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네 그리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이네 그리스어는 "공통의" 또는 "보편적인"을 의미하는 그리스어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헬레니즘 시대에 사용된 그리스어의 공통 방언이다. 이 언어는 다양한 고대 그리스 방언의 혼합으로 형성되었으며, 기원전 3세기부터 로마 시대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성경의 70인역과 신약성경의 기록에 사용되었으며, 이는 기독교에서 '헬라어'로 통칭되기도 한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문법, 어휘, 음운론 등에서 고대 그리스어와 차이를 보이며, 성서 그리스어, 교부 그리스어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헬레니즘과 기독교 - 다이몬
다이몬은 고대 그리스에서 필멸자와 신 사이의 중간적 존재인 작은 신성체 또는 정령을 의미하며, 위대한 인물이 죽은 후 존경받는 존재, 개인에게 부여되는 존재, 선과 악으로 나뉘는 존재,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 심리적 성장에 기여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 헬레니즘과 기독교 - 70인역
70인역은 기원전 3세기에서 1세기 사이에 히브리어 성경을 코이네 그리스어로 번역한 것으로, 72명의 유대인 학자들이 번역에 참여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하며 초기 기독교의 구약성경으로 널리 사용되었고, 현재 정교회에서 구약의 정경으로 인정하며, 구약성경 본문 비평의 중요한 자료이다. - 그리스어 - 에토스
에토스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개인, 집단 등의 고유한 성향이나 가치를 의미하며, 수사학에서는 화자의 신뢰성을, 사회학에서는 사회 인식의 기준을, 예술에서는 등장인물의 성격과 도덕적 선택을 나타내는 요소로 사용된다. - 그리스어 - 중세 그리스어
중세 그리스어는 비잔티움 제국에서 사용된 그리스어로, 고전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이며, 문어와 구어 간의 이중 언어 사용이 특징적이고, 주변 언어 및 여러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 고대 언어 -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는 기원전 1200년경 인도유럽어족에서 분기되어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로, 도리아어, 아이올리아어, 이오니아어, 아티카어 등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현대 그리스어의 기원이자 그리스 문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교육 및 학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고대 언어 - 팔리어
팔리어는 상좌부 불교 경전 기록에 사용된 고대 인도 언어로, 마가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나 여러 인도 아리아어 방언의 혼합과 산스크리트화를 거쳤으며, 《팁피타카》 기록 이후 불교 전파 매개체로서 동남아시아 여러 언어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는 사어이지만 불교 연구 및 의례에 사용된다.
코이네 그리스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코이네 그리스어 |
원어 이름 | ἡ κοινὴ διάλεκτος |
원어 발음 | (h)e̝ kyˈne̝ diˈalektos |
민족 | 그리스인 |
사용 지역 | 헬레니즘 왕국 로마 제국 중세 초기, 남부 발칸 반도, 에게해 제도, 이오니아 제도, 소아시아, 남부 이탈리아 및 시칠리아, 비잔틴 크림 반도, 레반트, 이집트, 누비아 |
시대 | 기원전 300년 – 서기 600년 (동로마 제국 공식 사용은 1453년까지), 중세 그리스어로 발전, 그리스 정교 및 그리스 가톨릭 교회의 전례 언어로 존속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헬렌어파 |
어군 | 그리스어 |
하위 어군 | 아티카 그리스어–이오니아 그리스어 |
조상 언어 | 원시 그리스어 |
조상 언어2 | 고대 그리스어 |
ISO 639-2 | grc |
ISO 639-3 | 없음 |
ISO 639-3 비고 | (2023년 ecg 사용 제안 거부됨) |
문자 | 그리스 문자 |
글롯로그 | koin1234 |
언어 목록 | grc-koi |
ISO 예외 | 방언 |
명칭 정보 | |
다른 명칭 | 코이네 헬레니케 () 헬레니즘 코이네 () |
의미 | '공통의 방언' |
코이네 발음 | |
현대 발음 | 키니 엘리니키 |
고대 발음 | 코이네 헬레니케 |
특징 및 사용 | |
주요 사용 | 헬레니즘 시대의 공통어 |
발전 과정 | 아티카 방언과 이오니아 방언 기반 |
영향 | 중세 그리스어로 발전 |
현재 사용 | 그리스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교회의 전례 언어로 사용 |
기타 | |
관련 주제 | 코이네 언어 |
2. 어원
코이네 그리스어의 '코이네'()는 "공통의", "보편의", 또는 "일반적인"이라는 의미를 갖는 낱말이다.[5] 영어 명칭 "Koine"는 "공통 방언"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표현 ἡ κοινὴ διάλεκτος (''ἡ κοινὴ διάλεκτος'')에서 유래했다. 그리스어 단어 κοινή (''κοινή'') 자체는 "공통의"를 의미한다.[5] 이 단어는 미국 영어에서는 /ˈkɔɪniː/, /kɔɪˈneɪ/, 또는 /kiːˈniː/로, 영국 영어에서는 /ˈkɔɪniː/로 발음된다. "코이네"라는 단어의 발음 자체는 /koinéː/ (고전 아티카 방언 발음 /koi̯.nɛ̌ː/에 가까움)에서 /cyˈni/ (현대 그리스어 /ciˈni/에 가까움)으로 점차 변화했다.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이 언어를 "헬레니즘 코이네"(Ελληνιστική Κοινή)라고 부르는데, 이는 "헬레니즘 시대의 초지역 언어"라는 의미이다.[12]
고대 학자들은 "코이네"라는 용어를 여러 가지 다른 의미로 사용했다. 아폴로니우스 디스콜루스(2세기)와 아일리우스 헤로디아누스(2세기)와 같은 학자들은 원시 그리스어를 가리키는 용어로 "코이네"를 사용했지만, 다른 학자들은 문어와 다소 다른 그리스어 구어의 어떤 방언 형태든 가리키는 데 사용했다.[13] 코이네 그리스어가 기원전 1세기에 문학 언어가 되자, 어떤 사람들은 두 가지 형태를 구분했는데, 하나는 문학적 후기 고전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일상적인 구어였다.[13] 다른 사람들은 코이네를 "알렉산드리아 방언"(ἡ Ἀλεξανδρέων διάλεκτος) 또는 당시의 보편적인 방언으로 언급하기도 했다.[14]
3. 기원 및 역사
{{unordered list
| 진한 파란색: 그리스어 사용자가 대다수였던 지역
| 연한 파란색: 헬레니즘화가 상당히 진행된 지역}}
코이네 그리스어(그리스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 내에서 공통 방언으로 발생했다.[13] 마케도니아의 지도 아래, 새롭게 형성된 이 공통 방언은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에서 메소포타미아의 셀레우코스 제국까지 사용되었다.[13] 이는 기존의 고대 그리스 방언을 대체하여 어디서든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일상적인 형태를 만들었다.[15] 코이네 그리스어의 요소들이 고전 그리스에서 형성되기는 했지만, 그리스어의 후고전 시대는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으로 시작되는 것으로 정의되며, 그때 그리스의 영향 아래 있던 문화들이 차례로 언어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공통 그리스 방언의 언어적 뿌리는 고대부터 불분명했다. 헬레니즘 시대 동안 대부분의 학자들은 코이네를 4가지 주요 고대 그리스 방언의 혼합 결과로 생각했다. 20세기 초 파울 크레치머는 코이네를 이오니아의 단순화된 형태로 간주하기도 했다.[13]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코이네 그리스어가 게오르기오스 하치다키스가 제시한 것 처럼, 여러 방언들이 혼합된 아티카 방언으로 본다. 코이네에 대한 비아티카 언어 요소의 중요성은 헬레니즘 세계의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13] 아나톨리아의 이오니아 식민지에서 사용되는 코이네는 다른 것보다 더 강렬한 이오니아 특징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며, 라코니아와 키프로스의 변종은 각각 일부 도리아 및 아르카도키프로스 특징을 보존했을 것이다. 헬레니즘 시대의 문학적 코이네는 아티카 방언과 매우 유사하여 종종 ''공통 아티카 방언''으로 언급된다.[13]
3. 1. 코이네 그리스어의 형성
코이네 그리스어(그리스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 내에서 공통 방언으로 발생했다.[13] 마케도니아의 지도 아래, 새롭게 형성된 이 공통 방언은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에서 메소포타미아의 셀레우코스 제국까지 사용되었다.[13] 이는 기존의 고대 그리스 방언을 대체하여 어디서든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일상적인 형태를 만들었다.[15] 코이네 그리스어의 요소들이 고전 그리스에서 형성되기는 했지만, 그리스어의 후고전 시대는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으로 시작되는 것으로 정의되며, 그때 그리스의 영향 아래 있던 문화들이 차례로 언어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공통 그리스 방언의 언어적 뿌리는 고대부터 불분명했다. 헬레니즘 시대 동안 대부분의 학자들은 코이네를 4가지 주요 고대 그리스 방언의 혼합 결과로 생각했다. 20세기 초 파울 크레치머는 코이네를 이오니아의 단순화된 형태로 간주하기도 했다.[13]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코이네 그리스어가 게오르기오스 하치다키스가 제시한 것 처럼, 여러 방언들이 혼합된 아티카 방언으로 본다. 코이네에 대한 비아티카 언어 요소의 중요성은 헬레니즘 세계의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13] 아나톨리아의 이오니아 식민지에서 사용되는 코이네는 다른 것보다 더 강렬한 이오니아 특징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며, 라코니아와 키프로스의 변종은 각각 일부 도리아 및 아르카도키프로스 특징을 보존했을 것이다. 헬레니즘 시대의 문학적 코이네는 아티카 방언과 매우 유사하여 종종 ''공통 아티카 방언''으로 언급된다.[13]
4. 성서 그리스어
성경, 특히 기독교 신약성경과 구약성경의 70인역이 코이네 그리스어로 작성되었다.[39] 기독교계에서 '헬라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코이네 그리스어를 가리킨다.
''구약 헬라어''(Biblical Koine)는 그리스어로 번역된 성경 및 관련 문헌에 사용된 코이네 그리스어의 여러 변종을 가리킨다.
신약 성서는 코이네 그리스어 시대에 기록되었다. 또한, 알렉산드리아에서 만들어진 칠십인역과 2세기 전반의 기독교 저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신약 성서의 코이네 그리스어는 같은 시대의 문서에 비해 문체가 다르지만, 문학적이지 않은 일상어의 파피루스 문서와는 일치한다. 또한, 신약 성서는 히브리어, 아람어 등의 셈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
4. 1. 70인역
70인역(Septuaginta)은 기원전 3세기경 구약성경을 코이네 그리스어로 번역한 것이다.[47] 70인역 성경 작성자들이 셈어파 기저를 갖고 있었는데, 이들이 당대 코이네 그리스어를 얼마나 정확하게 반영하였는지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17] 관사 μένgrc와 δέgrc가 사용되지 않은 점, ἐγένετοgrc-x-biblical가 사용된 점이 셈어계 기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대표적인 부분이다.S. J. 새커리가 1909년에 주창한 이론에 따르면 모세오경, 여호수아기 일부, 이사야서만이 좋은 수준의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여졌다.[47] H. St. J. 테커리는 ''70인역에 따른 구약 성서 그리스어 문법''(1909)에서 토라 다섯 권, 여호수아서의 일부, 그리고 이사야서만이 "좋은 코이네"로 간주될 수 있다고 기술했다.[17]
성서 그리스어가 당대 구어 코이네의 주류를 얼마나 반영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특정한 셈어 기층 특징을 포함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어왔다. 이러한 특징은 구약 성서 히브리어 또는 아람어 원전에서의 밀접한 번역 과정이나, 원래 아람어를 사용하는 헬레니즘 유대인들이 사용하는 지역적 비표준 그리스어의 영향을 통해 유입되었을 수 있다.
70인역에서 사용된 ἐκκλησίαgrc-x-biblical 는 히브리어 קָהָלhbo 의 번역으로 사용되었다. 구약학자 제임스 바는 가 "하나님이 자신의 백성을 구성하도록 부르신 공동체"를 의미한다는 어원적 주장을 비판해왔다. 키리아쿨라 파파데메트리우는 가 특별한 성격 없이 단순히 사람들의 모임과 집회라는 개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하며, 이 단어의 어원을 따지는 것은 불필요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 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을 위한 이름이라는 잘못된 의미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18]
4. 2. 신약성경
신약성경은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여졌다는 것이 중론이며, 특히 구약의 구절을 인용할 때에는 70인역 성경의 번역을 인용하였다.[48] 신약 성서 저자들은 구약 성서 인용문의 절반 이상을 칠십인역 번역본을 따른다.[19]신약성경에는 과거에 일어난 일을 전할 때 현재시제 동사를 사용하는 역사적 현재시제가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이는 루가의 복음서보다 마르코의 복음서, 요한의 복음서에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다.[49] 마르코의 복음서에서는 총 151회 사용되었다.[50][21] 역사적 현재시제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었는데, W. F. 하워드는 1929년에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가 폴리비오스와 크세노폰보다 역사적 현재시제를 더 많이 사용한 것을 두고 이것이 방언의 특성이라고 보았으나[50][51] 다른 학자들은 아람어의 영향을 그 원인으로 보았다. 하지만 이 견해는 1960년대에 비주류 이론으로 밀려난다.[50][51] 다른 학설로는 이야기의 극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다는 견해가 있으며,[21] 새 미국 성경은 이 가설을 채택하였다.[50][21]
4. 3. 교부 그리스어
초대교회의 신학자들인 교부들의 문헌이 작성된 언어를 두고 교부 그리스어라 한다. 이들은 좀 더 구어체에 가까운 간결한 언어로 문헌을 기록했는데, 성경의 문체를 답습한 것으로 본다.[52][23] 기독교를 로마의 국교로 지정한 테살로니카 칙령이 발표된 4세기 이후에는 좀 더 문어체에 가까운 코이네 그리스어가 주로 사용되었다.[52]5. 아티카 방언과 코이네 그리스어의 차이점
코이네 그리스어는 문법, 어휘 형성, 어휘, 그리고 음운론(음성 체계) 등 여러 면에서 고대 그리스어와 다르다.[24]
아티카 방언 | 코이네 그리스어, 현대 그리스어 | 의미 |
---|---|---|
-ττ- | -σσ- | |
γλῶτταgrc | γλῶσσαel | 혀 |
φυλάττωgrc | φυλάσσωel | 감시하다 |
τέτταρεςgrc | τέσσαρεςel | 네 |
-ρρ- | -ρσ- | |
ἄρρηνgrc | ἄρσηνel | 수컷 |
-εως | -αος | |
νεώςgrc | ναόςel | 신전, 사당 |
λεώςgrc | λαόςel | 백성 |
λεώςgrc (복수 목적격) | λαούςel | 백성을 |
-αα | -αια | |
ἐλάαgrc | ἐλαίαel | 올리브 |
코이네 그리스어 시대에는 많은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 이 시대 초반의 발음은 고대 그리스어 음운론과 거의 동일했지만, 말기에는 현대 그리스어 음운론과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게 되었다.[13]
주요 변화는 모음 길이 구분의 상실, 고음 악센트 체계에서 강세 악센트 체계로의 대체, 그리고 여러 이중모음의 단모음화였다.[13]
- 기원전 2세기부터 모든 모음은 등시적(길이가 같은)이 되었다.[13]
- 기원전 2세기부터 고대 그리스어 고음 악센트는 강세 악센트로 대체되었다.[13]
- 거친 호흡 의 상실. 거친 호흡은 이미 이오니아 방언의 소아시아 지역과 레즈보스의 아이올리아 방언에서 사라졌다.[13]
- 이중모음 ᾱͅgrc, ῃgrc, /aːi eːi oːi//ῳ}} {{IPAgrc-x-koine로 단순화되었다.[13]
- 이중모음 αιgrc, ειgrc, οιgrc는 단모음이 되었다. /ɛː//αι}}는 코이네에서 장모음 와 합쳐졌다. 이중모음 ειgrc는 코이네에서 ιgrc와 합쳐지는 발음을 얻었다. 이중모음 /y//οι}}는 는 는 기원전 6세기에 이미 {{IPAgrc로 고양되었고, 현대 그리스어에서도 그대로 남아있다.[13]
- 이중모음 αυgrc와 [av ev]/ευ}}는 를 거쳐)로 발음되었지만, 무성 자음 θ, κ, ξ, π, σ, τ, φ, χ, and ψgrc-x-koine 앞에서는 부분적으로 동화되어 가 되었다.[13]
- 단모음은 대부분 고대 발음을 유지했다. /e//η}} 로 발음됨)은 고양되어 ιgrc와 합쳐졌다. 서기 10세기에는 /y//υ/οι}} {{IPAgrc가 원순모음이 아니게 되어 ιgrc와 합쳐졌다. 이러한 변화는 요타시즘으로 알려져 있다.[13]
- 자음 또한 β, γ, δ, φ, θ, χgrc와 /b ɡ d//ζ}}를 제외하고는 고대 발음을 상당 부분 유지했다. 원래 는 마찰음 를 거쳐), , 이 되었는데, 이는 비음 자음 (μ, ν) 앞에 오는 경우를 제외하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렇다. (예: [ɣamˈbros]/γαμβρός > γαμπρός}} )으로 발음되었던 후자의 세 자음 (Φ, Θ, Χ)는 마찰음 (를 거쳐), , 로 발전했다. 마지막으로, ξ와 ψ와 마찬가지로 운율적으로 이중 자음으로 분류되는 ζ는 처음에 σδ 또는 δσ 로 발음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의 현대적 가치를 얻었다.[13]
신약 유대-팔레스타인 코이네 그리스어의 음운론은 벤자민 칸토르의 재구성에 따르면, 일반적인 코이네 그리스어의 변화를 반영하면서도 다른 방언들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26]
일반적인 코이네 음운론적 발전에는, 전치 모음 앞에서는 구개음 동소를, 비음 뒤에서는 파열음 동소를 갖는 Γgrc-x-biblical의 유음화와 βgrc-x-biblical가 포함된다.[27] φ, θgrc-x-biblical와 χgrc-x-biblical는 여전히 고대의 유기 파열음 값을 유지하는 반면, 무기 파열음 π, τ, κgrc-x-biblical는 아마도 비음 뒤에서 유성 동소음을 발달하기 시작했을 것이다.[28] 어두의 유기음 역시 대중적인 방언의 많은 화자들에게 선택적인 음소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단모음화와 모음 길이 구분의 소실이 적용된다.
칸토르는 유대 방언에서 다른 코이네와 차이가 있는 특정 모음의 질을 주장한다. 중모음 εgrc-x-biblical/αιgrc-x-biblical와 /ɛ//η}}가 다른 코이네 방언보다 더 열린 발음을 가졌고, 개방 중모음 [30]로 구분되었다는 것이 가설적으로 주장된다. 또한, αgrc-x-biblical는 아마도 /ɑ//ε}}의 열림으로 인해 뒤로 끌린 후음으로서 {{IPAgrc-x-biblical의 발음을 가졌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아람어 기층의 영향으로 αgrc-x-biblical와 οgrc-x-biblical가 혼동되었을 가능성도 있다.[32]
문자 | 그리스어 | 음역 | IPA |
---|---|---|---|
알파 | αgrc-x-biblical | ||
베타 | βgrc-x-biblical | ||
감마 | γgrc-x-biblical | ||
델타 | δgrc-x-biblical | ||
입실론 | εgrc-x-biblical | ||
제타 | ζgrc-x-biblical | ||
에타 | ηgrc-x-biblical | ||
세타 | θgrc-x-biblical | ||
이오타 | ιgrc-x-biblical | ||
캅파 | κgrc-x-biblical | ||
람다 | λgrc-x-biblical | ||
뮤 | μgrc-x-biblical | ||
뉴 | νgrc-x-biblical | ||
크시 | ξgrc-x-biblical | ||
오미크론 | οgrc-x-biblical | ||
파이 | πgrc-x-biblical | ||
로 | ρgrc-x-biblical | ||
시그마 | σ (-σ-/-σσ-)grc-x-biblical | ||
타우 | τgrc-x-biblical | ||
웁실론 | υgrc-x-biblical | ||
파이 | φgrc-x-biblical | ||
카이 | χgrc-x-biblical | ||
프시 | ψgrc-x-biblical | ||
오메가 | ωgrc-x-biblical | ||
. | αιgrc-x-biblical | ||
. | ειgrc-x-biblical | ||
. | οιgrc-x-biblical | ||
. | υιgrc-x-biblical | (또는 ) | |
. | αυgrc-x-biblical | ||
. | ευgrc-x-biblical | ||
. | ουgrc-x-biblical | ||
. | αι (ᾳ)grc-x-biblical | ||
. | ηι (ῃ)grc-x-biblical | ||
. | ωι (ῳ)grc-x-biblical | ||
. | ῾grc |
5. 1. 문법적 차이
코이네 그리스어의 문법적 차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코이네 그리스어 문법 문서를 참고하라.5. 2. 음운론적 차이
코이네 그리스어 시대에는 많은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 이 시대 초반의 발음은 고대 그리스어 음운론과 거의 동일했지만, 말기에는 현대 그리스어 음운론과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게 되었다.[13]주요 변화는 모음 길이 구분의 상실, 고음 악센트 체계에서 강세 악센트 체계로의 대체, 그리고 여러 이중모음의 단모음화였다.[13]
- 기원전 2세기부터 모든 모음은 등시적(길이가 같은)이 되었다.[13]
- 기원전 2세기부터 고대 그리스어 고음 악센트는 강세 악센트로 대체되었다.[13]
- 거친 호흡 의 상실. 거친 호흡은 이미 이오니아 방언의 소아시아 지역과 레즈보스의 아이올리아 방언에서 사라졌다.[13]
- 이중모음 ᾱͅgrc, ῃgrc, /aːi eːi oːi//ῳ}} {{IPAgrc-x-koine로 단순화되었다.[13]
- 이중모음 αιgrc, ειgrc, οιgrc는 단모음이 되었다. /ɛː//αι}}는 코이네에서 장모음 와 합쳐졌다. 이중모음 ειgrc는 코이네에서 ιgrc와 합쳐지는 발음을 얻었다. 이중모음 /y//οι}}는 는 는 기원전 6세기에 이미 {{IPAgrc로 고양되었고, 현대 그리스어에서도 그대로 남아있다.[13]
- 이중모음 αυgrc와 [av ev]/ευ}}는 를 거쳐)로 발음되었지만, 무성 자음 θ, κ, ξ, π, σ, τ, φ, χ, and ψgrc-x-koine 앞에서는 부분적으로 동화되어 가 되었다.[13]
- 단모음은 대부분 고대 발음을 유지했다. /e//η}} 로 발음됨)은 고양되어 ιgrc와 합쳐졌다. 서기 10세기에는 /y//υ/οι}} {{IPAgrc가 원순모음이 아니게 되어 ιgrc와 합쳐졌다. 이러한 변화는 요타시즘으로 알려져 있다.[13]
- 자음 또한 β, γ, δ, φ, θ, χgrc와 /b ɡ d//ζ}}를 제외하고는 고대 발음을 상당 부분 유지했다. 원래 는 마찰음 를 거쳐), , 이 되었는데, 이는 비음 자음 (μ, ν) 앞에 오는 경우를 제외하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렇다. (예: [ɣamˈbros]/γαμβρός > γαμπρός}} )으로 발음되었던 후자의 세 자음 (Φ, Θ, Χ)는 마찰음 (를 거쳐), , 로 발전했다. 마지막으로, ξ와 ψ와 마찬가지로 운율적으로 이중 자음으로 분류되는 ζ는 처음에 σδ 또는 δσ 로 발음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의 현대적 가치를 얻었다.[13]
신약 유대-팔레스타인 코이네 그리스어의 음운론은 벤자민 칸토르의 재구성에 따르면, 일반적인 코이네 그리스어의 변화를 반영하면서도 다른 방언들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26]
일반적인 코이네 음운론적 발전에는, 전치 모음 앞에서는 구개음 동소를, 비음 뒤에서는 파열음 동소를 갖는 Γgrc-x-biblical의 유음화와 βgrc-x-biblical가 포함된다.[27] φ, θgrc-x-biblical와 χgrc-x-biblical는 여전히 고대의 유기 파열음 값을 유지하는 반면, 무기 파열음 π, τ, κgrc-x-biblical는 아마도 비음 뒤에서 유성 동소음을 발달하기 시작했을 것이다.[28] 어두의 유기음 역시 대중적인 방언의 많은 화자들에게 선택적인 음소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단모음화와 모음 길이 구분의 소실이 적용된다.
칸토르는 유대 방언에서 다른 코이네와 차이가 있는 특정 모음의 질을 주장한다. 중모음 εgrc-x-biblical/αιgrc-x-biblical와 /ɛ//η}}가 다른 코이네 방언보다 더 열린 발음을 가졌고, 개방 중모음 [30]로 구분되었다는 것이 가설적으로 주장된다. 또한, αgrc-x-biblical는 아마도 /ɑ//ε}}의 열림으로 인해 뒤로 끌린 후음으로서 {{IPAgrc-x-biblical의 발음을 가졌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아람어 기층의 영향으로 αgrc-x-biblical와 οgrc-x-biblical가 혼동되었을 가능성도 있다.[32]
문자 | 그리스어 | 음역 | IPA |
---|---|---|---|
알파 | αgrc-x-biblical | ||
베타 | βgrc-x-biblical | ||
감마 | γgrc-x-biblical | ||
델타 | δgrc-x-biblical | ||
입실론 | εgrc-x-biblical | ||
제타 | ζgrc-x-biblical | ||
에타 | ηgrc-x-biblical | ||
세타 | θgrc-x-biblical | ||
이오타 | ιgrc-x-biblical | ||
캅파 | κgrc-x-biblical | ||
람다 | λgrc-x-biblical | ||
뮤 | μgrc-x-biblical | ||
뉴 | νgrc-x-biblical | ||
크시 | ξgrc-x-biblical | ||
오미크론 | οgrc-x-biblical | ||
파이 | πgrc-x-biblical | ||
로 | ρgrc-x-biblical | ||
시그마 | σ (-σ-/-σσ-)grc-x-biblical | ||
타우 | τgrc-x-biblical | ||
웁실론 | υgrc-x-biblical | ||
파이 | φgrc-x-biblical | ||
카이 | χgrc-x-biblical | ||
프시 | ψgrc-x-biblical | ||
오메가 | ωgrc-x-biblical | ||
. | αιgrc-x-biblical | ||
. | ειgrc-x-biblical | ||
. | οιgrc-x-biblical | ||
. | υιgrc-x-biblical | (또는 ) | |
. | αυgrc-x-biblical | ||
. | ευgrc-x-biblical | ||
. | ουgrc-x-biblical | ||
. | αι (ᾳ)grc-x-biblical | ||
. | ηι (ῃ)grc-x-biblical | ||
. | ωι (ῳ)grc-x-biblical | ||
. | ῾grc |
6. 대표적인 코이네 그리스어 사용자
7. 샘플 텍스트
다음 텍스트는 문법, 형태론, 어휘 등 모든 면에서 아티카 방언의 그리스어와 차이를 보이며, 음운론적 차이 또한 추론할 수 있습니다.
다음 설명은 코이네 그리스어 시대의 음운 변화를 보여줍니다. 음성적 표기는 잠정적인 것이며, 재구성된 변화의 두 단계, 즉 고전 아티카 방언에 비교적 가까운 초기 보수적인 변종과 어떤 면에서 현대 그리스어에 가까워진 다소 후기의 진보적인 변종을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테베 시민들이 제기한 사항들에 관하여, 로마와의 우호 관계를 유지한 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는 제안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정이 내려졌다. 집정관 퀸투스 마이니우스가 상원 의원 다섯 명을 선발하여 파견하며, 이들은 공적인 행위와 개인적인 성실성을 고려하여 선발되어야 한다.[33]
:peri hoːn tʰizbîːs lóɡuːs epojéːsanto; peri toːn katʰ hautùːs praːɡmátoːn, hoítines en tiː pʰilíaːi tiː heːmetéraːi enémiːnan, hópoːs autois dotʰôːsin hois ta katʰ hautùːs práːɡmata ekseːɡéːsoːntai, peri túːtuː tuː práːɡmatos húːtoːs édoksen; hópoːs ˈkʷintos ˈmainios strateːɡòs toːn ek teːs syŋkléːtuː pénte apotáksiː, hoi an autoːi ek toːn deːmosíoːn praːɡmátoːn kai teːs idíaːs písteoːs pʰaínoːntai/περὶ ὧν Θισ[β]εῖς λόγους ἐποιήσαντο· περὶ τῶν καθ᾿ αὑ[τ]οὺς πραγμάτων, οἵτινες ἐν τῇ φιλίᾳ τῇ ἡμετέρᾳ ἐνέμειναν, ὅπως αὐτοῖς δοθῶσιν [ο]ἷς τὰ καθ᾿ αὑτοὺς πράγματα ἐξηγήσωνται, περὶ τούτου τοῦ πράγματος οὕτως ἔδοξεν· ὅπως Κόιντος Μαίνιος στρατηγὸς τῶν ἐκ τῆς συνκλήτου [π]έντε ἀποτάξῃ οἳ ἂν αὐτῷ ἐκ τῶν δημοσίων πρα[γμ]άτων καὶ τῆς ἰδίας πίστεως φαίνωνται.grc-x-koine
이 내용은 기원전 170년 보이오티아 지역 테베 도시에 대한 로마 상원의 칙령 발췌문으로, 보수적인 코이네 그리스어 방언을 재구성한 발음으로 표기될 수 있다.[33]
요한복음 서두의 다음 발췌문은 초기 기독교 시대의 점진적으로 대중화된 코이네 방언을 재구성한 발음으로 표기되어 있다.[34] 현대화된 특징으로는 모음 길이 구분의 상실, 단모음화, 강세 악센트로의 전환, 로의 상승이 포함된다. 또한 여기에는 이중모음 아우/αυgrc와 에우/ευgrc의 양순 마찰음 발음, 초기 의 상실, 베타/βgrc와 감마/γgrc의 마찰음 값, 그리고 무성 자음의 비강 후두음화가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태초에 말씀이 있었으니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말씀은 하나님이셨다. 그가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다.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로 말미암지 않은 것이 없다. 그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이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라. 빛이 어둠에 비치되 어둠이 빛을 이기지 못하였으니라.[34]
7. 1. 로마 상원 칙령 (기원전 170년)
테베 시민들이 제기한 사항들에 관하여, 로마와의 우호 관계를 유지한 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는 제안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정이 내려졌다. 집정관 퀸투스 마이니우스가 상원 의원 다섯 명을 선발하여 파견하며, 이들은 공적인 행위와 개인적인 성실성을 고려하여 선발되어야 한다.[33]:peri hoːn tʰizbîːs lóɡuːs epojéːsanto; peri toːn katʰ hautùːs praːɡmátoːn, hoítines en tiː pʰilíaːi tiː heːmetéraːi enémiːnan, hópoːs autois dotʰôːsin hois ta katʰ hautùːs práːɡmata ekseːɡéːsoːntai, peri túːtuː tuː práːɡmatos húːtoːs édoksen; hópoːs ˈkʷintos ˈmainios strateːɡòs toːn ek teːs syŋkléːtuː pénte apotáksiː, hoi an autoːi ek toːn deːmosíoːn praːɡmátoːn kai teːs idíaːs písteoːs pʰaínoːntai/περὶ ὧν Θισ[β]εῖς λόγους ἐποιήσαντο· περὶ τῶν καθ᾿ αὑ[τ]οὺς πραγμάτων, οἵτινες ἐν τῇ φιλίᾳ τῇ ἡμετέρᾳ ἐνέμειναν, ὅπως αὐτοῖς δοθῶσιν [ο]ἷς τὰ καθ᾿ αὑτοὺς πράγματα ἐξηγήσωνται, περὶ τούτου τοῦ πράγματος οὕτως ἔδοξεν· ὅπως Κόιντος Μαίνιος στρατηγὸς τῶν ἐκ τῆς συνκλήτου [π]έντε ἀποτάξῃ οἳ ἂν αὐτῷ ἐκ τῶν δημοσίων πρα[γμ]άτων καὶ τῆς ἰδίας πίστεως φαίνωνται.grc-x-koine
이 내용은 기원전 170년 보이오티아 지역 테베 도시에 대한 로마 상원의 칙령 발췌문으로, 보수적인 코이네 그리스어 방언을 재구성한 발음으로 표기될 수 있다.[33]
7. 2. 요한복음 서두
요한복음 서두의 다음 발췌문은 초기 기독교 시대의 점진적으로 대중화된 코이네 방언을 재구성한 발음으로 표기되어 있다.[34] 현대화된 특징으로는 모음 길이 구분의 상실, 단모음화, 강세 악센트로의 전환, 로의 상승이 포함된다. 또한 여기에는 이중모음 아우/αυgrc와 에우/ευgrc의 양순 마찰음 발음, 초기 의 상실, 베타/βgrc와 감마/γgrc의 마찰음 값, 그리고 무성 자음의 비강 후두음화가 부분적으로 나타난다.태초에 말씀이 있었으니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말씀은 하나님이셨다. 그가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다.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로 말미암지 않은 것이 없다. 그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이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라. 빛이 어둠에 비치되 어둠이 빛을 이기지 못하였으니라.[34]
참조
[1]
서적
The Greek Orthodox Church: faith, history, and practice
Seabury Press
[2]
웹사이트
Change Request Documentation: 2009-060
https://iso639-3.sil[...]
2023-12-21
[3]
사전
Koine
Collins Dictionary
2014-09-24
[4]
사전
Koine
Dictionary.com
[5]
사전
Koine
Merriam-Webster
[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reek: from the beginnings to late antiquity
University Press
[7]
서적
Greek: a history of the language and its speakers
Longman
[8]
서적
Greek: A History of the Language and its Speakers
https://books.google[...]
Wiley
[9]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reek
Center for the Greek Language
2007-01-11
[10]
웹사이트
Maintenance
https://www.stoicthe[...]
[11]
서적
Orthodox Christianity in 21st Century Greece: The Role of Religion in Culture, Ethnicity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12]
서적
Ιστορία της Ελληνικής Γλώσσας (History of the Greek Language)
http://www.elia.org.[...]
Ελληνικό Λογοτεχνικό και Ιστορικό Αρχείο
[13]
서적
History of the Greek Language
[14]
웹사이트
The British Critic, and Quarterly Theological Review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1823
[15]
서적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W.W. Norton& Company Inc
[16]
웹사이트
Augsburg
http://www.fh-augsbu[...]
[17]
서적
Biblical Lexicology: Hebrew and Greek
De Gruyter
2018-07-03
[18]
서적
Biblical Lexicology: Hebrew and Greek
De Gruyter
2018-07-03
[19]
서적
Exploring the Origins of the Bible (Acadia Studies in Bible and Theology): Canon Formation in Historical, Literary, and Theological Perspective
Baker Academic
2008-10-01
[20]
서적
The Language of the New Testament: Context, History, and Development
Brill
2013-02-21
[21]
학술지
The Historical Present in Mark as a Text-Critical Criterion
1983
[22]
서적
The Rhetoric of Jesus in the Gospel of Mark
Fortress Press
2017-11-15
[23]
서적
[24]
학술지
Teaching Koine Greek in a Classics Department
https://www.academia[...]
[25]
서적
[26]
서적
[27]
학술지
The Pronunciation of Greek Stops in the Papyri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Greek: A history of the language and its speakers
[34]
서적
[35]
학술지
ルクセンブルク語コイネーと正書法:都市における共通語創出とその広がり
https://dlisv03.medi[...]
大阪市立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 : 都市文化研究センター
2022-02-22
[36]
저널
日本語小笠原諸島方言のコイネー(Koine)の可能性 : 老年層の動詞・形容詞
https://hdl.handle.n[...]
東京外国語大学
2022-02-22
[37]
서적
古典ギリシア語文典
白水社
[38]
웹사이트
W.Bauer,A Greek-English Lexion
http://classicalgree[...]
[39]
서적
新約聖書ギリシャ語原典入門
[40]
서적
The rise of Koiné
University Press
[41]
서적
Greek: a history of the language and its speakers
Longman
[42]
서적
Greek: a history of the language and its speakers
Longman
2011-09-14
[43]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reek
[44]
서적
History of the Greek Language
[45]
서적
History of the Greek Language
[46]
서적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W.W. Norton& Company Inc
[47]
서적
Biblical Lexicology: Hebrew and Greek
De Gruyter
2018-07-03
[48]
서적
Exploring the Origins of the Bible (Acadia Studies in Bible and Theology): Canon Formation in Historical, Literary, and Theological Perspective
Baker Academic
2008-10-01
[49]
서적
The Language of the New Testament: Context, History, and Development
Brill
2013-02-21
[50]
저널
The Historical Present in Mark as a Text-Critical Criterion
1983
[51]
서적
The Rhetoric of Jesus in the Gospel of Mark
https://archive.org/[...]
Fortress Press
2017-11-15
[5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