~ 2012년 4월
태종수2012년 4월 ~ 2016년 5월
김성일2016년 5월 ~ 2020년 9월 5일[8]


7. 문화/관광

함경남도에는 옥련산, 룡흥사, 마전해수욕장, 장진호 등 여러 관광지가 있다.

7. 1. 관광지

7. 2. 군민성 단평

지역군민성
함흥얄개 (아주 사나움) 혹은 책개비 열두 개[9]
홍원(또는 이원)참새 (말이 많음)[9]
북청덤베(아주 급한 성격)[9]
정평짜드러기 (거머리처럼 들러붙고 질김)[9]
영흥우뚜기[10]
단천숙구리[10]


8. 교육

함경남도에는 함흥문학공업대학, 함흥수리동력대학, 함흥의학대학, 북진사범대학, 함흥농업대학, 김형권신포사범대학, 함흥제2교원대학, 함흥건설대학, 함흥경공업대학 등 여러 대학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16th Meeting of Political Bureau of 7th Central Committee of WPK Held https://web.archive.[...] Rodong Sinmun 2020-08-17
[2] 웹사이트 KCNA Article People Move into New Houses in South Hamgyong Province of DPRK http://kcna.kp/en/ar[...] 2024-06-03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0-03-31
[4]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5] 웹사이트 金正恩氏、水害復旧支援を命令 咸鏡南道へ軍動員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21-08-08
[6]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7] 문서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부부장 교체 관련 정보
[8] 웹인용 “‘마이삭’ 피해는 너 책임”… 김정은, 함경남도 당위원장 해임 https://m.sedaily.co[...] 2020-09-14
[9] 웹사이트 북한군의 병영생활, 어떤 모습일까 http://www.dailynk.c[...] Dailynk
[10] 간행물 第7篇 口碑傳承(구비전승) p.26 http://portal.nricp.[...]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