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루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루속은 사슴과 노루아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한 속으로, 유럽노루와 시베리아노루 두 종으로 분류된다. 유럽노루는 유럽과 중동 지역에, 시베리아노루는 우랄 산맥에서 만주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두 종의 잡종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국에는 시베리아노루가 서식하며, 과거 한반도 전역에 분포했으나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보호 정책과 서식지 복원 노력으로 개체 수가 회복되는 추세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루아과 - 순록
순록은 사슴과에 속하는 북극권 동물로, 툰드라와 삼림 순록으로 나뉘며 추운 기후에 적응된 신체적 특징과 암컷도 뿔이 있는 점이 특징이고, 지의류를 주식으로 하며 북극권 원주민에게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나 현재는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노루아과 - 흰꼬리사슴
흰꼬리사슴은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다양한 아종으로 나뉘고 잡식성으로 늑대, 쿠거 등의 포식자 위협을 받지만 문화적 상징으로도 여겨지며 기후 변화와 질병 문제에 직면한 사슴과의 동물이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노루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apreolus |
명명자 | Gray, 1821 |
모식종 | Cervus capreolus |
모식종 명명자 | Linnaeus, 1758 |
하위 분류 | |
종 | Capreolus capreolus Capreolus pygargus |
2. 어원
영어 ''roe''는 고대 영어 ''ra'' 또는 ''rá''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raha''에서, 그리고 게르만 조어 *raikhaz/*raikhazgem-x-proto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고대 노르드어 ''ra'', 고대 작센어 ''reho'', 중세 네덜란드어 및 네덜란드어 ''ree'', 고대 고지 독일어 ''reh'', 독일어 ''Reh''와 동족어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줄무늬가 있는, 점이 있는, 또는 얼룩진"을 의미하는 인도유럽조어 어근 ''*rei-''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2] 이 단어는 5세기의 Caistor-by-Norwich astragalus - 노루 목뼈에 엘더 푸사크 문자로 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raïhan''으로 음역된다.[3][4] 영어에서 이 동물은 원래 단순히 'roe'라고 불렸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roe'라는 단어는 수식어가 되었고, 현재는 보통 'roe deer'라고 불린다.[5]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노루속에는 두 종이 있다.
코이네 그리스어 이름 ''πύγαργος'', 'pygargos'로 음역되며, 칠십인역과 헤시키우스, 헤로도토스 및 이후 플리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작가의 작품에서 언급되었는데,[6] 원래는 이 종을 지칭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성경의 많은 유럽 번역본에서), 현재는 더 흔히 아닥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엉덩이'를 뜻하는 단어 ''''와 '흰색'을 뜻하는 ''''에서 파생되었다.
분류학적 이름 ''Capreolus''는 '숫염소'를 의미하는 ''capra'' 또는 ''caprea''에서 유래되었으며, 축소 접미사 -''olus''가 붙었다. 이 단어의 라틴어에서의 의미는 완전히 명확하지 않다. '아이벡스' 또는 '샤무아'를 의미했을 수 있다.[7] 노루는 라틴어로 ''capraginus'' 또는 ''capruginus''로도 알려졌다.[8]
'노루'라는 한국어 명칭의 정확한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3. 하위 종
그림 | 학명 | 영어 이름 | 일본 이름 | 분포 |
---|---|---|---|---|
![]() | Capreolus capreolus | 유럽 노루 노루 | 노루 노루 유럽노루 | 유럽、중동 |
![]() | Capreolus pygargus | 시베리아 노루 | 시베리아노루 | 우랄 산맥~만주 |
두 종 모두 개체수가 증가했는데, 1930년대에 증가했다.[10] 최근, 1960년대 이후[10] 두 종은 분포가 겹치는 곳에서 동소적 종이 되었고, 현재 볼가강 오른쪽에서 폴란드 동부까지 광범위한 '잡종 형성 지역'이 존재한다. 사냥꾼들은 어떤 종을 잡았는지 아는 것이 매우 어렵다.[15] 홀데인의 법칙에 따라, 두 분류군의 암컷 잡종은 번식이 가능하지만, 수컷 잡종은 그렇지 않다.[13][16] 잡종은 정상보다 훨씬 크며, 새끼를 낳기 위해 때때로 제왕 절개가 필요했고, 생후 4~5개월에 어미보다 커졌다. F1 잡종 수컷은 불임일 수 있지만, 암컷과의 역교배는 가능하다.[16]
모스크바 주변 동물 중 22%는 유럽노루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가지고 있고, 78%는 시베리아노루의 DNA를 가지고 있다. 볼고그라드 지역에서는 유럽노루가 우세하다.[15] 우크라이나의 스타브로폴과 드네프로페트롭스크 지역에서는 대부분의 노루가 시베리아노루이다.[15][17]
== 한국의 노루 ==
한국에 서식하는 노루는 시베리아노루(''Capreolus pygargus'')이다. 과거 한반도 전역에 널리 분포했으나, 서식지 파괴와 무분별한 사냥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했다. 특히 1960년대 이후 남획과 개발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보호 정책과 서식지 복원 노력으로 개체 수가 다소 회복되었으나, 여전히 멸종 위협에 직면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야생동물 보호 정책을 강화하고, 서식지 보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1930년대에 개체수가 증가하였고,[10] 1960년대 이후 두 종은 분포가 겹치는 곳에서 동소적 종이 되었고, 현재 볼가강 오른쪽에서 폴란드 동부까지 광범위한 '잡종 형성 지역'이 존재한다.[10][15] 홀데인의 법칙에 따라, 두 분류군의 암컷 잡종은 번식이 가능하지만, 수컷 잡종은 그렇지 않다.[13][16] 잡종은 정상보다 훨씬 크며, 새끼를 낳기 위해 때때로 제왕 절개가 필요했고, 생후 4~5개월에 어미보다 커졌다.[16] F1 잡종 수컷은 불임일 수 있지만, 암컷과의 역교배는 가능하다.[16]
모스크바 주변 동물 중 22%는 유럽노루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가지고 있고, 78%는 시베리아노루의 DNA를 가지고 있다.[15] 우크라이나의 스타브로폴과 드네프로페트롭스크 지역에서는 대부분의 노루가 시베리아노루이다.[15][17]
3. 1. 한국의 노루
한국에 서식하는 노루는 시베리아노루(''Capreolus pygargus'')이다. 과거 한반도 전역에 널리 분포했으나, 서식지 파괴와 무분별한 사냥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했다. 특히 1960년대 이후 남획과 개발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최근에는 보호 정책과 서식지 복원 노력으로 개체 수가 다소 회복되었으나, 여전히 멸종 위협에 직면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야생동물 보호 정책을 강화하고, 서식지 보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1930년대에 개체수가 증가하였고,[10] 1960년대 이후 두 종은 분포가 겹치는 곳에서 동소적 종이 되었고, 현재 볼가강 오른쪽에서 폴란드 동부까지 광범위한 '잡종 형성 지역'이 존재한다.[10][15] 홀데인의 법칙에 따라, 두 분류군의 암컷 잡종은 번식이 가능하지만, 수컷 잡종은 그렇지 않다.[13][16] 잡종은 정상보다 훨씬 크며, 새끼를 낳기 위해 때때로 제왕 절개가 필요했고, 생후 4~5개월에 어미보다 커졌다.[16] F1 잡종 수컷은 불임일 수 있지만, 암컷과의 역교배는 가능하다.[16]
모스크바 주변 동물 중 22%는 유럽노루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가지고 있고, 78%는 시베리아노루의 DNA를 가지고 있다.[15] 우크라이나의 스타브로폴과 드네프로페트롭스크 지역에서는 대부분의 노루가 시베리아노루이다.[15][17]
4. 계통 분류
노루속은 노루아과 노루족에 속하며, 고라니속과 가장 가깝다.[20]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르면, 노루속은 말코손바닥사슴속보다 고라니속에 더 가깝다.[20]
다음은 2012년 핫사닌(Hassani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20]
{| class="wikitable"
|-
! 사슴과
|-
|
{| class="wikitable"
|-
! 노루아과
|-
|
|-
! 흰꼬리사슴족
|-
|
{| class="wikitable"
|-
| 순록속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남방푸두
|-
|
{| class="wikitable"
|-
|
팜파스사슴속 |
회색마자마사슴 안데스사슴속 |
|-
|
늪사슴속 |
아마존갈색마자마사슴 |
|}
|}
|-
|
{| class="wikitable"
|-
|
에콰도르붉은마자마사슴 |
북방푸두 |
|-
|
흰꼬리사슴속 |
마자마사슴속 |
|}
|}
|}
|}
|-
! 사슴아과
|-
|
{| class="wikitable"
|-
! 문착족
|-
|
솔기머리사슴속 |
문착속 |
|-
! 사슴족
|-
|
{| class="wikitable"
|-
|
바라싱가속 |
액시스사슴속 |
|-
|
{| class="wikitable"
|-
| 다마사슴속
|-
|
{| class="wikitable"
|-
|
사불상속 |
엘드사슴속 |
|-
| 사슴속
|}
|}
|}
|}
|}
|}
|}
노루는 물사슴과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으며, Capreolini라고 불리는 이 그룹의 세 종은 말코손바닥사슴과 가장 가깝다.[9] 노루는 한때 Cervinae 아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신세계의 사슴을 포함하는 Odocoileinae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다.[10]
5. 진화
노루는 유라시아 속 ''프로카프레올루스(Procapreolus)'' 종에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9][11] 후기 마이오세에서 초기 플라이스토세에 걸쳐 10종 정도가 나타났으며, 수천 년에 걸쳐 동쪽에서 중앙 유럽으로 이동하여 ''프로카프레올루스 쿠사누스(Procapreolus cusanus)''가 출현했다.[11] 이는 ''카프레올루스 쿠사누스(Capreolus cusanus)''로 분류되기도 한다. 현존하는 두 종은 137만 5천 년에서 275만 년 전에 분기되었다.[12]
시베리아노루는 22만 9천 년에서 46만 2300년 사이에 두 아종, ''C. pygargus pygargus''와 ''C. pygargus tianschanicus''로 분화되었다.[12]
유럽 종의 분포는 최후 빙기 동안 크게 변동했으며, 최후 빙기 최대 시에는 생물학적 피난처로 이베리아 반도, 남부 프랑스, 이탈리아, 발칸 반도 및 카르파티아 산맥으로 후퇴했다. 마지막 빙하기가 끝난 후 알프스 산맥 북쪽 독일로 그린란드 간빙기 동안 갑자기 확장되었다. 영거 드리아스의 냉각기에는 이 지역에서 다시 사라졌다가, 9,700–9,500년 전에 다시 나타나 북부 중앙 유럽에 도달했다. 이 지역의 현대 개체군은 카르파티아 산맥과/또는 더 동쪽에서 재정착한 것으로 보인다.[13]
그림 | 학명 | 영어 이름 | 일본 이름 | 분포 |
---|---|---|---|---|
Capreolus capreolus | 유럽 노루 노루 | 노루 노루 유럽노루 | 유럽, 중동 | |
Capreolus pygargus | 시베리아 노루 | 시베리아노루 | 우랄 산맥~만주 | |
6. 분포 및 서식지
6. 1. 분포
유럽노루(Capreolus capreolus)는 스코틀랜드 남부에서 지중해, 그리고 동쪽으로는 이란과 코카서스까지 분포한다. 시베리아노루(Capreolus pygargus)는 우랄 산맥에서 남쪽으로 코카서스, 그리고 동쪽으로 만주까지 분포한다. 두 종은 볼가 강 오른쪽에서 폴란드 동부까지 광범위한 '잡종 형성 지역'에서 동소적으로 분포한다.1930년대에 개체수가 증가했고, 1960년대 이후 두 종은 분포 지역이 겹치면서 동소적 종이 되었다. 홀데인의 법칙에 따라, 두 분류군의 암컷 잡종은 번식이 가능하지만, 수컷 잡종은 번식이 불가능하다.
모스크바 주변 동물의 22%는 유럽노루, 78%는 시베리아노루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가지고 있다. 볼고그라드 지역에서는 유럽노루가 우세하며, 우크라이나 스타브로폴과 드네프로페트롭스크 지역에서는 대부분 시베리아노루이다. 폴란드 북동부에서도 유전자 침투의 증거가 있는데, 이는 시베리아노루가 도입종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중세 시대에는 사냥 압력과 포식자의 풍부함으로 인해 두 종이 격리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 학명 | 분포 |
---|---|---|
Capreolus capreolus | 유럽, 중동 | |
Capreolus pygargus | 우랄 산맥~만주 | |
6. 2. 서식지
7. 생태 및 행동
8. 보존 상태
8. 1. 한국의 노루 보존 노력
참조
[1]
웹사이트
Roe
https://www.etymonli[...]
Douglas Harper
2020
[2]
학위논문
A Modern English - Old English Dictionary
http://old-engli.sh/[...]
Meredith College
1927
[3]
웹사이트
Caistor-by-Norwich, astragalus
https://www.runesdb.[...]
RUNES: Forshungsproject der Akadmeia der Wissenschaften zu Gottingen
2019-10-18
[4]
서적
Runes and their secrets: Studies in Runology
https://books.google[...]
Museum Tusculanum Press
[5]
서적
The European roe deer: the biology of success
https://www.research[...]
Scandinavian University Press
1998
[6]
서적
Lexicon Universale
Jacob Hackium et al.
1698
[7]
서적
A Latin Dictionary
https://www.perseus.[...]
Clarendon Press
1879
[8]
서적
Dictionnaire Illustré Latin-Français
Hachette
1934
[9]
학술지
The systematics of the Cervidae: a total evidence approach
2020-02-18
[10]
학술지
Evidence for separate specific status of European (''Capreolus capreolus'') and Siberian (''C. pygargus'') roe deer
https://archive.org/[...]
2001
[11]
학술지
Dispersion of the genus ''Procapreolu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capreolus cusanus'' and the roe deer (''Capreolus'')
2010-02-01
[12]
학술지
"[''Quantitative analysis of genetic parameters in populations of European (''Capreolus capreolus'' L.) and Siberian (''Capreolus pygargus'' Pall.) roe deer with RAPD markers'']"
2002-06
[13]
학술지
Quaternary history of the European roe deer ''Capreolus capreolus''
https://www.research[...]
2008-10
[14]
서적
Neolithic wild game animals in Western Europe: The question of hunting
Oxbow Books
[15]
학술지
Identification of European (''Capreolus capreolus'' L.) and Siberian (''C. pygargus'' Pall.) roe deer hybrids by microsatellite marker analysis
https://www.research[...]
2014-07
[16]
학술지
"[Experiments of hybridization of the roe and tartarian deer ''Capreolus capreolus capreolus'' x ''Capreolus capreolus pygargus'']"
https://eurekamag.co[...]
1979
[17]
학술지
Siberian Roe Deer (''Capreolus pygargus'' Pallas, 1771) in Ukraine: Analysis of the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2017-11
[18]
학술지
Weak Population Structure in European Roe Deer (''Capreolus capreolus'') and Evidence of Introgressive Hybridization with Siberian Roe Deer (''C. pygargus'') in Northeastern Poland
2014-10-01
[19]
학술지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20]
학술지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Cetartiodactyla (Mammalia, Laurasiatheria), as reveal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ome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